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문명·문화 개념의 교차

        이행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9 개념과 소통 Vol.0 No.23

        The received understanding that civilization was more or less synonymous with the achievements of the modern Western world showed signs of faltering during the 1920s. The ravages of World War Ⅰ had prompted many to doubt the significance of historical progress towards civilization, and demanded a reconsideration of human nature and a reappraisal of what constitutes true civilization. The increasing pressure for social reforms and the burgeoning cultural movement led to the concept of ‘culture’ emerging as the core of the civilization discourse. The conceptual interconnections and semantic changes of the terms ‘civilization’ and ‘culture’ during this period provide an interesting and significant subject for historical semantics. Gaebyeok, the bulletin of Cheondogyo, is very useful in this context: it offers a variety of discourses by different individuals who had examined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were seeking new directions for modernity. The various combinations of historical conception, subjects and objects of discourse, and methodologies allow recogni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of speech and conceptual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analysis emphasizes the semantic intersection of two conceptual frames: material-civilization vs. mental-culture. The boundary between these was still vaguely defined in the 1920s, and the frame of universal civilization and particular cultures gradually crystallized during this period. As the authority of universal civilization waned, the unique history and culture of each nation could emerge. A succession of books appeared on various themes, describing the distinctive traits of Joseon history and culture. Now that civilization was no longer seen as universal,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Joseon culture were concomitantly more evident, and Joseon’s national identity and singular cultural were perceived by contrast with those of other places. Writing about cultural history was more than the rectification of distortions imposed by Japan upon Joseon history: it was also a positive project on the part of the subject against colonialism. The reinvention of Joseon’s national culture, which was founded on a moral and ethical perspective, reflected the subject’s aspiration for recovery, which had been repressed by material civilization. 서구 근대의 성취를 보편으로 한 문명론은 1920년대에 들어서 흔들렸다. 세계대전의 참화는 역사의 진보와 문명의 발달에 대한 회의와 반성을 가져왔고, 인간의본질에 대한 자각과 문명의 향방에 대한 각성을 요청했다. 사회개조론의 유행과문화운동의 확산 속에 문화 개념이 문명 담론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이 시기 문명과 문화 개념의 상호 연관과 의미망의 변화는 역사의미론 탐구의 소재로 충분하다. 천도교 기관지인 『개벽』은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성찰과 함께 근대 전환의 방향을 모색하는 상이한 주체의 다양한 담론을 살펴보기에 유용한 자료다. 문명·문화를 중심으로 한 역사 인식과 그것을 추진하는 주체와 대상 및 방법이 일정하지않다는 사실에서 발화 주체와 개념의 수행성을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물질-문명, 정신-문화의 개념틀이 직조되는 과정과 개념의 의미망이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 주목했다. 정신을 근본으로 하는 문명·문화 담론에서 두 개념의 경계는 여전히 불명확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 한편 문명의 보편성과 문화의 특수성구도가 구체화한 것도 이 시기 개념 운동의 중요한 특징이다. 보편문명의 권위가해체되면서 민족 저마다의 역사와 문화가 들어설 자리가 마련되었다. 조선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주체의 시선으로 연구하여 고유한 특성을 기술한 다종의 문화사 출판이 연달았다. 문명의 보편성은 점차 형체를 잃어 갔으나 조선문화의 특수성은 보편성과 대비하여 구체화되었다. 조선의 민족적 정체성과 문화적 특수성은타자와의 대비를 통해 발현될 수 있었다. 문화사 서술은 일제에 의한 역사 왜곡을 바로잡는 과제만이 아니라, 식민주의에 맞서는 주체 기획과도 맞물려 있다. 도덕, 윤리를 본위로 하는 민족문화의 재발명은 물질문명에 빼앗긴 주체의 회복을 염원했다.

