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해석에서 주체성 논의의 필요성 및 헌법상 실존하는 주체성에 관한 고찰 ― 국민주권의 관점에서 ―

        박찬권 한국공법학회 2014 공법연구 Vol.42 No.4

        Because each positive law is prescribed by detailed rule, it can secure a legal stability with a propriety or soundness to some extent if it is not contradictory to formal logic. However, a constitution that is prescribed by abstract and open principles can hardly secure that type of stability, even if it is not contradictory to formal logic. The logical contradiction in constitution has significance for the whole process of the constitutional performance that realize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Through this process,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is done properly. When evaluating performance of a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objects, the principles and the system, which are interpreted, but also the subjects who realize them. The latter refers to the subjects who form a constitution. It is an issue regarding the subjects of sovereignty, the people and the subject of fundamental rights, the individual. A matter of the subject itself that is the premise of the constitutional subject. Above all, it is considered how each individual's reflective thinking, self-identity, is elevated to the subjectivity of Volk, which is an integrative field in which each subject's thinking is realized for itself on the basis of common sense. Constitutional law is discussed, which is the formulation of every single aspect of norms that are revealed in the integrative process of the subjectivity of Volk and of the principles and the system that are immanent in this process. It is considered what the subjectivity of Volk means in relation to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Though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reveals the individual personality through the decisions of the state organ at the highest level, it exists as an organic state because its members that are mediated by the will of Volk unite together. Nevertheless, if the normativity is limited to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the subjectivity of Volk has only a psychosocial effectiveness and ends in a standard of judgment whether the powerful action of the state is valid or not. The normativity of the subjectivity of Volk is therefore also forced to be acknowledged. In this case, the will that is formed by Volk exists as a public opinion and the starting ground for every subject's thinking. But the subjectivity of Volk should be converted to the subjectivity of the Nation, so that each individual's thoughts for oneself are condensed with authority as the center, in order to become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The realization of the subjectivity of the Nation faces the risks of power abuse because a decision-making authority emerges as the specific will, not the general will. It reveals the sound subjectivity when it is complemented by the identification of the generality through a reflective thinking on a level of Volk. In this way, the subjectivity of Volk realizes popular sovereignty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and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has democratic legitimacy.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reveals the sound subjectivity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Nation and Volk. Furthermore, the realization of popular sovereignty is reconfirmed after the state organization has been established when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interact with each other. 상세한 내용으로 규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형식적 논리의 모순이 없는 것만으로도 구체적 타당성을 갖춘 법적 안정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는 개별 실정 법률과 달리, 추상적이고 개방적인 원리들을 중심으로 규정된 헌법은 형식적 논리의 무모순만으로 이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다. 헌법에서 논리적 모순은 헌법원리를 실현하는 전체적 수행과정에서 그 의미를 가지며, 이를 통해 헌법해석은 법적 안정성과 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한 올바른 해석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행과정은 해석의 대상인 원리 및 체계에 대한 고찰과 함께 이를 해석하는 주체에 대한 고찰을 함께 요구한다. 이는 헌법을 형성하는 주체에 대한 고찰이며, 주권의 주체인 국민과 기본권의 주체인 개인이 이러한 헌법상 주체에 해당한다. 헌법상 주체에 대한 문제의 전제로 주체 그 자체의 문제를 먼저 고찰한다. 특히, 주체로서 각 개인들의 자기동일성의 반성적 의식작용이 어떻게 공동의 의사를 토대로 각자의 의식작용이 실현되는 통합의 장인 Volk의 주체성으로 고양되는지를 살펴본다. Volk의 주체성이 통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규범의 개별적 측면으로서 헌법과 그러한 헌법 안에 내재한 원리와 체계의 공식화로서 실정헌법을 논한다. 국가의 주체성과의 관계에서 Volk의 주체성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본다. 정점에 있는 기관의 결단에 의해 개체적 인격을 발현하는 국가의 주체성도 국가의 구성원들이 배후에 있는 Volk의 의사를 매개로 하나로 수렴됨으로써 유기적 국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주체성에만 규범성을 인정할 경우 Volk의 주체성은 사회심리적 실효성만을 지니면서 국가의 권력작용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그치게 된다. 그러므로 국가의 주체성과 함께 Volk의 주체성에도 규범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 Volk의 의한 의사형성은 공론으로 존재하면서 국가에 있어서 모든 의식작용의 원천적 기반으로 존재한다. 그런데 이러한 Volk의 주체성도 국가의 주체성으로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권위를 중심으로 개인들의 대자적 의식작용들이 응집된 Nation의 주체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Nation의 주체성 실현은 결단을 통한 특수한 의사로 나타나므로 남용의 위험이 있으며, 이는 Volk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반성적 의식작용을 통한 보편성의 확인을 통해 보완될 때 온전한 주체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Volk의 주체성은 진정한 국민주권의 실현으로 작용면서 국가의 주체성에 대하여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Nation과 Volk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온전한 주체성의 근거 위에 국가의 주체성이 발현됨은 국가가 조직된 이후에도 헌법에 규정된 각 조항들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국민주권의 실현으로 재차 확인되어진다.

