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에 대한 경험과 인식

        서수현 ( Soo Hyun Seo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8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와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교육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계와 정치계를 막론하고 사회 전 영역에 걸쳐 표절이 문제가 되어, 쓰기 윤리와 관련된 교육적 담론이 활성화, 구체화되는 시점에서 초등 예비 교사인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5개 교육대학교 1학년~3학년 588명 학생들에게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 경험은 거의 전무하며, 학생들은 쓰기 윤리를 표절하지 않고 올바른 인용 방법을 사용하여 글을 쓰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절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음에도 학생들은 쓰기 윤리를 준수하는 것에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과제 파악의 어려움, 글을 쓰기 위한 자료 찾기의 문제, 전공 지식 부족과 같은 원인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대체로 자신은 쓰기 윤리를 고려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에 비해 자신의 쓰기 윤리 실천 수준은 낮은 편이라고 평가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인식이나 실천수준이 높지 않음을 시사한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는 그들이 미래의 우리나라 초등 교육을 담당할 예비 교사라는 점에서 더욱 엄격한수준에서 요구될 필요가 있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교육을 위하여 쓰기 윤리를 위반하지 않게 하는 행동의 목록을 구성하고 이를 지도하는 명시적인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 쓰기 윤리를 교육하는 것과 함께 과제 구성 등의 측면에서 교수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학생들의 쓰기에 대하여 쓰기 윤리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필자로서의 쓰기 윤리와 쓰기 지도 교사로의 쓰기 윤리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교육대학교 학생을 위한 맞춤식 쓰기윤리 지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related to writing ethics, discover any issues, and make pedagogical suggestions. It is meaningful to determine the status of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who are pre-service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s, at this time of active development of pedagogical discourse related to writing ethics as plagiarism becomes a problem throughout society, let alone academia and politic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that asked 588 students between freshmen and juniors in five teachers colleges in Korea in relation to perception of writing ethic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little systematic education on writing ethics among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and the students think writing ethics means writing by using correct quoting methods without plagiarizing. Despite having perception of plagiarism, students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in complying with writing ethics, due to the reasons including the difficulty with understanding the assignment, the problem with finding materials for writing, and the lack of knowledge in their majors. In addition, teachers college students thought they were mostly writing with the consideration of writing ethics, but, in contrast, evaluated the level of their practice of writing ethics was lo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ception and practice of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are not high. More stringent requirements are needed for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in that they are pre-service teachers to be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our country`s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education in writing ethics for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we propose the following: (1) to prepare a list of behaviors to avoid violating writing ethics and providing explicit education of them, (2) instructors` efforts in terms of creating assignment for as well as teaching writing ethics, (3) to provide more active feedback on students` writing on the aspects of writing ethics, and (4)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to teach writing ethics that is tailored for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in the aspects of writing ethics both as a writer and as a writing teacher.