      • 중국 사회 근대적 전환의 역사단계 - 키워드 중심의 관념사 연구 -

        진관타오(金觀濤)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0 No.4

        이 글은 근대 중국 사상의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가 낳은 성과를 데이터베이스기법을 통해 소개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관념사의 파노라마 안에서 중국 사회의근대적 전환을 논의할 수 있다. 우리는 관념사 연구가 중국 사회 전환의 초안정시스템의 역사관을 확증하며, 이를 통해 관념사 연구에서 아서 러브조이(Arthur O. Lovejoy)가 언급한 기본적인 이론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우선 근대성과 직접 관련되는 100여 개의 주요 핵심어들을 선별했다. 이핵심어들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근대성의 세 가지기본 요소들(개인의 권리, 도구적 합리성, 민족 정체성)의 기원과 변모를 논의했다. 우리는 근대적 가치들을 중국이 수용하는 과정이 세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을알게 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1840~1894년에 해당하는데, 이 단계는 유교를 통한근대 서구사상의 선택적 수용이 특징이다. 유교에 존재하지 않는 가치들은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거부되었다. 근대 서구사상을 학습하는 단계는 청일전쟁(1894~1895)이후이다. 중국과 서구의 구분을 뒷받침하는 이원론적 이데올로기가 형성되었던 이두 번째 단계, 특히 1900~1914년의 시기에 개인의 권리, 도구적 합리성, 문화적민족주의는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을 야기하는 데 막대한 위력을 갖게 되었다. 이는 또한 중국의 정치사상이 서구에 근접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1915년에 재구성의 단계가 이전 학습단계를 대체했는데, 이것이 신문화운동(1915~1924) 이후 계속이어지는 세 번째 단계의 시작이다. 이 단계에서는 서구로부터 학습된 근대적 개념들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겪는다. 그러한 재구성이 낳은 것이 우리가 당대사상이라부르는 중국식 근대적 관념으로 이 관념은 5ㆍ4운동 이후 중국에서의 혁명과 당-국가 체제의 성립을 지배하였다. 근대성은 서구에서 유래하였다. 일반적으로 전통 사회의 근대적 전환은 민족국가를 확립하기 위해 서구의 근대적 가치들을 학습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하지만 중국에서 서구로부터의 학습단계는 매우 짧아서 20년이 채 안 된다. 중국의 전통적인사고 방식의 영향력이 중국식 근대적 관념 형성에 중요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바는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이 중국 전통 사회의 작동 양식에 의해 지배되었다는 점과 역사 속의 문화 통합 양식, 즉 역사 속의 초안정시스템은 여전히 붕괴하지않았다는 점이다. 초안정시스템은 고대와 근대의 중국 역사를 설명하는 데 시스템론(system theory)을 이용하기 위해 우리가 제안한 양식이다. 이 양식은 불변하는심층 구조의 사고 방식 때문에 유효성을 갖는다. 『중국 근대 사상의 기원: 초안정구조의 관점에서 본 중국 정치 문화의 변천』에서 우리는 심층 구조의 사고 방식을논의했다. 100여 개의 개념들에 대한 우리의 검토는 불변하는 심층 구조의 사고방식의 존재에 대한 증거이다. 비록 1930년대 초 아서 러브조이는 이미 관념이 장기 지속적이고 변화하기 어려운 사고 방식이라고 믿었지만 그의 관점은 역사 연구에서 결코 입증된 적이 없었다.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에 대한 관념사 연구는 러브조이의 관점에 대한 시험이다. 이는 관념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새로운연구영역을 열어놓는다. This essay presents an overview of our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origins and transformation of modern Chinese thought by using the databasemethod, and addresses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from the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ideas. We believe that studies in the history of ideasverify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ultra-stable system of China’s socialtransformation, and can solve the basic theoretical problems in this fieldmentioned by Arthur O. Lovejoy. First of all, we chose approximately one hundred significant keywords directlyrelated to modernity. By conducting quantitative analyses of their historicalmeanings, we discussed the origins and transformation of three basic elementsof modernity: personal rights,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national identity inChina. We discovered that China’s adoption of modern values can be dividedchronologically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from 1840 to 1894, wascharacterized by the selective absorption of modern Western thought byConfucianism. Values not compatible with Confucianism were treated withindifference, or rejected. The stage in which modern Western thought was learnttook place after the Sino-Japanese War of 1894-95. This second stage, especiallyfrom 1900 to 1914, was also marked by the formation of a dualistic ideology,which maintained a demarcation between China and the West; personal rights,instrumental rationality, and cultural nationalism played an immense role inmotivating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It was also a period inwhich Chinese political thought came closest to the West. From 1915, a stage ofreconstruction replaced the former stage of learning or adoption of Westernvalues; this third stage started with the New Culture Movement (1915-1924) andonwards. It is then that modern concepts learnt from the West underwent sometransformation. Such changes gave birth to the Chinese style of modern thought,which we call contemporary Chinese thought, and which dominated therevolutions and the formation of the party-state system in China after MayFourth. Modernity originated in the West. Generally, the modern transformation oftraditional societies was accomplished by learning modern Western values toestablish a nation-state. But the stage of learning from the West in China wasvery short: less than twenty years, in fact. Traditional Chinese ways of thinkingwere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Chinese modern thought. This illustrates that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was dominated by the pattern oftraditional Chinese society and the cultural-integration pattern in history; theultra-stable system in history is as-yet unbroken. It is the pattern we suggested,to use the system theory in explaining ancient and modern Chinese history. Sucha pattern is valid due to its constant and deeply-structured ways of thinking. InOrigins of Modern Chinese Thought: the Evolution of Chinese Political Culturefrom the Perspective of the Ultra-Stable Structure, we discussed the deeply-structured ways of thinking. Our examination of those one hundred conceptsprovided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the constant and deeply-structured waysof thinking. Though early in the 1930s, Arthur O. Lovejoy already believed thatideas are ways of thinking which are of long duration and difficult to change, hisview had never been proven in historical studies. This history-of-ideas study of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is a test of Lovejoy’s point of view,and it marks the beginning of a new field of research of the interaction betweenideas and society.

