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東洋의 敎育課程理論 : 周易에서 性理學으로의 移行過程에 나타난 마음의 形成 原理 The Principle of Establishing the Mind in Development from the I Ching to Neo-Confucianism

        박채형 한국교육과정학회 2001 교육과정연구 Vol.19 No.1

        성리학 이론은 마음의 형성에 관한 주역의 아이디어를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정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성리학 이론이 본체론과 심성론과 수양론의 긴밀한 관련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때, 이 세 논의 영역이 주역의 어떤 점을 체계화한 것인가 하는 것은 그다지 분명하지 않다. 그리하여 성리학 이론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적지 않게 그 세 영역을 별도의 것으로 취급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되며, 그만큼 성리학 이론은 흔히 생각되는 것처럼 공리공론으로 전락하게 된다. 본 연구는 성리학 이론에 관한 이러한 부당한 평가를 불식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편으로 그것의 뿌리에 해당하는 마음의 형성에 관한 주역의 아이디어를 고찰하고 그것에 비추어 성리학 이론이 교육이론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주역의 占은 太極과 만물의 관계 관한 형이상학적 아이디어에 기초하여 인간으로 하여금 마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성리학의 본체론과 심성론은 바로 그 형이상학적 아이디어를 세계와 마음의 용어로 구체화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수양론은 본체론과 심성론을 두 축으로 하여 주역 점이 나타내는 마음의 형성에 관한 아이디어를 이론화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주역과 성리학 이론을 이러한 병렬관계 속에서 조망하면, 성리학 이론은 마음의 형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교육이론으로 나타나며, 주역은 점의 형태를 빌어 당사자의 마음을 형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교육 프로그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주역과 성리학 이론을 이와 같이 마음의 형성과 관련된 것이라고 말해 놓고 보면, 그것은 철학의 관심사이기 이전에 마땅히 교육학의 관심사로 된다. Neo-Confucianism come from the I Ching that focuses on formation of the mind. So it must be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Neo-Confucianism and the I Ching. In spite of the relationship, it is said that Neo-Confucianism is a empty theory. Those who evaluate Neo-Confucianism negatively don't acknowledge the relationship correctly. In this article, I want to make clear the relationship in order to comprehend Neo-Confucianism as educational theory and the I Ching as educational program. Neo-Confucianism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 discussing metaphysical structure of the world and mind, and formation of mind. And the I Ching is divination system. On the basis of metaphysical assumption that everything and everybody in the world develope from the tai ch'i, the system forms the mind of men with tai ch'i or absolute mind who practice the divination. By this, the relationship is parallelism between the I Chings divination system and dimensions of discussing the formation of mind, and between I Ching's metaphysical assumption and dimensions discussing the structure of the world and mind. Therefore Neo-Confucianism is not a empty theory, but a educational theory that explains the formation of the mind with the structures of the world and mind. And the three dimensions of Neo-Confucianism give the frameworks to interpret the I Ching. With the frameworks, we understand the I Ching's divination system as educational program so well. If we can see the I Ching and Neo-Confucianism with educational ideas, the researches for the development from the I Ching to Neo-Confucianism must be matters of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교사의 역할

        박채형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implied in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They say that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is to hand over school subjects to students mechanically. This point of view never appear without separating between teacher and school subjects. The school subjects separated from teacher mean the language consists in surface of school subjects. So the aim of teaching school subjects is understood as transmitting the language to students without the meaning. In this case,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have nothing to do with self-cultivation of students.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suggests alternative view for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To localize the curriculum, teacher has to make use of the theory about curriculum development. But his doing is understood not as mechanical application of the theory, but as externalization of his mind to curriculum. In this respect, it is a mistake to regard curriculum separated with teacher's mind. So do school subjects, because they represent the curriculum. Teaching school subjects is par excellence externalization of teacher's mind. Consequently,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awake us ideal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through continuity between teacher and school subjects. 교과교육에서 교사의 주된 역할은 통념상 이미 주어져 있는 교과를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데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교사의 역할에 관한 이러한 통념이 가정하는 교사와 교과의 분리는 그로 하여금, 교과 속에 들어있는 심오한 의미를 전수하는 일과는 무관하게, 그것의 표면을 이루는 문자를 전달하는 데에 집착하도록 이끌 수 있다. 그럴 경우에 교과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심성의 함양과는 무관하게, 교과의 표면에 드러난 문자를 활용하여 당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끄는 일로 전락하게 된다. 교육과정의 지역화가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은 표면상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교과를 가르치는 식의 외부적인 활동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그 아이디어는 그러한 외부적인 활동이 마음과 그 표현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 교육과정의 지역화라는 아이디어는 이와 같이 교사와 교육과정 혹은 교사와 교과를 비분리의 상태로 되돌려 놓는다는 점에서 교과교육이 직면하는 불행한 사태를 극복하는 근본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교육방법의 구현체로서의 교사

