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 및 행동장애 유아의 정신병리 유형에 따른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박진아,이경숙,신의진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2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of clinical preschoolers and their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Especially, externalizing disorders, internalizing disorders, an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co-occuring disorders were separately analyz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dysfunctioanl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s were 73 preschoolers(aged 4 1/2-6 years old) who were diagnosed with 25 externalizing disorders, 28 internalizing disorders, 20 co-occuring disorders and their mothers. Preschoolers' temperament was assessed by mothers using K-JTCI(Oh, & Min, 2007).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ere observed during mother-preschooler interactions at a laboratory and analyzed using P-CIPA(Mash & Terdal, 1981). Preschoolers'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s were measured by MacArthur Story-Stem Battery Emotion Regulation Scale(Fonagy & Target, 2000).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artial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having both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disorders showed higher failure-of-regulation than other psychopathological subjects. As mothers of preschoolers with externalizing behavior disorders were less sensitive․reactive, preschoolers' novelty seeking tempera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As mothers of preschoolers with internalizing behavior disorders were more intrusive, preschoolers' harm avoidant tempera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As mothers of preschoolers with co-occuring behavior disorders were less affective, preschoolers' reward depend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본 연구는 유아기 역기능적 정서조절이 정신병리의 주요증상인 동시에 정신병리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변인이라는 관점에서 정서 및 행동장애 유아의 정신병리 유형별로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moderator effect)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종합병원 소아정신과 1곳과 아동발달임상센터 1곳에서 심리진단을 받은 4세 6개월-6세 정서 및 행동장애 유아와 어머니 73쌍이었다. 연구도구는 오현숙과 민병배(2007)의 기질척도(JTCI: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Mash와 Terdal(1981)의 부모자녀상호작용검사(P-CIPA: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Assessment), 그리고 Fonagy와 Target(2000)의 MSSB 정서조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현화 및 내면화 행동장애의 공존병리 집단의 경우 기질적으로 사회적 민감성이 가장 낮으며 정서변화가 매우 급격하고 정서표현이 기이하거나 비일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현화 및 내면화 행동장애 공존병리 유아의 어머니는 정서표현 변화가 거의 없고 부정적 정서표현을, 내면화 행동장애 유아의 어머니는 지나치게 통제적이고 침해적인 양육행동을 가장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행동장애 유아의 경우, 어머니의 둔감하게 반응적이지 못한 경우에만 자극추구 기질적 취약성이 역기능적 정서조절에, 내면화 행동장애 유아의 경우, 어머니가 침해적인 경우에만 위험회피 기질적 취약성이 역기능적 정서조절에, 외현화 및 내면화 행동장애 공존병리 유아의 경우, 어머니가 정서표현이 거의 없으며 비일관적인 정서표현을 하는 경우에만 사회적 민감성 기질적 취약성이 역기능적 정서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머니의 반영기능과 유아의 상위수준 사고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실행기능과 반사실적 사고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이윤정 ( Yoonjeong Lee ),임지영 ( Jiyoung Lim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2

        This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Participants included 293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n Daegu city and Gyeongsang province. Th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reflective functioning,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reative thinking.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preschoolers’ critical thinking and caring thinking. Preschoolers’ counterfactual thinking was measured by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25.0. Path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used with AMOS 25.0 program. Also, specific indirect effect were analyzed using AMOS user-defined estimand function.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critical thinking and caring thinking through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however,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had no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creative thinking through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This study revealed that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need to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o explain the level of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The results highligh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 KCI등재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

        김민주 ( Kim Min Ju ),신나나 ( Shin Nan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남아: 156명, 여아: 159명)를 자녀로 둔 어머니 31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정, 상관관계분석, 다중 매개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지만, 지지적 반응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의해 순차적으로 매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내면화 문제행동에 대한 조기 개입 및 중재와 관련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아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태도 및 가치관을 성찰하고 긍정적인 상위정서를 도모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direct effect of maternal meta-emotion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 total of 315 mothers whose children were 4 to 5 years old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and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First, maternal meta- emo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econd, maternal meta-emotion had an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non-supportive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However, a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supportive reac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maternal meta-emotion had an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Lastly, maternal meta-emotion had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c source that can prevent and intervene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rovide data for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어머니 불안과 학령 전 아동의 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 아동 애착 안정성의 조절효과

        김우경,방희정 한국인간발달학회 2015 人間發達硏究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anxiety,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2) the moderating effect of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xiety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3 mothers who have preschooler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Maternal anxiety was measured by the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the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was measured by Q-sort, and the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was measured by CBCL 1.5-5.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anxiety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xiety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a preschooler who had an anxious mother but had high attachment security with his mother would not have an anxiety and depression problem. The study af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xiety and a preschooler’s affect problems and emphasized an importance of attachment theory.

