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기관 사회서비스 제공에 대한 진단 및 대안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이동석,이호선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2 No.4

        This study diagnosed the opera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t the Seoul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SPASS), which has provided services by directly hiring caregivers on a monthly basis for the past one year, and through this, it sought ways to improve the future. Diagnosis was determined in terms of publicness, user direction, labor rights, and quality management. In addition to the current status data of the SPASS, interview data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31 people including experts, managers, public officials, users and parents, and personal assistant.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it is indispensable to note the fact that the ownership of the operating institution is public, but without the publicness, in terms of sufficient fiscal investment, regulation through quality control, and realization of public value, necessary to support it. In terms of user direction, the degree of choice for the personal assistant, service time, and communication tools and approaches was low. However, the labor rights of the personal assistants from this public agency were higher than those who are from private service providers. For quality management, quality was guaranteed in structure, but the level of quality control in process and results was poor.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s such as additional financial Alternatives such as additional financial investment and pursuit of public value, flexible working hours, reinforced education on communication methods, and satisfaction investigation and its publication.

      • KCI등재

        비수급 빈곤층의 규모와 특징에 관한 연구: 소득과 재산 분포를 중심으로

        한경훈,김윤민,허선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19 비판사회정책 Vol.- No.6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Non-Take-up group of Public Assistance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ystem to mitigate the risks faced by Non-Take-up group of Public Assistance. The 12th Korean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one-third of Non-Take-up group of Public Assistance, did not receive the benefits even if their assets were not more than 100 million. It is analyzed that Non-Take-up group of Public Assistance live in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more than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It is found that Non-Take-up group of Public Assistance experience a higher level of living difficulties than Public Assistance househol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ystem are as follows. The basic asse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should be increased. It is possible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policy response to expand the local type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and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basic pension. 본 연구의 목적은 비수급 빈곤층의 규모와 특징을 파악하는 것인데, 그동안 중요도에 비해 소홀히 다루었던 비수급 빈곤층의 소득과 재산 분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와 기존 연구 간의 다른 점이라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2차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소득인정액과 소득평가액의 변수를 산출하여 비수급 빈곤층을 구분하였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소득평가액 기준 비수급 빈곤층의 3분의 2가량은 재산이 1억 이하인것으로 파악되었다. 소득평가액은 급여 선정기준을 충족하나 재산으로 인해 소득인정액 기준을 초과하는 비수급빈곤층은 전체의 절반가량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급 빈곤가구는 수급가구에 비해 중소도시와 농어촌에 더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수급 빈곤가구의 가구주 평균연령은 수급가구에 비해 높았다. 또한 비수급 빈곤가구의 빈곤 정도가 심할수록 가구원 수가 적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비수급빈곤가구가 수급가구보다 생활 곤란을 경험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에 있어서 기본재산액 수준의 상향조정, 기초보장 수급자 선정과 급여수준의 결정에 있어서 지역적특성의 차이 반영, 상대적으로 1~2인 가구에게 불리하게 설정된 급여선정기준의 상향, 기초연금의 저소득층 노인에 대한 보장성 강화 등의 논거로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양의무자 기준 변천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 점진적 제도변화 이론을 적용하여

        허용창 ( Heo Yong-cha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4

        본 연구는 부양의무자 기준의 변천 경로와 특성을 역사적 제도주의, 그 중에서도 점진적 제도변화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특히 점진적 제도변화 이론의 분석틀을 채용하여 부양의무자 기준의 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정치적 맥락과 제도 자체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양의무자 기준의 사례가 이론에서 제시한 제도 변화 중에서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정치적 맥락 측면에서는 생활보호법이 시행된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부양의무자 기준이 포함된 공공부조를 도입하여 운영한 주체는 대통령을 정점으로 하는 행정부였다. 경제위기가 발생한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 시민단체와 민간전문가 집단이 주축이 되어 기존의 생활보호법을 폐지하고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제정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부양의무자 기준은 시민사회 세력이 강력하게 폐지를 주장했으나, 시행령 제정단계에서 폐지에 반대하는 기획예산처의 입장이 관철되어 오히려 기준이 구체화되고 강화되었다. 표적제도의 특성 측면에서는 1983년 개정 법률에서 부양의무자의 범위를 생활보호법에서 직접 규정하지 않고 민법의 규정을 준용한 점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 재산을 포함한 자산조사만으로 부양능력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을 시행령에 규정한 점이 각각 부양의무 범위와 성격에 대한 해석과 행정청이 행사하는 재량권의 정도에 영향을 미쳐 부양의무자 기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부양의무자 기준의 사례는 제도 변화 유형 중에서 제도 도입 초기에는 표류,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이후에는 층화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ath of family obligation rules in Korean public assistance by adopting the theory of ‘gradual institutional change’. Adopt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enables u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political context and the targeted institution and to classify the case of family obligation rules in Korean public assistance into a specific ideal type posed by the theory. The findings from the study reveal key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context and the targeted institution. In terms of political context, public assistance scheme was introduced by authoritarian governments at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in order to stabilize their political regimes. Although the scheme was considerably reformed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the rules were not abolished and even partially reinforced at the level of enforcement ordinance. In terms of the targeted institution, two features affect how the family obligation rules were interpreted and whether administrative authorities can exercise discretion when they applied the rules to public assistance. The first one was that the key element of who are responsible for supporting their family was not specified in the 1983 Public Assistance Act. The other one was that the rules were even reinforced by bringing in new elements when the 2000 Public Assistance Act was significantly amended. With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ase of family obligation rules in Korean public assistance scheme can be classified into the types of both drifts and layerings depending on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for decades.

