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연예술 지원정책과 비정규직 문제 고찰: 프랑스와 미국과의 비교

        고종환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9 프랑스문화연구 Vol.43 No.1

        Jusqu’ici, nous avons examiné les performances et les politiques de soutien de la France et des États-Unis, qui sont reconnus comme des pays avancés dans les arts du spectacle et les problèmes liés aux travailleurs intermittents afin d’examiner les politiques de soutien en Corée accordées aux arts de la scène, qui revêtent une importance croissante. Parmi celles-ci, pour la France, nos examens se sont concentrés sur des discussions sur l’assurance de chômage spéciale pour les travailleurs intermittents et les professionnels des arts du spectacle, dans le cas des États-Unis, nous avons examiné de diverses politiques de soutien aux arts du spectacle grâce aux ressources les plus abondantes disponibles du Gouvernement fédéral et des Etats. Avant de passer en revue les politiques françaises et américaines sur les arts du spectacle et les travailleurs intermittents, nous avons tout d’abord examiné divers cas mis en cause dans la politique coréenne sur les arts du spectacle et nous avons découvert pourquoi la France et les États-Unis peuvent être qualifiés de pays de la performance. En conséquence, dans le cas des industries de la culture et de la performance, des recherches actives sont menées sur les professionnels de la culture et des arts et sur diverses politiques de soutien. En particulier, nous avons constaté qu’aux États-Unis, le marché de l’emploi, le marché du travail, etc., concernant principalement les problèmes liés à l’emploi des personnels et des artistes du spectacle sont analysés et examinés. Nous avons également constaté qu’en France les artistes et professionnels liés aux arts du spectacle sont examinés et étudiés sous l’angle de travail, différemment des États-Unis, en tant qu’un pays traditionnellement socialiste, le traitement réservé à divers travailleurs, y compris les artistes du spectacle, qui participent à des activités culturelles et du spectacle vivant est analysé et étudié du point de vue des droits de l’homme. En outre, il est important de découvrir quels sont les différents problèmes auxquels est confrontée le monde des arts du spectacle en Corée, qui semble avoir connu un effet visible du développement grâce à cette étude. Par exemple, l’aspect le plus important des professionnels des arts du spectacle est la sécurité de l’emploi et la stabilité du revenu, et nous savons également quelles mesures préalables sont nécessaires pour atteindre cet objectif. Il est également très important de diversifier le marché de la performance, de fidéliser le public et d’envisager des mesures concrètes pour le faire. En outre, nous avons étudié les problèmes pratiques rencontrés en Corée dans les arts du spectacle, notamment le développement du spectacle musical et de l’opéra, l’absence de statistiques précises et l’inefficacité du soutien financier, ces problèmes devraient être bien résolus afin de surmonter les difficultés du monde des arts du spectacle. L’introduction d’une assurance chômage spéciale pour les artistes du spectacle, qui n’a pas encore été mise en place, et un soutien équitable sont les mesures les plus nécessaires pour les professionnels des arts du spectacle en situation instable, et une analyse comparative de la politique française de soutien aux travailleurs intermittents et d’une assurance chômage spéciale peut également être envisagée. En outre, tout comme le gouvernement fédéral américain, les États et diverses institutions ont contribué au développement des arts du spectacle aux États-Unis en fournissant un soutien financier sous divers noms, en Corée aussi, il est nécessaire de se doter d’un système de soutien financier plus diversifié et concret. Dans nos études, nous avons examiné les points forts que les arts du spectacle français et américains ont par rapport au monde des arts du spectacle coréen, à savoir les travaill...