      • KCI등재

        『헝거게임』시리즈 속 젠더와 관련한 여주인공의 허구적 주체성 연구

        김진옥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아시아여성연구 Vol.58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struction of the heroine’s subjectivity in young adult literature, with a specific reference to Suzanne Collins’s well-known The Hunger Games series. The heroine’s subjectivity can be construct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lenses of notions such as race, power, violence, gender, class. However,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undertaken by gend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heroine’s subjectivity in young adult literature as demonstrated in the selected works. Since 2000 and with the publication of The Hunger Games series, the heroine has emerged from young adult literature in America. The protagonist of The Hunger Games series, Katniss is a heroine in a future dystopian society. Some critics suggest that she is depicted as a subjective, progressive heroine. However, Katniss is influenced by the society to which she each belongs: Pannem. Although the female protagonist is presented as a heroine bestowed with independent and voluntary subjectivity, her subjectivity bears clear marks of the expectations and ideals of the society to which she belongs. In other words, her subjectivity is socially constructed. The examination of the constructed subjectivity of Katniss in The Hunger Games in this study is based on Judith Butler’s theory. Gender has played a key role in the construction of Katniss’s subjectivity, with the heroines’s subjectivity shaped by two components: motherhood and tomboyism. Katniss undergoes a variety of motherhoods and then internalizes the motherhood of Hazle, Gale’s mother as Pannem’s idealized motherhood. Katniss also refuses the stereotypical female appearance and behaviors, thus acquiring a tomboyish character. The motherhood and tomboyism have an effect on Katniss’s constructed subjectivity. Therefore, the subjectivity of a 16-year-old girl, Katniss, is shaped by the expectations and ideals of the society to which she belongs. The heroine’s fictional subjectivity demonstrates that it is constructed under the external influence rather than her subjectivity having been made and formed by the heroine’s will. 본 논문은 수잔 콜린스의 헝거게임 시리즈를 중심으로 미국 청소년문학 여주인공의 주체성이 형성되는 양상을 젠더와 관련하여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미국 청소년문학에 등장하는 십대 여주인공들은 수동적이고 의존적이었던과거의 모습과 다르게 매우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태도를 취한다. 이러한 변화는 십대여주인공의 주체성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형성했다. 기존에는 미국 청소년문학속 십대 여주인공의 주체성이 자유 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는 시각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청소년문학 캐릭터는 성인 작가의 가치관과 사회ㆍ문화적 이데올로기로부터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인물의 주체적 성향이 무엇으로부터 발생했으며, 그렇게 형성된 주체성이 과연 인물에 의해 주도적으로 완성됐는가를 살펴야 한다. 헝거게임 시리즈의 십대 여주인공 ‘캣니스’의 주체성은 모성과 톰보이즘 같은젠더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캣니스는 자신이 속한 구역의 다양한 어머니상을 경험하면서 모성을 내재화하며, 생존을 위해 톰보이적 행동을 취한다. 이는 캣니스가 소속된사회 ‘판엠’의 이상과 기대가 스며든 결과물에 다르지 않다. 따라서 본고는 헝거게임시리즈의 십대 여주인공 캣니스의 주체성이 형성되는 방식 중에서도 젠더의 차원에주목하여 십대 여주인공의 주체성이 작품 속 사회의 영향 아래서 구성된 허구적 주체성임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 중국 내 발행 잡지 자료를 중심으로

