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남춤의 로컬리티 연구

        이남영 영남춤학회 2025 영남춤학회지 Vol.13 No.1

        세계화가 가속화되면서 문화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지만 각 지역의 고유한 특성은 여전히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지역성은 단순한 공간적 개념이 아니라 사람들의 실천과 경험 속에서 끊임없이 형성되고 변화하는 역동적인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남춤의 로컬리티인 지역 무용의 과정과 특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영남춤의 지역성을 이해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 ‘심미적 환경’, ‘사회적 관계’의 세 가지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영남춤은 일상적인 공간을 신성한 의식 공간으로 변모시키고 그 안에서 활발한 실천을 통해 의미를 창출했다. 둘째, 영남 지역 고유의 미적 감각이 '덧배기춤'이라는 춤 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활기차고 강한 음악적 선호도는 영남춤의 독특한 스타일을 확립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셋째, 탈춤은 당시 사람들이 춤을 즐기는 문화 속에서 발전했다. 그 토대는 조선 후기 상업과 무역의 발달 속에서 영남 지역의 춤 문화가 더욱 확장되었다는 것이다. 지역 주민들은 이를 창의적으로 계승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영남의 로컬리티가 된다. 그 결과 영남춤은 영남 지역의 환경과 문화적 흐름 속에서 활발히 실천되어 온 춤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남춤의 로컬리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무용의 다양화와 세계 무용문화의 다원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boundaries of culture are blurring as globalization accelerates, b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re still an important research topic. Locality is not just a spatial concept, but has a dynamic characteristic that is constantly formed and changed through people's practices and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dance, through the locality of Yeongnam da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locality of Yeongnam danc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aspects: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aesthetic environment ', and 'social relations'. First, Yeongnam dance transformed everyday spaces into sacred and conscious locations, and thus created meaning through active practice within them. Second, the unique aesthetic sense of the Yeongnam reg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dance culture called 'Doublebaegi dance'. The preference for vibrant and strong music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unique style of Yeongnam dance. Third, mask dances developed in a culture where people enjoyed dancing at the time. This is the foundation that the dance culture of the Yeongnam region was further expanded upon amid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tr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Local residents inherited and innovated upon this and this become the locality of Yeongnam that continues to this day. As a result, Yeongnam dance can be said to be a form of dance that has been actively practiced in the within the environmental and cultural flow of the Yeongnam region.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Korean dance and the pluralistic development of global dance culture by examining the locality of Yeongnam dance.

      • KCI등재후보

        대학축제에 내포된 춤의 함의(含意) -1970년대 대학축제를 중심으로-

        김해성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1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estival content for a university festival as a true play culture through the study on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when a university festival started to settle down after first introduc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implication for dance to aim at today’s university festival by studying the dance which was performed at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As a result, the university festival in early 1970s adopted the style of a western carnival. Therefore carnivals and couples-only party with social dance were held at the university festival all over the country. However, as the regretful mood of the university festival like a western carnival raised from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in mid 1970s, the interest in our folk-lore started and the interest in dance was also changed into falk dance and traditional dance. Although dance at the festival in the 1970s was the dance to long for western culture and the folk festival made as the reverse side of western culture, there was the dance to promote a sense of community, to be preserved and passed down and to be performed as an artistic function and an entertainment function. Based on this aspect of the dance at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in today’s popular eventful university festival, the implication of dance was derived from community awareness, historical and locality, artistic value, and entertainment function. 본 연구는 한국에서 대학축제 문화가 태동한 후 본격적인 축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한 1970년대 대학축제를 통해 진정한 놀이문화로서 오늘날 대학축제가 지향해야할 축제 콘텐츠 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당시 대학축제에서 추어졌던 춤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 대학축제에서 춤이 지향해야할 함축적 의미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 결과 1970년대 초 대학축제는 서구의 카니발 형식을 도입하여 전국의 대학에서 카니발이 행해지고 쌍쌍파티 등에서 사교무용이 추어졌으나 70년대 중반부터 서구형식의 카니발적 축제에 대한 반성이 대학가에 일기 시작하면서 상대적으로 우리 민속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에 춤도 향토색이 강한 민속춤과 전통춤이 주 내용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축제에서 추어진 춤들은 서구문화의 동경과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 형성된 카니발과 민속제라는 시대적 상황에 의해 축제의 춤들이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그 속에는 공동체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춤과 전승․보존되어야 할 춤, 예술적 기능으로서의 춤과 오락적 기능으로서의 춤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70년대 대학축제에서 추어진 춤의 양상을 토대로 오늘날 대중적인 이벤트성이 강한 대학축제에서 춤이 지녀야 할 함축적 의미는 공동체의식 고취와 역사성 및 향토성, 예술적 가치, 오락적 기능을 포함한 놀이의 의미들로 도출되었다.