        박채형 한국교육과정학회 2002 교육과정연구 Vol.20 No.4

        교사는 흔히 자신에게 이미 주어져 있는 교과를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존재로 생각된다. 교사에 관한 이러한 통념은 여러 가지 교육매체나 교수기법을 활용하여 교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교사의 주된 관심사로 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나타난다. 주역의 이상에 관한 정이의 견해와 그 이상이 주역 점에 의하여 온전하게 실현된다는 주희의 견해는 교사의 역할과 교육방법에 관한 그러한 상식적인 생각에 대한 대안적인 입장을 시사한다. 즉, 교사는 자신의 마음 속에 이미 갖추어져 있는 교과를 표현하는 존재이며, 그 과정에 수반되는 교사의 정서는 교육방법의 원형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교과교육의 이상은, 교과가 아닌 다른 것을 가르치거나 다양한 매체나 기법에 의하여 실현되기보다는, 오직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교사는 이 점에서 살아있는 교과요, 교육방법의 구현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significance of teacher's activity in classroom in the light of the I-Ching's divination. It is said that transmitting subject matter to student is the primary role of teacher in classroom. A number of teacher also accepts it as Me/her role in classroom. The common sense for teacher's role require us to think the transmission of subject matter to student effectively as the basic interest of teacher through variant educational media and technique. The I-Ching shows us alternative idea for primary role of teacher in classroom. Following the Ch'eng-I(정이)'s opinion, the language of the I-Ching is the manifestation of ideal state or form of world which contains everything in the world without distinctions, and the I-Ching is the device for people to reach ideal state or form of world through the language. Chu-Hsi(朱熹) suggests that the ideal state of the I-Ching is reached only by divination of the I-Ching. Ch'eng-I's opinion for ideal of the I-Ching and Chu-Hsi's method for realizing it give us alternative idea against the common sense for role of teacher and educational method in classroom. The language in subject matter is the manifestation of it's form which contains all subject matter without distinctions. Teacher possesses form of subject matter in his/her mind, the activity of teacher is the process of manifestation of the form in his/her mind. Although he cannot help using language for making the form in his mind manifest, the linguistic manifestation of the form must go with the emotional manifestation as total bodily activity. The emotional manifestation of teacher serves students as an approximation of the form, which is a primary force for making students strive to possess the form of school subjects. In this respect, the emotional manifestation of teacher must play a critical role in realizing the ideal of education. In short, the realizing the ideal of education relies on teacher's activity.

      • 서울시 도로변 전구성분의 특성 및 초미세먼지 2차 생성물과의 관계

        박채형,오세호,송명기,김문수,김민성,이현지,최서영,배민석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위해성이 높으며, 도시지역의 미세먼지는 대부분 2차 생성물로 알려져 있다. 인체 위해성이 높은 초미립자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도시 지역의 2차 생성 미세먼지의 생성 및 발생원을 파악해야 한다. 하지만 도시 지역은 차량 유동, 상업 활동 등의 다양한 인간 활동에 의해 2차 생성 미세먼지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전구물질이 발생하며, 이에 현재까지 도시 지역의 2차 생성 미세먼지 발생의 정확한 원인 규명은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지역의 대기 환경 및 PM2.5에 함유된 성분을 바탕으로 2차 생성물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광화문 및 복정역에 대기측정소를 설치하여 2계절에 대한 대기환경물질을 측정하였다. 측정 항목은 가스상 물질인 NOx, SOx, CO, NH₃, O₃, VOCs 등과 입자상 물질인 PM2.5 시료를 채취하여 구성 성분인 OC, EC, 수용성 이온 및 유기지표성분이다. 연구 결과 대기 중 2차 생성물의 형성 조건, PM2.5의 특성 및 유기지표 성분을 이용한 배출원을 추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제시된 지역별, 계절별 변이를 통해 가스상 전구성분의 특성 및 2차 생성 미세먼지의 발생원인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채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철학과 내용 체계 및 운영의 방향을 초등학교에 초점을 두고 입체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교육과정의 머리말에 들어있는 ‘교육과정의 성격’과 총론의 제1장과 제2장에 포함된 ‘교육과정의 구성 방침’과 ‘추구하는 인간상’ 및 ‘초등학교 교육목표’를 연결지어 그 철학을 분석하여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긴밀한 관련 속에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은 근본적으로 이들 교육과정의 철학과 주요 내용에 바탕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시각에서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교과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 평가라는 네 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ut the philosophy, items of contents, and implementing direction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named momentary-partial improvement. So, the philosophy and items of contents in 7th curriculum are kept up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the curriculum embodies the fundamental idea of becoming to realize its nature in the hands of agents of schooling guided by student based curriculum, curriculum for improving the schooling in its nature, and curriculum for maintaining the quality of schooling. The idea pursues the grounding abilities and habits for learning and life as version of elementary school to 'devotion to the welfare of mankind' as the ideal image of man in Korea. To carry through out the purpose, the curriculum has three areas of activities: school subjects activity, extraordinary activity, and discretionary activity. Moreover, teacher runs standard times alloted in the curriculum intentionally. Of course, in this case, teacher must obey the guidelines connected with the matter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o this limitation, teacher is forced to conform with the implementing plans of each areas in the curriculum.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designed to fulfill the balance between generality in degree of nation and peculiarity in school through this ways.