      • KCI등재

        유아의 일상생활 활동과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시간이 유아의 미디어 사용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이귀옥 ( Lee Kwio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의 3년간의 미디어 사용 시간의 변화 궤적을 살펴보고, 유아의 일상생활 시간과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시간이 유아의 미디어 사용시간 변화궤적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자료의 2012년~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미디어 사용 시간, 유아의 수면 시간, 실내놀이시간, 실외놀이시간, 식습관,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 시간과 관련된 설문지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잠재 성장곡선 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만 4세부터 6세까지 미디어 사용 시간은 줄어들었고, 개인차가 있었다. 유아의 미디어 사용 시간 초기치에는 유아의 일상생활 활동 전체와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 시간이 영향을 주었고, 변화율에는 유아의 실내놀이시간과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 시간만 영향을 주었다. 이는 유아가 일상생활 활동이 규칙적이고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 시간을 같이 보낼 때 유아의 미디어 사용 시간을 장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the media use time of preschoolers for 3 year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daily life time of preschoolers and the playing and learning time of mothers and preschoolers influenced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preschoolers’ media use time. The study subjects used 2012-2014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research tool is a questionnaire related to media use time of preschoolers, preschooler’s sleep time, indoor play time, outdoor play time, eating habits, and play and learning time of mothers and preschoolers. Descriptive statistics and latent growth curve model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media usage time decreased from 4 to 6 years old,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Preschoolers’ daily activities and mother and preschooler’s play and learning time influenced the preschooler’s initial media use time. Also, indoor play time of preschoolers and play and learning time of mothers and preschoolers influenced the change rate of preschoolers’ media use time. This suggests that children’s media usage time can be managed in the long term when preschoolers have regular daily activities and share their mother and preschooler’s play and learning time together.

      • KCI등재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부모의 양육특성에 관한 연구

        한주경,박재국,김영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behavior between parents with disabled preschoolers and other parents with normal preschoolers in a bi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parents with disabled preschoo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arents of kindergarten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other parents with normal kindergarteners in the city of Busan. As a result of checking their parenting attitude and behavior, both of the parents took affectionate and controlling attitude, no matter whether they had disabled or normal preschoolers, but the parents with disabled preschoolers took a more rejective attitude, while a more autonomous attitude was prevailing among the parents with normal preschoolers. In terms of the parenting behavior of the parents with disabled and normal preschool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gaps in active involvement and control. The parents with disabled preschoolers raised their children in a more autonomous, encouraging and laissez-faire/ permissive way. As for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behavior,affectionate attitude and autonomous attitude were correlated to active involvement, and the parents who took a more rejective attitude behaved in a more autonomous, encouraging and controlling manner. Active involvement and controlling behavior were more common among those who took a more controlling attitude.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parents with disabled preschoolers had a tendency to take a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at their parenting behavior was more autonomous, encouraging and laissez-faire/permissive. Therefore efficient paren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parents to learn about how to raise their children. 본 연구는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부모의 양육특성, 즉 그들의 양육태도와 양육행동의 특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아와 부모의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시키고 그들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유치원 및 장애전담어린이집에 다니는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부모(N=172)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부모의 양육태도 중 거부적 태도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장애유아 부모보다는 일반유아 부모가 애정적, 자율적, 통제적 태도 성향을 더 많이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유아 부모의 경우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그들이 보이는 문제행동, 그리고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의 어려움이 거부적인 양육태도로 발현되는 결과라 생각된다. 따라서 장애유아 부모가 직면하는 유아의 문제행동과 양육에 대한 교육 및 지원이 지역사회 및 교육기관 차원에서 다루어짐으로써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에의 스트레스를 경감시켜줄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둘째,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부모의 양육행동 전 영역에서 장애유아 부모가 일반유아 부모보다 적극적 참여, 자율 격려, 방임적 허용, 통제의 성향을 보였다. 이는 장애유아 부모가 다양한 환경 즉 치료실 및 복지관 등에서 유아들에게 많은 자극을 주어 조기에 장애를 최소화하려는 의도가 내포된 것으로 보이며, 그 외의 환경에서는 장애유아에게 방임적 허용을 통해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려고 하는 행동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는 부모의 비일관적인 양육행동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하게 위해 지역사회 및 교육기관에서의 양육에 대한 조언과 지도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셋째, 양육태도와 양육행동은 애정적 태도의 성향이 높을수록 적극적 참여 행동을 많이 보였으며, 거부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부모일수록 자율 격려와 통제의 행동을 많이 보였다. 또한 자율적 태도 성향을 가진 부모일수록 적극적 참여의 행동은 많이 보이지만, 통제 행동은 많이 보이지 않았으며, 통제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부모일수록 적극적 참여의 행동과 통제 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육태도와 양육행동은 서로 많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결과로 부모가 올바른 양육행동을 보이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가져야 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장애유아의 부모도 일반유아의 부모가 가지는 올바른 양육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현재 당면한 그들 자녀의 문제에만 관심을 두기 보다 자녀의 미래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지영(Ji Young Lim),이윤정(Yoon Jeong Lee)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motional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67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from Daegu city and Gyeonsang province. Th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own emotional expression,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behavior problems. Results: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 preschoolers’ emotional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Seco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through preschoolers’ emotional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need to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o explain the level of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e results highligh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 KCI등재