      • KCI등재후보

        SF영화의 판타지 유저인터페이스(FUI)와 스펙터클

        윤현철(Yoon, Hyun Chul)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7 No.2

        시선을 압도하는 디지털 영화의 스펙터클은 내러티브와의 관계 속에서 연구되는 경우가 많지만 테크놀로지 측면에서 볼 때 사실주의적 표현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특히 과학이나 기술적인 지식을 근간으로 미래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을 실감 있게 표현하는 SF영화는 사실주의적 스펙터클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실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SF영화의 판타지 유저인터페이스의 특성과 스펙터클의 미학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디지털 영화의 스펙터클에 대해 테크놀로지와 사실주의 관점에서 재정의 하고 이를 바탕으로 SF영화에 나타난 판타지 유저인터페이스의 유형을 CLI, GUI, NUI, BCI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대표적인 마블 SF영화인 <아이언맨>과 <어벤져스>시리즈를 대상으로 판타지 유저인터페이스에 표현된 스펙터클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영화의 사실주의적 스펙터클은 비매개 스펙터클, 하이퍼 스펙터클, 초현실적 스펙터클, 유희적 스펙터클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SF영화의 판타지 유저인터페이스는 CLI, GUI, NUI, BCI에 대하여 각 각 복잡한 기계적 컨트롤, 투명한 디스플레이 장치, 비은유적 상호작용, 의인화를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마블 히어로 <아이언맨>과 <어벤져스>시리즈에 대한 스펙터클을 분석한 결과 CLI, GUI는 테크놀로지를 시각적으로 과시하려는 경향이 강했고 NUI, BCI는 상호작용 행위의 과장으로 표현된 경우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SF영화의 판타지 유저인터페이스는 미래의 인터페이스 기술을 과도한 시각장치와 화려한 상호작용으로 포장하여 비매개와 하이퍼매개의 경계에서 과잉의 스펙터클을 전시하고 있었다. The spectacle that overwhelms viewers" gaze in digital movies is mostly studied in the relation with the narrative, but from the technology"s aspect, it is closely related to realistic expressions. Especially, SF movies that vividly express future human-machine interface technology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ical knowledge are important research subjects that provide the understanding of realistic spectacle.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fantasy user interface in SF movies and the aesthetics of spectacle in the relation with realism. The research method is to redefine the spectacle in digital movies in the perspectives technology and realism and based on this, to classify the types of fantasy user interface in SF movies into CLI, GUI, NUI and BCI. Besides, with <Iron Man> and <Avengers> series, which are representative marvel SF movies, the spectacle expressed in fantasy user interface i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alistic spectacle in digital movies was divided into immediacy spectacle, hyper-spectacle, surrealistic spectacle and amusing spectacle, and fantasy user interface in SF movies had characteristics of complicated mechanic control, transparent display device, non-metaphorical interaction and personification about CLI, GUI, NUI and BCI.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pectacle about <Iron Man> and <Avengers> series showed that CLI and GUI tended to boast technology visually, and NUI and BCI were expressed with the exaggeration of interaction activities. As a result, fantasy user interface in SF movies was exhibiting excessive spectacle at the boundary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by beautifying future interface technology with excessive visual device and splendid interaction

      • Lear O’ Bedlam : The Spectacle of Suffering and the Vagrant Sovereignty in King Lear

        Hyejun Kim Ewha Institute of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2021 Journal of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Vol.19 No.1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Bethlem hospital and the theater to track the spectacle of suffering inherent in King Lear. In doing so, this paper also unearths Edgar and Lear’s precarious political identity and the spectacle-making process of him, and ultimately the stronger potential that the theater held compared to the spectacles of Bethlem. This paper first explor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ectacles of Bethlem and the text itself through Edgar. After pinpointing the analogy, this paper will further explain the mechanism of spectacle-making process through incorporating Agamben’s argument of bare life. In this part, taking Edgar as an example, I argue that the spectacle-making is the attempt to create a binary between the bestial humanity and the politicized humanity to create a backdrop that can vouch for the latter’s security. In the second part, I apply the previous logic on Lear and contend that he also becomes the object of the charitable but objectifying spectacle. Moreover, I will assert for the particularity of Lear’s sovereign spectacle-making process. To argue for this case, I bring in Kantorowizc’s The King's Two Bodies: A Study in Medieval Political Theology to explain the concept of “Body natural” (57). More importantly in the last section, I will investigate how the theater possessed a different potential than that of the spectacle of Bethlem. The different potential of the theater arises as the characters such as Edgar and Lear had the ability to self-fashion their identities, and because the staging of Lear’s bare body enabled the Eucharistic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s in the woe of sovereign’s descent into bare life.