      • 담임교사의 이미지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의 관계

        엄순빈,이대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교육논총 Vol.35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teachers' imag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to 382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Ansan, Gyeonggi-do. The questionnaires of 368 copies(98.5%) was used for actu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used teachers' image scale and stud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mage was generally high above normal. In sub-factors, teachers' image of human relations was higher than other factors. For the difference by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female teachers were higher than male teachers. By sub-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mage of class guidance and their image of human relations. For the difference by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the 4th grad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5th grade and the 6th grade. Class leaders were higher than general students,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difference by gender, while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stud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generally high above normal. Interest was higher than other factors. In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female teachers were generally higher than male teachers,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 the 5th grad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4th grade and the 6th grade. By gender,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students' perception of attitude, interest, confidence and concentration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class leaders were higher than general students,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eachers' image had a relationship with stud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lass guidance and stud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the high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oncentration and teachers' image was the highest. In other words, teachers' image having the biggest effect on stud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teachers' class guidance. And teachers' image had the biggest effect on students' concentra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담임교사의 이미지를 알아보고 이것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4, 5, 6학년 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코딩작업을 거쳐 SPSS/WIN 18.0을 이용하였으며, t검정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담임교사의 이미지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담임교사의 이미지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통계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이미지 측정에 대한 전체수준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인간관계가 다른 요인들에 비해 높게 나왔다. 둘째,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에 대한 전체수준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 중 흥미도가 다른 요인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이미지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의 관계를 보면 담임교사의 이미지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구신실 ( Sin Sil 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장애영재 교육에 대한 교사와 교육현장의 관심과 이해를 도모하고, 효과적인 운영 및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P시에 소재한 4개의 일반학교와 3개의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총 142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진흥법에 대해 자격유형과 상관없이 모두 모르겠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알고 있거나 잘 알고 있는 교사들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교사는 장애영재에 대해 모르는 교사가 더 많았으며, 특수교사는 알고 있는 교사가 더 많아 장애영재에 대한 인지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자격유형과 상관없이 장애영재교육은 대부분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장애영재아동의 발생율에 대한 인식은 자격유형과 상관없이 1~5%일 것이라고 응답한 교사들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영재교육의 실시현황에 대해 전체교사와 특수교사는 잘 실시되지않고 있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나,일반교사는 잘 모르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셋째, 장애영재아동 선별시기는 자격유형에 상관없이 초등학교, 유아기, 중학교의 순으로 의견을 나타냈다. 장애영재아동 교육시기에 대해 전체 교사와 일반교사는 초등학교,특수교사는 유아 기와 초등학교를 장애영재아동 교육의 적절한 시작시기로 보았다. 또한 장애영재아동의 교육이일반 영재교육과 차이를 두어야 한다는 의견이 자격유형과 관계없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장애영재교육 담당자는 외부 영재교육 전문가가 장애영재교육을 담당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넷째,전체교사와 특수교사는 장애영재교육 관련연수를 받겠다는 의견이 더 많았으나,일반교사는 받지 않겠다는 의견의 더 많았다. 장애교육관련 연수를 받겠다는 이유로는 자격유형에 상관없이 장애영재아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돕기 위해서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으며, 장애교육관련연수를 받지 않겠다는 의견의 이유는 자격유형에 상관없이 현장에서 실시하기 어렵다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장애영재교육 발전방안 우선순위에 대해 전체교사와 일반교사들은 장애영재아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 장애영재아동교육을 위한 정책 및 예산 지원을 우선적으로 생각하였으나, 특수교사는 장애영재교육 발전방안을 장애영재아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장애영재아동의 판별을 위한 적합한 절차개발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me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ng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bout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2 teachers in the 7 schools of P C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all of the teachers do not know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about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motion Act, and it was not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know`` or ``are familiar with it``. General teachers were more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do not know about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ir recognition. And the most need was recognized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Second, the awareness on the incidence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most responding to 1-5%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And the most common response for all the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not been carried out well on the status of implementation for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the most common response for general teachers do not know about the incidence. Third, the time of screening for the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 order of the comments as follows elementary, early childhood, middle schools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And the tim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lementary for all and general teachers, elementary, early childhood for special teachers. Also the most common response should be differences with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And the most common response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to responsible outside experts. Fourth, the opinion that related training would receive were more the all and special teachers than the general teachers. The reason the training would received was the most common response for interest and understanding about the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And the reason the training would not received was the most common response for the difficulty of conducting field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Fifth, the development plan for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 order of the comments as follows interest and understanding, policy, budget support for all and general teachers. But the development plan for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 order of the comments as follows interest and understanding, development of procedures for determining for special teachers.

