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력탐사자료의 이상체 질량 효과에 대한 보정

        이희순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4 과학교육논총 Vol.16 No.-

        중력 탐사는 통상 여러 단계의 보정을 거친다. 질량에 따른 보정은 정통 측 지학(geodesy)에서는 중력을 지오이드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의 개념을 이용해 왔다. 그러나 이런 목적의 차이가 지구물리학자들 사이에서 혼란을 가져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혼란을 명확하게 푸는 시도를 하려고 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보정에 대한 오류를 없애고 정확한 보정의 방법을 제시하려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어질 보정 내용은 중력탐사자료의 보정 중에서 푸리에어 보정과 부게(Bouguer) 보정, 지형보정이 될 것이다. 이러한 보정은 효과는 통하여 지형과 지질이 비교적 복잡한 국내에서는 더욱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또한 3차원 이상체에 대한 모델링을 통해 이러한 오류의 해결책을 보인다. There are a couple of steps on Gravity data analysis. Geophysics has traditionally borrowed concepts of gravity corrections and gravity anomalies from geodesy. But this gets some confusions on geophysicists, exploration. This paper has tried to solve these confusions and reveals the errors on some corrections which has been routinely adopted on gravity data reductions. This paper reveals original concepts of free-air, Bouguer and terrain corrections. This problems are more serious on gravity data in conducted in Korea, because of complex geology and rugged terrain. 3-D numerical model tests have shown that the conventional gravity data correction makes significant errors on gravity data. But correct reductions makes very perfect result in inversion result.

      • 교육대학교 학생들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 Seasonal Variation and Solar Radiation 계절의 변화와 태양복사 에너지

        이희순,조혜경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97 과학교육논총 Vol.9 No.-

        인천교육대학교 1,4학년 학생들과 경기도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태양복사 에너지가 계절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묻는 문제를 제시하여주고 이를 주관식으로 답안을 작성하게하여 각 집단의 이해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내용을 대학에서 수업하기전에 실시한 교육대학교 1학년생들은 전체적으로 74.5%의 학생들이 정답에 준하는 답을 보였으며, 이러한 답의 비율은 고등학교때 문·이과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엄격한 좁은범위의 정답율은 41.4%로 고등학교때 문과(37.4%)와 이과(56.7%)에 따라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임용고사 전에 시험을 실시했기 때문에 예비교사로서의 특성을 지닌다고 할수 있는 4학년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88.3%의 대다수의 학생이 정답에 준하는 답변을 하였으며, 엄격한 좁은 범위의 답도51.5%로 1학년학생들에 비해 높았다. 특이할만한 것은 4학년 학생들의 답변은 고등학교때 이과학생이었던 학생과 문과학생이었던 학생들의 정답율이 많은 차이가 나지는 않은 것으로 이는 교육대학교를 다닌 4학년동안 전과목을 골고루 학습하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주로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로 근무연한이 대략5년정도되는 교사들이며, 교육대학교 학생들과는 달리 사전 실험을 거쳤다. 사전 실험후 이러한 실험의 결과가 실제 태양과 지구의 상황에서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논의는 생략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중 32.3%가 엄격한 의미의 정답을 제시하였고 정답에 준하는 답을 제시한 비율은 58.9%로 오히려 교육대학교 학생들보다 낮다. 또한 교사들은 태양과 지구의 거리에 따른 효과를 또다른 중요한 요인으로 함께 기재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사전 실험의 영향으로 생각되며 이를 포함한 비율은 91.2%이다. 결론적으로 교육대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은 비교적 양호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가 전부터 가지고 있던 선개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levels of the freshmen and seniors of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teacher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olar radi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temperature. Freshmen took an examination before learning this concept in University which was set up a purpose to test the learning level in high school. They get correct answers in broad criterion up to rate of 74.5% which had not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science and literary course in high school , but in strict criterion up to rate of 41.4% which had larg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science(56.7%) and literary(37.4%) course. Senior students took an examination in the second semester which was set up to test the learning level as pre-service teachers. They get correct answers in broad criterion up to rate of 88.3 % and in strict criterion up to 51.5% which had not meaningful differences in both criterions between students in science and literary course in high school.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ve about 5-year carrier and worn KyungGi-do. The teachers was taken two experiments before test. The experiments was how it effects on temperature of an test area as it was varied that the distance( or angle ) from a heat radiation source. Teachers get correct answers in broad criterion up to the rate of 58.9 and in strict criterion up to 32.3%. It is not pertinent that the direct comparison of the correct rat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ecause tethers was taken experiments before the test. And it is considerable that the effect of preconception in students and teachers.

