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소비자의 ‘K-POP" 선호도가 한국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종철(Jong-Chul Park),강지원(Ji-Won Kang),임지원(Ji-Won Im) 한국산업정보학회 2015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는 ‘K-POP’ 선호도가 한국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고 있으며, 특히 이들 관계를 매개하는 한국문화이벤트 참여의도와 한국문화제품 구매의도의 매개효과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나아가 이들 경로관계에서 한류 콘텐츠 이용행태별 차이에 따라 경로효과가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K-POP’ 선호도는 한국문화이벤트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문화이벤트 참여는 한국문화제품 구매의도와 일반제품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문화제품 구매의도는 일반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자들은 본 연구결과를 통해 ‘K-POP’ 선호도가 높아진다고 해서 일반제품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K-POP’ 선호도가 높아지게 되면 이로 인하여 한국문화이벤트 참여의도가 높아지고, 그 결과 일반제품 구매의도가 높아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류 콘텐츠 이용행태(정보이용빈도, 정보원천, 관심분야)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매체이용 행태별 차이의 경우 인터넷 사용하는 중국소비자들은 ‘K-POP’ 선호도가 일반제품 구매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문화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도 일반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보원천이 TV, 라디오, 신문 등을 주로 이용하는 중국소비자들의 경우에는, ‘K-POP’ 선호도가 일반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POP" preference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Especially, it revealed the mediating role betwee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Korean culture event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Further,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path relation according to the use-behavior of Korean wave contents. In this proposed model, we can see "K-POP" prefer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of Korean culture event, but it was not significant for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The participation in Korean culture ev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ulture produc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However,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ulture product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Thus, our finding showed that higher preference of "K-POP" did not make cause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Further, the higher the preference of "K-POP" was,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intension of Korean culture event was and, as a result, the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got higher. In addition, path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media usage behaviors show that Chinese consumer who uses the internet and has a higher preference of "K-PO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Furthermor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purchase intension of Korean culture products and purchase intension of common products. In case of Chinese consumer who use the television, radio and newspapers, K-POP prefere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sion of common products

      • KCI등재

        상품 컬러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인석(In Suk Hwang),이향주(Hyang Joo Lee)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상품 컬러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컬러의 대표적 속성이라 할 수 있는 선호도 및 적합도 관점에서 실증 고찰하고 있다. 여기서 컬러 선호도란 말 그대로 특정 컬러를 선호하는 정도라고 할 수 있으며, 적합도는 컬러가 상품과 맞느냐, 맞지 않느냐 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가설 검정을 위해 본 연구는 인쇄 광고를 사용하였으며 피험자로서 대학생 160명이 참가하였다. 연구 결과 선호도가 높은 컬러와 적합도가 높은 컬러는 각각 선호도가 낮은 컬러 및 적합도가 낮은 컬러보다 구매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호도의 영향은 구매 관여도가 낮은 상품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높은 상품에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적합도의 영향은 구매 관여도가 낮은 상품에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높은 상품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effects of product color on purchase intention, specifically focusing on its preference and fit in print advertising. Color preference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people like a color and color fit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a color evokes meanings(i.e. feelings, thoughts, images) that are fit, congruent, or in harmony with those evoked by a product. Based on the past studies, a total of four hypotheses are addressed in the study; High preferred color will show a greater positive effect than low preferred color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an advertised product(H1), high fit color will show a greater positive effect than low fit color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an advertised product(H2), the effect predicted by the H1 will be more evident in low purchase- involvement product condition(H3), and the effect predicted by the H2 will be more evident in high purchase-involvement product condition(H4). Especially, ELM(Elaboration Likelihood Model) was used for the formulation of the H3 and the H4. One hundred and sixty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college of one of auth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ample aged between 20 and 26 with an average of 23.2 and was nearly 60 percent male. Pretests were conducted to select product categories for the manipulation of purchase-involvement and appropriate colors for each preference or fit condition. Each pretest used an independent sample. Based on the pretests, a digital camera and a USB were chosen for high or low purchase-involvement product condition respectively and black(high preferred and high fit condition), clean red-purple(high preferred and low fit condition), yellow green(low preferred and high fit condition), and dull yellow(low preferred and low fit condition) were selected to be used in the main experiment. Before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told tha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onsumers` responses to product advertising and that they would watch several ads. The ads consisted of one experimental and four nonexperimental ads which were made newly for the study. In order to control for primacy and recency effects, the experimental ad for the high- or low purchase-involvement product condition was placed third in the sequence of five ads. After watching each ad, participa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items about the ad including their purchase intention for the advertised product. The purchase intention was measured using three items on a seven-point scale(α = .94). The items took the form ranging from ``definitely would not buy`` to ``definitely would buy``, ``improbably buy`` to ``probably buy``, ``definitely would not recommend the advertised product to my friends`` to ``definitely would recommend the advertised product to my friends``. The items were modified slightly from those used in the studies by Goldsmith and Lafferty(2000) and Till and Busler(2000). For further analysis, all multi- items were averaged. In the case of experimental ad, different from nonexperimental ads, manipulation- check measures were added into the questionnaire. Specifically, the purchase-involvement was measured by three seven-point scale items from Park and Young(1986) and Zaichkowsky`s(1985) studies("The purchase of an digital camera(or USB) is important to me," "I watch advertising for a digital camera(or USB) carefully," and "I spend a lot of time in purchasing a digital camera(or USB)") Each item was anchored by 1 = strongly disagree and 7 = strongly agree. The items exhibited high reliability(α = 96). The color preference and fit were measured using one and three items respectively on a seven-point scale. The former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MacInnis and Park(1991), anchored by 1 = not likable and 7 = likable while the latter was from Kellaris, Cox, and Cox(1993) and MacInnis and Park`s(1991) studies(fit, congruent, matched; 1 = strongly disagree, 7 = strongly agree). The reliability among the items for the fit was shown high(α =