      • 진주지역 전통춤 전승 연구 : 정행금을 중심으로

        김미숙,남선희 영남춤학회 2014 영남춤학회誌 Vol.2 No.1

        이 연구는 근대이후 진주지역 춤의 맥을 지켜온 인물을 통해 이루어졌다. 진주춤은 근대이후 많은 기녀들에 의해 전승되었지만 거의 작고하였고, 지금은 경남무형문화재 제3호 진주한량무 색시역 예능보유자인 정행금에 의해 연연히 이어가고 있다. 기녀출신이 아닌 그는 진주권번 출신의 기녀들에게 춤을 배워 현재까지 진주 춤의 맥을 이어온 인물로, 그의 무용사적 의의를 재조명하여 진주춤의전통성을 검토하며, 진주지역 무용사를 고찰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여러차례에 걸친 구술면담 및 실기학습 등의 직접적인 체득과 함께 문헌을 중심으로연구하였으며, 교방을 중심으로 전통춤을 전승한 정행금의 춤 연구로 연구의 제한점을 두었다. 정행금은 진주지역만의 전통성을 지닌 춤을 계승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재창작하여 그 춤이 오늘날 진주의 전통춤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도록 한 전승의 주체자로서 큰 역할을 하였다. 이 논문의 의의는 정행금이 문화재종목 춤의 전승자로서, 진주춤 복원자로서, 교육자로서 역할과 함께 그의 춤이 진주지역 춤의 미적 특성을 내재하고 있음을 밝히는데 있다. 또한 진주지역 춤이 기방춤에서 무형문화재로 변화·발전되는 과정에서 전통예술사의 산증인으로 매우 중요한 인물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he study of Jeong Haeng-geum who is the holder of Jinju Hanryangmu,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3 in Gyeongnam-do, She learned dances from several teachers in Jinju Gwonbeon and has kept the spirit of Jinju dance up to now, so I would research the ginyeos in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be to illuminate Jeong Haeng-geum’s the artic world. With the acquirement directly such as the several rounds of oral interviews and practical learning, the study centered of dances and document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Jinju was needed, I placed limitations to research focused on Jung Haeng-geum’s dancing life. Only lives for the dancing artic world could establish itself as today’s Jeong Haeng-geum and today's dance in Jinju area. Jeong Haeng-geum is very important person as a living witness to the traditional art of artic history in Jinju. So multi-faceted efforts and cares persistently to evolve and develop the traditional dance in Jinju are required in the policy.