        김병민 ( Jin Bing-m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은 다중 주체성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즉 일본 인식을 통해 민족 주체성을 확립했고, 중한관계 인식을 통해 이중 주체성을 확립했으며, 세계평화에 대한 인식을 통해 다중 주체성을 확립했다. 한국 망명지사들은 자신들을 민족해방의 주체, 중국 항일투쟁의 주체, 세계 피압박민족 해방의 주체로 인식했다. 한국 망명지사들은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주체들이 부단히 분화되고 조합되는 복잡한 역사 과정을 경과했다. 그들은 항일투쟁과 민족해방의 기치 아래 역사적인 회합을 이루었으며, 중국의 항일투쟁과 세계적인 반파시스트 전쟁의 승리를 위해 함께 싸워 나갔다. 한국 망명지사들의 주체성 확립은 일련의 독특한 특징과 가치를 보여준다. 먼저 신채호와 신규식 등의 ‘정신적 자아’, ‘양심적 자아’는 철학사상 면에서뿐 아니라 투쟁실천 면에 이르기까지 주체성 확립에 정초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한국 망명지사들의 민족 주체성, 이중 주체성, 다중 주체성의 삼자 구성 중에서 민족 주체성은 이중 주체성과 다중 주체성의 확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중 주체성과 다중 주체성은 물론 민족 주체성에 의한 민족국가 상상―민족의 해방과 자유 실현을 제일 목표로 삼았다. 한편 한국 망명지사들의 중국체험은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확립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들의 중국 체험은 본토 체험을 가속화하고 승화시켜 주었으며, 중국의 담론 환경 속에서 새로운 사상의 수용과 창조의 기반을 마련하면서 민족 문제 및 세계평화 문제에 대하여 직시하게 했다. 한국의 망명지사들은 중국의 담론장을 통해 민족 담론, 항일 담론, 국가 담론을 구축하여 제국담론과 식민 담론을 전복하기에 이르렀다.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확립은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의 정신적 가치―지식 담론의 참신성과 혁명성을 보여주는 생생한 기록이다. The East Asian recognition of Korean exiles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subjectivity. In other words, it established national subjectivity through Japanese recognition, established dual subjectivity through Chinese-Korean relations recognition, and established multiple subjectivity through recognition of world peace. In other words, the Korean exiles recognized themselves as the subject of national liberation, the subject of the Chinese anti-Japanese struggle and, by extension, the subject of the world’s oppressed people. The Korean exiles appeared as various subjects under the influence of ideology and established a knowledge discourse, and the various subjects continued to divide and combine, but they formed historic convergence under the banner of anti-Japanese struggle and national liberation, and fought together for the great victory of China’s anti-Japanese war and global anti-fascist wars.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ivity of Korean exiles shows a series of unique features and values. First of all, Shin Chaeho and Shin Gyusik’s “spiritual ego,” “conscientious ego” played vital roles in establishing the subjectivity not only in philosophical thought but also in fighting practice. Secondly, among the national subjectivity, double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of Korean exiles, the national subjectivity directly influences the establishment of double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Therefore, the goal was to realize the nation-state imagination-liberation and freedom of the people, based on not only dual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but also the national subjectivity. Next, the Chinese experiences of Korean exiles played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their East Asian recognition and subjectivity. Their experiences in China accelerated and sublimated the mainland experiences, and the discourse environment in China prepared the acceptance and creation of new ideas, and went on to face up to the world peace issues. The Korean exiles have built national discourse, anti-Japanese discourse and national discourse through China’s “discussion ground,” which has led to the overthrow of imperial and colonial discourse. The Korean exiles’ recognition of 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ir subjectivity are vivid records of the novelty and revolutionary nature of the intellectual discourse-the spiritual values of East Asi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칼뱅의 인간론에 있어서 ‘주체성(Subjectivity)’ 이해

