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경험자에 대한 기업채용 선호도의 인식조사: 창업경험자와 일반구직자 비교를 중심으로

        허제인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reference of corporate recruitment can be achieved without any difference between the start-up experiencer and the general job seek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start-ups that affect the preference of job seekers for compani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related to start-ups between general job seekers and job seekers with start-up experience. Third, it is to see the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for employment between job seekers with start-up experiences and general job seeker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were entrepreneurship, motivation for start-up (job search), and characteristics of the job seekers (founder).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job preference, and the moderating variables were presented as job seekers’ classification (job seekers with start-up experience vs. general job seek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personnel managers of 100 companies with more than 5 years of establishment and 100 new companies with less than 5 years of establishmen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two types, and 189 respondents, including 101 job seekers with start-up experiences and 88 general job seeker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both experienced start-up experiencers and general job seekers, only entrepreneurship had an effect on preference for recruit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eekers' classification was foun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start-up and preference for employment. Thir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start-up experiencer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start-up, the preference for recruitment, the characteristics of founders and the preference for recrui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and the preference for employment were rejected. Fourth,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general job seekers showed that the motivation for job search decreased the preference for employment. The study did not provide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recognition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traditional enterprises and venture businesses due to the limitation of small examples.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start-up experiencers either. However,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what preparations should be made when the start-up experiencers close their start-ups and turn their career into employment and to help them to accurate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It also provides the preference of the general job seekers for the company, the preparation for successful employ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tart-up revitalization. 본 연구는 기업의 채용선호도는 창업경험자와 일반 구직자 간의 차이 없이 입사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구직자에 대한 기업의 채용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 둘째 일반 구직자와 창업경험이 있는 구직자 간의 창업 관련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 셋째 창업경험 구직자와 일반 구직자 간의 채용선호도 차이를 보기 위함이다. 연구모형의 독립변수는 기업가정신, 창업동기, 구직자특성으로 하고 종속변수로는 채용선호도로 설정하였으며, 조절변수로는 구직자 구분(창업경험자 vs 일반구직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설립 연도 5년 이상의 기업 100개, 설립년수 5년 미만의 신생기업 100개의 인사담당자이며 설문지는 총 두 종류로 배포되어 최종적으로 101명, 일반 구직자 88명 총 189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창업경험자와 일반구직자 모두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업가정신만이 채용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직자 구분의 조절효과는 창업동기와 채용선호도 간의 관계에서만 발견되었다. 셋째, 창업경험자를 기준으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창업동기와 채용선호도와 창업자 특성과 채용선호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창업자 특성과 채용선호도는 기각되었다. 넷째, 일반구직자를 기준으로 한 연구결과에서는 구직동기가 오히려 채용선호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는 적은 표본과 다양한 업종과 전통적 기업과 벤처기업의 인식차이 결과는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창업경험자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하지만 창업경험자가 창업을 접고 자신의 진로를 취업으로 전환하였을 때 어떠한 준비를 하면 되는지에 대하 시사점과 기업가정신의 중요성과 일반 구직자들도 기업이 선호하는 채용선호도 무엇인지 정확히 인지하고 성공적인 취업을 준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앞으로의 창업 활성화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응일치분석을 통한 부산지역의 구인 구직 불일치에 대한 연구

