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교과서 분석

        김기덕(Kim Gi-du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4 비판사회정책 Vol.- No.17

        이 글의 목적은 현재 한국 사회복지학 관련 대학에서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Social Work Practice Ethics) 과목의 교과서 로 사용될 목적으로 출간된 저서 및 번역서의 검토를 통하여 한국 사회복지윤리학의 연구경향을 평가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석대상이 되는저서들 을크게 교과목의 개념정의, 포괄하는 윤리학 이론의 범위, 철학적 지향의 3가지 기준을가지고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의 결과 이 글에서 검토된 2권의 번역서와 5권의 국내학자들의 저서들은 약간의 편차를 보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미국식 임상사회사업중심(social work-oriented). 응용윤리성격의 규범윤리학 중심 (normative ethics-oriented). 근대적-전통적 윤리지향(modernist ethics-oriented)이라는 특정을 공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개별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실천과는 구별되는 국가 및 지방정부의 사회정책 및 사회복지 서비스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논의들은 다소 소홀하게 다루어 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응용윤리 중심의 규범윤리학에 상대적으로 많은 논의가 할당되어, 한국 사회복지 실천과 관련된 윤리적 실태에 대한 기술윤리학적 논의 및 사회복지 윤리학자체에 대한 의미와 그 정당성에 대한 논의를 제공할 수 있는 메타 윤리학은 거의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칸트식 의무론과 공리주의 중심의 목적론으로 대별되는 근대 윤리학에만 한정되어 논의를 소개하고 있어 최근 사회복지에 대한 대안윤리로 제시되고 있는 페미니즘 윤리학(feminist ethics), 포스트모던 윤리학(postmodern ethics). 다양한 비판 윤리이론(radical-critical ethics) 등은 거의 소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한국적 사회복지의 실정에 부합하는 사회복지윤리 및 철학의 모색은 이와 같은 현행 교과서들의 한계를 적극적으로 극복하는 방향과 내용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ext books for course work of social work ethics and philosophy in Korean universities. After identifying the evidence of their common inclinations toward social work practice ethics developed along with American social work, the potential problems and limitation of this American social work-oriented ethics are explored. First, because most of text book are focusing on the ethical issues derived from the direct professional practice between individual social workers and clients, they are not offering necessary informations and guidelines for practice which are compatible with another ethical values and principles such as social justice, oppression, discrimination and social exclusion, which are more relevant to social policy and social service within European welfare state paradigm tha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n America. Second, ethical theories considered as a theoretical resources for social work practice by text books are mainly normative or substantive ethical theories, which examines real practical ethical choices and reasoning that lie behind them. Such exclusive concerns about applied ethics make unable them to cover sufficiently both descriptive ethics and meta ethics, both of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Korean social work practice ethics,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ethical decision-making models designed to solve ethical dilemmas and deadlock. Third, the text books has focused on only modernist professional ethics which is characterised in terms of a debate between Kantian and Utilitarian approaches. Thus, the alternative approaches recently developed in social work ethics such as feminist ethics, poststructural ethics, postmodern and critical ethics are totally neglected.

      • KCI등재

        근로윤리척도의 측정요소 분석과 교육적 함의

        장유정(Chang Yu 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4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국가 경쟁력의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근로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지고 있다. 오늘날 근로윤리는 직종, 직급, 심지어 성과 연령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근로윤리에 대한 상대적 인식은 자칫 보편윤리의 가능성마저 의심하게 하여 사 회통합의 저해요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은 근본적으로 근로윤리에 대한 모호한 이 해에서 비롯되며 명확한 의미 규정이 촉구된다. 본 연구는 근로윤리의 개념화를 위해 지금까 지 개발된 근로윤리척도의 측정요소를 분석하였다. 근로윤리는 바람직한 근로에 영향을 주는 가치관, 태도와 관련되는 내면적 요소와 생산적 근로를 위한 다양한 행동적 요소로 구체화된 다. 이와 같은 이해는 교육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As one of option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industrial productivity,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industrial technology innovation, interest in work ethics is increasing. These days, work ethics can not be defined by standardized values and attitudes and is perceived as relative by occupations, positions, and even gender and age. Such perceptions, however, pose doubts about the universality of ethics and jeopardize social integration. The relative perception of work ethic is fundamentally attributable to a vague understanding of work ethic, calling forth explicit meaning of work ethic.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the meaning of the work ethics by analysing the work ethic scales. Work ethics is clearly divided into two factors, intrinsic factors, such as the values, attitudes that influence desirable work behaviors,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productivity. These understandings have various impacts o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노동 윤리의 새로운 정향 : 노동의 기회와 질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소병철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8 철학탐구 Vol.23 No.-