      • 교회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

        이점조,최영희 한국발달장애학회 2009 발달장애연구 Vol.13 No.1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the object of examining difference in Sunda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reality of Sunday school inclusion, and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disabled students to get Sunday school inclusion effectiv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6 teachers in charge of disabled student parts and 215 teachers in charge of non‐disabled student parts at the Sunday school of ordinary churches in a large city. The teachers included those of infant‐preschooler parts, elementary parts, middle school parts, and high school parts.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reality of Sunday school inclusion, teachers in charge of disabled student parts perceived general inclusion and difficulty in inclusion higher than those in charge of non‐disabled student parts. Second, with regard to difficulties in Sunday school inclusion, perception of the difficulties was higher in female teachers than male ones among the teachers in charge of disabled student parts, and in male teachers than in female ones among the teachers in charge of non‐disabled student parts. Perception on teachers’ specialty was higher in teachers without a certificate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a university or higher than in those who graduated from a school lower than university among both teachers in charge of disabled student parts and those in charge of non‐disabled student parts. The necessity of inclusion was perceived more highly by teachers of elementary students than by those of infants and preschoolers. For successful inclusion in Sunday school, ordinary church believers’ perception of the disabled is important.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and promotion are required, and at the same time, empirical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for creating practical environment to execute Sunday school inclusion. 이 연구는 교회학교 통합교육 실제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 차이를 밝혀 장애학생이 교회학교 통합교육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대도시에 소재한 일반교회에서 교회학교에 봉사하는 장애학생부 담당교사(246명)와 비장애학생부 담당교사(215명)로 영아․유치부 교사, 유년․초등부 교사, 중등부 교사와 고등부 교사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론은 교회학교 통합교육 실제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은 장애학생부 담당교사와 비장애학생부 담당교사 간에는 통합교육 전체영역과 통합교육 어려움의 영역에서 장애학생부 담당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가 돌봄의 차원을 넘어 비장애학생과 함께 함의 당위성을 나타낼 때 진정한 이웃으로 배워나가는 효율적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KCI등재

        교생들이 관찰 경험한 중학교 지리 수업

        강창숙(Chang Sook K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2

        다양한 수업의 구조와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우연한 것이든 의식적인 것이든지 간에 그러한 구조와 역동성을 교과에 관련된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활동으로, 그리고 특정한 맥락 내에서 연구해야 한다. 지도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실제 수업 상황에서 도제하게 되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연구는 특히 그러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중등예비교사인 9명의 지리교생이 지도교사의 38시간 수업을 참관하면서 관찰한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생들의 지도교사는 대부분 지리교육을 전공한 경력교사였으며, 2주간의 참관수업에서 교생들은 주로 지도교사의 중학교 지리수업을 참관하였다. 둘째, 지리교생들은 같은 수업을 관점에 따라 다르게 보기도 했다. 즉, 교생들은 학생들과 문답식으로 설명이 이루어지는 수업은 긍정적인 관점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수업``과 ``자유스럽고 활기찬 수업``으로 관찰했고, 교사들의 평범하고 조용한 수업을 ``차분한 수업``으로 관찰했다. 셋째, 지리교생들은 부정적인 관점에서 ``학생중심의 모둠별 발표와 이에 대한 교사의 수행평가``로 이루어진 수업은 매우 산만한 수업으로 관찰했으며, 교사들의 ``교과서 중심의 강의식 수업``과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직된 수업으로 관찰했다. 넷째, 연구자의 관점에서, 관찰된 중학교 지리수업의 가장 큰 특징은 모두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이었고, 학생과 교사의 질문이 없는 수업이었다. 요컨대, 지리교생들의 이러한 관찰 경험 중에서도 특히 ``지리 수업의 실재성`` 그리고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경험은 지리 수업의 실제에 대한 교생들의 이해를 강화하거나 교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different forms of learning, whether incidental or conscious, we have to study them as parts or aspects of concrete historical activities with specifiable contexts. This realization is more embodied in apprenticeship learning situations of the student teachers.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on geography teaching as a participant observer in the secondary schools. The 9 student teachers during the teaching internship have written their 38 journals, which was quality analysed to find out key concept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Major conclusions are suggested below as follows. First, the most student teachers were experienced in geography teaching in the secondary schools through the 2-weeks practice teaching. Second, in the positive perspective, student teachers observed on that teachers would teaching well interact with student and experienced teachers would settle down to student`s studies. Third, in the negative perspective, student teachers observed on that teachers lecture with only text, and cooperative learning by student presentation in the geography class. Finally, In third person perspective, there is no students` or teachers` productive questions in the whole-class conversation. In addition to that the most mentor teachers lecture do all of the talking in class. In effect these student teachers` experiences, especially ``reality of the geography teaching`` and ``practical knowledge of the novice mentor teachers or experienced mentor teachers``, either reinforce or modify understanding about the geography teaching practices.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사인식 분석