      • KCI등재

        색 선호도에 따른 패션상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임도연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6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interest in fashion products has increased, and as a result, purchase behavior has increased, and interest in the effects on purchase behavior has increased. As modern consumers consider social and subjective meaning more important than product function or form, and gradually change to emotional consumption, color directly affecting emotion is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i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referred color affects the purchase of fashion products. As a research method, we surveyed the preference col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main contributors to the future consumer society. First, we identified the preferred colors, and secondly, we looked at what colors fashion products were purchased and thirdly, we examined the degree to which the preferred colors affect the purchase of fashion products. Lastly, we looked for the reason why the color was chosen because it was far from the preferred color. As a result, the most preferred color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was violet and black in 19.8%, and the factors considered i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nd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appeared in the order of color, pattern, pattern, and price. On the other hand, 37.1%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difficult to coordinate' was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preferred color and the color of clothes purchas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lor selection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ppeared in the order of harmony with other fashion items, the place or situation to wear preferred color, color matching with personal color, and color image to get by wearing. As a result, the degree to which the preferred color acts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is moderate. Also,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the harmony with other fashion item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oordinating fashion items. 대중매체의 발달로 패션상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로인한 구매행동도 같이 높아지면서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들에 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의 소비자들이 제품의 기능이나 형태 외에 사회적이며 주관적인 의미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점점 감성소비로 변화하기 때문에 감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색이 패션상품을 구매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호하는 색이 패션상품을 구매할 때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한다. 패션상품의 종류에는 의복을 포함한 가방, 신발, 기타 잡화 등이 속하는데 이러한 패션상품을 구매할 때 감성적소비의 중요한 색을 선택할 때 각자의 색 선호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실증적으로 밝혀 국내 패션 시장 및 관련 분야의 마케팅 전략 수립 과 제품개발에 사용되는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미래 소비사회에 주축이 되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선호색을 조사하여 선호색에 따라 패션상품 구매 행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서 여대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색은 보라계열과 검정계열이 19.8%로 가장 많았으며, 패션 상품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요인 및 해당 요인의 중요도에서는 색채, 무늬 및 패턴, 가격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패션상품 구매 시 가장 많이 구매하는 색에 대한 결과로 의복 과 가방 구매 시 검정 계열이 각각 54.2%, 80.8%로 가장 많았으며, 신발은 흰색 계열이 65.0%로 가장 많았고 기타 잡화 역시 검정계열이 31.6%로 가장 많았다. 선호색상이 패션상품을 구매할 때 미치는 정도로는 신발, 가방, 의복 및 기타 잡화 순으로 선호 색상과 일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색상과 의복 구매 색상에 차이가 나는 이유로는 ‘코디하기가 어렵다’가 37.1%로 가장 많았다. 패션 상품을 구매할 때 색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코디할 때 다른 패션 아이템과의 조화, 착용하고 갈 장소나 상황, 평소 선호 색, 퍼스널 컬러와 어울리는 색, 착용함으로써 얻고 싶은 색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선호하는 색이 패션상품을 구매하는데 작용하는 정도는 보통 정도의 수준이며, 패션상품을 구매할 때에는 코디할 때 다른 패션 아이템과의 조화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관련된 분야의 제품 개발 등에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록색 의복의 배색 및 구매 선호도

