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논평 쓰기’ 교수-학습 모형 연구 = ‘Comment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3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hors of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writing comments” would be beneficial to advancing college students’ composition skills. We therefore created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comment writing and applied it to an actual class. This...

      The authors of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writing comments” would be beneficial to advancing college students’ composition skills. We therefore created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comment writing and applied it to an actual class.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result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that experiment.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explaining the effectiveness of “comment writing” as an instruction method in “improving students’ cognitive and metacognitive abilities, raising academic motivation, improving students’ self-esteem,” etc. The comment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is study comprised six steps: “writing a first draft, lesson on comment writing, instructor demonstration, comment writing practice, peer comment writing, and revision.” After applying this model in a real college writing class, we analyzed the first drafts and revisions of several students’ essays. We also administered a survey to the students about what kind of influence the comment writing class had on their own writing. As to the contents of the students’ compositions, the topics were clearer and the evidence and examples were more abundant. The organization of the students’ essays was more structured overall and the paragraphs were better linked in subtle ways. As for articulation, the sentences structures were more correct and there were less spelling and spacing mistakes. After analyzing the surveys, we found that the students had more confidence about their own writing skills after take the comment writing class. They had a greater grasp on the basics of composition, and they were able to focus more on their intended audience when writing a composition. Also, they were able to judge their compositions more objectively, advance their critical 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and evaluate compositions in a more correct manner. The students claimed to have gained a base to help them effectively complete assignments in future classes and to have established a habit of revi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논평 쓰기’가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하여 논평 쓰기를 중심으로 한 대학 작문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한 후, 그 결과...

      본 연구는 ‘논평 쓰기’가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하여 논평 쓰기를 중심으로 한 대학 작문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한 후, 그 결과 및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논평 쓰기’는 ‘학습자들의 인지적, 초인지적 능력 및 학습 동기, 자아 존중감 향상’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논평 모형 설계 지침을 토대로 ‘초고쓰기→논평 쓰기 관련 강의→교사 시범→논평 쓰기 연습→동료 논평 쓰기→고쳐쓰기’ 단계로 이루어진 논평 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한 후 실제 대학 작문 수업에 적용하였고, 논설문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초고 및 고쳐 쓴 몇 가지 사례의 글을 분석하였다. 또한 논평 쓰기 수업이 자신의 글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학생 글 분석 결과, 내용 면에서 주제가 명확해졌고, 근거 또한 풍부해졌으며, 조직 면에서 글 전체가 체계적인 구조를 지니게 되었고 단락과 단락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또한 표현 면에서 문장 표현이 정확해졌고 맞춤법 및 띄어쓰기도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논평 쓰기 수업을 통해 글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글쓰기의 기본적인 틀을 마련할 수 있었으며, 독자를 고려하는 글쓰기를 실천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자신의 글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 되었고, 글에 대한 비판적 안목과 책임감이 향상되었으며, 글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가능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논평 쓰기 수업을 통해 앞으로 교양 및 전공 수업에서 효과적인 과제 수행을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었고, 고쳐 쓰기 습관 또한 기를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혜, "한국어 쓰기에서의 교사 논평과 동료 논평 양상 연구 ― 논평의 위치별 유형 및 기능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5 : 247-290, 2014

      2 김민정,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3 배식한,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읽기, 생각하기, 글쓰기 수업 모듈" 한국작문학회 (10) : 193-225, 2010

      4 김경화, "학생 글에 대한 반응 연구 동향 및 전망" 한국작문학회 (13) : 279-317, 2011

      5 안상희, "초등학생의 동료 논평이 고쳐 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어교육학회 (99) : 123-147, 2014

      6 최규수, "첨삭지도에 대한 대학생들의 반응 양상과 교육적 효과의 문제 —명지대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26) : 129-157, 2009

      7 지현배, "첨삭의 항목별 효용과 글쓰기 지도 전략" 우리말글학회 48 : 55-84, 2010

      8 제은진, "중학생의 논평 활동이 지식 생성과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2012

      9 김경화, "중등 국어 교사의 학생 글 논평에 대한 인식과 논평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2014

      10 서영진, "작문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 의견의 유형별 타당도 연구" 국어교육학회 (44) : 369-395, 2012

      1 이인혜, "한국어 쓰기에서의 교사 논평과 동료 논평 양상 연구 ― 논평의 위치별 유형 및 기능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5 : 247-290, 2014

      2 김민정,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3 배식한,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읽기, 생각하기, 글쓰기 수업 모듈" 한국작문학회 (10) : 193-225, 2010

      4 김경화, "학생 글에 대한 반응 연구 동향 및 전망" 한국작문학회 (13) : 279-317, 2011

      5 안상희, "초등학생의 동료 논평이 고쳐 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어교육학회 (99) : 123-147, 2014

      6 최규수, "첨삭지도에 대한 대학생들의 반응 양상과 교육적 효과의 문제 —명지대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26) : 129-157, 2009

      7 지현배, "첨삭의 항목별 효용과 글쓰기 지도 전략" 우리말글학회 48 : 55-84, 2010

      8 제은진, "중학생의 논평 활동이 지식 생성과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2012