        지봉환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3

        교사는 학생을 전제로 의미를 부여받고 교사의 존재가치는 학생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교사-학생 간 관계의 건강을 점검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건강한 관계가 서로의 존재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와 학생은 서로 함께하는 환경 속에서만 존재할 수 있고 존재의미를 지닌다. 교사와 학생간의 건강한 관계가 요구되는 이유이다. 관계의 건강은 서로를 어떻게 판단하고 어떤 존재로 인식하느냐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교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통해 양자관계의 건강을 점검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교사에 대한 전통적 관점을 고찰하고,학생의 교사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그러한 인식이 형성된 맥락을 조사하였다. 특히 학생들이 생각하는 교사의 역할과 학생과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고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형성되는 원인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의 역할로는 '학습을 도와주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으며,학생과의 관계는 '스승과 제자’를 바람직한 모델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비인간적 행위와 교과에 대한 능력 부족을 바라보는 시각이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교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eachers are given meaning from students, and their values are formed with the relationship of students. Therefore, check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a meaningful work. For good relationships improve values of each other. Teachers and students can exist only under the environment of going together and have existing meaning. This is why goo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re needed. A condition of a goo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combined with a problem about judgement and recognition of each other.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ntend to check the condition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through students' recognition for teachers. To do this, I considered a traditional point of view about teachers and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 also investigated carefully students' fundamental recognition about teachers and connection about formation of such recognition. Especially, I looked at the role of teachers, good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causes of forming neg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generally, students were affirmative to their teachers, but their negative point of view was also high. Particularly this study shows that the students' view about teachers is very negative when teachers do immoral acts and reveal their poor teaching ability. Finally, I dealt with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ognition of students regarding such bad teachers.

      • 교육실습의 내용과 환경 분석

        이경희 ( Kyung Hui Lee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6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2 No.1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학부 및 교육대학원생들의 2006학년도 1학기 교생실습 상황을 고찰한 것이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육실습의 내용과 현황을 분석하고, 그 장점과 문제점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다룬 내용은 실습학교의 환경, 담당교과목, 생활 지도와 특별활동, 학업 및 행정업무, 교육실습 전반에 대한 평가 등 5개 영역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육실습생을 위한 사전 교육자료 및 효율적인 교육실습제도의 정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6학년도 1학기 교육실습에 참여한 경희대학교 학부 및 교육대학원 재학생 393명(학부 179명과 대학원생 214명)을 설문연구의 표집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2006년 5월 1일부터 6월초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552부를 배포하여 339부가 회수(61.4%) 되었다. 조사는 교육 실습이 끝난 후 교육실습 평가회 시간에 담당 교수들과의 협조를 받아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육실습의 내용과 현황분석 하였고, 그 결과 도출된 결론을 토대로 교육실습의 내실화 방안과 효율성 증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실습 대상학교의 실습학생 수 조정 필요성, 둘째, 수업진행을 위한 체계적 교육 및 연습의 필요성, 셋째, 생활지도 및 특별활동 지도를 위한 능력 배양의 필요성, 넷째, 학생들과의 관계형성 증진 방법 및 통솔력 배양 필요성, 다섯째, 교육실습의 보완 및 실습제도의 개선 필요성 등을 개선의 논점으로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the student teachers` practicum of secondary schools. Questionnaires were us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is project included 96 college student teachers and 124 graduate student teachers of both Suwon and Seoul campuses. A Chi test using SPSSWin 12.0 version was conducted on data collected from 220(86.6% return rate) of 330 questionnaires to clarify frequenc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nd also between Seoul and Suwon campus. Suggestions :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 of the student teachers practicum: A higher number of schools accommodated 66-70 student teachers from five or seve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re should be a guideline for the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 practitioners accommodated for one school in order to provid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atmosphere and programs. Student teachers expressed strongly the needs to learn teaching skills and acquire sufficient subject knowledge before their practicum. They also felt difficulties in creating learning atmosphere, maintaining students` interests of learning, and drawing their attentions to class discussions. Most of student teacher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nd counseling students. Practicum courses should help student teachers to acquire more knowledge and to develop skills prior to their practicum. Student teachers expressed strong needs to learn ways to build good rapport with their learners.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the effici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that incorporates all necessary teacher facilitated and student centered teaching skills.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should make collaborative efforts to improve the overall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student teacher practicum. They should consider in terms of the extension of practicum period, adequate preparation before their practicum, and arrangement of more practicing schools.