      • KCI등재

        대한민국의 지리산 지구 대(對)유격전(1948.10~1950.5) 재현과 스펙터클

        임종명 역사학연구소 2022 역사연구 Vol.- No.45

        This essay deals with the images the newspapers manufactured in their representations of ROK’ counter-insurgency at Chiri-Mountain area which had been waged from October 1948 to May 1950. Especially, it examines the image of spectacle the representations had constructed. Spectacle shows itself at the venue of the modern agi-pro works as was exemplified by the German Third Reich. This tells us that spectacle itself was a product of the power politics and its expression. When reading the contemporary newspapers on ROK’ counter- insurgency at Chiri-mountain area, one knows that they represented it as a spectacle. They, laying the linguistic emphases on the spatiality, built the imaginary stage for the consecutive construction of a spectacle. The stage building was followed by the works of representing the counter- insurgency as a kind of a thrilling dynamic drama while visualizing it to the contemporary newspaper readers’ eyes. Furthermore, the newspapers, exploiting unusual sound and light to the representation works, solidified the groundwork of constructing a spectacle. At last, the newspapers constructed the counter-insurgency as an authentic spectacle by laying their foci upon ROK army and air force’s three-dimensional joint operation. The construction of a dramatic spectacle was geared to promote contemporary South Korean people’s embracement of ROK’ political agenda by appealing to the people’s senses which preferred a spectacle as was apparent in the contemporary popularity of war movies. That is, the newspapers, taking advantage of their preference to their purposes, represented the guerrillas as mountain animals which were to be frozen, starved, and shot to death. This representation carried the message: “If you join the revolt against the ROK, you cannot avoid your doomed destiny of being killed in the mountains!” This was the very politics of the spectacle the newspapers loyal to ROK tried their best to construct. 본 논문은 대한민국 수립 직후 지리산 지역의 유격전(guerrilla warfare)/대 (對)유격전(counter-insurgency)이 당대 신문지면에서 재현·구성되는 모습과 그 이미지를 검토한다. 이에 있어, 본 논문은 당대 신문 기사들이 독자의 감각, 특히 시각에 호소하면서 일종의 스펙터클(spectacle)로 재현하는 것에 주목한 다. 오늘날 “삶의 전범”이자 “세계관”이라는 지위를 얻기까지 한 스펙터클은 대 중 정치를 그 특징으로 하는 근대 정치의 선전·선동 작업에서도, 예컨대 독일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나치당) 치하 독일 제3제국의 선전·선동에서, 자신의 모 습을 보여준다. 이는 스펙터클이 지배 질서를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한 권력적 노력이자 그것의 표현물임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에 유의하여 지리산 지구 대유격전 관련 신문 기사들을 살펴볼 때, 우리는 그 기사들 역시 그 전쟁을 일종의 ‘볼만한 구경거리’ 즉 스펙터클로 재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먼저, 그것들은 특파원 기자의 현장성이나 기사의 지역성·공 간성을 환기하는 어구 채용 등을 통해 전장의 공간성을 구축한다. 이것은 향후 펼쳐질 스펙터클의 무대를 가설(架設)하는 공사였다. 이어서, 관련 신문 기사들은 시간순의 반전(反轉) 서사 구조와 공간성 환기의 어구 등의 채용을 통해 대유 격전 기사에 동적(動的)인 요소와 극적(劇的, dramatic)인 요소를 배치하는 한 편 독자들의 심상에서 대유격전을 가시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유격전 재현 기사들은 감정에 호소하는 감성적 언어와 표현을 통해 전황의 불가측성(不可測 性)과 국군의 위기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대유격전을 긴박감 넘치는 동적 인 스릴러(thriller)물(物)로 재현하려는 노력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기사들은 ‘비일상적인 음향과 색채·빛’을 동원해 재현의 극적인 요소들을 강화하는 한편 스펙터클의 요소들을 구비하였다. 끝으로 대유격전 보도 기사들은 국군의 대규모 유격대 포위망과 국군·공군 의 ‘입체적인 공(空)·육(陸) 합동전’의 재현을 통해 대유격전을 본격적인 스펙터클로 재현하였다. 이에 더하여, 그것들은 ‘공륙 입체전’을 조감도(鳥瞰圖) 방식으로까지 재현해, 대유격전을 ‘조감 가능한 일종의 장관(壯觀)’으로, 달리 표현하면, ‘볼만한 구경거리’로 만들고자 하였다. 대유격전의 극적인 스펙터클화(化)는 당대 대중의 흥미 감각을 이용해 대한민국의 정치적 의제의 대중적 수용을 촉진 하고자 하는 의식적·무의식적 노력이었다. 당대인들은 전쟁영화와 같은 스펙터 클한 극적 구성물을 선호하였다. 이에 유의하면서, 대유격전 보도 기사들은 대 유격전을 스펙터클로 구성해 유격대를 ‘국군의 포위망에 걸려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며 얼어 죽고 굶어 죽다, 끝에는 먹을 것을 구하다 오히려 총 맞아 죽는 산짐승’으로 재현·표상하였다. 이와 같은 이미지는 당대인들의 마음에 ‘반란에 가담하면, 너 죽어.’라고 하는, 간결한 그러나 협박조의 메시지를 새겨 넣고자 한 것이었다. 바로 이것이 대한민국 수립 직후 지리산 지구 대유격전의 스펙터클화가 당대 대중들에게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였다.

