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rade Liberalization and Business Facilitation in APEC and its Economic Effects : A CGE Approch

        고종환,정해조 국제지역학회 2006 국제지역연구 Vol.10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potential economic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and business facilitation in APEC, using a multi-region, multi-sector CGE model, as declared in the Bogor Goals of 1994 and the Shanghai Accord of 2001. Three different scenarios are carried out: Trade liberalization and business facilitation among APEC developed Member Economies (Scenario 1); Trade liberalization and business facilitation among APEC developing Member Economies (Scenario 2); and that of all APEC Member Economies (Scenario 3). The impacts of three scenarios are described with respect to real GDP, Equivalent Variation as a measure of welfare, export and import volumes, trade balance, trade balance by region and by sector, and industry output by region and by sector APEC회원국은 1994년 정상회의에서 Bogor Goals을 설정하고 21개국 회원국 중 선진국은 2010년까지 무역자유화(trade liberalization)를 실행하고, 21개국 회원국 중 후진국은 2020년까지 무역자유화를 실행하기로 합의하였으며, 2001년 상하이 정상회의에서는 2006년 말까지 사업원활화(business facilitation)를 통해 APEC회원국간 거래비용(transaction costs)을 5% 낮추기로 합의한 바 있으며, 2005년 11월 부산에서의 정상회의에서는 이러한 Bogor Goals을 실천을 재천명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APEC의 무역자유화와 사업원활화가 APEC회원국 경제에 어떠한 경제적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3가지 시나리오(APEC회원국 중 선진국이 무역자유화와 사업원활화를 실행하는 경우 (시나리오 1), APEC회원국 중 후진국이 무역자유화와 사업원활화를 실행하는 경우 (시나리오 2) 및 APEC회원국이 모두 실행하는 경우 (시나리오 3))로 나누어 多지역多산업CGE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APEC회원국의 실질GDP (경제성장), 효용수준, 총수출, 총수입, 무역수지, 산업별 무역수지, 산업별 생산 등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만 살펴보면, 시나리오 1의 경우, APEC회원의 선진국 경제는 물론 러시아를 제외한 모든 후진국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시나리오 2의 경우 후진국의 경제성장에는 도움이 되나 호주, 캐나다, 미국, 멕시코 등의 경제성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나리오 3의 경우, 모든 APEC회원국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동태CGE모형을 이용한 한·일FTA와 한·중FTA의 경제적 효과 비교분석

        고종환 국제지역학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This study aims at quantifying potential economic effects on the Korean economy of a China-Korea FTA and a Japan-Korea FTA using a 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m used static CGE models.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a China-Korea FTA would lead to a higher increase in Korea's exports and economic growth than a Japan-Korea FTA and that both a China-Korea FTA and a Japan-Korea FTA would cause additional trade deficits to Korea, which would be minuscule compared to Korea' economic trade volume. Since potential economic impacts on Korea's industry output and exports by sector of a China-Korea FTA and a Japan-Korea FTA are forecast to be complementary, i.e., major sectors which would run trade deficits from a Japan-Korea FTA would run trade surpluses from a China-Korea FTA, a simultaneous pursuit of both a China-Korea FTA and a Japan-Korea FTA would be more desirable and beneficial to Korea. This study shows that a dynamic CGE model which can take explicit account of international capital mobility and ownership is required for more precise estimation of effects of the FTAs. 본 연구에서는 한·일FTA와 한·중FTA가 한국 경제에 미치게 될 영향을 “動態CGE모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한·일FTA와 한·중FTA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연구는 대부분 靜態CGE모형을 이용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를 보면, 한·중FTA가 한·일FTA보다 한국의 총수출을 더 크게 증가시키면서 한국 경제성장에 더 많이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한·일FTA와 한·중FTA가 한국에 무역수지 적자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지만 무역적자 규모는 한국의 교역규모에 비하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일FTA와 한·중FTA가 한국의 산업별 생산 및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주요 산업에서 보완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어 상호 부정적 효과를 상쇄시키거나 긍정적 효과를 배가 시킬 것으로 전망되어 한·일FTA와 한·중FTA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차후 한·일FTA와 한·중FTA 협상이 진행되고 FTA의 이행안이 확정되는 경우, 한·일FTA와 한·중FTA의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행안의 시기를 명시적으로 고려할 수 있고 또한 국제자본의 이동과 자본의 소유를 반영하면서 국내투자는 물론 외국투자가 개별 국가의 투자에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해 자본축적과 생산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동태CGE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CGE모형을 이용한 조정관세 및 할당관세의 변화가 수산물 수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고종환,이대식 한국경제통상학회 2014 경제연구 Vol.32 No.3