        박영희(YoungHee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록색과 초록색 의류 선호도 차이 그리고 초록색 의류 구매 선호도의 차이와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초록색을 중심으로 한 배색 선호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대에서 50대의 성인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진 조사연구이다. 분석 방법은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등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록색 선호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 유무, 월 소득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록색 겉옷에 대한 선호도 차이 분석결과 성별과 결혼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 월 소득 그리고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초록색 속옷에 대한 선호도 차이 분석결과 성별과 결혼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령, 월 소득 그리고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록색 의류 구매 선호도 차이 분석결과 성별과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령, 월 소득,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초록색 의류 구매 선호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초록색 겉옷 선호도로 나타났다. 초록 배색 선호도 분석 결과 모든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가장 선호하는 배색은 초록과 흰색 배색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difference in color green preference and green clothing preference, the difference in purchase preference of green clothing,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purchase preference, and the preference to color scheme focused on color gree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For this study, 212 people in their 20s to 50s were surveyed.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carried out with SPSS 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ifference in color green pre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occupation. The difference in green outer clothing preference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martial statu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The difference in green underwear preference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marital statu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The difference in purchase green clothing preference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marital statu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A variable influencing most on the purchase preference of green clothing was the preference to green outer clothing. The preference to green color scheme showed that the color scheme of green and white was most preferred by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 group.

      • KCI등재

        패션 관여도와 엄브렐라 제품분류 지각에 따른 패션 엄브렐라 디자인 유형 및 텍스타일 패턴 선호도 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김칠순,김윤지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degree of fashion involvement and perception of fashion umbrella affects on the design type and textile patter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umbrella for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Both literature review and quantitative research with th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he primary data were col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fashion involvement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dimension; fashion product involvement, fashion advertisement involvement, and fashion product purchase involvement. Fashion product involvement has a high cor-relationship with their preferred fashion umbrella design types and textile pattern which are artistic feels or art applied ones. The high fashion involved cluster preferred brush strokes or watercolor painting artistic umbrella, while the low involved group preferred solid ones. Second, “fashion product involv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umbrella.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an umbrella classification as a fashion item influences on their preference of fashion umbrella design types and its textile pattern, as well as the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umbrella. Fourth, this perception of it is also correlated with the design and pattern preference of fashion umbrella,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erception. From these results,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umbrella were found to be fashion involvement, perception of an umbrella as a fashion item, and design type and pattern preference of fashion umbrella.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권에 거주하는 한국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패션 관여도와 패션 엄브렐라를 지각하는정도가 패션 엄브렐라의 디자인 유형 및 텍스타일 패턴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지법을 병행하여 사용하였으며, 1차 데이터 수집은 경기권에 거주하고 있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법을 사용하여 샘플링 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패션 관여는 ‘패션상품 관여’, ‘패션광고 관여’, ‘패션상품 구매 결정 관여’의 3개의 하위차원이 도출되었다. “패션상품 관여”는 “아티스틱 형”, “퍼니 형” 등의 엄브렐라 디자인 유형과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패션상품 관여“는 아티스틱한 느낌이 나는 패턴, 아티스트 작품 응용 패턴 등의 선호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패션 관여 집단 간 이러한 패턴 선호도는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고관여 집단은 아티스틱 느낌이 나는 패턴(ex. 붓 터치, 수채화 등) 등을 더 선호하였고 저관여 집단은 솔리드 패턴을 선호하였다. 둘째, 패션 상품관여는 패션 엄브렐라의 구매의도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엄브렐라를 패션 아이템으로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은 패션 엄브렐라의 디자인 유형 및 패턴 선호도와 패션 엄브렐라를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지각 집단에서는 클래식, 버블, 스톰형 등의 디자인 유형에서 선호도가 좀 더 높았고 저지각 집단에서는 폴더형, 포켓형의 선호도가 고지각 집단보다 높았다. 넷째, 엄브렐라를 패션아이템으로 지각하는 것은 패션 엄브렐라의디자인 및 패턴 선호도와 상관성이 있으며 지각 정도에 따라 패션 엄브렐라 디자인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패션 엄브렐라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는 패션 관여도, 패션 아이템으로엄브렐라를 지각하는 것과 패션 엄브렐라의 디자인 유형 및 패턴 선호도로 밝혀졌다.