        생존의 수단인 동시에 자율적인 자기실현의 기회이기도 한 인간의 노동은 오늘날 두 가지의 시련, 즉 대량 실업과 노동 소외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다시 말해 노동 인구의 상당수는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할 기회를 얻지 못하여 절망하고 있고, 또 다른 상당수는 인격의 자율성과 심신의 건강을 심각히 저해하는 노동 조건으로 고통받고 있다. 문제는 이 두 가지 시련에 대처할 수 있는 공적ㆍ사회적 행위의 규준들을 우리가 아직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프로테스탄트 노동 윤리는 대량 실업과 노동 소외라는 ‘구조적인’ 질곡과 그것의 극복에 관심을 기울이기보다는 오히려 그러한 질곡의 희생자인 노동자들의 ‘개인적인’ 분발을 촉구해 왔을 뿐이다. 그러한 윤리에 따르면 노동은 설령 노동자의 자율성을 저해하고 그의 심신을 피로의 극단으로 몰고 가는 혐오스러운 고역일지언정 하나님의 소명이자 은총의 시험임에는 틀림이 없다. 따라서 그것은 그러한 질곡 앞에서 무력할 수밖에 없는 수많은 노동자들에게 오직 부지런히 일해야만 한다는 무조건적인 의무를 과할 뿐, 그들을 온당한 권리의 주체로서 배려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근면이라는 외형에 최우선을 두는 윤리는 노동 기회의 현실적인 보장과 노동의 실질적인 내용을 중시하는 모종의 사회 윤리로 대체되어야만 한다. 논자는 이 논문에서 그러한 새로운 노동 윤리의 가능성을 ‘노동의 기회’와 ‘노동의 질’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비판적인 사회 윤리의 관점에서 타진해 볼 것이다. Our work is, in essence, a means of our living and an opportunity of our autonomous self-realization. But it is now faced with two serious trials, mass unemployment and work alienation. Namely, the considerable proportion of the whole work force is being driven to despair because of the scarcity of the opportunity to work, and its majority is suffering from the working conditions which ruin the personal autonomy of workers and injur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problem is that we don't have the canons of public and social action, with which we can cope with those trials yet. The traditional Protestant work ethic has not been concerned about the solution of such structural troubles, but only has stimulated their victims, workers to exert themselves more and more. According to such an ethic, work must be a God's calling and a test of his grace, although it is an abominable toil which ruins workers' autonomy and extremely exhausts their mind and body. For that reason, such an ethic imposes an absolute duty to work diligently on numerous powerless workers, but never considers them as the proper subjects of human rights. And so it must be replaced with a certain kind of social ethics which attaches importance to the substantial ensuring of the opportunities to work and the quality of work life. In this paper, I will grope for the possibilities of such a new work ethic from the viewpoint of a critical social ethics, focusing on the two themes of 'the opportunity to work' and 'the quality of work'.