        이길문,이영일,김선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응일치분석을 활용하여 구인과 구직의 불일치에 대해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연구 대상을 부산지역으로 제한하여 진행하였다. 부산지역 10만여 중소기업의 구인 조건과 청년 구직자의 구직 조건 불일치(불일치)의 문제점을 ‘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여 유형별로 분석한 후 대안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방법을 중점으로 현실적 문제를 고찰하였다. 첫 번째는 설문조사를 통한 당사자들의 인식과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두 번째로 이 결과를 통해 구인 구직의 불일치는 어떠한 유형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남, 여로 구분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대응일치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구인 기업과 구직자가 인식하고 있는 요구 역량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산 지역 내 구인 기업과 구직자 상호가 원하는 역량 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업종별로 ① 제조업: 남녀 모두 그리고 구인구직 모두 특강을 통한 입사 준비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반면 여자 구직자들은 제조업 회사를 선택할 때 회사명성을 중요시 하여 여자 구직자들은 제조업을 기피하지만 회사의 이름이 널리 알려진 경우라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서비스업: 서비스업의 발전을 부산시에서 적극 지원하지만 구직자 남녀 그리고 구인자 여성은 어학능력을 주요 역량으로 지적하였다. ③ 건설 및 건설관련업: 전통적으로 남성의 직업이라고 생각하는 관념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을 분석할 수 있었다. 즉, 구직자들은 건설업관련 요인들이 매우 거리가 멀었고, 구인자 역시 남녀 모두 건설업 관련 근접한 요인들은 없었다. ④ 유통판매업: 현재 청년 구직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유통판매업은 전반적으로 자격증 등의 요건 일치는 보이지만 구직 여성들은 경험과 어학능력을 주요 역량으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정작 구인 측의 여성들은 자격증과 봉사활동 경력을 역량으로 본다고 하여 큰 차이를 보였다. ⑤ 해양수산업: 부산지역의 특별한 업종인 해양수산업은 시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하지만 정작 구직자들은 근무지역을 상당히 고려하여 관련 업종의 구인난이 심화된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회사의 구인 측에서는 자격증, 경험을 역량으로 중요시하여 구직자들이 쉽게 취업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구직자들의 근무지역 요구에도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examine the Jobs Mismatch of SMEs in Busan, using the ‘Correspondence Analysis’. In this study it utilized three steps practical research methode. First, through a survey of the two parties it identified the perceptions and social structural problems. Secondly, through the results, it analyzed the character of formations of the Job mismatch in two groups(male & Female) and causes and solution be examined by managements and sociological aspects. Finally, a fundamental reason of the Job mismatch analyz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and recruitment. And these findings to all be applied 'correspondence Analysis’. This methode is a statistical analysis to illustrate the internal structure or pattern between variables the relationship by displaying a low dimension (2-D or 3-D) to determine the factors by distance job and wishes. As a resul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ompanies requested capabilities and job seekers recognitions. The overall summary of key factors of the mismatch are as follows. ① Manufacturing: All job seekers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preparations to get a job is to participate in special lecture. But women job seekers to look for the fame of company, when selecting a manufacturing company. That means they select the manufacturing company if the name of the company is widely known. ② Services: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active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y, but men and women job-seekers was pointed out language skills as the main ability. For the language ability it needs more financial investment for young job seekers. So Busan Government must consider to this point to settle the politics. ③ Building and Construction Contracting Services: Both men and women job seekers and companies did not have too close to the construction-related factors.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raise the quality of construction work in various directions. ④ Distributions & vendors: Requirement & qualifications of the distribution & vendors, which is the popular to present young job-seekers, has to match the overall factors. However, women are thinking about job experience and language skills as a key competence. Company women's side, on the other hand, sees the most important job qualifications are practical experiences and volunteer experiences. Here showed a big difference. ⑤ Oceanography and fisheries: This industry is also supported by the city government, as special sector in Busan. However, job seekers are to fairly consider the working area. On the other hand, on the company's job qualifications are experience, competence and conscious. Thus the seekers are in the situations that can not be easily employed.

      • KCI등재

        A Hybrid Guidance Law for a Strapdown Seeker to Maintain Lock-on Conditions against High Speed Targets

        Chae Heun Lee,Chul Hyun,Jang Gyu Lee,Jin Yung Choi,Sangkyung Sung 대한전기학회 2013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8 No.1

        This paper proposes a new guidance law, which considers the Field of View (FOV) of the seeker when a missile has a strapdown seeker mounted instead of a gimbal seeker. When a strapdown seeker, which has a narrow FOV, is used for tracking a target, the FOV of the seeker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for guidance performance metrics such as miss distance. We propose a new guidance law called hybrid guidance (HG)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guidance laws such as proportional navigation guidance (PNG), which cannot maintain lock-on conditions against high speed targets due to the narrow FOV of the strapdown seeker. The aim of the HG law is to null miss distance and to maintain the look angle within the FOV of the strapdown seeker.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combine two guidance laws in the HG law. One is a PNG law to null the LOS rate, and the other is a sliding mode guidance (SMG) law derived to keep the look angle within the FOV by employing a Lyapunov-like function with a sliding mode control methodology. We also propose a method to switch these two guidance laws at certain look angles for better guidance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고전적 가치를 지닌 믿음의 예배(Vintage Faith Worship)” 부흥을 꿈꾸는 Emerging Worship에 대한 연구

