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 쓰기에서의 교사 논평과 동료 논평 양상 연구 ― 논평의 위치별 유형 및 기능을 중심으로 ―

        이인혜,임형옥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5 No.-

        This study investigates aspects of teacher and peer writing comments in KFL student writing focusing on the locations of written comments. For this objective, 120 papers provided by 20 teachers and 20 KFL peer students with 3 different composition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different feedback features such as types of writing comments(content, organization, form), functions of writing comments(summary, praise, problem/solution) all within different locations(editing, marginal, end). Overall, our results support the use of peer review and providing various feedback in different locations in written comments. Based on aspects of students' and teachers' writing comments in various locations, student writers can receive more diverse and preferable feedback if peer writing comments and teacher writing comments are provided complementarily.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동료 논평의 위치별 유형, 기능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살피고자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세 편에 제공된 교사 20인과 동료 학습자 20인의 논평, 총 120편의 논평을 분석하였다. 교사 논평과 동료 논평이 제공되는 ‘위치(에디팅, 가장자리, 끝자리)’에 따라 ‘어떠한 유형(내용, 구성, 표현)’의 논평이 제공되며, 그 ‘기능(요약하기, 칭찬하기, 문제 제기 및 해결책 제시하기)’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에디팅 논평에서는 두 집단 모두 표현 논평이 대부분이었으나, 가장자리 논평에서는 교사는 표현 논평의 비중이 높았고 동료 논평은 내용 및 구성 논평의 비중이 높았다. 끝자리 논평에서도 동료는 교사보다 내용 논평의 비중이 높았다. 에디팅 위치에서는 두 집단 모두 문제/해결 기능이 대부분이었으나 요약하기 기능은 가장자리 논평에서, 칭찬하기 논평은 가장자리, 끝자리 논평에서 두드러졌다. 이러한 차이는 동료 논평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문제/해결 기능의 경우, 교사는 언어적 완화장치로서 ‘질문’을 동료에 비해 높은 비율로 사용하였다. 문제 제기 및 해결책 제시 논평이 미치는 영향의 범위는 가장자리 위치에서 교사 논평과 동료 논평이 특히 큰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논평 쓰기’ 교수-학습 모형 연구

        공하림,손혜진,임형옥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5

        The authors of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writing comments” would be beneficial to advancing college students’ composition skills. We therefore created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comment writing and applied it to an actual class.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result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that experiment.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explaining the effectiveness of “comment writing” as an instruction method in “improving students’ cognitive and metacognitive abilities, raising academic motivation, improving students’ self-esteem,” etc. The comment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is study comprised six steps: “writing a first draft, lesson on comment writing, instructor demonstration, comment writing practice, peer comment writing, and revision.” After applying this model in a real college writing class, we analyzed the first drafts and revisions of several students’ essays. We also administered a survey to the students about what kind of influence the comment writing class had on their own writing. As to the contents of the students’ compositions, the topics were clearer and the evidence and examples were more abundant. The organization of the students’ essays was more structured overall and the paragraphs were better linked in subtle ways. As for articulation, the sentences structures were more correct and there were less spelling and spacing mistakes. After analyzing the surveys, we found that the students had more confidence about their own writing skills after take the comment writing class. They had a greater grasp on the basics of composition, and they were able to focus more on their intended audience when writing a composition. Also, they were able to judge their compositions more objectively, advance their critical 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and evaluate compositions in a more correct manner. The students claimed to have gained a base to help them effectively complete assignments in future classes and to have established a habit of revision 본 연구는 ‘논평 쓰기’가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하여 논평 쓰기를 중심으로 한 대학 작문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한 후, 그 결과 및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논평 쓰기’는 ‘학습자들의 인지적, 초인지적 능력 및 학습 동기, 자아 존중감 향상’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논평 모형 설계 지침을 토대로 ‘초고쓰기→논평 쓰기 관련 강의→교사 시범→논평 쓰기 연습→동료 논평 쓰기→고쳐쓰기’ 단계로 이루어진 논평 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한 후 실제 대학 작문 수업에 적용하였고, 논설문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초고 및 고쳐 쓴 몇 가지 사례의 글을 분석하였다. 또한 논평 쓰기 수업이 자신의 글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학생 글 분석 결과, 내용 면에서 주제가 명확해졌고, 근거 또한 풍부해졌으며, 조직 면에서 글 전체가 체계적인 구조를 지니게 되었고 단락과 단락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또한 표현 면에서 문장 표현이 정확해졌고 맞춤법 및 띄어쓰기도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논평 쓰기 수업을 통해 글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글쓰기의 기본적인 틀을 마련할 수 있었으며, 독자를 고려하는 글쓰기를 실천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자신의 글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 되었고, 글에 대한 비판적 안목과 책임감이 향상되었으며, 글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가능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논평 쓰기 수업을 통해 앞으로 교양 및 전공 수업에서 효과적인 과제 수행을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었고, 고쳐 쓰기 습관 또한 기를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다.

