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통근자의 생애주기별 활동시간배분에 관한 연구

        빈미영,정의석,홍순영 경기연구원 2011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2011 No.12

        The study investigated the trip characteristics of commuters in Kyeonggi-do by the activity time and space. The life-cycle was divided into six stages by the house characteristics, which were the unmarried youth, the family forming, the child rearing, the child independence, and the elderly stages. The definition of trip chain was also applied. According to the elementary analysis, the commuters appeared to have different trip characteristics based on circumstances of individuals and houses for each life-cycle. In addition, as to the trip chain types, the simple chain trip which was a two-way trip (home-workplace-home) covered 79.9% of the whole, indicating that other trips besides the commuting trip are rarely taken place. Cycle and Stop which would tell the trip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each day were turned out to have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ife-cycle while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ex. More the commuters transfer lower the public transportation use rates, which meant that people would use cars more frequently. For the car use rate according to the life-cycle, the unmarried youth and the elderly were told to have relatively low results, telling that possessing a car is connected to the monthly family income. The average amount of time that the commuters in Gyeonggi-do would participate in any physical activities was 11 hours and 10 minutes. Stage 2 (the family forming) was proved to have the longest living activity time which was 10 hours 33 minutes. This is 1 hour and 30 minutes longer than the average time, 9 hours, according to the full-time system. The activity time including the living, maintaining and hobby time and the total trip time of the Gyeonggi-do commuters were analyzed by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o find out influential factors to the activity time. The presumed model was significantly deduced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1. The activity time was prov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circumstances of an individual and a family.

      •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을 대비한 경기도 교통운영 관리방안

        빈미영,김규옥,손슬기 경기연구원 2022 정책연구 Vol.- No.-

        경기도는 지금까지 자율주행차와 관련해서 산업관점 중심의 정책이 주를 이뤘으나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어 도로운행이 많아지면 이동서비스 관점의 교통운영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하에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을 대비하여 경기도 교통운영 관리를 위한 중장기 과제를 도출하였다. 본 보고서는 5장으로 구성되었는데 1장은 연구 배경과 목적을 서술하고 2장은 자율주행차와 관련된 국내외 현황과 동향을 조사하였다. 미래의 자율주행차 시장을 전망하고 선진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우리나라 제도추진 현황을 요약하였다. 3장은 우리나라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 운행현황을 문헌과 현장조사, 담당자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를 조사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자율주행차 기술과 운행서비스의 현주소를 파악하여 자율주행서비스 유형을 정의하고 향후 경기도와 시군에서 자율주행관련 정책을 추진할 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4장은 자율주행운행에 대비하여 경기도가 추진해야하는 중장기 과제를 제안하였다. 선진사례와 우리나라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를 도출하여 자율주행 연구, 개발기업, 시범운행지구를 담당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통해 경기도가 미래에 자율주행차가 도입될 때 추진해야하는 과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도록 하였다. 심층인터뷰 조사와 분석방법으로 델파이기법을 적용하였다. 3차에 걸쳐 경기도가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도와 실현가능 정도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인프라, 정책, 기술혁신, 사회적 수용성 부문의 4개 분야 22개 과제가 도출되었다. 그 외 전문가들이 자율주행과 관련되어 경기도가 해야 할 정책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는데 본문에 추가로 수록하였다. 도출된 과제를 중심으로 경기도 관련부서 의견을 수렴하여 역할 분담을 정의하였다. 교통부서와 산업부서에서 공동으로 추진해야하는 정책으로는 기존의 정책을 연계하여 ‘경기도 모빌리티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상호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제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정부는 첫째 지역의 자동차 산업분포를 고려하여 자율주행 원스톱 규제개혁을 추진한다. 중앙정부는 여러 부처를 통해 자율주행기술과 서비스 발전을 위해 규제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차 관련산업을 고려하여 규제특구를 지정할 때는 지역의 자동차 관련산업의 기업분포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자율주행 원스톱 규제개혁은 자율주행관련 산업이 분포된 지역에서 기술개발 후 자율주행실증을 하고 여기서 얻은 데이터와 정보를 다시 그 지역의 기술개발 기업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서는 유사산업과 서비스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자율주행차 관련산업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주행 원스톱 규제특구 혹은 규제특례’로 제도화하여 지원하도록 한다. 그리고 자율주행 원스톱 규제특구의 지원을 통해 개발된 기술과 서비스는 모니터링하여 특례가 부여되지 않은 지역에 보급하고 기술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 지역단위 「자율주행 교통물류 지역 기본계획」 수립할 수 있도록 제도화한다. 「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 2장 4조에는 자율주행자동차 도입・확산과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의 발전을 위해서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전문가 인터뷰 결과 경기도 자율주행 기본계획 수립 필요성과 실현가능성은 높게 평가되었다. 「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 8조(시범운행지구의 운영 및 관리 등)에서 시범운행지구로 지정・고시된 구역을 관할하는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또는 특별자치도는 시범운행지구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조례로 정할 수 있다. 지역에서 이 조례에 지역의 기본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기본계획 수립 의무를 추가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경기도는 첫째, 경기도 시군의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추진을 적극 지원한다. 경기도는 자율주행기술과 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시군의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 지정과 운영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는 시군의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 계획을 공유하고 분기별로 추진상황에 대해 실무자간 간담회를 개최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도록 한다. 둘째, 경기도 자율주행 서비스 유형과 국제표준을 담당자에게 교육하고 홍보하여 자율주행서비스의 보급과 지역간 연계를 준비한다. 마지막으로 경기도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자율주행 중장기 로드맵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차 운행을 대비하여 경기도 교통운영 관리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위한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인력을 충원해야 한다. Gyeonggi-do has focused on the policies for the automobile industry regarding the autonomous vehicle, but now the policies for traffic management need to invite the attention in expectation of many more autonomous vehicles on the roads on a commercial scale. Under this circumstance, the current study derived 22 long-term tasks from 4 task fields including infrastructure, polic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ublic acceptability in preparation of autonomous vehicle driving. The study further suggest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repare One-stop regulatory reform system for the autonomous vehicle driving consider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automobile industry and establish the regional master plan for the autonomous driving logistics. Gyeonggi-do should actively support Gyeonggi-do’s municipalities to install the autonomous driving pilot districts and inform and promote the municipalities’ officers in charge the types of the Gyeonggi-do’s autonomous vehicle driving services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nternally, big data of the Gyeonggi-do’s autonomous driving center should be linked with the Gyeonggi-do’s traffic information center in order to be used for the Gyeonggi-do’s traffic management. Externally, Gyeonggi-do should prepare the provision of autonomous driving big data and Gyeonggi-do’s traffic information to the market by establishing the Gyeonggi-do’s mobility data platform.