      • KCI등재

        한국 정부의 공공외교와 공적개발원조(ODA)의 정합성* -신남방정책(New Southern Policy)을 중심으로-

        이진영 대한정치학회 2020 大韓政治學會報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ublic diplomacy dimensions of South Korea’s New Southern Policy. Unlike traditional diplomacy, public diplomacy is aimed beyond state-to-state relations toward the broader publics of other countries and has characteristics that enable multilayer communication. In addition, public diplomacy, unlike hard power of a country, has an important function to enhance the nation’s image as a major component of soft power. The New Southern Policy is a strategy of foreign policy that applies to countries in Southeast Asia and India, a key strategy to strengthen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those countries. However, consideration should also be given to how the New Southern Policy is actually applied toward specific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public diplomacy and the New Southern Policy, within a broader analysis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ublic diplomacy. Here, a cooperative model of the development aid field is us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for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ASEAN member states in the field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under the rubric of the New Southern Policy. As a result, public diplomacy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o reflect national characteristics. This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New Southern Policy to succeed. To this end, the selection of ODA sector that meet the development needs of the country should be a priority. In particular, since various development cooperation models, (e.g. South-South Cooperation, Triangular Cooperation)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country, a flexible policy rather than a single policy can bring effective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의 외교전략 일환인 공공외교(public diplomacy)와 외교수단으로 활용되는 공적개발원조(ODA)의 특징을 분석하여 이들 간의 정합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신남방정책(New Southern Policy) 수행을 위해 공공외교와 ODA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통외교와 달리 공공외교는 타국의 대중을 대상으로, 다층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공공외교는 국가의 하드파워(hard power)와 달리 소프트파워(soft power)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국가 이미지 제고에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다. 신남방정책은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와 인도에 적용되는 외교정책으로 한국과 이들 국가 간의 외교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핵심 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남방정책이 해당 국가에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며,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공공외교의 주요 특징에 주목한다. 특히 공공외교와 신남방정책 간의 상호보완적(complementary) 관계 가능성을 탐색한다. 또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대한 ODA 지원 분야를 통해 한국의 동남아시아 ODA의 부침을 확인한다. 연구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신남방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특성을 반영한 공공외교 전략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의 개발수요에 부응하는 ODA 분야 선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국가의 발전 정도에 따라 국가 간의 다양한 개발협력모델(남남협력, 삼각협력)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획일적인 정책 보다는 유연한 정책이 효과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공적 임대주택의 공급체계에 대한 모색