      • KCI등재

        분석 도구로서 한국 민족주의론 고안을 위한 시론 - 상쇄 조합 구조의 형성과 고착화 -

        남기정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2 개념과 소통 Vol.- No.30

        This article tries to theorize Korean Nationalism to use it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this end, this article analyses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Korean nationalism and how its development was influenced by Japanese colonial rule. During the opening up of Korea (Joseon as it was then) and its contemporaneous colonization by Japan, Korean nationalism had to deal with two issues at the same time: modernization and independence. The struggle for national liber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pursued both goals, of modernization and independence, and attempted to integrate the two. For example, the March 1st Movement, although its initial focus was on independence, was also concerned with modernization,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born out of this movement, tries to achieve independence through modernization. In opposition to this Sin’ganhoe was formed to reunite modernization and independ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the nationalist movement in Korea was constrained by tensions between the left and right factions, and there was also a disconnection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nationalists. In practice, therefore, the overseas nationalists focused entirely on independence, because there were no room for modernization, whereas the domestic nationalists worked towards modernization, but could do little to achieve independence. The difficulty in combining modernization and independence persisted even after liberation, when the challenging task of building a modern state was still outstanding. This article argues that when Korean nationalists sought to overcome the legacy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ir most urgent tasks the transformation of offsetting combination structure of modernization and independence into a synergistic structure between two. 이 글은 한국 민족주의론을 분석 도구로서 활용하기 위한 이론화의 노력이다. 이를 위해 한국 민족주의의 형성에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어떠한 유산이 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지 따져보고자 한다. 이때 민족주의의 두 가지 측면인 자주화와 근대화에 주목한다. 한국 민족주의는 일본에 의한 개국과 일본에 의한 식민지화를 경험하면서자주화와 근대화의 상쇄라는 문제를 안게 되었다. 이에 주목해 한국 민족주의의 상쇄구조를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식민지 시기 민족 해방과 독립을 지향하는 운동은 그 통합을 목표로 전개되었다. 3·1 운동은 자주에서 출발해서 자주와 근대를 통합시키려는 노력이었다. 그로부터 태어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자주화 민족주의를 근대화 민족주의의 내용으로 채우려는 노력이었다. 1920년대의 자치론은 근대화를 우선하고 자주를 유보한 것이었던바, 이에 대한 반대가 신간회 결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주화와 근대화의 재통합 노력이었다. 그러나 식민지 시기 민족운동은 국내의 좌우파 간의 대립으로 민족주의의 상쇄 구조를 극복하지 못했고, 국내파와 해외파의 단절로 인해 이러한 현실은 더욱 구조화했다. 그것은 해외에는 자주의 공간이 존재하되 근대의 공간이 존재하지 않았던 상황, 반대로 국내에는 근대의 공간이 존재하되 자주의 공간이 존재하지 않았던 상황과 맞물려 있다. 해방 이후 다시 근대국가 건설의 과제 수행을 요청받게 된 상황에서도 이는 질곡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이 글은 한국 민족주의가 일본에 의한 식민 지배 유산 극복을 과제로 설정할 때, ‘근대화’와 ‘자주화’의 상쇄 조합으로서의 민족주의를 양자의 상승 조합으로서의 민족주의로 변화시키는 것이 당면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한국 국가 개념의 전통 연구 - 동서양 국가 개념사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박상섭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concept of‘ the state(gukga)’in Koreanhistory. While the Korean state, in its contemporary form, is undeniably Western,many of its traditional elements originated in China. This hybrid history requires amulti-tiered approach, which traces the concept of the state in Korean history. First,we shall survey the history of the western concept of the state. Next, we shall study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the state in China and Japan. Lastly, we shall researchthis concept in Korean history. The Korean concept of the state enjoyed a very highdegree of stability for many centuries, due to the absence of external political ortheoretical challenges. However, in the late-nineteenth and