      • KCI등재

        한국 산조춤 형성배경에 따른 무용사적 위상

        배민지 영남춤학회 2022 영남춤학회誌 Vol.10 No.3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xact identity of Sanjo-Chum by examining its history and determining it’s historical status. This study was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long with data such as archives, pamphlets, newspaper articles, videos, and photographs, which were then collected, analyzed, organized, and utilize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Sanjo-Chum was examined from three aspects: the influence of folk dance, the changes within modern Korean dance, and the rise of Sanjo music.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rocesses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settling-down period of <Sanjo> (1942~1952), the original expression period (1953~1976), the creative inheritance period (1977~1995), and the compositional expansion period (1996~present). As characteristics of these step-by-step formations and development, Sanjo-Chum has established itself as a Korean dance that can capture the individuality and technique of artists and reveal their individual artistic philosophies. In conclusion, Sanjo-Chum is a dance that can unlock the artistic spirit of individuals that have been formed and developed during the historical trend of modernization. As Sanjo-Chum has served as the bridge between traditional dance, shinmuyong(new dance), and Korean choreographed dance, it should not only have scalability within future dance art, but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it’s cultural heritage value due to its artistry, which has 100 years of tradition behind it. 이 연구는 산조춤의 역사를 고찰하고 무용사적 위상을 찾아냄으로써 산조춤의 올바른 정체성을 찾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기존의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아카이브, 팸플릿, 신문기사, 영상, 사진 등의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정리·활용하였다. 산조춤의 형성배경은 민속춤으로부터의 영향과 근·현대 한국춤의 변화, 그리고 산조 음악의 대두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발전 과정은 시기별 특성에 따라 <산조>명 정착기(1942~1952), 독창성 유로기(1953~1976), 개성적 창작기(1977~1995년), 구성적 확장기(1996~현재)의 네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단계별 형성·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서 산조춤은 예술가들의 개성과 기교를 담아내어, 개인의 예술철학을 잘 드러낼 수 있는 한국 춤종목으로 자리매김 했다. 결론적으로, 산조춤은 근·현대화라는 역사적 흐름속에서 형성·발전되어 온 개인의 예술정신을 드러낼 수 있는 춤이다. 산조춤은 전통춤과 신무용, 한국창작춤의 가교역할을 한 만큼 미래의 춤 예술에 대한 확장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약 100년의 전통을 가진 그 예술성에 대한 문화재적 가치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 진주·삼천포 농악의 설장고춤과 중국 요족 장고춤의 비교연구

        오도경,김미숙 영남춤학회 2013 영남춤학회誌 Vol.1 No.1

        This study with focusing on the Korea Janggo dance emerging as a leading brand in the world of dance ma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Chinese Janggo dance among the dances consisting of Ak(music)· Ga(song)· Mu(dance). I felt the need to study to difference about Janggo chumsawi in the two countries' Janggo dance with common background of the farming community beyond the capabilities of the instrument as the development of dance. Analysis was focused on Jinju-Samcheonpo Nong-ak's Seoljanggo dance in Korea and Yao Zu's Janggo dance in China. Thus, I conclude it with explaining the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two countries' Janggo dance. 이 연구는 무용에 있어 악·가·무로 어우러진 춤 중에서 한국의 대표 브랜드로 떠오르고 있는 장고춤에 주목하여 한국과 중국의 장고춤에 대해 비교 연구 하였다. 경제, 정치, 문화, 예술 등의 여러 분야의 연구가 서양에서 동양으로 관심이 향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동북아시아의 각 나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발굴되어져야 할 문화예술은 많다. 연구자는 한국과 중국의 장고 춤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장고가 건너왔으며, 농경사회를 배경으로 하여 악기로 써의 기능을 넘어 춤으로 발전했다는 공통점을 알게 되었다. 양국의 장고 모양을 보았을 때 춤사위의 차이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 연구의 필요성을 느 꼈다. 다만, 한국에서는 장고를 가지고 춤을 추는 종류가 많았으나 중국의 경우 요족과 조선족이라는 소수민족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그래서 농경사회의 공통 점을 가지고 있는 진주·삼천포 농악 설장고춤과 중국의 요족 장고춤을 선택하여 집 중적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두 나라의 장고춤의 복식, 소도구, 장단, 춤 사위를 비교 연구하였으며, 춤의 유사성과 차이성과 그 미적 특성을 밝혀 결론을 내렸다.

