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물자동차의 통행행태 분석 (통행사슬 분석을 중심으로)

        성홍모,김찬성,신승진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5

        There are unique aspects of truck vehicle movements compared with the personal travel in trip chaining. This paper reports an analysis on the truck vehicle trip chaining which intercity/metropolitan/ intraregional trips are classified. Data collected from the travel dairy survey is used the truck trip-chaining analysis. The pattern of trip chaining classes is classified by the GIS mapping based on orgin-destination trip information. The physical index and efficiency index for each trip diary is used to the truck vehicle activity. Truck trips lengths and time differs from its truck type, service type and travel patterns. It is shown that the efficiency of the truck trip chaining depends on vehicle types and its delivery patterns.. There are many other topics for research on trip chaining modeling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trip chain, time use and mode choice by trip chaining. 본 연구는 그동안 여객보다 상대적으로 소홀히 되어온 화물통행의 행태분석을 통행사슬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화물자동차 통행분석에 대한 운행특성 지표들은 공간 및 통행패턴별로 설명되지 못하였음을 지적하고, 2005년 수행된 제3차 전국물류현황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전체 분석대상 화물자동차는 약 13,000대 이었으며 화물자동차의 통행일지 자료를 도면위에 맵핑을 통하여 통행사슬을 새롭게 분류하였다. 또한 약 13,000대의 화물자동차에 대한 물리적 특성지표 및 운행효율성지표를 산정하고 앞서 정의한 통행사슬과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업용 화물자동차가 자가용 화물자동차보다 다소 우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리적 지표에서 공간적으로 볼 때, 도시내와 광역권은 비슷하고 지역간은 통행거리와 통행시간이 길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운행효율성 지표는 지역간, 지역내 및 광역권에서 자가용 화물자동차보다 영업용 화물자동차의 효율성이 약간 높은 것인 것으로 분석되었나, 단순, 왕복 및 복잡정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업용 화물자동차의 경우, 적재능력이 높을수록 효율성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Activity Trip Chain and Its Influencing Mechanism

        Linbo Li,Mengfei Cao,Jiajun Yin,Yanli Wang,Sabyasachee Mishra 대한토목학회 2020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4 No.11

        Understanding mechanism of daily activity trip chain especially multi-activity trip chain is significant for travel demand management and urban redevelopment. This paper explores the multi-activity trip chain behavior from both individual attributes and spatial attributes. Multi- activity trip chain is identified from people’s full-day travel diaries, then categorized into multi-activity intermittent trip chain and continuous trip chain to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different chains. Using resident travel survey data of Xiaoshan District of Hangzhou, Chin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ransition probability matrix and activity analysis methods are employed to make analyses. Findings include: 1) making multi-activity trip chain can achieve multiple purposes with less average travel time for each purpose, but public transit is less used. 2) The choices of single or multi-activity trip chain and multi-activity intermittent or continuous trip chain are mainly affected by different individual attributes such as occupation, education, household income, etc. Moreover, household registration, driver’s license, gender, and household car ownership are related to the choice of activity sequence. 3) For typical trip chain with purposes of work, shopping/dining, and home, activity sequence is also obviously influenced by spatial distance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especially for the chain of work-shopping/dining-home.

      • KCI등재

        통행사슬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추상호,권세나,김동호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4

        The traditional trip-based modeling approach has assumed that a trip is generated for a purpose. However, the approach has not considered trips as a set of connected trips nor has it considered trip ch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ip chaining, and to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trip purposes and trip chains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 The data for this study come from the 2006 Seoul household travel diary survey. It is found that simple trip chains are dominant phenomena,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occupation, income, age, and gender are closely related to types of trip chains. People aged less than 20, females, or high-income people ar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number of home-based trip chains. In addition, commute and school trips for workers and students respectively tend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simple trip chains, while shopping and leisure trips for housewives tend to be related to simple trip chains. 전통적인 통행기반의 교통수요예측기법은 모든 통행이 하나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이루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있어 연계된 목적을 위한 통행 또는 통행사슬(trip chain)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2006년 가구통행실태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통행사슬의 특성을 분석하고, 다중회귀형태의 통행사슬 모형을 추정하여 통행목적과 통행사슬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단순통행사슬의 비율이 복합통행사슬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 월소득, 연령, 성별 등에 따라 통행사슬의 특성이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0세 미만이 가정기반 통행사슬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이거나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통행사슬을 많이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목적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학생의 경우 등교통행, 직장인의 경우 출근통행, 무직을 포함한 전업주부의 경우는 개인용무 관련통행(쇼핑, 여가, 기타)들이 단순통행사슬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통행사슬유형 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빈미영 대한교통학회 2011 大韓交通學會誌 Vol.29 No.3