early-twentieth century,the threat of Japanese imperialism changed this drastically, and resulted in aneruption of many nationalistic arguments for Korean independence, and anaccompanying change in the idea of the state. However, lack of theoretical resourcesin articulating these new ideas forced Koreans to borrow from foreign theories, whilethe loss of state sovereignty, in 1910, stifled the development of even this elementarydiscourse. As a result, Koreans were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developindigenous theoretical reflections on the matter of the state and on politics, andbecame heavily dependent on foreign theories and ideas. 이 글의 목적은 한국사에서 국가 개념의 역사를 추적하는 것이다. 국가의 현상은 일정한 역사 시기 이후에서는 보편적인 것이지만, 지역과 시간에 따라 영토의 크기와지배 권력의 침투도에서 상당히 다른 형태를 보여 왔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국가라는 하나의 보편적 개념이 사용되어 왔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모든 국가 개념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른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현재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국가는 표면적으로는 서양식 근대 국가이지만, 그 기저층에는 전통적 요인이 많이남아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한국사에서 국가 개념의 전통을 알기 위해서 우리는 먼저 현재 한국 국가가 취하고 있는 서양식 근대 국가 개념의 변화 과정을 살피고, 중국과 일본에서의 국가 개념의 내용을 검토한 다음 그것들과의 연결 속에서한국에서의 국가 개념의 전통을 검토했다. 한국사 전통에서의 국가 개념은 상당한안정성을 누려 왔는데, 이것은 국가의 기본틀이 크게 동요되지 않았던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안정이 깨진 것은 19세기 서양 및 일본에 의한 개항 요구 이후의 일이었다. 이에 따라 국가에 대한 성찰이 분출되지만, 준비된 이론적 자원이 없던 상황에서 외국에서 유입된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의 문제를 설명했다. 주로 다룬 문제는 국권 상실의 위기에서 민족주의적 관점에서의 국가의 중요성을 각성시키려는 계몽적인 내용의 것들이었다. 이러한 논의는 그나마도 국권 상실과 함께 중단되었다. 더 중요한 것은 국가 문제에 관한 독자적인 성찰의 기회가 일단 사라지고 난 이후 이러한 독자적 성찰의 기회는 쉽게 마련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 '평화'의 적극적 의미와 소극적 의미 - 3∙1운동기 심문조서에 드러난‘민족대표’의 딜레마 -

        전상숙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0 No.4

        3∙1독립선언을 통해서 민족대표들이 주창한 것은 민족자결이었다. 그것은 동양평화의 일부로서 세계평화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민족국가 단위의‘평화’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일제 당국이 집요하게 탐문했던 것은‘평화’에 대한 인식이 대립적이었기 때문이다. 이 글은, 그러한 민족대표들의 인식 속에 나타난‘평화’의 개념과 배경은 무엇이고, 이와 별도로 3∙1운동에 참여한 민중들이 폭력화 양상을 띠었는데 그것이 민족대표들과 마찬가지로 공히 민족자결∙독립을 지향하는 것이었던 사실에 착안하여, 역사적 맥락 속에서‘평화’의 개념을‘민족자결’∙‘독립’과의 관계, 그리고‘평화’를 위한‘폭력’적 방법의 필요 유무 등과 같은논쟁적 문제와 함께 고찰함으로써 특정 개념에 대한 연구가 역사적 맥락 속에서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논하였다. 이 글에서는‘평화’연구에서 일반적으로사용되는‘소극적 평화’와‘적극적 평화’개념을 활용하였다. The Korean national representatives of the 3∙1[March 1] IndependenceMovement declared the Korean people’s natural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independence among all other nations on earth. Korean independence, theyinsisted, would be a part of oriental peace, and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world peace, which should be built on the basis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National ‘Peace’. Japanese ruling powers persistently interrogated Koreannational representatives who, advocating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Peace’,opposed the Japanese rule. The present paper explores the defi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term‘Peace’and the background in which the Korean national representatives of the3∙1 Independence Movement advocated it. In addition, it aims to examine theconception of ‘Peace’in the historical context, focusing on the fact that Korean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3∙1 Independent Movement acted violently,declaring National-determination and independence, but they also asserted theprinciple of‘ Peace’.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concepts of‘ negative peace’and‘positive peace’which have been noted in the previous research on ‘Peace’arevery informing. The term of ‘Peace’as used in the 3∙1 IndependenceMovement, should be considered with an understanding of its historical contextand with reference to the principle of a people’s right to national selfdeterminationand independence.