      • KCI등재

        호남산조춤에 나타나는 한국미 고찰

        배민지,김미숙 영남춤학회 2021 영남춤학회지 Vol.9 No.1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Korean beauty revealed in the Honam Sanjo Dance. Sanjo dance has established itself as a variety of papa depending on the dancer, because the individual personality and free expression were abundant from the occurrence of Sanjo dance.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free expression of emotions, dance moves, costumes, and composition were impromptu and inherent freedom unlike other existing dances is not unrelated to the unconventional creativity of Sanjo music. From the 1950s to the 1970s, when the new dance was flourishing, it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ways by many dancers, establishing itself as a dance that can express a more free individual's creative desire. Since the 1980s, Sanjo Dance has been reorganized and developed by later dancers. In general, if Sanjo dance was performed with a new dance technique, Honam Sanjo dance was preserved without any damage to traditional techniques. This was passed down to Lee Gil-ju through the best by a gisaeng named "Chasing the Jeonju area" and thus has a regional characteristic. In other words, Honam Sanjo Dance has a more natural, simple, and calm style derived from moderation. The beauty of Korea, revealed in the Honam Sanjo Dance, is in line with not only Korea's natural,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historical history, but also with the heart and emotions of Koreans. In particular, among the dance moves of the Honam Sanjo Dance, it can be seen that nature is inherent in carp girls, willow sons-in-law, gungche son-in-law, and bachelor's degre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of nature, on the other hand, the calm style revealed by temperance is stronger in Korean sentiment and nature. As such, Honam Sanjo Dance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because it inherited Korean sentiment and nature as it is, along with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dance that lasted for three generations. 이 연구는 호남산조춤에 드러나는 한국미에 대한 고찰이다. 산조춤은 추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유파로 자리매김을 했는데, 그 이유는 산조춤의 발생에서부터 개인의 개성과 자유로운 표현이 농후했기 때문이다. 즉, 자유로운 감정표현과 춤사위, 의상, 구도 등이 기존 한국의 춤들과는 다르게 즉흥적이고 자유로움을 내재했던 것은 산조음악의 파격적인 창의성과도 무관하지 않다. 산조춤의 역사적 배경과 특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1860년 근대화의 숨결에 힘입어 산조 음악이 발생했고, 이 음악에 춤을 입히면서 춤의 특성은 그 당시의 여느 춤보다 즉흥적이고 감정의 표현이 자유로웠다. 그 이후 신무용의 번성기였던 195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한층 더 자유로운 개인의 창작 욕구를 발휘할 수 있는 춤으로써 자리매김하며 수 많은 무용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표출되었다. 1980년대 이후부터는 후대 무용가들에 의해 산조춤이 재정립되고 발전하였다. 보편적으로 산조춤이 신무용적인 기법으로 추어진 데 비해 호남산조춤은 전통기법에 훼손 없이 보존되었다. 이는 전주지역의 ‘추월’이라는 기녀에 의해 ‘최선’을 거쳐 ‘이길주’에게 이어져서 전승되었고, 지역적 특색을 내재하고 있다. 즉, 호남산조춤은 자연스럽고, 소박하며, 절제에서 우러나는 담담한 멋을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호남산조춤에서 드러나는 이러한 한국의 미는 예부터 이어져 온 한국의 자연, 경제, 사회, 정치, 역사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심성, 정서와도 맞닿아 있다. 특히 호남산조춤의 춤사위 중에서 잉어걸이, 버드나무사위, 궁체사위, 학사위 등에서 자연의 모습을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연의 형상화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절제에 의해 드러나는 담담한 멋은 한국적 정서와 자연관을 더 강하게 담고 있다. 호남산조춤이 유일하게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은 것은 삼대에 걸쳐 이어진 춤의 역사적 지속성과 함께 한국적 정서와 자연관을 있는 그대로 전승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 영남지역 무용구술기록의 현황 고찰