      • 경기도 어린이 등ㆍ하교길 교통안전 증진방안

        빈미영,박기철 경기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경기도에는 13세 이하 어린이가 약 170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경기도 총 인구를 1천 2백만 명으로 볼 때 약 14%를 차지한다. 어린이 교통안전 정책이 중요한 이유는 어린이가 차량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판단력과 신체적 조건이 어른보다 부족하고 완성되지 않은 성장단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린이를 교통사고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고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 어린이 교통사고는 전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어린이 인구수가 많고 차량통행이 많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교통사고로부터 노출될 확률이 높다. 그러나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인구수와 도시혼잡도가 비슷한 서울과 비교할 때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경기도는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안전시설 설치를 의무화 하는 등 시설적인 측면에서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중앙정부 정책을 따라가는 수준이며 좀 더 경기도 실정에 맞는 교통안전 정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 경기도 어린이 교통안전 현황을 분석하고 교통안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5장으로 구성된다. 서론에 이어 제2장은 어린이 교통안전 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어린이 교통안전 정책동향은 국내, 경기도, 그리고 해외선진사례를 조사하였다. 국내에서는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정책이 대표적이다. 해외에는 유럽과 미국, 일본을 기존문헌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는데, 보다 적극적이고 참여할 수 있는 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 3장에서는 경기도 어린이 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어린이 교통사고자료를 수집하여 시ㆍ군별, 연도별, 인적피해별, 어린이보호구역, 등ㆍ하교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어린이 교통사고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안을 도출하고 경기도가 장ㆍ단기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들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과 정책제안으로 구성된다.