      •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업의식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오혜경 ( Oh Hea-kyung ),임혜영 ( Jung Han-na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4 장애인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활동보조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직업의식과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활동보조인들의 직업의식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경기도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복지관, 장애인단체, 지역자활센터에서 근무하는 총 145명의 활동보조인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활동보조인들의 직업의식과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한 결과 하위 요인 중에서는 인지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동기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활동보조인의 직업의식에 하위요인은 직무헌신, 소속감·사명감, 근속의지, 근무자세의 하위 요인 중 에서는 소속감·사명감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근무자세는 직업의식에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성별, 연령, 활동경력, 활동시간은 활동보조인의 자기효능감의 영향과는 유의미 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직업의식의 하위요인 직무헌신, 소속감·사명감, 근속의지, 근무자세 중에서 직무헌신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나왔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understand the level of work ethics and self-efficacy of which personal assistants of the disabled are aware, but also to figure out whether personal assistants’ work ethics impact on self-efficacy. The following research subjects are establishe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 assistants, which give a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severely disabled people, and coming up with grounds of social welfare promotion to improve quality of life. After was represented a parent population of personal assistants, who worked at the disabled self-support centers,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disabled communities, and local self-support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otal 145 personal assistant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drawn as follows.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level of work ethics and self-efficacy, cognitive factors are represented with relatively high frequency, while motivational factors are with relatively low frequency. Sense of belong and sense of duty give a significant impact on work ethics, attitudes do a relatively low impact on the ethics: factors of work ethics include commitments, sense of belong, sense of duty, continuous service will, and attitudes. If correlation with independent variables were 0.9 or more, multicollinearity would be doubted, and a pure causal relationship among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would be hard to validate despite meaningful regression model. However, this study did not show correlation with 0.9 or m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sex, age, career, working hours, and work ethics on self-efficacy, it is not only found that sex, age, career, and working hours are non-significant, but also found that commitments are significant, among factors of work ethics - commitments, sense of belonging, sense of duty, continuous service will, and attitudes. From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and empirical implications were elicited as follows First, [policy implication] public service organization will have to mainly deal with career sustainability issues such as wage, benefit package, education, expertise recognition, communication, and so on. Second, [empirical implication] efforts to foster self-efficacy program, business, and education will be required to induce and manage work ethics of personal assistants with positive attitudes.

      • KCI등재후보

        민간경비원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직업윤리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정귀영,이강문 한국민간경비학회 201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0 No.17

        Although there would be various types of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a proper education is in urgent need to begin with. I think the systematization of training and development of work ethics program is even more necessary because the reality of private security guard training programs is that they are performed just for the sake of formality for the most part and at a state of not being performed properly even if they are provided. A training for the private security guards to raise awareness, work ethics and morals for establishing proper values. as well as implant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that the work of private security guards is in charge of important task for the safety of customers is something which is necessary. In order to do so, the necessity of a systematic training for establishing the work ethics of private security guards is a natural thing.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s, the following work ethics programs would have to be developed. First, a sense of summons is re-established for private security guards by opening regular seminars after inviting the specialists of related field. The summons could be referred to as 'the king's order of calling the vassal, or calling of God'. It is the attitude of devoting into work by thinking of one's work as being valuable and with a heart of doing one's best in the given work by that much. Second, the sense of service is internalized by participating in the volunteer activitie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tandard of private security guards. The volunteer activity brings pace of mind, self-esteem and sense of respect toward local community while one can have confidence and enjoyment if the work is handled successfully to know that one is a valuable existence in the local community as a reward. Third, the sense of organization and pride of members are fostered by presenting the future tasks such as feeling the worth and raising one's own values as a specialist to individuals or team members through quarterly workshops. Accordingly, the private security guards themselves would be able to feel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their work on the basis of professional spirit by having a strong sense of pride toward their work.

      • KCI등재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의 번영감에 미치는 영향 : 팀 신뢰와 일의 의미의 다수준 매개효과

        유민준(Min Jun Yoo),손영우(Young Woo Sohn),설정훈(Jeong Hoon Seol)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3