        남원석(Nam, Wonseok) 한국공간환경학회 2017 공간과 사회 Vol.27 No.3

        새정부가 들어서면서 ‘공공지원주택’, ‘공적 임대주택’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등장했고, 이로 인해 공공임대주택 중심으로 추진돼 온 우리나라 저렴주택 공급 정책에 변화가 예상된다. 하지만, 새롭게 제시된 용어들을 정책적으로 어떻게 실체 화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공지원주택과 공공임대주택을 아우르는 공적 임대주택의 공급체계를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공적 임대주택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논의,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제약요인, 서울시 사회주택 정책의 경험 등을 검토하면서, 본 연구는 공공지원주택, 공적 임대주택의 용어를 지렛대로 삼아 기존 정책의 재구조화 또는 새로운 제도화를 모색하는 계기로 삼을 것을 주장했다. 그리고 그 일환으로 공공임대주택과 공공지원주택의 통합적 운영, 공공지원주택의 사업모델 확립, 주택도시기금과 재정의 운용 원칙 재정립, 지자체의 역할 확대, 근거법률의 정비를 중심으로 공적 임대주택 공급체계를 재정비할 것을 제안했다. In 2017, new terms such as ‘public assisted-private rental housing’ and ‘social housing’ emerged when the new government was launched. As a result, changes in the public rental housing centered supply policy in Korea are expected.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crete discussion on how to embody newly presented terms in housing polic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seeking a supply system for social housing that includes public rental housing and public assisted-private rental housi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hile examining theoretical arguments supporting social housing, constraints on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the experience of Seoul’s Social Housing Polic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erms of public assisted-private rental housing and social housing should be used as a trigger to restructure existing policies or to seek new institutionalization. As part of that,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tasks: (1) the integrated oper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public assisted-private rental housing, (2) establishing the supply model for public assisted-private rental housing, (3) re-establishing operation principles of the National Housing Fund of central government, (4) expanding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5) amending the existing law to support the social housing policy.

      • KCI등재

        연안여객선공영제 실시를 위한 이론적 고찰 -교통보조정책이론과의 정합성 분석-

        한종길 ( Han Jong-khil ) 한국해운물류학회 2021 해운물류연구 Vol.37 No.4

        본 연구에서는 연안여객선이 공공교통으로 제대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교통보조정책의 관점에서 연안여객선 지원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연안여객선 보조정책의 근거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선택이 있는지 관련이론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연안여객선보조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두 번째로 연안여객선 보조정책의 이론적 틀을 살펴보고, 셋째로 연안여객선 보조의 정책수단 선택에 관련된 이론들을 기술하였다. 시사점으로 유럽을 비롯한 주요국가의 연안여객선을 공공교통정책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고 여객선공영제를 실시하고 있다는 것은 단순하게 낙도보조항로 뿐만 아니라 전체연안여객선 항로에 대하여 공영제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theoretical basis for supporting coastal passenger shipp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assistance policy for it to be properly recognized as public transport. To this end, the rationale for the coastal passenger shipping subsidy policy is reviewed theoretically, and the relevant theories are analyzed to see what kind of institutional options are available to effectively promote it. Firstly, previous studies on coastal passenger ship assistance were reviewed, secon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oastal passenger ship assistance policy was examined, and thirdly, theorie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policy measures for coastal passenger shipping assistance were described. As an implication, the fact that coastal passenger shipping of major countries are being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transport policy and that public service system be implemented not only for auxiliary routes to remote islands but also for all coastal passenger ship routes.