        This paper aims to quantify the effects of changes in adjustment duties and tariff rate quotas for fisheries, in particular, frozen Alaska pollack, frozen Alaska pollack fillet, frozen pacific saury, frozen squid and frozen mackerel on their prices and the supply and demand for them using a CGE Model.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creases in adjustment duties and changes in tariff rate quotas for the fisheries are expected to lead to a decrease in prices of all of them and an increase in their imports, with their consumer prices lower of less than 1 percent. Second, while decreases in adjustment duties and changes in tariff rate quotas for the fisheries are to lead to a decrease in their domestic production because of an increase in their imports, their supply will rise because an increase in their import surpasses a decrease in their domestic production. Third, decreases in adjustment duties and changes in tariff rate quotas for the fisheries are to result in an increase in demand for them consisting of domestic consumption and exports of them. 본 논문에서는 9개 조정관세 대상 품목과 2개 할당관세 대상 품목 중 수출입물량이 비교적 많은 냉동명태, 냉동명태 fillet, 냉동꽁치, 냉동오징어, 냉동고등어 5개 품목을 대상으로 이들에 대한 조정관세 및 할당관세가 변화하는 경우 5개 품목의 수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를 CGE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조정관세 인하와 할당관세의 변화로 인해 모든 어종의 수입가격이 하락하고 수입이 증가하지만 소비자가 느끼는 소비가격 인하폭은 1%를 초과하지 못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정관세 인하와 할당관세의 변화로 인해 수입 증가는 국내생산의 감소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지만 국내생산의 감소폭은 매우 미미하여 공급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조정관세 인하와 할당관세의 변화로 인해 국내소비와 수출이 증가하여 수요증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Eastern Enlargement of the EU and Reform of its Common Agricultural Policy

        고종환 한국유럽학회 2005 유럽연구 Vol.21 No.-

        EU의 공동농업정책은 1962년 시작되어 초기에는 매우 성공적으로 농산물의 생산과 농가소득의 증대에 기여하였으나, 점차 농산물의 과잉생산 및 예산에 과중한 부담을 안겨주게 되어 여러 차례 개혁되어 왔다. 특히 2004년 5월 1일 이루어진 중동유럽 10개국의 EU 가입에 대비하여 매우 큰 변화를 격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EU의 공동농업정책이 지금까지 어떻게 개혁되어 왔는가를 Mansholt계획안, MacSharry개혁안, Agenda 2000 및 2003년도 농업개혁안을 토대로 살펴보고, 특히 최근 이루어진 Agenda 2000 및 2003년도 농업개혁안이 기존 EU 15개국과 신규 10개 가입국 및 한국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산일반균형(CGE)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미시차원에서는 모든 분석대상 국가의 산업별 생산 및 농업의 생산요소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거시차원에서는 실질GDP 및 국민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The aim of the CAP of the EU is to provide farmers with a reasonable standard of living and consumers with quality food at fair prices. The way in which these aims are met has changed over the years since its inception. The CAP has gone through several reforms: the Mansholt Plan, the MacSharry Reform of 1992, Agenda 2000, and the Reform of 2003. In particular, the enlargement of the EU to include 10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on 1 May 2004 has offered new and important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European agriculture and the CAP reform. In this backdrop, the history of reforms of the CAP, including the Mansholt Plan, the MacSharry Reform, Agenda 2000 and the Reform of 2003is described in short and a multi-region, multi-sector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is used in order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economic effects are the eastern enlargement of the EU and the reforms of the CAP to have on the 15 old members of the EU and its 10 new members? What potential impact are they to exert on the economies of non-members of the EU, including Korea? Such effects are expressed in terms of sectoral output, agricultural income, real GDP and welfare of all countries concerned.

      • KCI등재

        A Study on Economic Effects of the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between China and Taiwan: A CGE Approach

        고종환 국제지역학회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1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nduct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potential economic effects of the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ECFA) between the government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mainland China) and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using a multi-region, multi-sector CGE model. Since Korean companies compete with Taiwanese companies in the Chinese market, an impact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the ECFA is of great importance not only to the Korean government, but also to the Korean companies doing business in and with China. The impacts of the ECFA are described in terms of real GDP, equivalent variation (EV) as a measure of welfare, export and import volumes, trade balance, terms of trade, and industry output. This study finds that the ECFA is expected to result in an increase in real GDP of mainland China and Taiwan, with Korea’s economic growth negatively affected. Its negative impact on Korea’s economic growth is caused mainly by trade diversion, which implies that Korea should make the utmost effort to conclude the China-Korea FTA as early as possibl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negative effects of the ECFA on the Korean economy.

      • KCI등재

        A Study on Economic Effects of Free Trade Agreements between the EU and East Asian Countries

        고종환 국제지역학회 2012 국제지역연구 Vol.16 No.4

        This paper aims to quantify what economic effects the EU and its partners are to gain through the free trade agreements (FTAs) that the EU has concluded, is currently negotiating and is considering negotiating with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The EU has concluded free trade agreements with Korea and Papua New Guinea in East Asia, is currently negotiating FTAs with India, Malaysia and Singapore, and is considering opening free trade negotiations with Brunei Darussalam, Indonesia, Japan, Philippines, Thailand and Vietnam. Three scenarios are conducted: Scenario 1 of EU’s FTA with Korea, Scenario 2 of EU's FTAs with India, Malaysia and Singapore and Scenario 3 of EU's FTAs with Brunei, Indonesia, Japan, Philippines, Thailand and Vietnam. Simulation results of the FTAs are presented in terms of real GDP, welfare, total exports, total imports, trade balance and terms of trade. The FTAs between the EU and its partners in East Asia are expected to promote economic growth in both regions, mitigating to some extent economic recessions in which the EU as a whole is as a result of the euro debt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