      • Teacher Comments and Students` Interpretation in Writing

        Younghwa Lee 미래영어영문학회 2012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2 No.1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eacher comments to student writing and student interpretations about teacher feedback in an EFL writing course at a university in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teacher comments, the nature, purposes, and linguistic features of the comments were focused. The data comprise the collection of the teacher comments with thirty-four students" writing samples and interviews with six stud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eacher comments show a powerful shaping effect on the nature and purposes of her comments, using different types of linguistic forms. The comments reflect the teacher"s approaches for teaching EFL writing, alluding students" grades with strengths, weaknesses, and an emphasis of encouragement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writing. The six students showed different interpretations about the teacher comments: a frustration by detailed comments about grammar; a misunderstanding of a simple request for a meeting; a great admiration about guidelines on form and content; a request for explicitness, and appreciation of positive comm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while there will be strong individual differences, it is safest to assume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value feedback, and that providing nothing more than grades deprives them of a valuable learning opportunity.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실제와 교육 방안 -학술적 담화 활동을 통한 방법 모색-

        김정녀 ( Jeong Nyeo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4 No.-

        본고는 대학의 읽기ㆍ쓰기 통합 교육이 실제 어떻게 구성ㆍ운영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읽기와 쓰기의 연계 및 통합이 실제적인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으려면 어떤 교수ㆍ학습 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이 효율적일지 방안을 모색해본 것이다. 최근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법론적 모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읽기ㆍ쓰기통합 교육을 표방하며 이를 교재로 구체화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읽기 중심의 쓰기’에 치우쳐 있고, 찬반 토론 중심의 읽기ㆍ쓰기 통합은 텍스트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에 머물거나 창의적인 글쓰기로 연계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고에서 제안한 ‘학술적 담화 활동’을 통한 읽기ㆍ쓰기 통합 교육의 방안은 해당 주제에 대한 발표, 발표된 글에 대한 질의 및 토론, 논평, 심화된 글쓰기, 첨삭 및 수정고 제출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학술 담화 공동체(학생 상호간, 교수와 학생간)와의 의사소통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1) 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자료를 읽고 발표문을 작성하는 단계에서는‘쓰기를 위한 읽기’ 활동이 중심이 되고, (2) 발표문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바탕으로 질의 및 토론문을 작성하는 단계에서는 ‘읽기를 위한 쓰기’ 활동이 중심이 된다. 그리고 (3) 발표자의 발표, 토론자의 질의 및 반론, 일반청중의 논평이 진행되는 단계에서는 자신이 속한 담화 공동체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필자독자, 읽기쓰기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하게 되는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 활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학술적담화 활동은 그 자체로 비판적 ‘읽기 텍스트’가 되어 대학의 담화 공동체안에서 이루어지는 학술적 글쓰기의 속성 등과 같은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4) 이후 학습자의 심화된 글쓰기 과정에서 학술적 담화 활동의 기억은 비판적 사고 작용을 하여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 활동이 연장된다. 아울러 (5) 학습자의 글쓰기 과제는 교수자가 첨삭 후 개별 상담을 거쳐 돌려주는데, 이때 학습자는 평가를 받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독자(교수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필자인 학습자가독자가 되어 자신의 글을 비판적으로 읽고 고쳐 쓰게 되므로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 활동이 이어진다. 학술적 담화 활동은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있고, 그 결과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동시에 신장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대학의 학문 담화 공동체가 지향하는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참여도, 평가와 관련하여 보완이 필요한 부분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후고를 기약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education is made of and is operated, and then to suggest the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better education effect. Recently in the writi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he methodological surveys to educate integrally reading and writing are actively done research. Some universities claimed to stand for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education and found a shape this education method as a textbook. But this method was leaning ‘the writing centered reading’ and the understanding for the reading-writing integration centered debate is restricted.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academic discourse activity’ is the communication activity with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inter students, or teacher and students) through procedures as presentation, question, debate, logical comment, writing, and feedback, and so on. (1) Reading for writing activity: to read various materials and then to write statement. (2) Writing for reading activity: to read statement and then to write discussion paper. (3) The interaction of the reading and writing activity: to present, to question, to debate and to do feedback. Meanwhile, as the academic discourse activity itself is the reading text, this activity is helped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social-culture context as academic writing properties in university discourse community. Therefore (4) the extent of the interaction reading and writing activity: the memory of academic discourse activity in the leaner`s writing process operate as critical thinking. (5) The interaction of the reading and writing activity: after a teacher corrects the paper and has face-to-face talk for leaner`s writing homework, learners read critically their papers and correct the their writing. The academic discourse activity can make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interaction of reading and writing. As a result, students can strength the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and concretely understand the social-culture context for academic writing that academic context community of university aims for. Nevertheless, the participating degree of learners and evaluation need to make up for.