        장호광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subjectivity' in Calvin 's anthropology, to introduce systematic theological meanings contained in it, and to present the present applicable relevance to Korean Church and Theolog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s the purpose of writing this paper and its direction for achieving its purpose in Chapter I, 'Introduction', and in Chapter II 'Understanding Concepts of Subjectivity' Before discussing it in detail, I tried to approach the concept philosophically. In Chapter III, 'Understanding of Subjectivity of Calvin' which corresponds to the main point of this thesis, we introduced 'original subjectivity', 'de-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This named Calvin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stages of human history divided by the redemptive viewpoint: the created human being, the sinful man after the fall, and the restored man through Jesus Christ. Finally, I conclude this paper with a brief summary of the conclusion, and I have also presented the apologetic effect by comparing it with the subjectivity in philosophy and that of Calvin. Furthermore, I have suggested how to understand the subjectivity of Calvin in Korean church and theology. Its applicability has focused on the Christian 'establishment of religious subjectivity' or 'establishment of subject faith'. 본 논문은 칼뱅의 인간론에 있어서 ‘주체성’을 끄집어내어, 그 속에 담겨 있는 조직신학적 의미를 소개함과 동시에 한국교계와 신학계에 현재적 적용성(relevant)을 제시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I 장 ‘서론’에서 본 논문을 쓰게 된 목적과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고, II 장 ‘주체성의 개념이해’에서는 칼뱅 스스로는 주체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주체성을 구체적으로 논하기에 앞서 그 개념을 철학적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논문의 본론에 해당하는 III 장 ‘칼뱅의 주체성이해’에서는 ‘본래주체성’과 ‘탈주체성’, 그리고 ‘상호주체성’으로 구별하여 소개했다. 이것은 칼뱅이 인간사(史)를 구속사적 관점에서 나눈 세 단계인 ‘창조된 인간’, 타락 후 ‘죄인 된 인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회복된 인간’에 맞추어 이름 지었다. 마지막 ‘결론적 제언’에서는 본 논문을 간단하게 요약해보았고, 철학에서의 주체성과 칼뱅의 인간론에서 나타나는 그것과 비교 검토해 봄으로써 변증학적 효과 또한 제시해 보았다. 나아가 ‘칼뱅의 주체성이해’를 현재 한국교회와 신학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제언해 보았다. 그 적용성은 그리스도인의 ‘신앙적 주체성확립’ 내지 ‘주체화된 신앙 확립’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 KCI등재

        댄 그레이엄의 작품에서 나타난 상호주관성에 대한 고찰 -M.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을 중심으로