        주승중(Joo, Seung-Joong) 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18 No.-

        오늘 예배의 현장이 공연장처럼 변하고, 예배가 오락시간으로 변하고 있다. 예배는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는 응답의 행위이다. 그런데 이런 고귀한 예배가 문화에 순응하고 구도자에 민감한 척 하면서 사람들의 만족과 즐거움을 충족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 이런 상황속에서 21세기의 예배는 더 큰 위기에 놓였는데, 그것은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때문이다. 포스트모던 사회에서는 절대 진리 혹은 권위가 배격되고, 이성과 논리에 근거한 합리성의 터가 무너지고 있다. 그래서 모든 것을 상대시하고, 절대 진리를 배격하는 이런 포스트모던의 경향으로 인해 절대자이신 하나님을 예배하려는 교회와 교회의 사역은 커다란 위기에 직면해 있다. 그런데 이런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의 급격한 문화변동의 시대상황, 즉“떠오르고 있는”(Emerging) 시대의 변화를 미리 감지하고, 그 변화의 핵심에 서 있는“떠오르는 세대”에 초점을 맞추어 새롭게 시도되는 예배가 있다. 그것은 바로“고전적 가치를 지닌 믿음의 예배”(Vintage-faith Worship)의 부흥을 꿈꾸고 있는 Emerging Worship이다. 이 예배는“구도자 중심의 집회”(Seeker-Sensitive Service)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한 고민 끝에 시작된 예배이다. 그래서 이“떠오르는 예배” (Emerging Worship)을 가리켜“구도자 중심 이후의 예배”(Post-Seeker Sensitive Service)라고 부른다. 20세기 말에 들어와 많은 교회들이 불신자들에게 예배의 현장에서 복음을 접하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집회가 등장했는데, 그것이 바로 구도자 중심의 집회(Seeker-Sensitive Service)이다. 이것은 불신들에게 복음을 전하거나 세속적인 사람들에게 복음을 솔직하고 쉽게 전달하기 위해 고안 된 집회이다. 그러므로 이는 예배라기 보다는 인간중심적인 집회이다. 그런데 보다 최근에 이르러 구도자 중심의 집회도 포스트모던 문화에 영향을 받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 식상한 것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이런 젊은 세대를 타겟으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예배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고전적 가치를 지닌 믿음의 예배”라고도 불리는“떠오르는 예배”(Emerging Worship)이다. 본 논문은 바로 Emerging Worship이 등장하게 된 사회문화적인 배경과 고대-미래적 접근 방식(Ancient-future approach), 그리고 이 예배의 특징과 핵심가치 10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통해 21세기 한국교회 예배를 위한 한 방향성에 대해 언급한다. Currently, worship service is becoming a place of performance and entertainment when it should be our response to God through our glorifying Him. However, this noble worship service is falling from its nobility by its accommodation to the culture, its pretence of sensitivity to seekers of truth, and becoming a means of gratification and pleas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21st century worship service is facing a crisis. This crisis is due to none other than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Post modern society rejects the notion of absolute truth and authority; reason and logic based on rationality is also crumbling. As a result of postmodern influence where everything is relative and absolute truth is rejected, the Church of those who desire to worship the absolute God and its ministries are facing a big crisis. But, in this rapidly changing culture of 21st century postmodernism, there is a new worship emerging that has sensed these rapid changes in the newly emerging era and has focused its attention on this new emerging generation. This emerging worship with its vision of revival is called “Vintage-faith Worship.” This “Vintage-faith Worship” is the result of a long agonizing desir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eeker-Sensitive Service.” Subsequently, this emerging worship is appointed the name “Post-Seeker Sensitive Service.” Towards the end of the 20th century many churches appeared that tailored their services to present the Gospel to unbelievers: this is what is called “Seeker-Sensitive Service.” These were assemblies designed to preach the Gospel to unbelievers and secular people in a straight forward and easy-tounderstand manner. Thus, this is an anthropocentric assembly, rather than worship service. However, in recent days, the younger generations impacted by postmodernism has become indifferent toward seeker-sensitive service assemblie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new kind of worship service appearing that targets these younger generations. This is the emerging worship that has been called “Vintage-faith Worship.” This thesis will refer to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at led to the formation of the Emerging Worship as well as the ancient-future approach used in its worship. It will also identify and discuss 10 characteristics and core values of the worship which will reveal the direction of worship service of the Korean church of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스트랩다운 탐색기를 장착한 전술유도탄의 UKF 기반 종말호밍 유도