      • 일제하 '사상 논쟁'에 나타난 '종교' 개념의 충돌 - 천도교와 좌익 언론 간의 논쟁을 중심으로 -

        허수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0 No.4

        The ‘ideological controversy’between the leftist press and the new school ofCheondo religion in the early 1930s, under Japanese rule, had its backgroundboth at home and abroad. On the one hand, there was the movement againstreligion abroad, in the Soviet Union and Japan, and, on the other hand, therewas the struggle for leadership of the social movement between the socialist andthe new school of Cheondo religion, at home. The controversy grew red-hotwhen the leftist press rebelled against ‘the demand for leadership over Korea(朝鮮 導權) from the Young Men’s Party of the Cheondo religion(天道敎靑年黨), and came to deal with comprehensive subjects, including the doctrine,history, and organization of the Cheondo religion. While the leftist press criticized the Cheondo religion from the point of ‘theanti-religious conception’ based on ‘scientific’factuality and class consciousness(partisanship)’, Kim Hyungjun, representative of the new school of Cheondoreligion, distinguished ‘the new religion’from ‘the pre-existing religion’, andjustified the Cheondo religion as‘ the new religion’from the point of‘ historicity’(the doctrine of religious evolution) and ‘actuality’(popular-based opposition tothe colonial power). Kim Hyungjun’s concept of ‘the new religion’stemmed from that of LeeDonhwa in the late 1910s. Considering the conception of ‘the new religion’in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we can label both of them‘romanticist concepts of religion’, though Kim Hyungjun’s concept wasproposed as a defense, and became narrower in conceptual denotation. The ‘ideological controversy’provided a place where the religious debateduring the colonial period came to address the issue of‘ religion-science’, freeingitself from the one-sidedness of the ‘religion-politics’formula. Prior to thiscontroversy, the Cheondo religion had extended its activity into the socialmovement, subordinating ‘science’to religion and advocating ‘the unity ofreligion and politics(敎政一致)’, while, subsequently, the leftist press, using‘science’as its slogan, attempted to exclude the Cheondo religion from thesocial movement. The knowledge-discourse over ‘religion’, however, could nothave a solid foothold in the colonial context, in which the foundation formodern knowledge was not enough. 1930년대 초 식민지 조선에서 좌익 언론과 천도교 신파 간에 전개된‘사상 논쟁’은,대외적으로 소련 및 일본의 반종교운동, 대내적으로는 사회운동의 주도권을 놓고 사회주의자와 천도교 신파가 갈등을 벌이던 상황을 배경으로 했다. 논쟁은 天道敎靑年黨측의‘朝鮮 導權요구’주장에 좌익 언론이 반발하면서 본격화되어, 천도교의 교리, 역사, 조직 등 포괄적인 주제가 다루어졌다. 좌익 언론 측은‘과학성ㆍ계급성(당파성)’에 입각한‘反종교 개념’의 견지에서 천도교를 비판했고, 천도교 신파 측을 대표한 김형준(金亨俊)은‘신종교’와‘기성종교’를 구별하고,‘역사성’(종교진화론)과‘현실성’(식민권력과의 대립, 민중적 기반)의 측면에서‘신종교’로서 천도교가 지닌 정당성을 옹호했다. 김형준의‘신종교’개념은 1910년대 후반 이돈화의‘신종교’개념에 젖줄을 대고 있었다.‘종교와 과학’의 관계를 중심으로‘신종교’의 내용을 고찰하면, 김형준의 그것이 다소 방어적 차원에서 제기되었고 개념적 외연이 좁아지긴 했지만, 양자의‘신종교’개념은‘낭만주의적 종교 개념’으로 부를 만하다. ‘사상 논쟁’은 식민지기 종교 논의지형을‘종교-정치’구도 일변도에서 벗어나 ‘종교-과학’의 문제를 논의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사상 논쟁’이전에는 천도교가‘과학’을종교에 종속시키면서‘敎政一致’를 지향하며 행동반경을 사회운동 방면으로 확장해나간 반면, ‘사상 논쟁’에서는 좌익 언론이‘과학’의 이름으로 사회운동의 영역에서천도교를 배제하고자 했다. 그런데 근대 학문적 토대가 미비된 식민지 상황에서‘종교’를 둘러싼 지식ㆍ담론은 허약한 기반을 면하기 어려웠다.