      • KCI등재

        평양 도시 건설 스펙터클에 관한 소고 — 열망과 체념의 정동을 중심으로 —

        김성경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9 개념과 소통 Vol.0 No.24

        Pyongyang is often described as a “massive movie set,” indeed the North Korean regime carefully plans Pyongyang and its spatial arrangement based on the ruling ideology.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and in particular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Pyongyang in the 1950s, socialist values and ideas were all-pervasive, so that the experiences and consciousness of the people living in Pyongyang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represented image of Pyongyang. Borrowing Debord’s critical concept of ‘spectacle,’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the spectacle of Pyongyang gives rise to specific feelings, sentiments and emotions for North Koreans. The Pyongyang spectacle influences North Korean people to be passionate about the socialist revolution and encourages self-reliance in the face of foreign pressure. Moreover, the representation of Pyongyang and its effects tend to converge upon the leader, which is similar to Debord’s concept of the ‘concentrated spectacle.’ For example, the spectacle of ‘Pyongyang speed’ in the 1950s delivered a certain degree of passion to North Koreans, but its unusual productivity and achievement was interpreted as the outcome of Kim Il-Sung’s leadership. A similar process has been repeated throughout North Korean history, but in recent years Pyongyang’s reconstruction and its concomitant spectacle, in addition to inspiring a passion for the socialist revolution and for self-reliance, have also engendered a new and now more important passion: the desire for consumer products. This does not, however, imply a positive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Although the Pyongyang spectacle does not affect North Koreans in quite the same way as it used to, they are far from completely free of the spectacle. As with other people elsewhere in the world, they face an unsolved problem of how to escape from the chain of signs and images which create the iron cage of human being. 평양은 ‘거대한 세트장’으로 회자되곤 한다. 평양의 공간은 북한이 지향하고자 한사회주의적 가치가 적극 투영되어 있으며,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경험과의식을 구성한다. 본 연구는 재현된 이미지가 장악한 현실과 경험 세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기 드보르의 ‘스펙터클의 사회’의 문제의식을 적극 차용하여 평양이라는 북한 도시 스펙터클이 추동하는 정동적 힘에 주목한다. 평양 스펙터클이‘하는 일’은 사회주의 혁명 완수와 외부의 압력에 맞서 자력갱생이라는 열망을 북한 주민에게 정동하는 것이다. 예컨대 한국전쟁이 끝나고 평양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에게 전달된 ‘평양속도’의 이미지는 주민들의 혁명 열망을 추동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은 최근 평양의 도시 재건축의 과정에서도 의도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평양 재건기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고자 한 열망과 최근 평양 도시를 둘러싼 재현이 정동하는 감정에는 그 밀도의 측면에서 구별되지만, 그 상징의 정점에 지도자가 위치한다는 점에서 평양 스펙터클이 ‘하는일’과 ‘하고자 하는 일’은 유사하다. 그럼에도 주목할 것은 최근 평양 곳곳에 들어선 현대적 건물의 스펙터클은 지도자를 향한 인민의 열망뿐만 아니라 소비적 욕망을 함께 정동한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스펙터클의 틈새를 비집고 나올 수 있는 주체적이며 능동적인 인민의 탄생보다는 더욱 촘촘해진 이미지세계의 확산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기호와 상징이 현실과 경험을 대체하고 있는전 세계적 상황은 북한만을 예외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스펙타클-자본주의’와 이데올로기