        Using 2006 metropolitan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this study analyzes trip behaviors based on a concept of trip chains using both trip purpose and number of trip linkages. For the analysis, trip chain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including commute trips. Each group is further classified into a single linkage (i.e., Origin-Destination trips without any intermediate stop-by) and multiple linkages (Origin-Destination trip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stop-by). The analysis is conducted using the two-step Nested Logit Model. Computational result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and multiple linkages show that the young, male and office employee drivers tend to have more multiple linkages than single linkages in their trips. In contrast, it is shown that a driver whose monthly income is less than 3,000,000 Korean Won with a longer commute time more likely to make a trip chain with single linkages (p<0.0001). 본 연구에서는 통행사슬(Trip Chain)개념을 이용하여 개인이 통행시 통행목적과 통행연계수를 고려하는 행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통행사슬을 먼저 통근통행을 포함하는 통행과 통근통행을 포함하지 않는 기타통행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통행사슬에서 한 곳의 경유지만을 이동하는 단순연계통행과 2개 이상을 경유하는 복합연계통행으로 구분하였다. 방법론으로는 2단계 네스티드 로짓모델(Nested logi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출생년도가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고정사무실기반 직장일수록 단순연계통행보다는 복합연계통행을 할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차량을 보유할수록, 월수입이 300만원미만일수록, 평균통행시간과 평균체류시간이 오래 걸린 응답자일수록 단순연계통행일 경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01)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 조사자료를 이용하였다.

      • KCI등재

        통행사슬 구조를 이용한 교통카드 이용자의 대중교통 통행종점 추정

        신강원 대한교통학회 2016 大韓交通學會誌 Vol.34 No.5

        Some previous researches suggested a transit trip destination inference method by constructing trip chains with incomplete(missing destination) smart card dataset obtained on the entry fare control systems.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the transit trip destination inference method, the transit trip chains are constructed from the pre-paid smart card tagging data collected in Busan on October 2014 weekdays by tracing the card IDs, tagging times(boarding, alighting, transfer), and the trip linking distances between two consecutive transit trips in a daily sequences. Assuming that most trips in the transit trip chains are linked successively, the individual transit trip destination zones are inferred as the consecutive linking trip’s origin zones. Applying the model to the complete trips with observed OD reveals that about 82% of the inferred trip destin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observed trip destinations and the inference error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inferred and observed alighting stops is minimized when the trip linking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0.5km. When applying the model to the incomplete trips with missing destinations, the overall destination missing rate decreases from 71.40% to 21.74% and approximately 77% of the destination missing trips are the single transit trips for which the destinations can not be inferable. In addition, the model remarkably reduces the destination missing rate of the multiple incomplete transit trips from 69.56% to 6.27%.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d Chi-squared goodness-of-fit tests showed that the ranks for transit trips of each zone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ferred trips, but the transit trip distributions only using small complete trip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using complete and inferred trip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 should be applicable to derive a realistic transit trip patterns in cities with the incomplete smart card data.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행기점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는 불완전한 대중교통카드 자료로부터 대중교통 통행의 종점을 통행사슬 구조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의 국내 자료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모형 적용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산에서 2014년 10월 주중에 수집된 선불 교통카드 승․하차 태그 원시자료 1,846,252건을 대상으로 하루 동안 한 대중교통 이용자가 발생시킨 일련의 통행들을 시․공간적으로 연계시켜 통행사슬을 형성하고, 대중교통 이용자의 결측 종점을 연속된 다음 통행의 승차지점 또는 최초 승차지점이 속한 교통존으로 추정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대중교통 통행종점이 관측된 자료에 모형을 적용한 결과 실제 통행종점과 추정 통행종점의 일치도는 82.4%로 나타났으며 이 때 통행종점으로 추정된 정류장과 실제 하차 정류장간 거리의 오차는 최소가 되는 것으로 나타나 제안모형의 유용성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행사슬 구조를 이용한 통행종점 추정 모형을 종점결측 통행에 적용했을 때 종점결측 통행의 비율은 적용 전 71.40%(718,915통행)에서 21.74%(218,907통행)로 감소하였으며 종점추정이 불가한 218,907통행의 대부분은 모형 적용이 불가한 일일 통행횟수 ‘1회’인 통행(169,359통행, 77.37%)인 것으로 나타났고, 일일 통행횟수가 ‘2회 이상’인 통행의 종점결측 비율은 69.56%에서 모형 적용 후 6.27%로 크게 감소하였다. 한편 통행종점 추정 모형 적용에 따른 존간 통행 및 존내 통행분포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순위상관계수 및 카이제곱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통행종점 추정 모형 적용에 따라 각 중존별 통행량의 순위는 변화하지 않으나 통행량 분포는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통행사슬 구조를 이용한 교통카드 이용자의 통행종점 추정 모형 적용은 통행종점이 결측된 불완전 대중교통카드 자료가 수집되고 있는 도시의 대중교통 통행패턴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게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Exploring the Impact of Trip-Chaining on Commute Mode Choice in the U.S.