      • KCI등재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구축과 활용

        김일환,이도길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0 개념과 소통 Vol.0 No.25

        이 연구는 개념사에 대한 계량적 연구를 위해 기획된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구축 과정을 소개하고, 잡지 코퍼스의 일부를 활용한 실험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개념은 언어를 매개로 표출되므로, 언어의 사용 양상을 밝히는 것은 곧 개념의 변화를 포착하는 것과 직결된다. 따라서 개념사 연구를 위해서는 통시적인 대규모언어 자원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수행되어온 24종의 개화기 잡지 코퍼스를 구축해 온 과정을 상세히 소개하면서 개화기 잡지텍스트가 가진 여러 난제를 해결해 온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한글 표기의 변환 문제, 한글-한자 변환과 관련한 문제 등이 텍스트 변환 과정에서일으키는 문제에 대해 지적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한편 구축된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일부인 『소년』과 『창조』 텍스트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계량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개념사 연구의 계량적 접근을 위한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concern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orpus of magazines from the Korean age of enlightenment. Its purpose is to support quantitative research into conceptual history, and the results of an initial study based on a portion of the magazine corpus is also presented here. Concepts are reflected through language use, so that exploring how language usage changes reveals the history of conceptual changes. The creation of a vast diachronic language database is thus an essential tool for research on conceptual history. This paper details the process of capturing texts from 24 magazines published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discusses some problematic issues which arose. Some Korean language texts were written in the indigenous Hangeul script, and some in Chinese characters, with each presenting a variety of problems for which solutions are actively being sought. Also, as an illustrative example for further quantitative research on conceptual history, a basic quantitative analysis is provided for the terms ‘Sonyeon (boy)’ and ‘Changjo (creation),’ using a portion of the newly established corpus of magazines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