      • KCI등재

        동료 첨삭논평에 대한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 연구 - 동료 첨삭논평의 유형과 적절성을 중심으로

        김수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본고는 동료 첨삭논평을 대상으로 그 유형과 적절성에 따른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을 밝히기 위한 시도로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학습자는 동료가 제공한 첨삭논평에 대해 ‘수사적 맥락’과 ‘조직’의 초점 영역에 비해 ‘내용’과 ‘표현의 정확성’의 초점 영역에서 높은 수용률을 보였다. 이는 동료 첨삭논평에 대한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이 ‘초점’ 영역 간 차이를 보임 을 말한다. 둘째, ‘방식’의 측면에서는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이 ‘방식’의 하위 범주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교정’이 다른 방식에 비해 높은 수용률을 보였다. 이는 글쓰 기 학습자가 ‘교정’과 같이 분명하고 구체적인 수정 방향을 제시해 주는 방식을 선호 함을 나타낸다. 셋째, 글쓰기 학습자는 동료 첨삭논평이 부적절한 경우보다 적절한 경우일 때 훨씬 높은 수용률을 보였다. 이는 동료가 제공한 첨삭논평의 적절성에 따라 글쓰기 학습자 가 보이는 반응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는데, 글쓰기 학습자는 동료가 제공한 첨삭논평의 적절성을 판별하여 부적절한 경우라고 판단될 때는 ‘거절’의 반응을 보이 는 경향이 있다. 넷째, 글쓰기 학습자가 동료 첨삭논평의 적절성에 대한 판별의 어려움으로 부적절 한 동료 첨삭논평을 수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표현의 정확성’ 초점 영역의 첨삭 논평에서 두드러진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veal the responses of writing students to peers’ comments according to their type and appropriatenes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writing students showed a higher acceptance rate of peers’ comments in the focus areas of “content” and “correctness” compared to the focus areas of “context” and “organiz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response of the writing students to peers’ comments shows a difference between the areas of “focus.” Second, in terms of “mode,”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categories of “mode,” but “corrections” showed a higher acceptance rate compared to other modes. This means that the writing students prefer a mode that provides clear and specific directions for improvement, such as “corrections.” Third, the writing students had a much higher acceptance rate when a peer’s comment was more appropriate than when it was not, indicating that the responses of the writing students depend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peers’ comment. Further, the writing students tend to respond to “rejection” when it is judged to be inappropriate by judg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peer’s comment. Fourth, some writing students accepted inappropriate comments due to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ir appropriateness, which was apparent in the focus area of “correctness.”