      • KCI등재

        ‘효과적인 변호’를 받을 권리 ― 변호인의 성실의무 위반을 중심으로 ―

        정한중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서울법학 Vol.23 No.1

        After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 in Strickland v. United States, the right to assistance of counsel came to mean the right to ‘effective assistance’ of counsel. Thus, the right to counsel currently has a meaning that goes beyond mere declaration that a government institution should not interfere when a criminal suspect or a defendant appoints his/her counsel: now, it is widely agreed that the right incorporates the ‘right to valid and effective assistance,’ to guarantee meaningful opportunities to acquire assistance of a legal counsel. In addition, in the United States, deficient pleading is often cited as a ground for overturning a conviction. And the governments (the federal government and state governments) bear the obligation to guarantee meaningfully effective defence. In addition, various state courts have reversed convictions based on violation of this obligation. Korean courts need to take a similar approach with regard to malpractice of criminal counsel by, depending on the type or degree of malpractice at issue, reversing the original conviction and return the case to the original court so that the defendant may be tried by a new jury or judge with the assistance of a new counsel, or dismissing the indictment altogether. Specification of the types and effects of malpractice would have to wait for further researches in the academia, as well as amendments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changes in the courts’ position in the matter. Thus,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effective assistance’hinges not only on the competence of the individual lawyers, but also on the government’s efforts to fulfill its obligations with regard to the criminal defense system.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lso provides for the right to assistance of counsel as one of the fundamental rights. We need to see to it that this right is guaranteed in a meaningful way. To achieve this goal, it is imperative to expand the scope of public defense to all stages of criminal procedure, including the pre-indictment stage, while providing institutional/financial support to ensure the good quality of the assistance provided. 미국 연방대법원은 스트릭랜드 사건(Strickland v. United States) 이후, 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권리는 ‘효과적인 도움을 받을 권리’라고 한다. 즉 단순하게 형사피의자나 피고인이 변호인을 선임하는 것을 국가기관이 방해해서는 아니 된다는 의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기회를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유효하고 효과적인 변호를 받을 권리’로 보는 것이 당연시되었다. 또한 미국에서는 불성한 변론으로 효과적인 변호를 받을 권리가 침해된 경우, 유죄판결을 파기하였고 효과적인 변호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국가(연방, 주 정부)의 책무를 지우고 있다. 또한 주 법원 판결에서는 이러한 의무의 위반을 이유로 유죄판결을 파기하기도 하였다. 우리도 불성한 변론으로 인한 형사변호인의 변호과오의 경우에 그 유형이나 정도에 따라 원심판결을 파기하여 새로운 변호인의 도움 아래 새로운 사실인정권자인 배심원 내지 법관의 재판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도록 원심에 환송하거나 공소기각 판결을 선고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 변호과오의 유형과 그 효과에 대하여는 앞으로 학계의 연구가 필요하고, 형사소송법의 개정이나 판례의 변경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적인 변호’의 보장은 단순히 변호인 개개인의 변호능력 문제뿐만 아니라, 「형사변호제도」에 대한 국가적 의무와 노력을 요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도 헌법상의 기본권인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여 한다. 이를 위하여 형사절차 모든 단계, 특히 피의자 단계에서도 국선변호를 전면 확대하여야 하고 또 수준 높은 변호, 양질의 변호를 보장하기 위한 국가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성범죄자의 공공부조 수급자격 제한에 관한 미국법제 분석 및 시사점

        장민영(Min-Young, Jang)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1 이화젠더법학 Vol.13 No.1

        최근 악명 높은 성범죄자의 출소로 인해 공공부조 수급자격 제한 입법에 대한 검토가 촉발되고 있다. 공공부조 관련 국내법은 보편적 제도운영을 기본원칙으로 하여 누구나 차별 없이 일정 수준의 최저생계보장을 국가가 담보한다는 원칙하에 해당 수급자격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았다. 반면, 미국의 경우 공공부조 수급자격을 설정함에 있어 원칙적으로 소득이나 재산을 기준으로 소정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와 공통적인 측면은 있으나, 미국의 경우 선별적 제도운영을 통해 또는 수급자의 자질에 근간하여 성범죄자를 비롯한 소정의 범죄자에 대한 수급자격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향후 국내법제에 성범죄자의 수급자격을 제한하는 입법을 신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급자격을 규정하고 있는 미국법을 비판적인 고찰 없이 수용하여서는 안 되고 법제 간 차이를 감안하여 검토하여야 할 것이며 한편, 헌법상 최소보장금지원칙 및 차별금지원칙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The notorious sex-offender’s release in December, 2020 has triggered the social controversy over sex-offenders’ eligibility for public assistance. Until now, the Korean law has not excluded criminals such as sex-offenders from public assistance system on the ground that the State guarantee everyone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without any discrimination. However, the U.S. law with flexible benefit plans has some provisions to disqualify certain types of criminals including sex-offenders from public assistance benefits. The fact that there is such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domestic and U.S. laws on public assistanc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while discussing the introduction of restrictions on sex offenders" eligibility with regard to public assistance system in Korea. Moreover, the Principles of Deficient Protection Prohibition and non-discrimination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shall be taken into account.