        정소라 ( So La Jung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6 No.-

        본 논문은 댄 그레이엄의 1960년대 말 퍼포먼스에서부터 1970년대 비디오설치 작업과 파빌리온 작업을 메를로-퐁티의 신체 지각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자한다. 그레이엄은 자신의 작품에서 지각 자체를 실험함으로써 주체와 대상, 보는것과 보이는 것 간의 관계 그리고 주체와 타인 간의 관계에서 만들어지는 상호주관성에 대한 탐구를 해나간다. 이러한 탐구 과정에서 그는 관람자를 작품의 관찰자로서가 아니라 능동적인 행위자로서 설정한다. 그레이엄의 작품 분석의 한 축으로 가져올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은 모든 지식의 근원을 지각에서 얻을 수 있고 그 지각의 주체는 신체라는 것이 주장의 핵심이다. 메를로-퐁티는 우리 자신에 대한 인식 역시 지각을 기반으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세계를 지각하는 것은 결국은 다시 지각하는 스스로를 향하게 함으로써 반성에 이르게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타인역시 일종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세계라는 기반을 나와 공유하는 또 하나의 자아로 보았다. 나와 타인은 신체를 통해 내적 연결성을 지니고 있고, 다르게 표현하자면 살이라는 같은 조직으로 구성된 하나이지도 둘이지도 않은 관계에 놓여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메를로-퐁티는, 우리가 개별적 주관성을 먼저 확립하는 것이아니라 타인과 연결된 세계라는 기반 위에서, 즉 상호주관적 세계 위에서 자신의주관성을 갖게 된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와 같은 메를로-퐁티의 지각에 대한 탐구를 통해 얻어진 주체와 타인에 대한 고찰들은 고정된 개념으로서의 독립된 주체를 부정하려는 그레이엄의 입장과 맞닿아 있다. 지각을 통해 주체와 대상이 가역적으로 위치를 교환하며 자기인식이라는 과정에 이르는 것을 그레이엄의 작품에서도 읽어낼 수 있다. 또한 그레이엄은 지각의 과정에서 순수한 현존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타인, 상호주관성, 시간과 기억, 사회적으로 코드화된 의미들을 보여줌으로써 주장한다. 그레이엄이자신의 작품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것을 정리해보면, 첫째, 고정된 개념의 주체와대상을 부정한다. 그레이엄의 작품에서 관람자는 작품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관람자의 현존을 통해 작품의 의미는 비로소 생겨난다. 그러나 이때 관람자는 작품을 바라보고 있는 주체일 뿐만 아니라 보이는 대상이기도 하다. 둘째, 미니멀리즘과는 다르게 순수한 현존을 부정하고 주체가 지각할 때 얽혀 있는 여러 시간적, 공간적 맥락들을 보여주려 한다. 우리의 지각은 이러한 것들을 배제시킬 수가 없다는 것이다. 셋째, 하나의 개인이 아니라 타인과 만들어내는 사회 속의 주체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것은 결국 작품을 통해 상호주관성의 형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레이엄이 거울을 사용하든 비디오의 피드백 기능을 사용하든 그가 보여주려는 것은 자기 또는 타인을 바라봄으로써, 즉 지각함으로써 스스로에 대한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다는 것은 지각에 이은 반성의 단계로 끌고 가며 주체, 즉 관람자는 보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된다. 더 나아가 보고 있는 자신이 속한 맥락을 함께 지각함으로써 사회 속의 주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자신의 주체성을 깨닫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from performances in late 1960s to video installation art and pavilion works in 1970s through Merleau-Ponty``s theory of perception. Graham has explored the subject and the object, seeing and being seen, inter-subjectivity which mak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by experiments of perception itself in his works. In this investigation process, he set up the viewer not as the observer of works but as an active performer. Maurice Merleau-Ponty``s theory of perception, which will be one of analysis of Graham``s works, mainly asserts that it can obtain every source of knowledge from perception and the subject of perception is the body. Merleau-Ponty asserted that the cognition of ourselves is also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s asserted that perceiving the world leads self-reflection to orient the perceiving subject. In this respect, he though other people as the other ego to share the world together, not as a kind of the objects. He thought that I have an internal connectivity through the body with other people, in other words, they are in neither one nor two relationship composed of the same organization, which is a flesh. Therefore, Merleau-Ponty took a position that we do not establish the individual subjectivity first, we have the subjectivity on the connected world with others, in other words, on the world of inter-subjectivity. This consideration about the subject and others from Merleau-Ponty``s study on perception meets Graham’s position to deny the independent subject as the fixed concept. The process which subject and object reversibly switch their positions through the perception and reach the self-awareness can be also read in Graham``s works. In addition, Graham asserted that pure presence was impossible in the process of perception, showing others, inter-subjectivity, time and memory and coded meanings in society. Summing up disclosures in Graham``s works, first, he denied the subject and object as fixed concept. In his works, viewer plays an important role to form the works. The presence of viewer completes the meaning of works. However, at this time the viewer is not only the subject to watch the works but also the object to be seen. Second, unlike minimalism, he denies pure presence and tried to show various entangled timely and spatial contexts when the subject perceived. Our perception cannot exclude these. Third, he tried to disclose the subject not as individual but as the subject in the society with others. Ultimately it shows the formation of inter-subjectivity through his works. In conclusion, whether Graham used a mirror or video feedback, he tried to show that the perceiving subject can reach his own perception, seeing oneself or others, that is, perceiving oneself. Seeing leads the step of self-reflection after the perception and the subject, viewer can see oneself who is seeing. Furthermore, the seeing one realizes the subject in the society and his subjectivity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perceiving the context where he is