      • KCI등재

        생애주기별 통근통행시간 영향요인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빈미영,정의석,박형원 대한교통학회 2012 대한교통학회지 Vol.30 No.3

        This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daily travel times at each stage of commuters’ life cycle. In this study,travel times were dealt with in the context of trip chain. That is, the travel time was defined as the total amount of time commuters had spent to move for daily activities from leaving to coming back home. A commuter’s life cycle was divided into 6 stages on a basis of both householder's age and family type: i.e., the unmarried youth period, the family forming period, the children education period, the children youth period, the children independence period, and the aged period. Variables such as commuting times, home-based trip cycle recurrences,and the number of stops differed for each stage of life cycle, the latter of which represents how many places a commuter dropped by during a trip cycle. Several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commuting times at each stage of life cycle as a result of applying a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using 2010'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collected from Gyeonggi-do. 본 연구는 통근자를 생애주기별로 구분하여 하루 동안 발생하는 통행시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행시간이란, 통행사슬(Trip chain)개념을 적용하여 통근자가 집에서 출발하여 귀가할 때까지 하루 동안 일어나는 활동을 위해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의 합을 의미한다. 통근자의 생애주기는 가구주의 연령, 가족구성원의 유형을 근거로 미혼청년기, 가족형성기, 자녀교육기, 자녀청년기, 자녀독립기, 노년기의 6단계로 구분하였다. 생애주기별 통행특성은 통행시간, 사이클 수, 스톱수를 볼 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콕스비례해저드 모델을 적용하여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부요인들은 생애주기별 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연구로써 경기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2010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 경기도 돌발상황정보 관리시스템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빈미영,김영돈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도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와 고장차량으로 인한 돌발상황정보는 신속하게 수집, 관리하고 제공함으로써 2차 교통사고를 예방한다. 그리고 사고처리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도로혼잡을 완화할 수 있다. 돌발상황정보 관리체계는 도로에서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정보가 수집되고 도로현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폐쇄회로 텔레비전)로 모니터링을 하고 도로전광표지판 등 정보제공매체를 통하여 사고주변의 혼잡정보 등을 제공한다. 경기도교통정보센터에서도 돌발상황정보를 관리하고 있는데 부족한 돌발상황정보 수집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2016년부터 경기도 재난안전본부로부터 교통사고 등 119신고정보를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정보가공을 통해 교통사고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경기도 교통정보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시군과 연계해야하며 돌발상황관리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경기도 교통정보센터의 돌발상황정보 수집, 관리, 제공현황을 검토하고 효율적인 돌발상황정보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경기도 위험도로를 유형별, 지역별로 분류하여 우선순위를 제시함으로써 시군의 돌발상황정보관리와 연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현재의 돌발관리시스템 기능을 확대하기 위하여 CCTV위치정보의 관리시스템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돌발상황정보를 경기도와 시군이 공동으로 대응해야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Information about an incident caused by traffic accidents and disabled vehicles is quickly collected and taken care of so that the second traffic accident can be prevented. Also, it eases busy road by shortening managing accidents. In incident management system, when there is an occurrence, it is monitored through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and information about traffic congestion surrounding the accident is provided by media such as Variable Message Sings in order to collect data and understand situations on road. Due to limitation in gathering data about incident even it is administered by Gyoenggi-Do Transportation Information Center, Gyeonngi-Do Headquarters for Intelligence and Security has been connected since 2016 and inform 911 reports such as traffic accidents in real tim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cities and counties and systematize managing incident, in order to improve the role and function of Gyoenggi-Do Traffic Controller Center. Therefore, in this research, collecting, managing, and providing data about incident by Gyoenggi-Do Transportation Information Center were reviewed, and an effective way to supervise incident was suggested. By prioritizing dangerous road in Gyeonggi-Do for each type and regionally, necessity in making connection with cities and counties and their managing was emphasized. In addition, managerial system for location of CCTV was suggested so that the function of current incident managing system can be expanded. At last, a need to Gyeonggi-Do and its cities and counties cooperatively dealing with incident was highlighted.