        번영감을 지각하는 조직원은 긍정적인 에너지와 발전하고 있다는 느낌을 바탕으로 주도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고, 삶 영역에서도 높은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번영감의 선행요인을 밝힌 여러 실증연구에도 불구하고, 조직적 혹은 개인적 차원의 선행요인들이 통합적인 관점에서 고찰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번영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선행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이론적, 실증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번영감에 영향을 미치는 팀 수준 변인으로서 윤리적 리더십과 신뢰를, 개인 수준 변인으로서 일의 의미를 선정하여 다양한 선행요인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사회적으로 배태된 모델(socially embedded model)을 기반으로 윤리적 리더가 팀 내 신뢰 관계를 형성하면, 팀 신뢰 속에서 조직원은 일의 의미를 확보하고 최종적으로 번영감을 지각하는 다수준(multi-level) 모델을 실증하였다. 이를 위해 해군 장병 324명, 78개 팀을 대상으로 윤리적 리더십 척도, 신뢰 척도, 일의 의미 척도, 번영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Mathieu & Taylor(2007)가 제안한 다수준 매개효과(meso-mediation) 분석 절차를 기반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팀 수준 변인인 윤리적 리더십이 팀 신뢰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개인 수준 변인인 일의 의미가 번영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개인 변인 간 교차 수준에서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윤리적 리더십이 번영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두 변인 관계를 팀 수준의 신뢰, 개인 수준의 일의 의미가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윤리적 리더십에 따른 팀 신뢰 형성이 일의 의미와 번영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조직적 맥락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thriving at work in the context of social embeddedness. We additionally aimed to examine the dynamics between team trust at the group level and meaningful work at the individual level by using a meso-mediation model and testing a series of hypotheses through multi-level variables. A total of 324 Korean navy personnel in 78 tea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responses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Ethical Leadership Scale, Interpersonal Trust Scale, Thriving at Work Scale, and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HLM 8 (Bryk & Raudenbush, 1992) and the meso-mediation analysis procedure (Mathieu & Taylor, 2007).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thical leadership, team trust, meaningful work, and thriving at wor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ethic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trust at the group level, while working as mean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thriving at work at the individual level. Third, the cross-level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and team trust were found on meaningful work and thriving at work. Finally, a meso-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thriving at work was mediated by both team-level trust and individual-level meaningful work in the cross-level context.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riving at work,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직업과 자아실현

        고현범(Ko, Hyun-bum)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19 No.-

        이 논문의 목적은 소비 지향적 현대 문화 속에서 다른 한편으론 갈수록 치열해지는 취업의 좁은 문을 뚫어야하는 현재 대학생들에게 적합한 직업관과 노동윤리의 모델을 탐색하는데 있다. 탈산업사회의 도래와 함께 그 지배력을 상실한 것으로 판단되는 프로테스탄트 노동윤리는 그럼에도 노동의 내재적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현재에도 그 영향력을 완전히 상실한 것은 아니다. 한편 이 논문에서는 노동의 내재적 가치란 자아실현에 있다는 관점에서 프로테스탄트 이후의 노동윤리를 검토했다. 전문 직업을 통한 여성의 자아실현을 주장하는 프리단의 경력주의와 좋은 삶의 조건으로서 온전한 자아실현이란 자율적 노동을 통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엘스터와 슈바르츠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특히 슈바르츠는 자율적 노동은 이를 가능케 하는 적합한 노동조건이 전제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노동과 직업의 의미가 자아실현에 있다고 할 때, 그러한 자아실현을 구성하는 요건에는 사회적인 연관이 전제되어 있다. 공공선이 결여된 자아실현이란 공허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견지에서 이 논문에서는 덕의 윤리를 주장하는 매킨타이어의 실천 개념에 따라 정의롭고 적합한 직업의 기준과 의미를 검토했다.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model of the just work and the work ethics, which is fit for students who strive to gain works in a consuming, low-employment society. With coming of the post-industrial society, the protestant work ethics is in the peril of losing the ruling power thoroughly, but still has the effect. And this thesis examines the post protestant work ethics in the point of view that the immanent value of working lies in the self-actualization. Freedan's careerism asserts that in order to self-actualization the women ought have the professional job. Elster and Schwarz claims that as the condition of the good life the self actualization be possible only through the autonomous work. Especially, in Schwarz's claim, the autonomous work condition must be necessary if the autonomous work is possible. When the meaning of works and jobs lies in the self-actualization, its social meaning is premised. It is not possible to achieve the self-actualization without the coomon good. In this respect, this thesis investigate a criterion and a meaning of the just work according to MacIntyre's concept of the practice in the base of the virtue ethics.