      • KCI등재

        일제강점기 한국철학 연구의 양상 ―연구 주체의 성격과 조선유학에 대한 입장을 중심으로

        김우형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2 철학탐구 Vol.65 No.-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aspects of approaches to Korean philosophy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by dividing them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ivity and the position on Chosun Confucianism. The three are “traditional Confucian subjectivity,” “modern subjectivity,” and “contemporary subjectivity.” First, “traditional Confucian subjectivity” was clearly conscious of the ills of Chosun Confucianism such as the flunkyism to China and exclusivism, yet the solution still remained in the boundary of traditional Confucian restriction. The second is “modern subjectivity” that seeks Korean philosophy on the basis of traditional/modern dichotomy. Such “modern subjectivity” has an overall negative view of the traditions including Confucianism, and takes the stance that traditional thoughts should be replaced or reinterpreted by Western philosophy. In the late 1930s, those in this position dramatically changed to conform with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or “Oriental Philosophy”, which the Japanese Empire devised to justify the Pacific War based on the East/West dichotomy. The third is “contemporary subjectivity” that criticize Chosun Confucianism, but inherits the modern aspects of Neo-Confucianism as trying to transform it into Korean philosophy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Western philosophy. This position values individual reason and conscience originating from Neo-Confucianism, while acknowledging scientific perception and pursuing free will and equality. The formation of Korean philosophy during this period requires in-depth investigation in the future. 본고는 일제강점기 ‘한국철학’에 대한 접근 방식과 연구의 양상을 연구 주체의 성격과 조선유학에 대한 입장에 의거하여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전통 유학적 주체’가 한국철학에 접근하는 양상이다. 이 입장은 조선유학의 사대주의나 배타성 등 폐단들을 자각하고 비판했지만, 그 해법은 전통 유학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두 번째는 전통/근대의 이분법에 의거해서 한국철학에 접근하는 ‘근대 주체’이다. 이 입장은 전통 사상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이며, 서양철학으로 전통 사상을 대체하거나 완전히 새롭게 재해석해야 한다고 본다. 1930년대 후반 무렵 이 입장은 동양/서양 이분법에 근거해서 일제의 아시아주의에 순응하는 극적인 변화를 보인다. 세 번째는 조선유학을 비판적으로 보되, 그 가운데 리학(理學)의 근대성은 계승하고 서양철학과 결합하여 한국철학으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현대 주체’이다. 이 입장은 리학의 자기수양 전통에서 기원하는 개인의 이성과 양심을 중시하며, 과학적 인식에 주목하되 자유의지와 평등을 지향하는 경향을 띤다. 이 시기 한국철학의 형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해서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 Critical Conundrum on the Rise of Subjectivity from a Psycho-Marxist Perspective