        오승민(Seung-Min Oh) 한국항공우주학회 2010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8 No.3

        일반적인 전술유도탄에서 표적획득 센서로 사용되는 김발형 탐색기(Gimballed Seeker)는 탐색기의 표적획득부가 유도탄의 동체운동과는 독립적으로 관성좌표계 상에서 표적을 지향하게 하여 비례항법 유도명령 생성에 필요한 유도탄/표적간의 시선 각속도 정보를 직접 제공한다. 반면 최근에는 탐색기 전체가 유도탄 동체에 고정됨으로써 정비보수 용이, 고장수리 감소, 단가감소 측면 등에서 유리한 동체고정 탐색기(Strapdown Seeker)에 대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런데 동체고정 탐색기에서는 비례항법에 필요한 시선각속도가 직접주어지지 않고 탐색기 영상 평면에 맺힌 표적영상으로부터 유도명령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스트랩다운 탐색기로부터 주어지는 표적정보를 바탕으로 언센티드 칼만필터(Unscented Kalman Filter, UKF)를 적용하여 유도탄과 표적간의 상대운동을 추정한다. 추정된 상대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유도명령을 생성하고 유도탄과 표적간의 조우운동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Recent development in seeker technology explores a new seeker design in which, with larger field-of-view (FOV), optical parts are strapped down to a body (hence, called as a body-fixed seeker or a strapdown seeker). This design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comparatively easier maintenance and calibration by removing complex mechanical moving parts, increasing reliability, and cost savings. On the other hand, the strapdown seeker involves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guidance laws since it does not directly provide inertial LOS rates. Instead, information for generating guidance commands should be extracted by estimating missile/target relative motion utilizing target images on the image plane of a strapdown seeker. In this research, a new framework based on an unscented Kalman filter is developed for estimating missile/target relative motion on the simplified assumption of a point source target. Performance of a terminal guidance algorithm, in which guidance command is generated based on the estimated relative motion, is demonstrated by a missile/target engagement simulation.