      • KCI등재

        교육과정 연구의 판도와 대립의 양상

        박채형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ut the territory and structure of conflicts in curriculum studies. The academic history of the curriculum dates back to the pioneering debate on the curriculum developed in the 19th century. If the debate is summarized by the conflict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which is called the classical conflict, the formative studies on the curriculum rooted in these two knowledge and spread in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In addition to these macroscopic conflict produced by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approach, there are also microscopic conflicts created by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each approach. These conflicts of theory and practice, which are tied to the curriculum studies, can be grasped as unfortunate phenomena arising from the failures of scholars which do not properly respect the ideal mind as ultimate aim of education with school subjects and reality as the ultimate standard of life. The logic of metapraxis as a religious discourse, which was proposed by T. P. Kasulis, shows us the reason why the curriculum studies causes the conflict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how to resolve with two fold structure of world and mind, circular argument, and the first person’s perspective. 교육과정의 학문적 역사는 19세기에 전개된 교육과정의 선구적 논의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의 그 논의가 고전적 대립으로 불리는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의 대립으로 압축한다면, 교육과정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이들 두 가지 지식에 뿌리를 두고 이론적 접근과 실제적 접근으로 뻗어나갔다. 교육과정의 학문적 무대에는 이론의 진영과 실제의 진영이 연출하는 이러한 거시적 대립 이외에도 각 진영의 전후세대가 연출하는 미시적 대립도 존재한다. 교육과정 연구에 삼중으로 엮여있는 이러한 이론과 실제의 대립은 교과가 겨냥하는 이상적인 마음과 삶의 궁극적 기준으로 존중되던 실재를 정당하게 존중하지 않는 데에서 비롯된 불행한 현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카슐리스에 의하여 부각되기 시작한 메타프락시스의 논리는 교육과정 연구가 이론과 실제의 대립을 유발하는 그러한 이유와 더불어 그것을 해소하는 방법을 중층구조의 아이디어와 순환론적 논리 및 당사자적 논리에 입각하여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교과에 관한 선험적 정당화 논의의 재음미

        박채형,조상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3

        External justification and intrinsic justification are different ways of establishing to the value of school subjects. Peters and Hurst stick only to the latter. It is undeniable that the former is interested in showing the value of school subjects, but it can result in abandoning it because of the means-ends connection used in the discourse. To prevent such a accident, they develop a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known as a example of intrinsic justification with presupposition instead of means-ends connection. But the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is not an active discourse that directly shows the value of school subjects. It is a passive discourse tha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chool subjects is valuable digging into presupposition of requesting justification. The ultimate reason why their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faces various kinds of criticism can be found in its nature. If they had respected realities as metaphysical concept that they had turned away from even though presupposed in their discourse, the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could have taken an active form away from such criticism. Their ethical discussions on school subjects need to be positively supplemented in this direction. 외재적 정당화와 내재적 정당화는 교과의 가치를 보여주는 두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피터즈와 허스트는 이들 두 가지 방식 중에서 오직 후자를 고집한다. 전자가 교과의 가치를 보여주는 일에 관심을 두고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그것은 거기에서 활용되는 수단-목적 관계의 사고방식으로 말미암아 교과를 팽개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이러한 불행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수단-목적 관계의 사고방식을 대신할 새로운 도구로 논리적 가정을 채택하면서 내재적 정당화의 한 가지 사례로 알려진 선험적 정당화 논의를 전개한다. 그런데 그들의 선험적 정당화 논의는, 교과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적극적인 담론이 아니라, 논리적 가정을 파고들면서 교과가 가치롭다는 결론에 이르는 소극적인 담론이다. 그들의 선험적 정당화 논의가 여러 가지 형태의 비판에 직면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그것이 띠고 있는 이러한 성격에서 찾을 수 있다. 만일, 그들이 자신들의 논의에 가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외면했던 형이상학적 실재를 정당하게 존중했다면, 그들의 선험적 정당화 논의는 그러한 비판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형태를 띨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교과에 관한 그들의 윤리학적 논의는 이러한 방향에서 적극적으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비고츠키의 발달이론에 대한 인식론적 해석