        조은평 ( Cho Eun-pyung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8 시대와 철학 Vol.29 No.3

        본 논문은 현대사회를 ‘스펙타클-자본주의’라는 개념으로 포착하고, 이를 통해 현대의 변화된 정치지형에서 ‘이데올로기’가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나름의 ‘철학적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새롭게 변화된 현대사회에서는 과거와 달리 ‘이데올로기’가 작동하는 방식도 변화될 수밖에 없다. 오늘날 전 지구를 지배하게 된 자본주의는 이제 단순히 생산과 소비라는 경제적인 영역만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아감벤의 말대로 인간의 언어적 소통방식까지 장악하면서 보다 치밀한 지배 전략을 구사한다. 이처럼 ‘스펙타클-자본주의’는 자본의 힘을 통해 축적된 이미지를 통해 인간의 언어적 소통방식마저 장악한 사회를 의미한다. 우선 이 논문은 기 드보르의 ‘스펙타클 비판’과 아감벤의 해석을 경유해, ‘스펙타클-자본주의’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며 스펙타클 시대의 치밀한 이데올로기 매커니즘을 추적한다. ‘스펙타클-이데올로기’는 오늘날 강력하고 화려한 매혹의 힘을 통해 기존질서를 그대로 수용하는 주체들을 양산하면서 보다 치밀하지만 전혀 거부감 없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렇기에 이에 맞서는 전략도 쉽지 않다. 그럼에도 또 다른 매혹의 힘에 이끌려 기존질서와 정체성마저 허물고 새로운 주체로 탈바꿈하는 주체성의 차원에서 나름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 아울러 ‘스펙타클-자본주의’가 만들어 내는 매혹적인 환상에 맞서며 기존질서와 정체성에서 벗어난 새로운 사건적인 주체가 또 다시 ‘스펙타클-이데올로기’라는 매혹에 휩쓸리게 되는 연결고리를 끊어내는 실천적인 과제를 어떻게 마련해야 하는지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chanism of ‘Ideology’ in contemporary political landscape by analyzing modern society as ‘Spectacle-Capitalism’ and finds its own philosophical alternative. Unlike in the past, the way in which ‘Ideology’ works changes in the newly transformed modern society. Capitalism, which has dominated the whole of the world today, does not just dominate the economic realm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but rather a more precise governance strategy, taking over the human linguistic mode of communication as Agamben says. Thus ‘Spectacle-Capitalism’ means a society that has taken control of human linguistic communication through images accumulated through the power of capital.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mechanism of ‘ Spectacle-Capitalism’ through Guy Debord’s ‘Spectacle criticism’ and Agamben’s its interpretation, and tracks the precise ideological mechanism of the Spectacle era. The ‘Spectacle-Ideology’ operates in a more dense but totally irresponsible way, producing the subjects that accept the existing order through the power of today's powerful and brilliant fascination. Therefore, the strategy against it is not easy. Nevertheless, we have to find alternative ways in terms of subjectivity, which is drawn to the power of other fascination and transforms existing order and identity into a new subject. In addition, how to set up a practical task to break the link that the new eventual subject, which is out of existing order and identity, faces the fascinating fantasy created by ‘Spectacle-Capitalism’ and is once again attracted to the fascination of ‘Spectacle-Ideology’, it will be an important challenge.