      • KCI등재

        근대 이행기 타자 이해와 소통구조

        이행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2 No.1

        19, 20세기 동아시아는 문명과 야만의 야누스적 얼굴을 한 서구의 충격으로 전근대적 질서가 해체되고 근대적 세계 질서에 편입하게 된다. 급격한 사회·역사적 변동으로 요청된 이질적 타자에 대한 이해는 동시에 주체에 대한 새로운 자각을 야기하였다. 주체의 자각과 타자 이해는 소통의 전제가 된다. 그러나 타자에 대한 이해는 욕망하는 주체에 의해 이미지화될 뿐, 타자 그 자체가 될 수 없는 본질적 한계를 내재하고 있다. 특히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각 주체들은 자신의 문화·역사적 맥락에 따라 타자를 수용하는 방식을 달리하게 되고, 그 결과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각 주체들은 식민/반식민/제국의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소통의 측면에서 볼 때 개체의 욕망은 일종의 자기 재현과 자기를 중심으로 한 타자의 위계화로 구체화된다. 주체는 자신을 끊임없이 확장하고 타자를 통해서 이를 확인하려고 하는데, 만약 스스로 만들어 낸 위계 속에서 자신이 낮은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자신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분투한다. 주체는 이 과정에서 타자를 내재화하기도 하고, 타자에 무의식적으로 포획되거나 의식적인 동일시를 꿈꾸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욕망에 가로막힌 주체와 타자는 종종 스스로의 정체성을 고정·강화하면서 대립하고 길항하게 된다. 조선이 중화문명의 담지자로 자처한 것은 타자의 내재화로, 압도적인 서구 문명에 시선을 빼앗긴 주체들의 자기 부정과 타자와의 동일시 욕망은 타자에 포획된 주체로, 제국과 식민의 지배와 저항은 주체와 타자의 길항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동일시될 수 없는 타자에 포획된 주체와 타자를 통해 주체를 동일화하려는 욕망은 근대계몽 이성에 대한 신념과 서구 산업문명의 작동방식과 궤를 같이하며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 이 시기 '문명개화'와 '근대화'는 사회·역사적 당위규범으로 여겨졌으며, 이에 반하는 것들을 부정하고 폐기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타자를 통해서만 자기를 증명할 수 있는 주체는 늘 불안할 수밖에 없다. 그 근원적 불안감과 자기 확장의 욕망은 일세계적 역사를 보편으로 강제했고, 문명의 진보라는 신화를 만들어 냈다. 자연적·지리적 경계는 근대 국민국가체제에 의해 영토로 선분화되었고, 역사적·문화적 공유 지점들은 단일성과 순수성을 이념으로 하는 민족으로 발명되었다. 근대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근대 국가형성과 민족 발명에 견인차 역할을 하며, 제국과 식민, 지배와 종속을 고착화하였다. 역설적이게도 민족 담론은 제국과 식민 모두에게 동일화의 기제로 작동하였다. 개념과 소통에 대한 탐색은 현실의 질서를 합리화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함몰되어 황폐하고 불모화된 의식에 새로운 상상력을 불어넣는 것이어야 한다. 주체와 타자 사이에 경쟁과 힘의 원리가 우선시되는 한 진정한 소통은 불가능하다. 동일성의 원리로 환원될 수 없는 각 개체가 지닌 그 자체의 가치로서 '상호 동등함'을 인정하고, 서로의 차이가 접속을 통해 창조적인 역동성으로 전환될 때 진정한 소통의 장이 열리며, 주체와 타자 모두 공존과 상생의 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nineteenth and the twentieth century, marked by the dismantling of traditional socio-cultural system, East Asia came under the modem -world system represented by the West. The rapid transition required East Asian nations to newly understand their others, and this simultaneously caused a new self-consciousness on the part of East Asians themselves. To communicate with others, one should understand others 'while being awake to one's own subjectivity. However, understanding of others has its innate limitation since others are always perceived as an image by th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understanding, the image of others is reflected in the subject's interiority, linked to the subject's desire. Generally, the reflected images are shaped by the subject's self-representation, which often results in making grades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Perceived as inferior, or vice-versa from the subject's perspective. In this process, a subject can appropriate others or itself become their prize, illustrating the centrality of the subject-object relationship in this process. For example, the Chosŏn claim of being the keeper of Sinocentrism could be interpreted as an example of an appropriation of others, whereas the fact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regretted being Korean could be seen as an example of becoming the prize of others. In the East-Asian enlightenment period, westernization was regarded as a historical necessity and other possibilities were ignored. It was necessary for the subject to experience anxiety when it tried to prove itself through others. It was this very anxiety, and the desire for self-extension, that made the linear history universal. According to the nation-state system, the natural geographic peripheries became national borders, so that many marginal territories contrived to be national, being supposed to have a pure and singular culture in common. Playing the role of the locomotive of nation-state,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fixed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Ironically, the discourse of nationhood functioned, simultaneously, as the mediator for identifying both empire and colony. Searching the right way to communicate should not be a rationalization of the present order but an imagination for better subject-object relationship. Mutual understanding is possible only when each subject understands the values of the other (or others), which cannot be reduced to an identical principle, and when the differences are regarded as normal and, thus, turn into creative dynamics. Only at that time can the subject and the object move along together and establish a real coexistence.