        박채형 한국도덕교육학회 2006 道德敎育硏究 Vol.18 No.1

        비고츠키의 발달이론은, 기존의 발달이론과는 달리, 언어와 그것에 기반을 두고 있는 사회적 관계가 사고의 발달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비고츠키의 이론체계 내에서 그러한 새로운 관점은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라는 개념으로 구체화된다. 즉, 학습자의 사고 또는 고등정신기능은 근본적으로 교사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내면화된다는 것이 그의 기본적인 입장이다. 사실상 비고츠키의 발달이론이 보여주는 이러한 입장은 그다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그러나 학습의 과정이 교사의 역할을 필수적으로 요청한다는 평범한 사실은 현대로 오면서 점차로 그 세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오늘날의 형편에서 보면, 비고츠키의 발달이론은 진부하기 짝이 없는 그러한 사실을 신선한 충격으로 바꾸어 돌려주는 모범적인 교수-학습이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of learning and instructional theory in the light of the development theory by Vygotsky. His theory of development is characterized by emphasis on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ellowing his theory, it is impossible for student to develope thinking skill or higher mental function by himself.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for student to appropriate it to interact with teacher. Vygotsky describes it as a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plane of intermental function to the plane of intramental function. But the process of interaction can hardly be explained through traveling of higher mental function from teacher to student. It must be the maturing process of the function innated owing to teacher. Of course, it is the presupposition of teaching that teacher has the higher mental function in his mind. But teacher never transmit the higher mental function in his mind to student directly. Only activity for teacher is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function in his mind with body. This expression is the only clue for student to make maturing the higher mental function in his mind. Above notion of Vygotsky shows us the role of teacher and student in classroom. It suggests that linguistic expression have to be teacher's important role in classroom, and that teacher regards it as his mission ordered by god in himself. Also, it makes student internalize teacher's expression with religious attitude. In this respect, Vygotsky's development theory must be model of learning and instruction theory.

      • KCI등재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거시적 논의와 미시적 논의

        박채형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of teacher professionalism microscopically. The arguments about teacher professionalism was stared in a way to prescrib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s traits of professional fields for teaching activity. But, it results to degrade teaching activity. Then, people altered the classical way into defining teache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activity itself. At present, the arguments has developed to define it through teacher's perspectives. They define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s a elements as following: teaching ability of school subjects, ability to educational guidanc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pedagogic knowledge, and attitude as teacher. However, we make a question what is the elements exactly. If we don't have a answer to the question, the recent arguments become to a simple catch phrases. That is to say, to grope the answer is a key to make the recent arguments meaningfully. M. Oakeshott's epistemology in “learning and teaching” suggests us the answer. Following his opinion, teacher manifests non-linguistic expressions in company with linguistic it in schooling,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s define as the total body activities of teacher. Teaching ability of school subjects and ability to educational guidance are the modes of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s total body activities of teacher abstracted in aspect of a situation, and attitude as teacher is mode of it abstracted in aspect of a emotion.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s a part of understanding pedagogic knowledge. These elements make teacher to possess the abilities and attitudes as the teacher professionalism.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논의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될 수 있다. 전문직이 갖추고 있는 일반적인 특성에 비추어 교사의 과업을 평가하면서 그들의 전문성을 처방하는 논의가 한 가지 방향이라면, 다른 한 가지 방향은 교사가 수행하는 특이한 역할에 의존하여 그들에게 적용될 전문성을 새롭게 규정하려는 논의이다. 특히, 교사에게 요구되는 세부적인 능력의 총화로 교사의 전문성을 규정하는 거시적 논의는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한 전자의 전형적인 사례로 손꼽히고 있지만, 종전까지 독보적인 지위를 누리던 그러한 논의는 교사의 전문성을 이루는 개별적 요소의 성격과 그것 사이의 관계를 묻는 위협적인 질문을 배태하고 있다. 최근에 들어 교사들이 지각하는 자신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전문성을 규정하려는 미시적 시도가 후자의 사례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그것은 거기에서도 말끔히 해소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의 성격과 교과교육의 과정을 둘러싼 오우크쇼트의 심오한 인식론적 견해를 끌어들여 그 질문에 대한 근본적인 대답을 모색하는 동시에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궁극적인 해명을 시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