        Kim, Chang-Hee(김창희) 새한영어영문학회 2015 새한영어영문학 Vol.57 No.2

        This paper aims to possibly gauge the extent to which the Cartesian subject can pursue a form of objective reality where the ideological operation of “pure” knowledge is fully realized and engaged. That is, to what extent can the subjects become conscious of their material position in terms of class struggle, of their revolutionary potential for ontological freedom against what constitutes their ontology as a social being in the first place? Given that class consciousness is predetermined by social relations and modes of production, how do they eventually accede to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against the odds of objective reality that ideologically condition the existential status of their social positionality? These questions largely attend to the ways in which the subject can imagine an alternative subjectivity as a gesture to resist the ideological coordinates of objective reality. Moreover, this paper tackles the question of subjectivity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state of what Heidegger calls “boredom,” an inherent feature of the human mind forfeiting the articulation of “feeling.” It helps register the potential of the ambiguous, or antinomic, variables of “always-already” constituted subjectivity, as it is exposed at the brink of the immanent and “spontaneous” disruption of the subject.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여성 주 체성

        이숙희 ( Lee Suk-hee ) 대한영어영문학회 2009 영어영문학연구 Vol.35 No.4

        Subjectiv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cent developments in the new humanities. Traditionally the human individual was thought of as whole, single, and fixed, but recent theories present it as split, multiple, and implicated in the complex processes of culture and politics. This study outlines the main recent theories of subjectivity, from structuralism onwards, especially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Structualists presents subjectivity as a constru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knowledge rather than a naturally occurring entity. According to them subjectivity is the result of the symbolic order of a society which exists prior to the subject’s entry. Poststructuralism goes beyond the explanation of subjectivity as a product of signification. Heavily affected by Deconstruction, poststructualists emphasize the impossibility of any power claiming its fixed location in signification. This is why poststructual subjectivity is proposed as ambivalent and hybrid, which needs to be seriously considered when a gender subject is imagined in this new age. (Silla University)

      • KCI등재

        강화학파의 주체 의식과 한국근대여성주체

        김세서리아(Kim, Sesuria)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7 인천학연구 Vol.7 No.-

        Yangming Studies sees Liangzh as the basis of Moral Subjectivity and it attains its ethical subjectivity through Liangzh's self-realization. The thought of Ganghwa School, which was deeply affected by this Yangming Studies and at the same time created the originality as the Korean Yangming Studies, forms the Emotional Subjectivity of desire/ethics, ethical practical Subjectivity based on Shilsim, and resistance subjectivity of National discourse in the end of Yi Dynasty. Based on these contents, this thesis examines how Yangming Studies in the end of Yi Dynasty, which was affected by The thought of Ganghwa School,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Feminist Subjectivity. Until now, the important inner opportunity that enlighted Women in Korea's modern times, have been recognised as the thought of Silhak and Donghak of the end of Yi Dynasty. Also the outer opportunity came only from the development of Seohak and incoming of Christian thought and Socialism. Accordingly, searching for the opportunity of Korean Modern Feminist Subjectivity in the Conscious of Ganghwah School can provide a new insight in this research. In addition, it could suggest a new 대안 for us in Globalization considering difference and so on.