      •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웹 활용 수업의 설계 및 적용

        백남영,이희순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3 과학교육논총 Vol.15 No.-

        웹을 활용한 수업은 웹을 통해 학습자가 정보를 스스로 찾고, 판단하여 학습하게 하는 활동으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하고, 다른 학생, 교사, 전문가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하여 협동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웹 활용 수업이나 연구는 단순히 홈페이지 중심으로 한 학습내용의 제시로 그쳐 웹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적인 측면을 간과한 내용들이 많다. 또 과학과에 그 효용 정도를 살펴보는 연구에서는 과학탐구능력의 향상 정도를 살펴보기보다는 과학관련 태도, 흥미의 변화 정도를 살펴보는 연구로 그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탐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호작용적인 웹 활용 수업을 설계하고, 본 연구자가 설계한 웹 활용 수업이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가 웹 활용 수업을 설계하면서 가장 중요시 여긴 것은 두 가지이다. 한 가지는 웹의 상호작용성을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는가, 또 한 가지는 웹에서 학습자들이 길을 잃어버린다는 많은 지적이 있었기에, 과학탐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게 교사가 안내된 탐구수업을 이끌 수 있는가 이다. 기존의 문헌을 토대로 하여 상호작용적이며, 안내된 웹 활용 수업의 모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수업모형은 기본적으로 준비→계획→실행→반성의 단계를 거치는데 이는 반복하여 피드백 되고, 수정될 수 있다. 둘째, 학습자 개인은 웹에서 다양한 자료로 학습을 하며, 그 후에는 반드시 모둠활동에서 동료 상호간의 피드백, 교사의 피드백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셋째, 정보의 바다라 일컫는 웹에서 학습자가 헤매거나 학습의 목표를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교사는 수시로 학습목표를 재상기 시키며, 과학적인 탐구를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홈페이지는 학습자가 학습의 길을 벗어나지 않도록 학습을 차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 날 배울 내용, 할 활동, 선행학습, 후속학습을 제시하고, 웹에서 자료를 찾기 힘들어하는 학습자를 위해 도움이 되는 사이트를 제공한다. 다섯째, 교사는 학습자가 활동을 하면서 탐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질문기법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록을 할 수 있는 탐구일지를 제공한다. 연구자가 설계한 수업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 연구실에서 개발한 과학탐구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SPSSWIN 9.0을 이용하여 t-test로 통계처리하였다. 연구자가 설계한 수업을 실험반에 처치한 결과 실험반은 과학탐구능력 사전 검사에서 16.450, 사후 검사에서 19.825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는 유의미한 향상은 과학탐구능력 수준이 상, 중, 하 모두에게서 보여 지고 있었다. 또 사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보여 지고 있지 않았던 비교반과는 실험처치 후 매우 유의미한 차이의 향상을 보였으며, 과학탐구능력 요소별로 살펴보았을 때 10개 요소 중 7개의 요소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 연구자가 설계한 웹을 활용한 수업이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의 원인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의 다양한 자료와 자신이 직접 웹 상에서 학습하게 하는 기회는 개별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웹의 상호작용적인 특성이 교사와 학습자간의 피드백을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하였다. 셋째, 웹과 학습자들의 친밀성과 자신의 개별학습으로 인해 학습자들의 학습에 주체적으로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 질 수 있었다. 넷째, 교사의 안내와 웹에서의 안내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습목표에 잘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sses utilizing web enable learners to discover, judge and learn information autonomously through web and to interact with other students, teachers and experts for cooperative learning. Regardless of many advantages, existing web-based instruction or study was limited to the provision of learning content focusing on homepages so that they did not show the interactive aspect of the web effectively. When looking into the efficacy of utilization in science subject, they did not look into the enhancement level of science process skill but they were limited as the studies investigating science related aspects and the change of interest. Therefore in this study, an interactive web-based instruction was developed to enhance science process skill of the learners and what kind of effects the designed web-based instruction made on science process skill was reviewed. When designing a web-based instruction, following two things were emphasized. One was how much could the instruction use interaction of web and the other was how a teacher could perform guided classes to enhance learners' science process skill, as there were comments that learners were easily lost in Web. The interactive and guided web-based instruction develop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had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class model was basically composed of Preparation-> Planning-> Execution-> Review, during which repetitive feedbacks were allowed to enter in order to modify the models. Second, individual learners learned with various materials on Web and the they would have feedbacks from their fellow students or from teachers in the group activities. Third, to prevent learners from being lost in Web, a sea of information or losing their learning objectives, teachers reminded their learning objectives frequently and guided them to do scientific investigation. Fourth, homepage played the role of a guide not to digress from the learning of the day. It provided content to learn on the day, activities to do, previous studies, further studies and sites that would help learners who found difficulties in discovering learning materials on Web. Fifth, teachers provided questioning techniques to let them have science process skill thought during the learning activities and an 'Inquiry Diary' to record the learning activitie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the classes developed in this study, 'Science Process Skill Questionnaire' developed in Physics Education Lab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used and they were statistically treated by t-test using SPSSWIN 9.0. When the instruction designed by the researcher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y marked 16.450 in pre-test and 19.825 in post-test. This significant enhancement was shown in all the students regardless of levels. Comparing to 'Comparison Group', which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xperimental Group' before the treatment with the designed instruc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after the treatment. When looking into elements of science process skill, they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seven out of ten elements.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web-based instruction that the researcher designed g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enhanc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results is as follows: First, diverse materials of web and the opportunities to study autonomously enable them to perform individual learning effectively. Second, the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web allowed active feedback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hird, because learners were accustomed to web and the learning was done in individual learning pace, they could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cess actively. Fourth, the guide of a teacher and web-based guides helped them to arrive at the learning goals.