      9 김경화, "중등 국어 교사의 학생 글 논평에 대한 인식과 논평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2014

      10 서영진, "작문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 의견의 유형별 타당도 연구" 국어교육학회 (44) : 369-395, 2012

      11 오현진, "워크숍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비평문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0) : 57-86, 2012

      12 이은자,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첨삭 피드백-고쳐쓰기 지도 모형" 한국국어교육학회 (86) : 279-306, 2010

      13 구자황, "수정과 피드백이 글쓰기에서 동인(動因)이 되는 방식을 위한 탐구" 어문연구학회 56 : 323-343, 2008

      14 신희선, "멘토링을 통한 대학생 글쓰기 지도 사례연구" 한국작문학회 (11) : 285-323, 2010

      15 서수현, "대학생의 보고서에 대한 동료 반응과 그 수용 양상" 국어교육학회 (41) : 447-472, 2011

      16 정희모, "대학생 글쓰기의 수정 방법에 관한 실험 연구 -자기첨삭, 동료첨삭, 교수첨삭의 효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657-685, 2008

      17 김남미, "대학 학습자 글쓰기의 첨삭지도 방안" 우리말학회 (30) : 269-296, 2012

      18 허재영, "대학 작문 교육의 현실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선행 연구의 흐름과 실태 분석을 통한 표준 교육과정을 제안하며-"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99-124, 2012

      19 오윤호, "대학 글쓰기의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 한민족문화학회 (25) : 139-164, 2008

      20 김돈, "대학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아카넷 2013

      21 나은미, "대학 글쓰기에서의 첨삭 프로그램 현황과 개선 방안 -한성대학교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8 : 187-216, 2009

      22 김양선, "대학 글쓰기에서 첨삭-상담-고쳐쓰기 연계 교육의 효과 연구 -한림대학교 글쓰기 멘토링 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377-406, 2012

      23 주민재, "대학 글쓰기 수정 교육에 관한 수업 모형 연구" 한국작문학회 (6) : 281-318, 2008

      24 김낙현, "대학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첨삭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323-348, 2012

      25 황성근, "대학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지도 방안" 한국작문학회 (1) : 137-164, 2005

      26 김경훤,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27-56, 2009

      27 박상민,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첨삭지도의 실제적 효용 연구 ― 수정 전후 글의 변화 양상 및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16) : 171-197, 2012

      28 정희모, "대학 글쓰기" 삼인 2008

      29 염민호,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311-336, 2009

      30 정희모, "글쓰기에서 수정(Revision)의 절차와 방법에 관한 연구 - 인지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34) : 333-360, 2008

      31 박소연,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의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2007

      32 이은자, "교사 첨삭 피드백의 원리와 방법" 한국작문학회 (9) : 123-152, 2009

      33 박은미, "건국대 글쓰기 영역 수업 사례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 (2): 156-172, 2009

      34 Orsmond, P, "The use of student derived marking criteria in peer and self" 25 (25): 23-38, 2000

      35 Orsmond, P, "The use of examplars and formative feedback when using student derived marking criteria in peer and self" 27 (27): 309-323, 2002

      36 Moore, L. K., "Teaching students how to evaluate writing" 20 : 23-24, 1986

      37 Ferris, D. R,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mplications for second language student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3

      38 Beach, R., "Response to Writing. Handbook of Writing Research" The Guilford Press 2006

      39 Sommers, N, "Responding to student writing" 33 (33): 148-156, 1982

      40 Higgins, L., "Planning text together: The role of critical reflection in student collaboration" 71 (71): 605-, 1992

      41 Falchikov, N., "Peer feedback marking: developing peer assessment" 32 (32): 175-187, 1995

      42 Lynch, D. H., "Peer evaluation of writing in business communication classes" 44-48, 1992

      43 Topping, K., "Peer assisted learn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8

      44 Topping, K, "Peer assessment between student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68 (68): 249-276, 1998

      45 Johnson, R, "Innovations in teaching English and textual studies" SEDA paper 181-197, 1999

      46 Topping, K, "Formative peer assessment of academic writing between postgraduate students" 25 (25): 149-169, 2000

      47 Zhu, W., "Effects of training for peer response on students’ comments and interaction" 12 (12): 492-528, 1995

      48 Underwood, J. S., "Effective Feedback : Guidelines for Improving Performance" 2 : 415-422, 2008

      49 Ballantyne, R., "Developing procedures for implementing peer assessment in large classes using an action research process" 27 (27): 427-441, 2002

      50 Dillahunt, C, C., "Conversing in marginal spaces : Developmental writers’ response to teacher comments" 40 (40): 230-246, 2013

      51 Brufee, K. A.,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conversation of mankind" 46 : 635-652, 1984

      52 Patchan, D, "A validation study of students’ end comments: Comparing comments by students, a writing instructor, and a content instructor" 1 (1): 124-152, 2009

      53 Brufee, K. A., "A short course in writing: Practical rhetoric for teaching composition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Little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