      • KCI등재

        VMD 구성요소가 소비자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

        조형여,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economy grows and consumer income levels rise, society's overall cognitive structure is changing. This has an impact on consumer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and establishes a new concept of value-oriented consumer consumption that differs from the previous demand for consumption of commodity functions and quality. Furthermore, as living spaces evolve into living centers, people's lifestyles typically reflect their values, and living space-related lifestyle brands are growing rapidly. VMD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utilized as a strategy to differentiate a brand from competitors and enhance the store environment in an atmosphere of fierce compet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consum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re influenced by VMD components in offline lifestyle brand outlets. (Metho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concept of relevant variables was summarized and hypothes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S-O-R research model. In addition, five lifestyle brand including 'IKEA', 'MUJI', 'NITORI', 'ZARA HOME' and 'NOME'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anking of '2021~2022 Home Lifestyle Brand Store', an online survey targeting the ‘MZ Generation (1980-2000)’ was conducted. The collected questionnaire was verified of reliability, validity, main components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using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In the following,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importance ranking of the Visual Merchandising components was drawn. (Results) The ‘harmony’ variable, ‘attractiveness’ variable, ‘popularity’ variable, ‘functionality’ variable, and ‘trustworthiness’ variable of the VMD component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preference. Among them, the 'harmony' variable had a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preference.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Visual Merchandising components of lifestyle brand offline stores positively affect consumer preference was confirmed. Simultaneously, importance ranking of VMD Components were as follows: harmony> popularity> trustworthiness> attractiveness> functionality. In addition, consumer preference has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establishing the hypothesis that consumer prefer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VMD in the brand store space and drew out its components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lifestyle brand from other competing brands as well as improve the competitivenes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resulting from the influence between VMD components of a lifestyle brand offline store and brand preference was verified. In order to produce more thorough and impartial research findings, we will broaden the scope of our future investigations to include lifestyle brands and other offline locations of companies that have established stores outside of China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consuming habits and trends of various age groups.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 성장과 소비자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사회 전반적인 인식 구조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소비자의 인식과 소비행태에도 영향을 미쳐, 과거 상품의 기능과 품질을 요구하는 소비에서 새로운 소비 가치를 지향하는 소비 개념이 도입되었다. 또한 주거공간이 생활의 중심으로 변하면서 사람들의 가치관이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되는 경향이 나타나 주거공간과 관련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제품의 품질과 기능만으로는 브랜드의 차별화가 어려우므로 브랜드의 이미지와 가치는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치열한 경쟁 속에서 VMD를 매장 환경 개선 전략으로 활용하여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구축함으로써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소비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의 VMD 구성요소를 통한 소비자 선호도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의 정의를 정리하고 S-O-R 연구모델에 따라 관련 변수 간의 상관성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2021~2022 홈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매장' 순위에 따라 'IKEA', 'MUJI', 'NITORI', 'ZARA HOME', 'NOME' 등 다섯 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중국 내 오프라인 매장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중국 'MZ세대(1980-2000)'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한 설문지는 AMOS 26.0과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타당성, 주성분 분석, 요인분석 및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VMD 구성요소의 중요도 순위를 도출하였다. (결과) VMD 구성요소의 ‘조화성’,‘매력성’,‘유행성’,‘기능성’,‘신뢰성’변수는 모두 소비자 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그중 ‘조화성’변수는 소비자 선호도에 가장 강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의 VMD 구성요소가 소비자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성립되며 VMD 구성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조화성> 유행성> 신뢰성> 매력성> 기능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선호도는 구매의도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 선호도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성립된다. (결론)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와 타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구축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랜드 매장 공간에서의 VMD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하고 VMD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실증 분석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의 VMD 구성요소와 브랜드 선호도 간의 영향을 통해 소비자 선호도와 구매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VMD는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기업 아이덴티티를 부각하고 효과적인 시각화에 의해 브랜드와 소비자가 소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중국 외 해외에서 개점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및 타 브랜드의 오프라인 매장에 관한 연구범위를 확대하여 연령대별 소비 형태와 트렌드를 연구하고 더욱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소비자의 브랜드 선택속성이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커피전문점 브랜드 상위 10개를 중심으로 -