      • SCIEKCI등재

        Predicting postoperative total calcium requirements after parathyroidectomy in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 Byung Heon Kang ),( Soon Young Hwang ),( Jeong Yeop Kim ),( Yu Ah Hong ),( Mi Yeon Jung ),( Eun Ah Lee ),( Ji Eun Lee3 ),( Jae Bok Lee ),( Gang Jee Ko ),( Heui Jung Pyo ),( Young Joo Kwon ) 대한내과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30 No.6

        Background/Aims: To prevent hypocalcemia after parathyroidectomy (PTX), parenteral calcium is required in addition to oral calcitriol and calcium. After switching to oral calcium, patients can b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TX performed at a single Korean center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ed laboratory factors used to analyze the total amount of postoperative calcium required. Methods: We enrolled 91 hemodialysis patients undergoing PTX from November 2003 to December 2011. We collected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preoperatively, 12 and 48 hours postoperatively, at discharge, and 3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In total, 59 patients underwent PTX with autotransplantation (AT), 6 underwent total PTX without AT, 11 underwent subtotal PTX, and 15 underwent limited PTX. Total PTX without AT showed the lowest recurrence rate. At all postoperative time points, the mean levels of serum calcium, phosphorus, and intact parathyroid hormone (iPTH)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preoperative levels; however, alkaline phosphatase (ALP)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8 hours postoperatively to discharge (p < 0.001). 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amount of injected calcium during hospitaliz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eoperative ALP (p < 0.001), preoperative iPTH (p = 0.037), and Δphosphorus at 48 hours (p < 0.001). We developed an equation for estimating the total calcium requirement after PTX. Conclusions: Preoperative ALP, preoperative iPTH, and Δphosphorus at 48 hours may be significant factors in estimating the postoperative calcium requirement. The formula for postoperative calcium requirement after PTX may help to predict the duration of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 과학 영재를 위한 캠프 운영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준거

        여상인,노석구,강호감,이희순,홍석인,송상헌,정동권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3 과학교육논총 Vol.15 No.-

        본 연구는 영재 프로그램과 그 운영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판단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는 준거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과학캠프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유익성, 영재캠프 운영에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캠프에 참가한 학생과 그 학부모에게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영재 캠프에 참가한 학생은 직접 참여할 수 있으면서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활동에 흥미를 느꼈고, 놀이 요소가 포함된 프로그램을 많이 선호하였다. 학생들이 모르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나,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과학 지식이나 원리를 배웠다고 인식하는 경우, 유익한 프로그램으로 인식하였다. 과학 영재 캠프의 운영에 있어서 많은 학생이 방학 중에 1주일 정도의 기간으로 합숙하는 프로그램 운영 방식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캠프 활동 프로그램과 운영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criteria and basic data to evaluat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program for gifted children in science. To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interest and usefulness for camp activities was administered to the gifted children registered to science camp. By analyzing their responses, we could conclude that the gifted children thought the activities, which stimulating their curiosity or provid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o be interesting to them. They preferred the activities like a play or a game and considered that a useful activities should have something worth-learning. They and their parents preferred to stay in a camp for a week. Based on this research,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about academic camp program for gifted children in science.

      • KCI등재

        초등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의 활용 실태

        신영준,장명덕,배진호,권난주,여상인,이희순,노석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5 초등과학교육 Vol.24 No.2

        In this study, we had tried to present a plan for improving the actual conditions of practical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 for 6th grade science developed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distributed to all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lso we presented ways of better utiliz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 after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of practical utilization. A survey was made to investigate and collect all data in the major metropolitan cities, the Kangwon, Chungcheong, Honam, and Kyeongsang area, respectively. We surveyed 316 6th grader teacher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 as a general research. In addition, we surveyed 46 teacher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and content of teaching material as a particular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material was not approximately transmitted and kept to 6th grader teachers. Second, the utilization guide was not made. Third, it was reported that the thematic divisions of teaching material was a strong point, but the less detailed experiment manual was a weak point. Fourth, the consideration of content difficulties and simplicity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material. Fifth, additional items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roductory presentation, convenience of reorganization, activity material causing learning interest, guidance of substitution experiment, and more concrete notice of experiment activity. Finally, there were positive responses of more than 4.0 point of Likert scale (1 to 5 point scale) in detail investigations of thematic items, which could have possibility that the teaching material was helpful to elementary school science fiel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