      • KCI등재

        학생 글에 대한 반응 연구 동향 및 전망

        김경화 ( Kyoung Hwa Kim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3

        본 연구에서는 쓰기 수업에서 보편적으로 행해지는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고찰하면서, 연구 영역과 연구주제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글에 대한 반응 연구가 어떠한 주제와 어떠한 방향으로 논의될 수 있을지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물 검토에 앞서 먼저 학생 글에 대한 반응으로 많이 사용되는 ‘첨삭’, ‘피드백’, 그리고 ‘논평’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용어를 중심으로 사용된 학생 글에 대한 반응의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어떠한 연구 영역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쓰기 교육에서 학생 글에 대한 반응을 연구한 연구물들의 주제와 목적 등을 토대로 교사의 교수·학습 측면, 학습자의 측면, 그리고 아직은 연구물들이 많지는 않아도 앞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는 연구들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학생 글에 대한 반응 연구가 한시적이거나 협소한 영역의 논의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가 거듭될수록 설계가 치밀해지고, 오늘날의 쓰기 이론과 부합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연구 초기에는 유의미한 효과나 상관을 확인하기 어려웠던 반응의 유형이나 내용, 혹은 교사의 태도 등도 연구 설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들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학생의 글에 대한 반응은 쓰기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는 분야이며, 이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교사와 연구자의 신념과 연구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어도, 연구가 위축되기 보다는 오히려치밀하고 유의미한 연구로 발전하여 왔다.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중요한 것은 담당 교사의 노력과 실천이면서, 동시에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교사의 실천 의지와 실천 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의 조성이 함께하지 않으면, 교사가 갖고 있는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과 관련된 신념과 실제 쓰기 수업 사이의 괴리를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앞으로는 학생 글에 대한 반응에 대한 연구를 교육의 다양한 입장에서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반응의 내용과 유형만이 아니라, 반응에 관여되는 주체들을 고려하고, 학생의 쓰기와 반응이 이루어지는 맥락을 고려하는 연구가 앞으로 더욱 활발히 논의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on teacher`s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n writing class and how the scope and subject of prior studies have been developed.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rospect of future research subjects and directions of teacher`s response to student writing. The first thing is to compare the meanings of ``correction``, ``feedback`` and ``comment`` frequently used as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n classroom, that each meanings are confused in writing class. Secondly, this study is to check what subjects are dealt with in the studies of teacher`s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n writing class.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eacher`s instruction, student aspect and the other aspects needed further studies. The result of the review shows the studies of teacher`s response to the student writing is not temporary and narrow. As the experimental designs were elaborated, the results of studie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response types and content and teacher attitude. This study is suggested that the response of the writing is an important the subject of study ? research topic, and further studies in writing are needed. In this true a few of the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response on the writing consistently. At the early research was weak the study plan or theoretical frame. But the study has go on, the response of writing has many products of the good research. Also, combined with continuous stud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n effort and practice of teachers and gives them to good teaching environment. If not, it could cause the gap between teacher`s knowledge of how to teach writing and actual classroom. For the future, we have to study the research of teacher`s response to student wring in various perspectives using different ways; the content of response and types, things related with response and context of students writing and teacher`s response.