        권기현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rip-chaining and its impact on commute mode choice using datafrom the 2017 U.S. Nat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NHTS). This study defines trip-chaining asa complex work tour where non-work activities (i.e., shopping/family errands, medical services,school/daycare/religious activity, social/recreational activity) are conducted on the journeybetween home and work. We first analyze the trip-chaining characteristics by simply assessingthe descriptive statistics. We then employ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examinethe determinants of commute mode choice and the impact of trip-chaining. Key findings fromour empirical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women make more non-work trips than men whilecommuting, and men and women have more chained trips after work. Second, they usually havechained trips to drop off/pick up other individuals, buy meals, and buy goods while commuting. Third, women are more likely to prefer driving alone over public transit and walking/cycling. Fourth, urban neighborhoods are more likely to make individuals use public transit, walking/cycling, and carpooling. Lastly, trip-chaining can act as a barrier to public transit and walking/cycling.

      • KCI등재

        철도수단이 내재된 통행사슬의 환승저항 추정방안 - 수도권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여 -

        이미영,손지언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6

        This research uses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to analyze the inter-regional transfer times, transfer frequencies, and transfer resistance that passengers experience during transit amongst the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modes. Currently, mode transfers between bus and rail are recorded up to five times during one transit movement by Trip Chain, facilitating greater comprehension of intermodal movements. However, lack of information on what arises during these transfers poses a problem in that it leads to anunderestimation of transfer resistances on the Trip Chain. As such, a path choice model that reflects passenger movements during transit activities is created, which attains explanatory power on transfer resistance through its inclusion of transfer times andfrequencies. The methodology adopted in this research is to first conceptualize the idea of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and in the case that mode transfers include the city-rail, to newly conceptualize the idea of transfer resistance using transportation carddata. Also, the city-rail path choice model within the Trip Chain is constructed, with transfer time and frequency used to reevaluate transfer resistance. Further, in order to align bus and city-rail station administrative level small-zone coordinates to state and regional level mid-zone coordinates, the big node methdod is utilized. Finally, case studies on trip chains using at least one transfer onto the city-rail is used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btained. 본 연구는 대중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해서 수도권 지역간 대중교통통행에서 승객들이 겪는 환승시간, 환승회수의 환승저항을 분석한다. 현재 교통카드자료는 버스와 철도를 이용하는 수단통행을 5회까지 Trip Chian으로 기록하여 수단간 환승과 관련된 정보는 쉽게 파악된다. 그러나 수도권교통카드는 도시철도의 통행에서 발생하는 환승역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않아 Trip Chain에서 승객이 경험하는 환승저항이 저평가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철도통행에 대하여 승객행태를 반영하는 경로선택모형으로 구축하여 환승시간과 환승회수를 반영하면 온전한 환승저항의 설명력을 갖게된다. 연구방법으로서, 우선 수도권 대중교통환승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도시철도가 포함되는 수단이용의 경우 교통카드자료의 환승저항 개념을 새롭게 정립한다. 또한 Trip Chain내에 철도의 경로선택모형을 구축하여 환승시간 및 환승회수를 대상으로 통행저항을 재평가하여 설정한다. 그리고 버스 및 도시철도 정류장 좌표를 행정동단위의 소죤 및 시군구 단위의 중죤으로 일치시키기 위해서 빅노드를 운영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마지막으로 수도권의 지역간 통행에서 철도수단이 한번 포함된 통행사슬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결과의 타당성을 논의한다.

      • KCI등재

        수도권 고령자의 통행사슬 특성에 관한 연구

        이향숙,추상호,김지윤 한국ITS학회 2014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는 고령자의 통행사슬(trip chaining)의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고, 시․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한다. 또한 순서형프로빗모형(ordered probit model)과 이항로지스틱모형(binary logistic model)을 구축하여 고령자 통행사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규명하고, 고령자 통행의 수단선택 특성을 분석해 본다. 이를 위해 2006년과 2010년에 실시한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의 고령자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 통행사슬은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이며, 단순통행사슬이 전체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S 맵핑을 통해 통행사슬의 공간적 이동 패턴을 분석하였으며, 단순직장 통행사슬이 과거 서울과 인접지역에 집중되어 있던 반면 2010년에는 경기도 지역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형구축을 통해 2010년에 통행사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구·통행특성이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통행시간보다는 통행비용이 고령자가 교통수단을 결정하는 요인임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가오는 초고령사회에 대응한 교통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rip chaining activities of elderly and explores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The research also estimates ordered probit model and binary logistic model to investigate various factors affecting trip chaining and mode choice patterns. We utilized household survey data for elderly conducted in 2006 and 2010 in Seoul metropolitan area.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rip chaining showed an increasing trend and simple trip chaining counts for more than 85%. GIS mapping expressed spatial distribution of trip departure and arrival areas, particularly showing regional changes in job-related trips. We also found that more factors influence trip chaining in 2010, compared with 2006, and travel cost is more sensitive than travel time in determining travel mode. The research contributes to establish transportation policies based on travel behavior of elderly in a upcoming super-aged society.