      • KCI등재

        데탕트 혹은 냉전 에피스테메의 변전 - 1970년대 ‘평화’ 개념을 중심으로 -

        장세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6 개념과 소통 Vol.0 No.18

        This article explores the (peaceable) unification discourses of South Korea in 1970s when a mood of international detente arose. The concept of ‘peace,’ as it originated and developed within the European context, is used as an analytical tool in this paper. It is remarkable that the concept of peace has been divided into two disparate, even contrary streams. The weaker of these expressed the ‘positive’ meanings, such as ‘rights,’ ‘friendship,’ ‘affection,’ ‘freedom’ and ‘love,’ while the ‘negative’ and passive meanings, such as ‘security’ and ‘the absence of violence,’ became dominant. As a result, the concept of peace has established a verbal usage, within the context of interactions between the nation-states, which is primarily concerned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national law) or with peace treaties (pactum pacis) intended to end wars. In terms of peace between nation-states, international detente seems to have brought about ironical results on the Korean peninsula: against the backdrop of reconciliation between China and the US, both North and South Korea established repressive dictatorships through the revision of their legal systems. Indeed, during the 1970s detente period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ctually got far more solidified and internalized. This paper, in contrast, tries to expand the meaning of peace to include the positive ones which emerged in the South Korean public sphere during the 1970s. This might tentatively be called (after Duara) the project of ‘rescuing peace from the nation-state.’ To this end, the emphasis is upon the conceptual competition (albeit unequal, or even hierarchical) between the ruling powers and the critical intellectuals of the 1970s. One of the most important voices fundamentally subverting the ruling party’s concept of peace was Ham Seok-Heon, whose peace project is highlighted in this paper. Whereas the ruling power’s conception of peace was expressed within the semantic network of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development, Ham’s notion of peace was only achievable by freedom of speech. To achieve peaceful unification, Ham argues that active communication and freedom of speech are far more valuable than secretive North-South dialogue between the two governments. He regarded nation- states as an obstruction to peace, and as the major agents creating structural violence. It is therefore the people themselves [Minjung or Ssial (씨)] who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promoting peace, instead of governments or nation-states. During the 1970s, there was a divergence among other intellectuals, with various concepts of Minjung being discussed. The concept of the ‘third world’ also arose as an expanded meaning of people (Minjung), and this became established as one of the most powerful terms to symbolize the sprit of detente. 이 논문은 1970년대 국제적 데탕트 국면에서 부상한 한국의 (평화) 통일 담론을 유럽적 맥락에서 연원한 평화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한 시도이다. 평화의 개념사에서 기억할 만한 사실은 이 개념이 상반된 두 개의 흐름 속에서 결국 하나의 ‘법률공동체’인 근대국민국가를 의미 생성의 주된 지반으로 삼아 발전해 왔다는점이다. 평화의 적극적 의미라 할 수 있는 ‘권리’와 ‘우정’, ‘상호 애정’, ‘자유’, ‘사랑’과 같은 일군의 단어들은 확실한 약세였다. 평화는 국민국가 사이의 ‘국제관계(국제법)’나 ‘국가 간 평화(pactum pacis:전쟁을 종결시키는 평화조약)’라는 맥락에서 생산·유통되는 개념으로 자신의 위상을 정립해 왔다. 국가 간 평화라는 맥락에서 1970년대 데탕트를 이해하자면, 데탕트 국면에서 한반도는 미·중의 화해를 배경으로 남북 분단이 오히려 공고화되고 “내재화”된, 다분히 역설적인 ‘전환’의 시점으로 간주되는 것이 일견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평화조약과 같은 국제법을 토대로 한 ‘국가 간 평화’ 차원에 국한하지 않고, 당시 한국의 공론장에 등장했던 적극적 평화의 개념을 발굴하고자 시도했다. 잠정적으로 이를 ‘국가로부터 평화를 구출하려는(rescuing peace from nation-state)’ 기획으로 명명할 수 있겠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이 재구성한 대상은 1970년대 한국의 통치권력과 비판적 지식인들이 서로 개념적 경합(불균등한)을 벌였던, ‘평화’의 공시적 의미론의 장이다. 특히 통치권력의 평화 개념과 함께 가장 근원적인 의미에서 국가 주도 평화 기획의 대척점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는 함석헌의 평화 개념을 주로 살펴보았다. 국가·안보·건설·총력이라 는 맥락에서 발화된 통치권력의 평화 개념에 맞서서, 함석헌의 평화는 시민 사이의 소통과 언론의 자유를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는 것이었고 국가는 오히려 진정한 평화의 방해자, 구조적 폭력의 실행자로 인식되었다. 국가를 대신하여 평화를 실행하는 주체는 함석헌에게 민중(씨)이었는데, 함석헌뿐만 아니라 비판적 지식인들의 민중 개념은 이후 여러 갈래의 지적 분화를 예고하고 있었다. 확대된 민중으로서의 ‘제3세계’라는 개념 역시 1970년대 가장 강력한 데탕트의 언어로 정립되는 중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