      • KCI등재

        직업윤리 자격의 직무분석 및 시험체계 연구

        서문교(Moon-Kyo Seo),이성호(Seong-Ho Lee)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5 로고스경영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레위기 및 데칼로니아 후서에 나온 성경말씀에 근거하여 직업윤리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직업윤리 검정평가 자격의 구체적인 직무분석을 통하여 직업윤리 검정평가 자격의 시험 출제기준과 자격 응시 조건 등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맞게 해당 자격증과 관련된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하였고 데이컴(DACUM) 기법을 이용한 직무분석을 통해 직무범위와 응시자격, 검정 기준, 출제 기준 및 검정 방법 등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직업윤리 검정시험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프로세스 별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총 6단계로 구성된 프로세스는 직무분석 준비, 직무모형을 설정, 직업 명세서 및 작업분석, 직무모형 검토, 시험과목 개발 행렬표 작성, 출제기준 개발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6단계 직무모형 프로세스의 과정을 통해 직업윤리 검정평가 자격의 출제기준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윤리 자격 소지자의 직무정의는 직업윤리에 대한 지식 및 가치관을 바탕으로 기업에 존재해 있는 윤리적 갈등사항을 해결하는 것으로, 직업윤리 3급은 인간과 윤리, 조직심리학, 인간관계론으로 구성되었으며, 2급은 기업윤리론, 공공윤리론으로 구성되었다. 직업윤리 1급은 2, 3급 내용을 모두 포함한 윤리 관리론 및 윤리 교육론에 관한 내용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design of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and criteria for qualification test evaluation of the work ethics because the importance of work ethics is growing today all over the world. In this study, a DACUM method for job analysis was used by specialists to extract contents such as task range,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qualification standards, criteria of qualification test questions, test methods, etc. This paper follows procedures of job analysis model for criteria of qualification test questions of the work ethics. The first step is preparation for job analysis. The second step is the establishment of job models. The third step is job specification and work analysis. The fourth step is review work of job model. The fifth step is establishment of subjects for qualification test matrix table. The last step is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ethics test questions. The result of study: Job definition of professional ethics certification holders is based on the knowledge and values of the work ethic to solve the ethical conflicts that exist in corporate matters. Configuration of exam level 3 consisted of humans and ethics, organizational psychology, human relations. Level 2 consisted of corporate ethics, public ethics. Level 1 was organized around information on ethical management and ethics Education, including both 2 and 3-level contents.

      • KCI등재

        사회복지윤리교육의 현황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 안팎의 윤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현실에서, 〈사회복지윤리와철학〉교과목으로 대표되는 사회복지 윤리교육의 현황과 그 효과성을 조사해 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윤리교육 현황파악을 위해서는 사회복지교육협의회 회원교들을 대상으로 윤리와철학 교과목 개설현황 및 운영 방법을 조사하였고, 윤리교육의 효과성은 윤리적 민감성에 초점을 두어 윤리와철학 교과목 수강 여부와 수강전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 제도교육 체제에서 윤리교육에 큰 비중이 주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실제 이뤄지는 윤리교육은 윤리적 민감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높으며 이는 여타 요인들에 비해 윤리적 민감성에 더 큰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 교육에서 사회복지윤리와철학 교과목의 위상 강화와 사회복지윤리와 관련된 인력 양성 및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the present status and effects of Korean social work ethic cours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reflecting increasing concerns about social worker's ethics. Using the member list of the Council of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ethic course is established and how the course is managed. The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enrollment in the ethic course, using the test scores designed to measure the students' sensitivity to ethical issues, this study compared test scores between students who attended the course and those who did not. This study also compared pre-post test scores of students who attended the course. The results show that enrollment in th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course contributes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students' ethical sensitivities, in spite of social work education system that does not very yet empathize the ethics curriculum very strongly. Further, enrollment in the ethic course is proved to be a more powerful factor to ethical sensitivity than any other demographic or education related 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a stronger emphasis abd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course, as well as more efforts to bring up professionals and invest in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ork ethic education.

      • KCI등재

        Ethical Leadership and Work-Family Balance: Mediating Roles of Job Performance and Job Burnout

        조영삼,이영우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23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the work-family balance of subordinates. Further, we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performance and job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on the work-family balance. Drawing upon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we expected that ethical leadership had a positive spillover effect not only job performance and job burnout in the work life domain but also in the work-family balance that includes the family life domain. The results showed that ethic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Also, each job performance and job burnou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work-family balance,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ethic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and job perform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On the other hand, ethical leadership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burnout and job burnout was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Bootstrapping tests confirmed the indirect effects of the two mediators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work-family balance.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meaningfu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