        정병국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selection attributes affect consumers' preferences and purchases in the process of consumers choosing a coffee shop brand. For this study, the top 10 coffee shop brands in the brand reputation index were selected, a survey of 156 residents in Gyeonggi and Seoul was conducted, and then analyzed through the SPSS 28.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It was ver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choosing a coffee shop,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were cleanliness, store accessibility, and kindnes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n preference and purchase, various events and store access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eference. In terms of purchase, the influence of design and utility compared to price also showed influence.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know which attributes consumers value more when choosing a coffee shop brand and the effect on preference and purchase. Through the analysis methods and example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in research on brand selection attributes and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and purchase degree in other fields. 본 연구는 소비자가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선택속성이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그 과정에서 선호도는 구매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위한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브랜드평판지수 상위 10개의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선정하고, 경기, 서울 거주자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SPSS 28.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 독립표본 t-test,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커피전문점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은 청결성, 매장접근성, 친절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메뉴의 다양성, 인테리어 및 매장분위기, 청결성을 남성보다 더 중요시하며, 남성은 직원들의 전문성 속성을 여성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브랜드 인지도에서는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이디야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른 브랜드 선호도에서는 20-30대가 메가커피,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30대 이상에서는 스타벅스의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선택속성이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다양한 이벤트와 매장접근성이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매의도에서는 디자인의 영향이 가장 높았으며, 가격대비효용성도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가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선택할 때 어떤 속성을 더 중요시하는지,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과 사례를 통하여 향후, 타 카테고리 분야에서도 브랜드 선택속성연구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와의 상관관계 연구에 활용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유명모델 선호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우정,전효진,허원무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08 마케팅논집 Vol.16 No.1

        본 논문에서는 유명인 모델 선호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유명인 모델 선호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에 유명인 모델 선호도가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어떠한 경로를 거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각 특정 소비자 관련 조절변수(관여도, 성별)에 따라 경로와 영향력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결과, 성별과 관여도에 따라 경로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관여 제품의 경우에는 성별과 상관없이 유명인 모델 선호도에 의한 광고태도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로가 상대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저관여 제품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라 광고효과모형의 경로가 달라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저관여-여성의 경우에는 유명인 모델 선호도에 의한 광고태도가 브랜드 태도를 거치지 않고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로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관여-남성의 경우에는 유명인 모델 선호도에 의한 광고태도가 구매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는 경로가 상대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명인 모델 선호도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관여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관여도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for an empirical study on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at by what route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has an effect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and also examines that how the route and the influence of the model for advertising effectiveness are differed by some moderating variables(involvement and sex) related to customers.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examined that the routes are different by involvement and sex. In high-involvement, the route that attitude toward advertising made by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does not affect purchase intention directly regardless of sex is proper. However, in low-involvement, it is examined that the route of the model for advertising effectiveness is differed by sex. While the route that attitude toward advertising made by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affects purchase intention directly without attitude toward brand is proper in low-involvement and female, the route which is the same as the route in high-involvement is relatively appropriate in low-involvement and male.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s examined. Low-involvement and female context,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has stronger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 KCI등재