      • KCI등재

        최종적인 사회안전망으로서의 공공부조수급권에 관한 소고

        김서기 ( Kim Seo Gi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3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르면 사회보장의 종류로는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서비스의 세 가지가 있으며, 사회보장수급권은 사회보장급여를 받을 권리를 말한다. 따라서 공공부조수급권은 사회보장수급권의 일종으로서 공공부조급여를 받을 권리를 말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르면 공공부조수급권 중에서 생계급여수급권이 원칙적인 공공부조수급권의 모습이 된다. 생계급여수급권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의복, 음식물 및 연료비와 그 밖에 일상생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금품의 급여를 받을 권리를 말한다. 또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보충성의 원칙을 규정해 놓고 있는데, 우선적으로 사회보험수급권, 사회서비스수급권에 따른 보호를 통해 생활을 유지하고 그래도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없을 때에 비로소 최종적인 사회안전망으로서 공공부조수급권이 작동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계급여수급권이야말로 본래적 의미의 최종적인 사회안전망이 될 것이다. 본래적 의미의 최종적인 사회안전망이자 원칙적인 공공부조수급권의 모습이라 할 수 있는 생계급여수급권 역시 다른 사회보장수급권과 마찬가지로 우리 헌법 해석상 사회적 기본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에 관해서는 종래 입법방침규정설과 법적 권리설이 대립되어 있으며, 법적 권리설은 다시 추상적 법적 권리설, 구체적 법적권리설로 나누어지는 등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생계급여수급권은 다른 사회적기본권과는 달리 국가의 재정적 능력에 따라 상대적으로 보장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우리 헌법이 그 가치적인 핵으로 하는 인간의 존엄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상황에서든 최소한도 최저한의 물질적인 생활보장이 전제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국민은 그 내용을 구체화하는 입법이 불비할지라도 헌법 규정 자체만으로 부터도 최저생계를 위한 조치를 취해줄 것을 국가에 대하여 직접 요구할 수 있으며 국가는 재정적 능력 등을 이유로 이를 거부해서는 안 될 것이다. 생계급여수급권은 구체적 법적 권리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편, 헌법재판소 판례에 따르면 공법상의 권리가 헌법상의 재산권보장의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ⅰ) 공법상의 권리가 권리주체에게 귀속되어 개인의 이익을 위하여 이용가능해야 하며(사적 유용성), ⅱ) 국가의 일방적인 급부에 의한 것이 아니라 권리주체의 노동이나 투자, 특별한 희생에 의하여 획득되어 자신이 행한 급부의 등가물에 해당하는 것이어야 하며(수급자의 상당한 자기기여), ⅲ) 수급자의 생존의 확보에 기여해야 한다. 그런데 생계급여수급권은 수급자의 상당한 자기기여가 없는 국가의 일방적인 급부에 대한 권리에 해당되므로 헌법상 재산권의 보호대상에서 제외된다는 것이 우리 헌법재판소의 판단이다. 그러나 생계급여수급권의 경우 제한적이나마 ‘사적 유용성’이 있으며, 본래적 의미의 최종적인 사회안전망으로서 역할을 하므로 그 어떤 사회보장수급권 보다 생계유지의 기능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첫 번째, 세 번째 요건은 갖추었다고 볼 수 있는데 문제는 ‘자기기여성’이 있는지 여부이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은 꼬박꼬박 세금을 내왔음에도 나라는 최소한의 생계조차 책임져 주지 않는 다고 푸념섞인 불만을 한다는 사실을 통해 볼 때 그들이 납부한 세금을 최소한의 생계유지를 위한 생계급여에 대한 반대급여로서 적어도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적어도 생계급여와 관련해서는 그들이 납부한 세금을 반대급여로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자기기여성’도 인정되므로 공공부조수급권의 원칙적 모습인 생계급여수급권은 헌법상 재산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재산권으로 볼 때 대국가적 효력뿐만 아니라 대사인적 효력 모두에 있어 상대적으로 그 효력이 강화된다는 점에서, 또 점점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 공동체화 함으로써 수많은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거주해서 살고 있고 우리 국민들이 다른 나라에 거주해서 사는 현실을 고려할 때 외국인에게도 기본적으로 인정해 줄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다른 사회보장수급권과 달리 적어도 생계급여수급권의 경우에는 재산권적 성격을 보다 강화하는 방향으로 헌법 해석을 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너무나 조직화돼서 국민의 일정 집단에게 희생을 강요한다. 따라서 현재 빈곤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순순히 이러한 정부의 정책에 따름으로써 사회를 위해 적극적으로 희생한 사람들이라고 말하는 것이 보다 진실에 가깝다. 그러므로 그들은 국가 내에서 최소한도의 몫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즉 이론상으로 생계급여수급권은 국가 내에서 해당 수급자 개인의 정당한 몫의 일부분이다. 한마디로 생계급여수급권은 수급자 개인의 재산권이라는 것이다. 생계급여수급권이야말로 그것이 없으면 생존 자체가 확보될 수 없다는 점에서 천부적 권리 즉 자연권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 가장 기초적인 최소한의 생계를 유지시켜 주므로 그 어느 것보다 국가의 일방적인 급부침해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는 점에서 역시 자연권이여야 한다. 사회적 기본권은 국가 내적 권리에 불과하지만 재산권은 로크에 따르면 자연권이다. 그렇다면 생계급여수급권 즉 공공부조수급권의 원칙적 모습은 당위적으로 자유권적 기본권으로서 재산권이어야 하지 않을까? Now, the Korean economy enters into the phase of long-term economic depression. As a result, many workers lose their jobs, especially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and the marine transport industry. The unemployment rate of the young and the prime-aged is very serious. Moreover, the fact that like this, many of the young and the prime-aged have been unemployed means that the survival of the family concerned faces a serious danger. For in most cases, the young and the prime-aged mainly support the family concerned. In turn, the fact that the survival of the family concerned faces a serious danger may lead to a threat to the existence of the country concerned. Accordingly, now, among other things, we need to strengthen the social safety network. It is the laws in connection with public assistance that play a role as the last social safety network in our legal system. However, in my view, I wonder those laws play such a role faithfully. For first of all, there are diverse views even about the legal character of the right to public assistance in the constitutional law.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is made on two levels. First, this Article begins, in Part Ⅱ, with the examination of meaning and requirement for establishment of the right to public assistance. Second, Part Ⅲ examines what the leagl basis and character of the right to public assistance is constitutionally.