      • KCI등재

        새만금 스펙터클의 형성과정

        황성희(Hwang, Sung Hee) 한국지역사회학회 2011 지역사회연구 Vol.19 No.4

        For a long time,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has been a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ssue in both North Jeolla Province and Korean society. Saemangeum issues gave birth to an opposing structure, development or conservation. The local government and people have adhered to Saemangeum reclamation consistently, and Saemangeum has operated as a rosy picture for the future prosperity of North Jeolla Province. Therefore, the so-called 'Saemangeum phenomenon' or 'dictatorship of Saemangeum' came into operation, which allowed the discourse of development and suppressed that of conservatio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ain the solidity and consistence of the phenomenon. The point of this study used to explain the Saemangeum phenomenon of North Jeolla Province is 'political spectacle'. It is Yu Jongeun, a governor, who made Saemangeum operate as a political spectacle. As a new face, the governor made up for his weak points by utilizing the politics of the spectacular. This Saemangeum spectacle has made the governor a political spectacle and the media of the province has made use of the Saemangeum spectacle to create further media spectacle. Then the local people, enchanted with the political and media spectacle of Saemangeum, came to think Saemangeum as 'the promised land.'<br/>

      • KCI등재

        진상(眞相)으로서 스펙터클 연극, 로메오 카스텔루치의 <내생(內生)하는 비극> -<#04. 브뤼셀>을 중심으로

        백영주 한국연극학회 2023 한국연극학 Vol.1 No.85

        불안한 서구 연극사에서 부차시되던 ‘스펙터클’을 전두 배치하는 실험은 ‘-post/탈(脫)-’ 현상의 반-권위․반-정통적 성향을 강화해왔다. 소비상업주의 문화와 영상 기술 매체가 전후(戰後) 일상을 잠식하면서, 기 드보르가 역설했던 ‘스펙터클의 사회’는 구조적으로 공고해졌고, 이미지의 전시성(展示性) 문제는 연극 비평의 주소재가 되어왔다. 반-재현․반-환영주의를 표방하며 재현체제에 저항해온 ‘이미지 연극’은 그 자체로 퍼포먼스인 동시에 피상적(皮相的)으로 대상화된다는 구조적 모순을 안고 있다. 이탈리아의 연출가/디자이너 로메오 카스텔루치는 관중과 무대 스펙터클과의 관계 역학을 ‘위압과 폭력’으로 상정한다. 이러한 폭압성은 ‘극장’이란 물리적 배치도에 이미 내재된 것으로, 지배욕이 추동하는 주종․주객 관계의 ‘익명성’과 이에 비롯되는 ‘비극’이 스펙터클의 본질로 간주된다. 억눌려있던 원초적 본성이 분출하며 터지는 폭력적 사건은 회피의 방어기제로 작동되는 ‘스펙터클 사회’의 구조 역학적 현상이다. 카스텔루치는 현대의 비극이 인간 중심적 이성에 의해 ‘신이 죽고’, 말 못 하는 ‘동물이 무대에서 사라질 때’ 태동한다고 보고, 극장을 ‘전(前)-비극적(pre-tragic)’ 존재성을 복권하는 곳으로 상정한다. 그리스 비극을 구조 모델로 한 11개의 에피소드 순환극 <내생하는 비극(Tragedia Endogonidia)>에서, 스펙터클의 문제는 ‘보고 - 보여주는’ 존재 입증의 굴레 속에서 고통 받는 ‘몸’과 직결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극장 연극은 ‘현실의 고통을 각인하는 현장(site)이자 광경(sight)’으로서 ‘스펙터클의 현실’을 보여준다. 시스템적으로 종식되지 않는 비극사 속에서 스펙터클로 대상화되는 몸은 역설적이게도 전-비극적인 전-언어적 차원을 정동적(情動的) 경험으로 치환해낸다. 말할 수 없이 고통스러운 현실은 윤리의식의 서사가 아닌 통각(痛覺)을 느끼는 몸을 통해 통찰되는 것이다. Italian theater director/designer Romeo Castellucci posits the dynamics of the audience and the stage spectacle as one of domination and violence. This inherent violence is already embedded in the physical arrangement of the theater, and the anonymity of the dominant - subjugated relationship and the ensuing tragic nature are considered the essence of the spectacle. The eruption of violence, suppressed primitive instincts, is a structural phenomenon of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Castellucci believes that modern tragedy emerges when 'God dies' and 'the animal vanishes from the stage.' He asserts that the theater should be a place that restores 'pre-tragic' existence. In this context, the dramatic theater is posited as 'the reality of the spectacle,' 'a site for the registering of suffering,’ and ‘a sight of the offence,’ opposing the 'social spectacle' generated by the defense mechanisms of self-denial. In the episodic drama Tragedia Endogonidia, modeled on Greek tragedy, the issue of the spectacle is directly related to the body suffering within the constraints of 'seeing - being seen' of self-acceptance. Structurally, Tragedia Enogonidia signifies a process of realizing the existence of an inexorable reality that cannot be judged by common sense. It emphasizes the corporeality of a pre-linguistic, emotional experience; the truth of reality is revealed not through the narrative of ethics but through the affected sensation of spectacles. This paper endeavors to explore the functionality and intentionality of the Castellucci’s spectacle by analyzing the formal aspects and methodology apparent in key scenes. The primary focus lies in capturing the portrayal of tragedy as a theatrical form and seeking to understand the efficacy of Castellucci's ‘spectacle theater’.