      • KCI등재

        교수자 첨삭논평에 대한 글쓰기 학습자의 반응 양상 고찰

        박준범(Park, Jun-beom) 한국어문학회 2017 語文學 Vol.0 No.13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writing student’s response to the comments provided by the teacher. This paper first categorizes the comments of the teacher into the two aspects: the focus and the mode, and then it attempts to classifies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teacher’s comments into two types: acceptance and rejection. In this article, the students’ responses of acceptance and rejection a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omments, which deal with either the focus or the mode. First, the student’s acceptance of the teacher’s comments is as follows. As for the comment that emphasizes the focus, the students showed the acceptance rate of 62.64%. The students with the comment of in the focused area showed somewhat higher acceptance rate of 76.00% when the comment was shaped as the ‘command’.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comments in ‘criticism’ yielded a somewhat lower acceptance rate of 54.69%. Those fact shows that, when the students react positively about the teacher’s comments dealing with the focus, they prefer the commentary which suggests a relatively straightforward and clear suggestions in the ‘command’. In addition, the comments asking for ‘correc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way of helping students to revise, especially when the teacher uses the modes of ‘closed question,’ ‘correction,’ ‘command,’ and ‘criticism.’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acceptance of the comment regarding the mode, the acceptance rate when applying the style of ‘comman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modes. And there are symmetrical relationship among ‘closed question’, ‘open question’, ‘criticism’ and ‘qualified criticism’, which are the ways of asking for answers among the modes of commentary provided to writing students. When the teacher provides comments on ‘context’ or ‘organization,’ the student tends to easily take the comment regardless of the modes of ‘closed question’ or ‘criticism.’ Therefore, it is effective for the teacher to consider such a tendency when composing comments for students. Secondly, the rejection of the comment provided by the teacher is analyzed as follows. In the rejection of the comment regarding what it focuses, the students showed the rejection rate of 17.94% against the teacher’s comments. The rejection of the comment regarding the focus did not show a biased rejection rate. However, the ‘correction’ as the modes of comment does not effectively induces the student’s participation, while the modes of ‘open question,’ ‘advice,’ and ‘qualified criticism’ showed the higher rejection rate. The acceptance and rejection as the students’ responses were partially symmetrical but not completely symmetrical. In the rejection aspect of writing students with the comment on the mode, the method of ‘command’ showed a somewhat lower rejection rate. This signifies that the students are likely to reject to the comments in the mode of ‘criticism.’ The response of rejection show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closed question’ and ‘open question,’ while it reveals smaller gaps among ‘closed question’ and ‘criticism’, ‘open question’ and ‘qualified criticism.’

      • KCI등재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 분석 -"꿀맛닷컴 중학사이버논술"의 첨삭 자료를 중심으로-

        김경화 ( Kyoung Hwa Kim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7

        쓰기 교육에서 교사들이 학생의 글에 무슨 내용의 반응을 하는가를 분석한 연구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학생의 글에 어떤 내용의 반응을 하는가? 둘째, 학생 글에 교사가 반응을 할 때, 어떤 내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가? 셋째,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은 쓰기 교육에서 어떠한 의의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교육청 사이버 가정학습 사이트 <꿀맛닷컴>에서 2009년과 2010년에 운영되었던 자료들 중에서 기준을 적용하여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먼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논술방>에서 자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적어도 일곱 명 이상의 학생의 글에 첨삭한 자료가 있는 교사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장 최근에 올린 자료 순서대로 다섯 편을 선정하였다. 이에 해당되는 교사는 일곱 명이었으며, 첨삭이 이루어진 글은 전체 35편이었다.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 분석에는 Straub과 Lunsford(1995)의 연구에서 사용된 준거를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인 구조’와 ‘미시적인 구조’에 해당되는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글의 형식 및 표현과 관련된 내용의 반응을 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글의 내용을 구체화시키거나 주제를 심화시키는 ‘의견’과 ‘내용 상세화’에 대한 반응은 약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의견’에 대한 반응이 제시된 경우라도 내용 확인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마지막으로 ‘글 이상’에 대한 반응도 매우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학생 글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 내용 전체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많다. 그러나 학생 글에 대한 교사 반응 연구가 쓰기 교육의 실제 장면에서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학생 글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이 실제로 학생들에게 무슨 내용의 반응을 하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사 스스로 자신의 반응 내용을 점검하고, 이를 통하여 쓰기 교육 내용이나 지도 방법 등을 구체화시킬 수 있어 교사의 교수·학습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 학생의 실제적인 글쓰기와 쓰기 성취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쓰기 교육에서, 학생 글에 대한 교사 반응은 쓰기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영역에서 의미 있는 역할로 자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약한 수준에서 교사 반응 내용을 확인하고 분석하였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정교하고 의미 있는 연구가 이어지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eacher respond to the student writing.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o teachers respond on student writing? Second, when the teachers give feedback to student writing, what they think are the important things in student writing? Third, do teachers respond to student writing hav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The data were the teacher response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 essay writings. The essay data written b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essay writing board at kkulmat.com, website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he year 2009 and 2010. And I collected the teacher who was responded more than seven essay writings. So, this study examined seven teachers and their responses on the student essay writings. This analysis is based on a previous study by Straub and Lunsford(1995). It was found that most teachers response focus on the ‘Global Structure`` and the ``Local Structure``. This result is meaned that most of teachers response focus more on form than on content. However, the many teacher responses on the student writing did not focus on the ‘Idea``, the ``Development``, and the ``Extra-textual``. Moreover, it is just a reconfirmation of what is main idea, although they comments on ``Idea``. Also, they hardly respond to ``Extra-textua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not be generalized to the writing education. Nonetheless the study of teacher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s helpful to the writing education. First, the analysis reveals what teachers focus on while responding to student writing. Second, teachers can clarify their feedback skills and improve their expertise in education. So, the teacher`s educational professionalism can be development. At this point, many teachers and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student`s writing achievement, the response to student writing can be a significant part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of writing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 of response on the student writing limitedly, but follow-up studies will be more than elaborate and meaningful studies.