      • KCI등재

        이혼예방을 위한 결혼전 준비교육의 필요성 고찰: 이혼율 증가에 따른 공공부조의 증가와 기독교교육을 중심으로

        공정환(Junghwan Ko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6

        본 연구는 이혼예방을 위해 결혼전 준비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이혼율 증가가 사회복지의 일환인 공공부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예비부부를 위한 결혼전 준비교육에 이혼예방을 위한 교육이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현재 우리나라의 실제적 이혼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며 이혼이 정체 혹은 감소가 아니라 꾸준한 증가로 진행되어 가고 있는 것과 이혼율의 증가는 이혼건수의 축적과 함께 사회복지의 일환인 공공부조의 증가를 시사한다는 것을 파악해 주고 있다. 부부가 결혼을 통해 가정을 이루고 가정을 운영하며, 자녀를 출산하여 자녀를 양육하고, 중년기와 노년기의 삶을 함께 영위해 나가는 것은 부부를 중심으로 한 사적부조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부부해체를 통해 사적부조의 영역이 무너지면서 공공부조로 삶을 이어간다는 것은 사적영역에서 의무와 책임이 상실 혹은 회피하는 결과이며, 사회복지적 차원에서는 사적영역의 대안으로 공공부조가 사적부조의 영역을 대신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 넣어야 하는 복지지원이 작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정된 사회복지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시 말해 공공부조를 낮추고 부부가 사적부조를 온전하게 감당할 수 있는 방법은 이혼율을 낮추는 것이며 이혼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이혼을 예방하고 부부의 책임과 의무를 성실히 이행할 수 있는 부부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현재의 결혼전 준비교육이 이혼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으로 이혼예방을 위한 결혼전 준비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교육의 실제적 주체로 정부의 노력과 교육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기존의 부부 만족도와 친밀감 중심의 교육에 이혼예방에 대한 교육을 첨가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기독교에서의 결혼전 준비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몇몇 보완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좀 더 개선된 교회교육을 살펴보고자 한다. 결혼을 준비한다는 것은 행복한 삶을 살아가야 하는 것과 동시에 가족해체라는 선택적 결과를 예방하는 것에도 방점을 두고 계획해야 하며 이러한 계획의 실행에 있어 정부의 노력과 정책의 변화, 그리고 예비부부를 위한 교육에 따른 가족정책 입안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기독교 교계내에서도 적극적인 기독교 교육적 접근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This study examnies the correlation between increasing divorce rates and increasing public assistance, which is part of social welfare, and looks at ways for pre-marital preparatory education to prevent divorce. And this study researches the existing pre-marital preparatory educations for prospective couples as well as the education for the divorce prevention. Analysis of current actual divorce shows that divorce is not stagnant or declining, but steadily increasing. The increase in divorce rate suggests an increase in public assistance, one of the social welfare programs, along with the accumulation of divorce numbers. Couples form families through marriage, give birth to and raise childrens, they lives together in middle and old age, and private assistance is made around these couples. However, if the family is disbanded through divorce, private assistance will disappear and public assistance will replace it. Couples must take responsibility and duty through private assistance. Thus, the way for couples to reduce their dependence on public assistance and take fully responsible for private assistance is to lower the divorce rates, and in order to lower the divorce rates, couples must provide pre-education to prevent divorce. In this respect, researcher will study on the current pre-marital preparatory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and the need for pre-marital preparatory education to prevent divorce through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It also argues that the government"s efforts are needed as the actual subject of education.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divorce should be added from existing education centered on marital satisfaction and intim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