      • KCI등재후보

        집단기억의 무대화와 수행적 과정의 작동 메커니즘

        김기란 ( Ki Ra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09 드라마연구 Vol.- No.30

        This is the study on the social spectacle in Korea of the late 1900 from the point of cultural performance theory which has been useful for investigating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llective memories and their transformation machanism in the society. The performance theory is based in the notion, ``performativitat``, by which the performance can contain vary performance forms. Performativitat is the notion which points up the certain process that can cause the perceptional emotion communication called ``liminalitat`` to the performers and audiences in the performance. The social spectacle is also understood and presupposed by the performativitat. Generally speaking, the spectacle has been used of explaining the visual cultural experiences in society. Fundamentally, spectacle had resulted from the latin ``spectaculum``, which was used to designate theatrical representation in France. In the case of movie, spectacle was the grand show with showy technological attractions. But in my study, I want to concentrate on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of spectacle in the society, which can have been organized to show the social relationships. With the study on the spectacle, we can investigate the social relationships which can be showed through the social spectacle. In addition to it, to inquire the collective memories and their transformation mechanism is the core of my study. I inquire the relationship on the spectacle and the collective memories and their transformation mechanism which had been functioned through the performative process in cultural performance. To quest it, I search for the examples in the korean history, especially, execution in the open space and the national funeral of the first Empress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동체의 스펙터클(spectacle)을 문화적 퍼포먼스(cultural performance)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집단기억과 그것의 변형/ 망각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려 했다. 문화적 퍼포먼스의 개념으로 포섭할 수 있는 스펙터클은 일반적 의미로 시각적 문화 경험을 설명하는데 통용되는 개념이다. 원래 라틴어 "spectaculum"에서 유래한 스펙터클은 프랑스의 경우 연극적 재현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영화의 경우 스펙터클은 최신 시각테크놀로지의 발전을 내포하는 구경거리로 특히 보는 이를 압도하는 이미지로 구성된 거대한 장관이란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 의미를 넘어 스펙터클이 지니는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효과는 스펙터클을 단순한 수동적 구경거리가 아니라 한 사회를 조직화하는 원리로 기능케 한다. 스펙터클이 "현실적인 것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물질적으로 번역된 세계관"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은 스펙터클을 바라보는 관객들에게 미치는 사회적 경험 구성의 효과 때문이며 따라서 스펙터클의 효과가 작동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기억의 전승 과정의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다. 한편, 집단기억과 그것의 변형과 망각의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문화학의 핵심적 주제로 연극학과 문화학이 공유할 수 있는 연구 의제이다. 인간의 문화란 결국 "인간의 전승된 유무형의 경험과 지식의 집적물"이며 이 때 전승의 메커니즘은 곧 기억의 변형과 망각의 메커니즘이라고 할 때 연극은 가장 오래 된 인류 문화의 기억의 전승매체였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모방으로 번역되는 미메시스의 의미도 고대 그리스에서는 사회공동체의 기억의 기술에 다름 아니었으며 공연 과정에서 관객의 눈앞에 직접적으로 어떤 특별한 재현의 형태로 표상된 연행자의 몸은 가장 집약적인 매체로써 구슬 문화의 기억의 기술과 관계했다. 