      • KCI등재

        가족해체 다문화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김성애,이윤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to know in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with their disorganized family how to adjus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e research is based upon in-depth interview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ring May to July in the year 2018.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eachers saw that the students’ family environment had influenced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Mother’s economic hardship as bread earner, lack of information about education environment, instability of family life contributed to the students’ inclination to public recognition, violence, or others’ opinion. And when it comes to learning, they tended to fall into stagnation and inertia in addition to unsociability. As family situation affected school life, students need to benefit from psychotherapy program for emotional stability, individual learning program for under-performed learning, social network formation for stable care. Second, the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y in playing multi-roles, lack of information, little cooperation of multi cultural family, structural problem of school on-sites, difficult role as mediator of conflicts during their teaching process, implying preparation for effective channel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duction of workload. Third, teachers’ effort were found to change students, parents and even teachers themselves. They took care of emotional deficiency and offered advices, learning opportunities, and scholarship to those students who have seen family disorganization. This kind of teachers’ efforts brought about movement of parents and students to open minds, to approach to the teachers for affection and to get ready to be advised. Teachers could also come to better understand the student group with family disorganized. Fourth, teachers found it necessary to expand training for concrete case, teaching manual, student support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learning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to adapt to school life. That is, they need to accommodate more public resources to play a role of aknowledgeable bridge between students and public resources, while supported more systematically and practically with more information and opinion collected in multi channel. The research above implies that it simply presented students’ adjustment process indirectly through teachers’ experience. Thus following research may address directly students’ or parents’ experience of family disorganization. Moreover, as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ing male students, further research can be done to include other gender and class group. 본 연구는 가족해체 다문화학생을 지도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가족해체 다문화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적응을 위해 초등교사에게 필요한 개선방안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으며, 5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5월부터7월 심층 면담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가족해체 다문화학생의 가정환경, 즉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경제적 어려움, 교육 환경에 대한정보 부재, 가정에서의 불안정한 상황은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험하였다. 또한, 학습 부진과 무기력에빠져 있는 모습을 보았고, 교우 관계도 원만하지 못하였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가족해체 다문화학생의 지도 과정에서다중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 정보 부족과 다문화가정의 비협조, 학교현장의 구조적인 문제와 갈등의 중재자로서어려움을 경험하였다. 교사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학생 정보에 대한 객관적인 전달의 통로와 교사의 업무경감 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가족해체 다문화학생들의 정서적 결핍을 감싸주었고, 학생들에게상담과 학습, 장학금 혜택 등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러한 교사들의 노력은 다문화학생들이 마음을열고 교사들에게 다가와 애정표현을 하였으며, 학부모들도 교사들의 조언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 넷째, 가족해체다문화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방안으로 초등교사들에게 구체적 사례 연수와 매뉴얼이 필요하며, 초등교사가 학생과공적 자원 사이의 가교의 역할을 할 수 있게 공적 자원이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현장 교사들에 대한 다채널의의견 수집이 동반되어 더욱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제언을 하면, 첫째, 본 연구에서는 가족해체 다문화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이 교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가족해체 다문화학생을 직접 대상으로 한 학교생활 적응 연구와 학부모의 자녀들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를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남학생을 지도한 초등교사의 경험으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성별, 학교급별로 지도 경험을 연구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이수영(Lee, Soo-Young),정재은(Jung, Jae-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초등교실 공간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초등교실 공간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간 인식의 차이, 교사와 학생의 성별 간 인식의 차이, 학생의 학년 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초등교실 공간에 대해 이미지를 조사⋅분석하기 위해 의미변별법을 사용하였고, 교실 이미지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차이와 성별의 차이는 t-검정을, 학년에 따른 차이는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실 이미지에 대한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교실 공간은 ‘다양성’, ‘안락함’, ‘즐거움’, ‘포용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는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다양성 