        어머니의 반영기능과 유아의 공감능력, 실행기능, 배려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이윤정 ( Yoonjeong Lee ),임지영 ( Jiyoung Lim ),안선정 ( Sunjung An ) 대한가정학회 202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reflective function, preschoolers’ empathy, executive function, caring behavior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98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Mothers’ reflec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the Parental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PRFQ). Preschoolers’ e mpathy was assessed by the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QCAE).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the Behavioral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s-Preschool Version(BRIEF-P), and caring behaviors were assessed by the caring behaviors scale(Kim,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ith the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flective function showed 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empathy, executive function, and caring behaviors. Second, the preschoolers’ empathy and executive function showed 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caring behaviors. Third, preschoolers’ empathy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reflective function on preschoolers’ caring behavi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preschoolers’ empathy, executive function, and caring behaviors.

      • KCI등재

        유아 행복의 차원 구조 및 원형 구조: 어머니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희경 ( Hee-kyung Park ),정계숙 ( Kai-sook Ch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다양한 요인들로 구성된 유아 행복의 개념의 속성과 요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유아 행복의 차원 구조와 원형 구조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3세-5세 유아 77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들 어머니에게 유아 행복요인을 측정하고자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이론적으로 검토된 유아 행복요인은 유아의 배경변인과 함께 부모의 경제력, 사회교육문화 환경, 가족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 외모, 여가, 건강, 긍정적 의사소통, 몰입, 긍정정서, 자기수용, 영성, 강점 발휘, 회복력 등 15개 요인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다차원척도법으로 분석되어 차원 구조를 도출하였고, 원형 구조는 Browne이 개발한 CIRCU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유아 행복의 차원 구조는 3차원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차원의 요인 특성에 따라 가족환경-개인 심리 차원과 상호 관계-개인 역량 차원, 가족여가활동-사회적 발달·교육 자원 차원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유아 행복의 원형 구조는 원형 구조 내에서 긍정적 의사소통, 긍정정서, 영성 등의 개인 심리 특성을 보이는 요인들이 유사군집을 보였으며, 이러한 유사군집과 교사관계, 또래관계는 부모의 경제력과 사회교육문화 환경 등 유아의 환경적 요인들과 원형에서 정반대에 위치해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는 정반대에 위치하는 요인이 없어 대부분의 요인들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 행복에 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유아 행복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multi-dimensional and circumplex structure of the constructs of preschoolers` well-being to understand diverse aspects of preschoolers` well-being which is composed of various facto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777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ir mothers to measure the constructs of preschoolers` well-being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reschool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the constructs of preschoolers` well-being. The mean for the constructs of preschoolers` well-being were converted into standardized score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In addition, the circumplex model was based on the CIRCUM program developed by Browne. The results were: First, the result that dimensional structure of preschoolers` well- being was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was composed of the dimension of the family environment and individual psychology and dimension of interrelationship and individual competence, family leisure activity and social development-educational resourc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ircumplex structure of preschoolers` well-being after integrating the structure with the two-dimensional structure of preschoolers` well-being, the constructs of the quasi-cluster composed of positive communication, positive emotion, spirituality, self-acceptance, demonstration of character strengths, and resilience showed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quasi-cluster including positive communication,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 were not highly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s` economic status and social-educational-cul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family relationship was somewhat lowly related to the constructs such as the flow and parents` economic status, it was largely related to most of the constructs without any constructs in the opposite rel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systematized preschoolers well being and identified its attributes. Based on this finding, implication was given for promoting preschoolers` well be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남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정서수용태도의 매개효과

        김미라,강지현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The aim of this stusy is to investigate whether maternal attitudes toward preschoolers'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We conducted the following survey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 Mot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and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1.5-5 (K-CBCL 1.5-5), on 261 mothers with 3 to 5 year-olds attending one of 4 kindergartens and 3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either Seoul, Gyeonggi-do, or Changwon-si in Gyeongsangnam-do.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from our analysis: First, the main effects of gender for research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And the main effects of age for maternal attitudes toward preschoolers; expressiveness were significant. So, controlled response was observed in more 5-year-olds than 3-year-olds. Second, the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s a significant relation on the mother's attitude towards children's expressiveness for all preschoolers and the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has a significant relation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only for boys. Third, the mother's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xpressiveness functioned full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her preschooler'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functioned partiall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her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nly for boy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가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경기도와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4개의 유치원과 3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를 둔 어머니 261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 척도, 유아 행동평가척도(K-CBCL 1.5-5) 설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변인의 성별에 대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는 만 3세 유아보다 만 5세 유아에게 더욱 통제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 유아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는 남아의 문제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여아의 문제행동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는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남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서는 완전 매개효과를, 내재화 문제행동에서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