사회공동체의 문화는 본격적인 문자문화의 시대가 시작되기 전까지 연극 속 연행자의 몸(행위)을 통해 말하고, 듣고, 기억하는 과정 속에 전승되었고 관객들은 이를 통해 사회공동체의 문화를 체험하고 기억했다. 즉 사회공동체의 스펙터클이라는 문화적 퍼포먼스는 그 공연 과정에서 일정한 효과를 통해 사회공동체의 기억의 매체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종의 대한제국기 기획되었던 사회공동체의 스펙터클을 연구 대상으로 한정하여 스펙터클을 통한 일정한 시각적 변용의 과정과 효과를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기억의 전승 과정의 메커니즘으로 이해하고 분석했다. 특히 문화적 퍼포먼스인 스펙터클의 속성을 수행성이 작동하는 넓은 의미의 공연으로 이해하여 스펙터클을 통해 관철된 결과보다는 그것이 작동하는 의미화 과정의 메커니즘을 고찰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는 수행성을 속성으로 하는 공연의 분석은 그것이 창출하는 정서적 효과나 리미널리티(전이영역)가 작동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더욱 정치한 연구가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반영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인 대한제국기 사회공동체의 스펙터클을 하나의 결과물이 아니라 스펙터클이 구성되는 과정과 그 체험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당시의 실증적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공동체의 집단기억이 수행적 과정의 메커니즘을 통해 부재(不在)와 현전(現前)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고찰했다.

      • KCI등재

        Confronting the Spectacle: Jenny Holzer's Critique of Consumer Society

        김희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3

        Jenny Holzer's electronic sign boards are montages that combines digitalized fragments of words and time. Her computerized montage is inserted into the flow of advertising that has colonized urban daily life. By appropriating the 'spectacle' of the advertising, Holzer attempts to disrupt its powerful mechanism of circulation within urban cityscape. Her work disrupts passive viewing by penetrating the flow of advertising with the digitalized fragments of her words that move rapidly in time. The montages of words that have an irrational relation to one another are intended to force the viewer to call into question his or her passive consumption of the messages and the media-induced desires. Holzer intends to recover the subjectivity of the consciousness of the audience, which she believes has been manipulated by the mass media. Her interest in art, which emphasizes impersonality, dematerialization, and public sites, relates to that of Situationists who had intended to change society by revitalizing the masses a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ir reception of the spectacle by confronting it. Whereas the Situationists eventually abandoned art because they considered art unable to avoid being co-opted by mass media, Holzer replaces their distrust of art with her optimistic approach to art. She is not afraid of the fact that art is in constant danger of being assimilated into the 'spectacle.' In order to confront the system, she borrows the same institutional mechanism that advertising employs to induce the masses to desire to purchase. Although Holzer's electronic signs look conceptual and impersonal, they contain emotional and intimate messages. They create constant tension between the permanent and the ephemeral, object and void, presence and absence,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e temporal and the visual. By facing the risk for becoming part of the spectacle, Holzer's signs can be seen as counter-spectacle that talks back to the advertising world of late consume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