      • KCI등재

        한국인의 난민신청자(asylum seeker)에 대한 태도 - 통합위협이론과 접촉이론을 중심으로

        전재은,박기나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3 디아스포라 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which predict Korean public’s attitude toward asylum seekers, using integrated threat theory and contact theory as theoretical frameworks. Data were collected in February 2021 via online survey with 800 adults in Korea. The findings showed that integrated threat theory and contact theory are useful frameworks in explaining Koreans' attitude towards asylum seekers. A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alistic, symbolic, and safety and cohesion threats were shown to predict attitudes toward refugees. In addition,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ound to contact with refugees (asylum seekers) through mass media or the Internet and SNS. Analyzing by contact types also confirmed the importance of contact quality in predicting attitudes toward refuge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showe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ontact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mass media contact and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toward asylum seekers. In other words,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contact through mass media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toward asylum seekers, but as the positive evaluation of contact through mass media increases,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toward asylum seekers also increase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considering ways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public’s positive attitude toward refugees by promoting understanding refugees and positive contact experiences with them through mass media and the Interne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난민신청자에 대한 태도를 예측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통합위협이론과 접촉이론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초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전국의 성인 8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통합위협이론과 접촉이론은 한국인의 난민신청자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회귀분석 결과, 실질적 위협, 상징적 위협, 그리고 안전 및 사회통합 위협이 난민에 대한 태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참여자 대부분 대중매체 혹은 인터넷 및 SNS를 통해 난민(난민신청자)과의 접촉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촉 유형별 분석을 통해 난민에 대한 태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접촉의 질이 중요한 점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조절효과 분석 결과, 대중매체 접촉 빈도와 난민신청자에 대한 긍정적 행동의사 간 관계에서 대중매체 접촉 질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중매체를 통한 접촉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난민신청자에 대한 긍정적 행동의사는 감소하지만, 대중매체 접촉 빈도가 증가할 때 접촉의 질이 긍정적일수록 난민신청자에 대한 긍정적 행동의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중매체와 인터넷 등을 통해 난민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접촉 경험을 도모함으로써 대중의 난민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을 촉진하는 방안에 대해 고려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실업급여 수급자 유형분류체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최석현 ( Seok Hyeon Choi ),김균 ( Gyun K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2 사회보장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공공고용서비스의 효과와 고용센터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실업급여 초기에 실업급여 수급자의 구직행동 특성을 파악하는 유형분류에 목적을 두고 있다. 고용센터는 실업자들의 취업장애요인을 조기에 파악,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업자들의 구직의도, 구직기술 등에 기반한 유형분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유형이 실업급여 수급자들의 구직행동을 반영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실제 실업급여 업무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실업자들의 구직행동에 관한 국내외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실업급여 수급자들의 구직행동에 대한 유형화 틀을 제시했다. 이 유형화 틀에 따라 실제 고용센터 실업급여신청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이용, 유형분류를 실시했다. 분석결과 총 4개의 군집으로 실업자의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각 유형별로 태도적 특성 및 인구통계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각 유형은 무관심 구직형, 열정적 구직형, 이상적 구직형, 제한형 구직형으로 명명되었으며, 각 유형별로 특성을 정리하여 각 유형별로 필요한 고용서비스 프로그램들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a Job seeker classification instrument for job seekers who have applied unemployment compensation in Job Centers through analyzing their job search activities and motivations with aims to enhance performance efficiency of the Job Center and to guarante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service for the unemployed. With regard to these, we analyzed present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erformance process for unemployment compensation applications and reviewed factors affecting job search activities and motivations of unemployment compensation recipients. Putting these together, this study develop alternative Job Seeker Classification Instruments and then based on this instruments frame we did exploratory classification of the unemployed using existing survey data. As a result, we identified 4 unemployed groups based on their job seek activities and motivations focusing on each group`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follows; 1) indifferent job seekers, 2) enthusiastic job seekers, 3) idealistic job seekers, and 4) limited job seekers. Then we suggested effective employ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types. It is suggestive that in the future policy agenda that governs employment service should head towards autonomic changes in types of employment generated in each employee that in detail is tailored to one`s needs and attributes.

      • KCI등재

        ‘가짜’ 난민의 담론적 구성: 영국 난민신청자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신지원 한국사회역사학회 2019 담론 201 Vol.22 No.2

        Since the early 1990s, the number of asylum seekers in Britain has grown dramatically, and ‘bogus’ asylum seekers as economic migrants have been a major issue for politicians. The British case illustrates the ways in which asylum has been constructed as an economic rather than a humanitarian phenomenon in the country of asylum destin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on the welfare and economic rights of asylum seekers in Britain, and how asylum seekers are constructed as ‘bogus’ refugees, transforming from a subject for ‘protection’ into a target population for ‘punishment’. Over the last 25years the dominant policy narratives in Britain’s asylum policy is based on the knowledge claim that ‘many asylum seekers are bogus and illegal who are actually economic migrants seeking for the benefit of the welfare system’. Accordingly, the policy intervention by the government has been focused on removing ‘the pull factor’ of asylum migration by restricting access to the labor market and curtailing welfare allowances for asylum seekers. The genuine/bogus binary in the discourse of asylum policy has led to a high level of a simplification of a very complex phenomenon of asylum processes which are entwined with individual circumstances, legal, political and procedural issues. 1990년대 초부터 영국으로 유입되는 난민신청자의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경제적 이득을 목적으로 하는 ‘가짜’ 난민신청자에 대한 논의는 정치권의 주요 쟁점이 되어왔다. 영국사례는 난민정책이 복지정책과 맞물리면서 어떻게 일국 내에서 비호(asylum)가 더 이상 인도주의적이 아닌 경제적인 현상으로 구성되기 시작했는지 선명하게 보여준다. 본 논문은 영국 내 난민신청자의 복지와 경제적 권리에 대한 정책의 변화과정을 통해 난민신청자는 어떻게 ‘가짜’ 난민으로 구성되어 ‘비호’의 대상에서 ‘처벌’의 대상이 되었는지 그리고 ‘가짜’ 난민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영국정부는 어떠한 통제방식을 도입하였는지 살펴본다. 25년 여간 영국의 난민정책을 관통하는 내러티브는 ‘대부분의 난민신청자가 복지체계에 의존하여 경제적 이익을 위해 이주한 가짜 난민이라는 위법적인 집단’이라는 주장이다. 영국의 난민정책을 둘러싼 핵심 담론은 난민신청자의 이주요인을 경제적 흡입효과로 단순화하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난민신청자의 노동시장 접근권을 제한하고 복지수당을 축소하여 ‘가짜’ 난민신청자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왔다. 정책담론을 주도하는 진짜(genuine)와 가짜(bogus) 난민신청자라는 이항대립적 구분은 신청자의 개별적 상황, 법적, 정치적, 절차적 사안이 얽힌 복잡한 난민인정의 문제를 고도로 단순화시키는 데에 기여하였다.