        김현숙 영남춤학회 2015 영남춤학회誌 Vol.3 No.1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present state of oral record of dance in Youngnam area. Dance is disappeared without recording it any more after performing only one time, because it has the momentary character. So, only brief records such as dance director and dancer, theme of work, date and place of performance, etc. are present remained. Oral history, which historians and anthropologists are concerned with in recent days, is one of the new methodologies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oral history, people who cannot express their ideas and experiences with written languages can participate in recording history. Oral Record of Dance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that the need can know to their values and performing at the time of the social enviroment through oral dancers. Accordingly, this study researched project, collection, management, usage states of dance oral records step by step focus on the status of Youngnam Area as the Arko Arts Archive and the National Gugak Center,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are as follows; First, almost all the narrators majored in Youngnam Area is represented by dictator of 8 people. Second, dance oral records in the collection step are collected in various forms of oral sound record, oral video record and oral recording record. Third, the management method of oral record of Dance is various according to the institutions. Fourth, the usage step are updated mainly the list on website, published in book form and used in the method to provide pers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promoting various studies as opening new ground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영남지역 무용구술기록의 현황을 고찰하는 것이다. 무용이일회성과 순간성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기에 공연 후에는 사라져 버려 기록으로 남기기가 쉽지 않다 무용구술기록은 무용가의 구술을 통해 그들의 가치관이나 작품세계,당시의 사회적 환경 등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최근 그 필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영남지역의 무용구술기록은 무용의 전반적인 역사의 흐름에 영남지역의 전통춤이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그 원류를 찾게 하는 방법이며,그 결과물로 영남지역 춤의 특색을 새로이 발견하고 이해를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에 다가서기 위해 현재까지의 구술기록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립 예술자료원과 국립부산국악원,국립무형유산원은 현재무용구술기록을 수집,관리하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세 기관을 중심으로 영남지역의 무용구술기록의 현황을 연구한 결과,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무용구술기록은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으며,구술채록사업 계획,예비조사 및 계획서 작성,면담진행,최종검토의 과정으로 이뤄지고 있다. 영남지역 무용구술자는 국립예술자료원의 8명,국립부산국악원의3명,국립무형유산원의 4명으로 현황 조사되었다. 둘째,수집단계에서 구술음성기록과,구술영상기록,구술녹취기 록으로 수집 되고있다. 그리고 연구 관련 다양한 서류를 제출하며 기증 자료도 수집된다. 셋째,무용구술기록의 관리방법은 기관에 따라 수장고나 아카이브실에서 보관되고, 구술자 별로 분류되어 데이터베이스(DB)화 되어 관리된다넷째,활용단계에서 주로 기관의 웹사이트에 목록을 공개하고 단행본을 발간하며, 필요에 따라 자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남지역의 무용구술기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원로 무용인의 구술기록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을 통해 영남지역의 전통연행예술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한편,유관기관과 아카이브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 한성준 춤의 전통성 모색