요인에서는 ‘활기찬’에, 안락함 요인에서는 ‘안전한’에, 즐거움 요인에서는 ‘행복한’에, 포용성 요인에서는 ‘협력적’에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다양성 요인에서는 ‘활기찬’에, 안락함 요인에서는 ‘안전한’에, 즐거움 요인에서는 ‘즐거운’에, 포용성 요인에서는 ‘개방적’에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교사와 학생의 교실에 대한 이미지의 차이는 다양성, 즐거움, 포용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보다 학생들의 교실에 대한 이미지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사와 학생의 성별에 따른 교실에 대한 이미지의 차이 분석 결과 남녀 학생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교사의 경우에는 안락함과 즐거움 요인에서 여교사의 인식이 남교사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섯째, 학년에 따른 학생 응답 평균의 차이는 다양성, 안락함, 즐거움, 포용성 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4학년이 5학년이나 6학년보다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교실 공간을 만들고 교실 공간을 평가하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와 학생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학생의 인식이 교사보다 높지만 약간 긍정의 수준으로, 매우 긍정의 수준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만큼 초등교실 공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초등학교 교실 공간을 다양성을 충족하면서 새롭고 창의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교실 공간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저학년 교실 위주의 현 학교공간혁신 사업의 대상을 고학년 교실에 대한 개선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elementary classroom space through the image of the current elementary classroom spac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gender, and between students grade levels. Methods To find the image of the current classroom spac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as use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classroom image.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image of the classroom space were verified through t-test,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were confirmed through ANOV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constituent factors of the classroom image, the classroom space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diversity’, ‘comfort’, ‘pleasure’, and ‘inclusiveness’. Second, for the image of classroom spa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most positively to ‘vigorous’ in the diversity factor, ‘safe’ in the comfort factor, ‘happy’ in the pleasure factor, and ‘cooperative’ in the inclusiveness factor.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ded most positively to ‘vigorous’ in the diversity factor, ‘safe’ in the comfort factor, ‘fun’ in the pleasure factor, and ‘open’ in the inclusiveness factor, regarding the image of the classroom space.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images of the classroo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diversity, pleasure, and inclusiveness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had a more positive image of the classroom than the teachers(p<0.01).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age of the elementary classroom spa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tudents, but in the case of teachers, female teachers perceptions of comfort and pleasure factors were more positive than male teachers(p<0.05.) Sixth, the difference in the mean according to grad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ll factors of diversity, comfort, pleasure, and inclusiveness. Overall, the 4th grader had a more positive image of the current classroom space than the 5th or 6th grade(p<0.05). Conclusions In order to restructure the classroom space and evaluate the classroom space,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s essential. As a basic study for such particip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classroom space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although students perceptions were higher than teachers , they were at a slightly positive level, somewhat far from a very positive level of elementary classroom space. Efforts for improvement are required continuously. In particular, efforts to change the classroom space new and creatively while satisfying diversity are required, and since the perception of the classroom space was relatively low toward the upper grades, improvement of the classroom space in the upper grades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Changes in Student Teachers` Sense of Efficacy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um

        ( Sun Jin Oh ),( So Jung Se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8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student teachers` levels of sense of efficacy before and after their student teaching practicum.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variables of interest affected the student teachers` sense of efficacy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7 student teachers double-majoring in elementary (K through Grade 3)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were enrolled in student teaching credits during Fall 2009 and Spring 2010 at a Midwestern research-extensive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Paired t-tests indicated that the student teachers who responded to both pretest and posttest reported that their sense of efficacy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during a student teaching experience in overall student teachers` efficacy scores. Along wi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