      • SCIESCOPUSKCI등재

        A Hybrid Guidance Law for a Strapdown Seeker to Maintain Lock-on Conditions against High Speed Targets

        Lee, Chae Heun,Hyun, Chul,Lee, Jang Gyu,Choi, Jin Yung,Sung, Sangkyung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2013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8 No.1

        This paper proposes a new guidance law, which considers the Field of View (FOV) of the seeker when a missile has a strapdown seeker mounted instead of a gimbal seeker. When a strapdown seeker, which has a narrow FOV, is used for tracking a target, the FOV of the seeker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for guidance performance metrics such as miss distance. We propose a new guidance law called hybrid guidance (HG)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guidance laws such as proportional navigation guidance (PNG), which cannot maintain lock-on conditions against high speed targets due to the narrow FOV of the strapdown seeker. The aim of the HG law is to null miss distance and to maintain the look angle within the FOV of the strapdown seeker.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combine two guidance laws in the HG law. One is a PNG law to null the LOS rate, and the other is a sliding mode guidance (SMG) law derived to keep the look angle within the FOV by employing a Lyapunov-like function with a sliding mode control methodology. We also propose a method to switch these two guidance laws at certain look angles for better guidance performance.

      • KCI등재

        동작ㆍ집단미술치료가 청년 구직자의 취업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김상철,권은영 영남춤학회 2022 영남춤학회誌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Movement and group art therapy on employment stress, coping strategies of young job seekers. For these research subjects, the program Movement and group art therapy is composed of 15 sessions and carried out twice a week based on 120 min per session with 15 young job seekers. Employment Stress Scale, Coping Strategies Scale a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Kinetic House·Tree·Person(K-HTP) drawing test are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program. SPSS 22.0 is used to perform Paired t-test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pre-test and post-test of the job seekers group.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the young job seeker’s employment stress. Second, the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young job seeker’s coping strategies. From above results, the program of Movement and group art therapy reduced Employment Stress and caused the positive influence in Coping Strategies. Therefore, the program of Movement and group art therapy may help young job seekers overcome the stress from employment preparation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job-seeking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ㆍ집단미술치료가 청년 구직자의 취업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에 있다. 연구의 방법은 청년 구직자 15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1일부터 2020년 11월 10일까지 1회 120분으로 주 2회씩 총 12회기에 걸쳐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연구 장소는 P시 M센터 상담실을 이용하였다. 취업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K-HTP의 사전ㆍ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을 통해 대응 표본 t-test를 실시하여, 사전ㆍ사후검사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작ㆍ집단미술치료는 전체 취업 스트레스 점수와 하위요인 중 성격, 취업불안, 가족환경, 학업 스트레스 점수를 감소시켰다. 그리고 성격 스트레스와 취업불안 스트레스가 사전-사후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체 취업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동작ㆍ집단미술치료는 전체 스트레스 대처방식 점수와 하위요인 중 문제 중심, 사회적 지지추구, 정서중심 대처방식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문제중심 스트레스와 전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해 사전-사후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HTP 검사에서 집단원 모두 사전검사에 비해 자신의 강점 및 내면 욕구를 표현하고 현재와 미래의 모습을 표현하는 등 성장의 욕구와 한층 더 안정적인 관계를 투사검사에서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집단원 모두 취업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향상되는 걸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동작ㆍ집단미술치료가 청년 구직자의 취업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걸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