        김연정 영남춤학회 2018 영남춤학회誌 Vol.6 No.1

        한성준은 조선조 말기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하였으며,시대와 사회를 꿰뚫어 보는 눈을 가지고 오랜 시간 전해져 오던 고유의 춤들을 집대성하고 체계적 전승의 기초를 닦은 전통춤계의 독보적인 큰 인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한성준의 삶과 춤 인식이 형성되고 본격적인 춤 활동이 이루어진 전후 맥락과더불어 그가 가진 춤에 대한 관점, 춤 활동 및 춤에 드러나는 특성들을 분석함으로써 그에 나타나는 전통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성준의 삶과 춤을 통하여 한성준 춤이 가지는 전통성의 의미를 다음과같은 세 가지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역사적 연속성의 관점으로,한성준의 춤은 우리 민족의 오랜 역사 속에서 축적되어온 문화적 자산의 바탕 위에 새로이 정립된 것이다. 한성준은 민족 문화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것에 기반을 둔 창의적인 재정립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다음 세대에 고유의 문화를 전승해야 한다는 역사적 소명의식을 가지고 구체적인 활동을 펼침으로써 전 근대의 사회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에 민족 고유의 춤문화 전달자로서 전통성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둘째는 주체적 인식의 관점으로,한성준이 보여준 고유한 춤문화에 대한 천착은 역사의식과 시대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국 문화의 주체적 수용과 전승의지의 발현이었다. 많은 이들이 외부로부터 들어온 신문화에 현혹되어 있을 때힘있는 타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주체적 의식을 가지고 고유 문화의 전통성을 지키고 조직적인 활동으로 펼쳐내었다. 마지막은 보편적 통합성의 관점으로,한성준은 다양한 춤들을 종합적으로아울러 민족 고유의 보편적 미감을 정립하고 민족 문화의 원형으로서의 자리매김을 하였다. A Study on the Traditionality of Han Sung Jun Chum Kim, Youn-Jung (Sungkyunkwan University) Han Sung Jun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igure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who established the backbone of traditional Korean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raditionality of Han Sung Jun by examining his perspectives on dance as well a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his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cultural and historical lenses. This study utilized a method of literature review as a tool to discover the traditionality of Han Sung Jun Chum (Dance) and redefine its significance. Collected data included his personal anecdotes, individual dance performances, records on his activities with Chosun Music and Dance Company. In conclusion, the traditionality of Han Sung Jun Chum could be understood in three layers. First, it was historical continuity. Han Sung Jun Chum was established based on historical appreciation of Korean culture. He had deep consciousness on the mission of delivering traditional dance to the next generation. Second, it was independent awareness. Han Sung Jun Chum revealed strong sense of cultural independency and resisted against foreign influences at that time. Finally, it was generality toward unity. Han Sung Jun Chum exemplified the amalgamation of diverse dance tradition and at the same time established authentic general aesthetic sense. Han Sung Jun Chum still existed as a prototype of Korean dance.

      • 춘당(春堂)김수악 춤의 예술화 과정 연구

        김미숙,민성희 영남춤학회 2015 영남춤학회誌 Vol.3 No.2

        본 연구는 영남 교방춤의 한 근원인 김수악의 생애와 예술관을 살펴보고,그의 춤 가운데 전승적 전통성을 지닌 진주교방굿거리춤과 진주검무,진주살풀이춤의 형성 및 예술화 과정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진주 교방춤과 무형문화재에 관한 선행연구 및 기고문,언론기사와 국립예술자료원에 소장된 김수악의 증언을 참고하여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 인문학적 방법을 채택하였다. 김수악은 예인이 춤에 담아내는 7가지 덕목을 마음,정신,공력, 인내,한,멋, 혼이라 지칭하였다. 이는 노자의 ‘무위자연’의 도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의 예술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그의 예술관은 후학들의 지침이 되었으며 진주 교방춤이갖는 가치관이 되었다. 그의 대표적 춤인 진주검무와 진주교방굿거리춤,진주살풀이춤의 형성 및 예술적 형상화 과정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김수악이 진주 교방춤을 그대로 습득하여 보존한 것이 아니라 본인만의예술로 발전시켰다. 둘째,즉흥성이 강한 기방계열의 춤을 공연예술로 승화시키고 일부 문화재로 지정받을 정도로 격상시켰다. 셋째,그의 전승활동 또한 후학양성을 통해,혹은 학교 및 보존회를 통해 진주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춤 전문인을 배줄하였다. 이와 같이 그의 춤은 진주지역을 넘어 영남춤,더 나아가 한국 민속춤의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진주지역의 예술에 대한 그의 노력이 예술적 가치와 의의를 높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life and art view of Kim, su~ak, an origin of Yeongnam Gyobang dance, and considered formation and artistic activity process of Jinju gyobang gutgeori dance, Jinju geommu, and Jinju salpuri dance, which have folklore traditionally among his dances. As the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selected humanistic method mainly with literature research by referring to the advanced research, contribution, news article on Jinju gyobang danc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Kim, su-ak's testimony owned by National Art Archive. Kim, su-ak named 7 virtues that the artist contained in dance i.e. heart, spirit, Buddhist merit, patience, resentment, charm, and soul. This contained Lao-tzu's principle of 'Muwijayeon', which was reflected on his art as it was. His art view became the guide to the future students, also, value view of Jinju Gyobang danc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formation and artistic embodiment process of his representative dances, i.e. Jinju geommu, Jinju gyobang gutgeori dance, and Jinju salpuri dance. First, Kim, su-ak did not just accepted and preserved Jinju gyobang dance as it was, however he developed it as his own art. Second, he sublimated impromptu gibang dance into performance art, and enhanced some of them which were nominated as cultural assets. Third, he produced dance professionals in the whole country, as well as Jinju region, through transmission society or younger generation training, or school and preservation society. This way,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his dance had historical value of Yeongnam dance beyond Jinju region, furthermor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his efforts for Jinju art raised artistic value and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부산의 춤꾼 양정화 생애와 춤 정신