      • KCI등재

        윤동주와 다문화적 주체성의 문학

        오문석(Oh Moon-seok)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윤동주를 저항시인으로 규정하는 것은 단일문화적 주체성의 관점이 개입한 것이다. 이것은 근대문학사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서 윤동주를 민족문학의 대표주자로 끌어들인 결과이다. 하지만 이때는 윤동주가 만주국 출신이라는 사실이 무시된다. 만주는 식민지 조선의 연장선상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문학의 연구대상이 유·이민자, 디아스포라, 다문화주의 연구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만주를 바라보는 관점에 변화가 생겼다. 윤동주가 만주국 출신이라는 사실이 새삼 부각된 것이다. 윤동주가 시인으로 활동할 무렵 조선에서는 '만주 유토피아니즘'이 확산되어 많은 지식인, 농민들이 환상을 품고 만주로 이주하던 때였다. 만주는 조선에서 불가능한 꿈이 성취될 수 있는 낙원으로 상상되었다. 이것은 만주국의 건국 이념인 '오족협화'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에서 파생한 것이다. 만주에서는 조선인이 다른 민족과 평등한 대접을 받고, 고유한 문화를 보존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제국의 이념을 신뢰하고 이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친일의 논리를 이용하여 저항의 가능성을 찾으려는 사람들, 말하자면 협력을 통한 저항이라는 이중적 전략을 구사하려는 사람들도 모여들었다. 하지만 윤동주는 그 무렵 평양 유학의 실패를 통해 만주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을 목격하였고, 만주에서도 조선인으로 살기 어려울 뿐 아니라 내선일체가 강화되는 조선에서는 일본인으로 살기를 강요받게 될 것임을 예감하였다. 어디에서건 조선인이 되기 위해서는 만주국민이 되거나 일본인이 되어야 하는 모순적 상황에 처한 것이다. 이러한 모순적 상황을 자신의 주체성의 일부로 받아들인 윤동주는 단일문화적 주체성에서 찾아볼 수 없는 '복수의 주체성'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그것은 일본 유학을 통해서 다시 '공허한 주체성'으로 전환되는데, 이는 조선인도 일본인도 아닌 주체성 부재의 상태로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윤동주가 친일도 저항도 불가능했던 데에는 이러한 주체성 부재, 혹은 주체를 결정지을 수 없는 복수의 주체성이 그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It is merely with an infusion of a monocultural subjective perspective that Yun Dong-ju is viewed as 'a poet of the resistance.' Especially, it seems inevitable to picture him as the representative poet of national literature in order to fill the gap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the late colonial period. Thus, with emphasis on national literature, it is naturally disregarded that he was born in Manchuria considered a part of the colonized Joseon Dynasty (Korea). As research topics in Korean literature extensively include immigrants, diaspora, and multi-culturalism, however, how to define the place comes into question. Accordingly, it results in paying attention to Yun's birthplace once again. When Yun is active in the literary world as a poet, 'Manchuria utopianism' is disseminated in Joseon. As a result of the prevailing belief, many intellectuals and peasants emigrate to Manchuria with a new hope that they consider Manchuria a promised land for their dreams which can be hardly realized in Joseon. It mostly derives from an excessive expectation of 'Five Peoples' Harmony,' the founding principle of Manchukuo. Koreans are told that they are allowed to live on terms of equality and harmony with other peoples and keep their tradition and culture in Manchuria. Indeed, some emigrants, who have trust in the Japanese imperial propaganda, firmly believe that there are the possibilities of resistance even in their pro-Japanese collaboration. In other words, they fancy that they are able to skillfully juggle the duel strategy called 'resistance to the empire through collaboration with it.' However, at that time, Yun comes to be aware of Manchurian ideological falsehood through his experience and failure while studying in Pyongyang. Not only does he observe that it is difficult for Koreans to be Korean in Manchuria; but also he reads that they would be forced to completely discard their Korean identity and transform themselves to be Japanese in Joseon as Japanese colonialistic policies in the name of the 'oneness of Korean and Japan' are reinforced and intensified. Put differently, Koreans are confronted with an conflict situation in which they should become either Manchurian or Japanese to keep their Korean identity anywhere or everywhere. By embracing such the ironic condition as part of his subjectivity, Yun experiences 'multiple subjectivity' in contrast to monocultural subjectivity. In turn, while studying in Japan, he re-experiences 'empty subjectivity,' that is, the absence of subjectivity in which he cannot be either Korean or Japanese. In the end, it is impossible for Yun to be pro-Japanese or anti-Japanese primarily due to the absence of subjectivity or the presence of multiple subjectivity which makes it hard to define the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