      • KCI등재

        단순연계 출근통행시간에 미치는 요인분석

        빈미영 대한교통학회 2011 대한교통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활동시간배분 행태 중 출근통행시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출근통행시간은 개인의 거주지를 결정하고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며, 동시에 수도권으로 출근하는 단순연계 통행(집-직장-집)을 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가 연속변수일 경우, 어떤 분포를 가정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Cox Hazard Proportional 방법론을 이용하였으며, 공변량(covariate)으로는 출근지의 공간변수와 교통수단 변수의 교호작용(interaction effect)을 모델에 도입하였다. 출근통행시간은 수도권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와 서울, 인천, 경기도의 거주지별로 나누어 추정하였는데, 그 결과, 개인속성변수, 가구속성변수, 통행특성변수가 출근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교통수단별 이용행태에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를 통해 Cox Hazard Proportional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는데 현재 진행 중인 2010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시대적 변화를 고려한 행태변화에 대한 연구를 향후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 that influences commuting time to work when individuals allocate their time for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The commuting time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an individual to determine the residence and choos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analysis uses the data collected from people who live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nd commute to work and making the simple linkage travel (home-work-home) within the area. For the analysis, the Cox hazard proportional methodology was adopted. The method is known to be well applied without assuming any distribution in case of the dependent variable being continuous. For the covariat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pace variable of the work place and the variable of transportation has been also included in the model. The commuting time to work has been estimated for both 1) the whole metropolitan area and 2) the separate regions i.e.,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e result reveals that characteristic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 household and travel properties influence the mode of transportation and the time allocated for commuting to work (p<0.01).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the Cox hazard proportional model.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actual household travel data surveyed in 2006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nalyzing the survey data in 2010 is currently in progress. Comparison of the two survey data sets seeking any behavioral change is suggested for the future study.

      • KCI등재

        여성의 성범죄 피해경험이 교통행태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함의

        빈미영,조혜진,정의석,박형원 대한교통학회 2012 대한교통학회지 Vol.30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s status of the sexual assaults on women public transportation users and to provide solutions in order to provide safe transportation services to women.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career women in Gyeonggi-do. The main purpose of the interview was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about sexual assaults while using public transport an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ir experiences affected their transportation-related behaviors. The effects of various related transport policies on women behaviors were also analyzed by estim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m, CCTV, accessible warning bells, and more police presence seemed to be more effective, but that woman-only sections were not as effective as others in reducing the number of crimes. The results implied that individual subjective norms and their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havior intention were important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ed additional policies more effective in sexual crime reduction. 본 연구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여성통행자가 차내에서 발생하는 성범죄로부터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성범죄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중교통내에서 발생하는 성범죄 피해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이 성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을 도출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경기도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수행하여 성범죄 피해실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들은 CCTV와 경고음 설치, 경찰인력의 추가배치는 성범죄예방에 효과적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여성전용칸 설치는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에는 각 개인의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근거하여 대중교통 성범죄 예방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오산시 어린이 보호구역 보행안전 확보방안 연구

        빈미영,김성하,김병관,손슬기,우리종합기술 경기연구원 2020 정책연구 Vol.- No.-

        This is a municipal policy research to suggest an improvement strategy on the basis of the problems of transportation safety in school zones in the city of Osan. The reformed Road Traffic Act made a recent issue of the obligatory installation of transportation safety facilities in school zones and the strengthened punishment of drivers’ illegal action. School zones crowded with children commuting to schools should guarantee the pedestrian safety against the car traffic. The city of Osan requested a study of the improvement of school zone environments of four schools. The current study derived improvement strategies from an evaluation of the transportation safety of four elementary schools, a statistical analysis of children traffic accidents, and an investigation of the reformed act.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children traffic accident in the city of Osan annually increases by 12.5%, and the children traffic accident in school zones of the city increases by 31.6% per year. Traffic accidents in school zones are most often caused by a traffic signal violation at the intersection. Traffic accidents also take place mostly when children go home back from school in the afternoon than when they go to school in the morning. Children’s school commuting is normally well cared in the morning but not that well in the afternoon. The four elementary schools investigated by the current study were Semi elementary school, Hwaseong elementary school, Sungho elementary school, and OsanGohyeon elementary school. The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and derived improvement strategies by conducting a field survey on school walkways and interviewing school personnel. More specifically, the study first suggested safety, amenity, self-regulation, and sustainability as the four principles that the city of Osan should consider for the pedestrian safety of children. Second, the study suggested an improvement strategy of transportation safety facilities in school zones focusing on the four elementary schools, and arranged the basis on which the governmental expenditure and the provincial budget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is, transportation safety facilities were suggested while distinguishing between essential and recommended facilities. Also, transportation safety facilities to be improved by each school were recommended. The investigation of the adequacy and necessity of transportation safety facilities revealed that approx. 26.2% of the total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Third, the study suggested six projects of the pedestrian safety of children. The paper suggested the projects that the city of Osan should implement in corpore, which are assigning the safe pedestrian passages, developing the safe pedestrian maps of our community, supporting the employment to guide the safe parking of the cram school shuttles, and intensifying the crackdown of illegal parking in school zones. The paper also suggested the project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implement. They include the projects of delineating the criteria to change existing transportation safety facilities and to install transportation safet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policy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