        김미숙 영남춤학회 2019 영남춤학회誌 Vol.7 No.2

        Life and Dance Spirit of Yang Jeong-hwa, a Dancer in Busan after the Korean War This study is aimed at uncovering the current status of our past local dance by searching for hidden figures who have spent their lives as a dance expert but have not been well-known to the world.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and thesis data, pamphlets, newspapers, and internet materials were utilized. Also based on oral research, which is a direct interview, applying a methodology on humanities Yang Jeong-hwa was born in 1936, started learning dance at the age of seven, opened the Goryeo Dance Academy in 1956, and has been devoted to dance art activities and education for more than 60 years so far. Yang made her debut as a second-generation dancer in Busan and devoted herself to dance education as a leader in New Dance field. As a Busan-born dancer who is in the generation suffered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as an artist who has walked on the path straightly despite her turbulent life, and at the same time as a woman full of Korean’s strong will, Yang is a practitioner who produces numerous students in our dance community and embodies a beautiful world through dance. Even in the age of chaos and in the wave of modernization, she devoted herself for a long time only with a passion for dance. Yang is credited with preserving our dance, undergo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She expresses the dance in her own colors. Her dance shows the unity of nature that no one can have. 이 연구는 춤 전문가로서 전 생애를 보냈으나 세상에 잘 드러나지 않았던 숨어있는 인물, 양정화를 찾아 그의 예술 인생과 춤교육 정신을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과거 우리 지역 춤의 현주소를 밝혀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논문자료 및 팸플릿, 신문, 인터넷 자료 등을 활용하였으며, 직접면담인 구술연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적인 방법을 준용했다. 양정화는 1936년생으로 7세 때부터 춤을 배우기 시작하여 1956년에 고려무용학원을 개원하였고 지금까지 약 60여 년 이상 춤예술 활동과 교육에 전념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는 즈음, 기녀들에게만 전승해 왔던 우리의 춤이 일반인들에게 열려서 춤이 예술로 정착하는 혼란의 시대, 그리고 근·현대화의 물결 속에서도 오직 춤에 대한 열정으로 긴 세월을 헌신했다. 일제강점기에 이어 혼란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꿋꿋이 우리춤의 지킴이로 씨를 뿌린 그의 공로는 지대하다. 그의 춤 세계는 본인만의 경지를 구축하여 자기 색깔로 표출해 내고 있으며, 그 누구도 가질 수 없는 비인위적인 자연 합일적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 양정화는 부산의 2세대 무용가로 데뷔하여 신무용 계열의 선두주자로서 춤교육에 헌신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친 세대의 부산 태생 무용인으로서, 그의 정신은 수많은 삶의 굴곡을 겪으면서도 올곧게 한 길을 걸어 온 예술가인 동시에 한국인의 강한 의지로 뭉친 여인으로, 우리 무용계에 수많은 제자들을 배출시키며 춤을 통해 아름다운 세상을 구현하는 실천가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