      • KCI등재

        작문 ‘텍스트 분류’ 방안 연구

        김종률(Kim, Jong-ryul) 한국어문학회 2012 語文學 Vol.0 No.1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problems of text classification described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09 and to set-up systematization of text classification for problem-solving around diachronic side of essay. Text classification of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09 is divided into text for information delivery, text for persuasion, text for social interaction, text for self-reflection, text for learning. Among them, the text for learning is excluded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11. But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set with essay writing belonging to this text type and editorial writing, proposal writing, critique, comments on current events etc. belonging on text for persuasion still has potential. To solve this problem, we will have to consider diachronic side of essay. the term, essay was widely used in personal anthology of Goryeo and Joseon Dynasty. When essay is related to writing form, it is associated with non-writing[論文], seol-writing[說文], won-writing[原文], byeon-writing[辯文], pyeong-writing[評文], ui-writing[議文], hae-writing[解文], sangso-writing[上疏文], chaek-writing[策文] etc. The style of traditional essay continues that tradition through a writing formal union of the modern sense, not gone. In other words, non-writing and seol-writing changes as editorial writing, pyeong-writing turns into critique and comments on current events, ui-writing and sangso-writing changes as proposal writing. Therefore the text for persuasion can be set up into essay style in text classification of writing education. And the text for information delivery can be set up into description style, the text for social interaction and self-reflection can be set up into narrative style. This new text classification could be one way on the existing text classification.

      • KCI등재

        Comment on Comment: The Effectiveness of Student Annotations and Teacher Feedback in L2 Business Writing

        이지연 한국영어학회 2011 영어학 Vol.11 No.3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improvement in writing quality on two significant areas in L2 business writing: (1) the short term writing goals and the long term writing goals and (2)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the student annotations and the teacher feedback. Student annotation training and three business-letter writing-tasks were completed over an intensive 5-week period. All the participants were college undergraduates enrolled in a prerequisite course for business writing at the College of Business in Korea.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the Student Annotations,Teacher Feedback, Comment on Comment, and Reflection was found pivotal in the short term writing goals versus the long term writing goals: (1) the lower-level proficiency writers benefit from the greater degree of student involvement and higher improvement in the writing quality, (2) the degree of student involvement elicits higher frequency in teacher feedback, (3) greater degree of student involvement elicits higher frequency in the student annotations, and (4) the greater the involvement, perceptions varied between the types of student annotations and the types of teacher feedback.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salience in L2 business writing research in E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