      • KCI등재

        “유사 통행행태 집단”의 Trip-chaining을 고려한 통행발생 모형

        이선하(Lee Seon-Ha),윤진숙(Yun Jin-Suk)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5D

        최근 들어 싱글족, 맞벌이 부부 증가 등 가구구성 체계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한 개인들의 일상적인 업무수행의 변화는 통행행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 중 중요한 특정 중의 하나는 예를 들어 출근 중에 자녀들을 등교시키거나, 퇴근길에 구매 또는 여기활동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행목적을 하나의 out-going 통행으로 처리되는 비중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통행을 하나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닌 하루 동안 개인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장소를 이동한 activity-based 개념의 통행고리의 형태로 파악하고 이에 기반 한 통행발생 모형의 필요성이 높다. 본 논문은 통행발생 모형에 있어서 직업, 승용차 보유여부 등을 기준으로 “유사한 통행특성”을 갖는 집단을 분류하고, 집단별 구성원들의 평균적인 1일 중 activity diary를 분석하여 업무수행 순서, 통행고리별 발생시간, 이용 교통수단 등 통행특성에 의하여 총 통행량을 추정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실증적인 검증으로서 공주시 가구통행실태조사를 수행하여 “유사통행행태” 집단의 분류, 집단별 통행행태의 특성과 이에 기초한 교통지구 별 통행발생량을 추정하였다. “유사통행행태” 집단의 구분은 통행발생에 있어서 유의성이 높은 설명인자인 직업과 승용차의 보유여부, 학생인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이와 같은 구분기준이 기존 국내 교통계획모형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산업군 분류기준에 비하여 비교적 통행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별 통행고리 특성에 기반 한 통행발생 추정 결과 교통지구별 통행발생량들이 교통지구별 인구, 직장인수, 자동차 보유율과 인구유입시설 등의 각종 사회ㆍ경제지표의 특성 등도 잘 반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apid changes of family structure such as singles, working couples and so on have effects on a travel behaviour. One of the characteristics from this is the increasing portion of trip-chain, in which plural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a "single outgoing" travel. Therefore travel must be considered as location change to conduct various activities instead of pursuing single travel purpose. This paper specifies a behavioral homogeneous person group by a job, a possession of cars.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of person groups and their activity diary, the sequence, time and travel mode of activities in a day can be verified. As a case study household survey was conducted in city Kongju.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the classification of behavioral homogeneous person group based on criteria like employment status and car ownership bring a good result to forecast trip generation in traffic zone.

      • KCI등재후보

        통행사슬 유형에 따른 자전거 이용자 행태 분석

        추상호,장유경,황기연 한국교통연구원 2011 交通硏究 Vol.18 No.4

        To analyse the travel behaviour of bicycle users, trips of 2006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 Travel Survey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of trip chaining: as simple work, complex work, simple non-work, and complex non-work. Descriptive analysis and built ordered probit models for work and non-work trip chaining types. were conducted, after which the model results have been compared. The model results show that women who own no or few cars and live in places with higher employment density usually use their bikes for the work trip chain. Meanwhile, men who earn monthly household incomes exceeding 2 million won and live where bike paths are well established are likely to ride bikes for the non-work trip chain. The results seem to correspond to those from the descriptive analysis. As bikes are mostly used for short trips, these findings could be considered to establish bicycle policies regarding on dissemination, neighborhood facilities, and safety with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connectivity with public transportation. 최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 이용자의 통행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형별 통행사슬로 분류하여 자전거 통행에 영향을 주는 가구, 개인, 토지이용 및 통행특성 변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6년 수도권 가구통행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단순 직장, 복합 직장, 단순 비직장, 복합 비직장의 4가지로 분류하고 일반특성 및 통행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자전거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전거 통행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구축하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자전거 통행수에 대한 모형분석 결과, 직장관련 통행사슬의 경우 고용밀도가 높은 곳에 거주하거나 승용차를 보유하지 않거나 적게 보유한 가구의 여성이 단거리 통행에 자전거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직장 관련 통행사슬의 경우 자전거도로가 잘 구축되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소득이 200만 원 이상인 가구의 남성이 단거리 통행에 자전거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자전거가 단거리 통행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자전거 보관소 등 근린 생활권 단위의 자전거 인프라 시설 보급에 우선을 두어야 할 것이며, 자전거 관련 안전 정책 등을 수립할 때에도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전거의 이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중교통과의 연계방안을보다 강구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