        보문 :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대련지역을 중심으로-

        양유동 ( Wei Dong Yang ),김순아 ( Soon Ah Kim ),이영선 ( Young Sun Rhee ) 한국의류학회 2012 한국의류학회지 Vol.36 No.2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preference for Korean cultural products (Korean talent, K-pop songs, TV dramas, and movies), for Korean fashion products, and their purchase int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s national brand image and Chinese fashion leadership with the three variables was investigated. Data was collected from 580 Chinese in Dalian, Chin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correlations, reliability, and AMOS for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ference for Korean talent, K-pop songs, TV dramas, movies, and fashion products showed that the Chinese had a positive response and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each item was similar. Second, the Chinese preference for Korean talent, movies, and TV drama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reference for Korean fashion products. In addition, the Chinese preference for Korean fashion produc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 fashion products. Third, the Chinese preference for Korean talent and fashion product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ir fashion leadership.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Korean talent, movies, TV dramas, K-pop songs, fashion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had the same positive relationship with Korea`s national brand images. This study examined from a structural aspect how the preference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ducts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fashion products. This study explored that the preference for Korean cultural products transcended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popular culture with a subsequent national industrial and economic ripple effect that improved the national brand image.

      • KCI등재

        신제품 구매 시 시간 거리 인식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소정(Kim, So-Jung),김형준(Kim, Hyung-Jun)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해석 수준 이론(Construal Level Theory: CLT)을 바탕으로 신제품 구매를 고려하는 시간적 거리 차이가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지각된 위험,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와 이러한 영향관계가 신제품의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자고 하였다. 신제품의 태도에 대한 기존 연구는 해석 수준이론에서 제시하는 결과와 일치하는 연구결과들이 제시되었으나 신제품의 유형을 혁신성에 따라 구분하여 이루어진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해석 수준이론을 기반으로 신제품의 유형과 소비자의 성향 차이에 따른 시간 거리 인식과 소비자의 태도에 대한 관계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를 제시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시간 거리 인식과 신제품태도간의 영향관계가 신제품의 유형(RNP vs. INP)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2번의 실험으로 이루어진 실증연구결과, 신제품의 구매를 고려하는 시간적 거리가 다를 때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신제품에 대한 지각된 위험은 가까운 미래에 신제품에 대한 선호도 먼 미래에 더욱 긍정적 평가되어 신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 또한 먼 미래 구매 상황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해석 수준이론에서 제시하던 결과와 일치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핵심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신제품 유형에 따른 시간 거리 인식과 신제품태도의 관계가 신제품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실증연구결과에서는 RNP의 경우 지각된 위험이 가까운 미래에 높게 인식되고 먼 미래의 상황에서는 지각된 위험이 매우 많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가까운 미래에서는 RNP제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 도가가 낮았으나 먼 미래에서는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하지만 INP제품의 경우는 시간 거리에 따른 INP제품에 대한 태도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간 거리와 신제품태도의 관계가 소비자가 제품의 혁신성을 얼마나 인식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on consumer's attitudes, such as perceived risk,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new products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CLT).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nds to test empirically about the interaction effects of new product types(Radical New Product vs. Incremental New Product) and consumer's regulatory focus(Promotion vs. Prev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consumer's new product attitudes. In short, this research aimed to focus on themoderating role of the newproduct types when the consumer consider buying newproducts. CLT suggest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mental representation of event(eg; new products purchase) in the present versus the future and describes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extent to which people's thinking about objects and events(abstract vs. concrete/ feasibility vs desirability).When the consumer intends to buy something, (S)he thinks about the produc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int of purchase. As (s)he considers buying in distant future, (s)he thinks abstractly(not concretely) and pays attention to desirable things(not feasible things). So, this research hypothesized the consumer considering to buy newproduct in near future perceive riskmore, like less and intend to purchase less than in distant future(H1). In addition to this hypothesi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re is interaction effect of new product type between the temporal distance and consumer attitudes(perceived risk,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H2). In the first experiment that manipulated the temporal distance(one week and six months), this study supported H 1, which was consistent with existing findings. Based on this, we extended the experiment regarding to INP and RNP respectively and supportedH 2. For more specific, results from two experiments and extended analysi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the attitudes of new product(perceived risk,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depends on the type of new products, which means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the perceived risk(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s greater or larger for RNP than IN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