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책선거와 매니페스토 운동: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가

        이 동 윤(Lee, Dong-Yoo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0 동서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전개된 매니페스토 운동의 주요 현황과 추진과정을 살펴보고, 정책선거를 위한 매니페스토 운동의 성과와 제반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정책공약의 공급자와 수요자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이번 지방선거에서 정책선거를 위한 매니페스토 운동은 역대 선거과정과 비교하여 점진적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아직도 많은 문제점들이 표출되었다. 우선 매니페스토의 공급자 차원에서 정당과 후보자들은 정당의 당내민주화는 불문하고 선거 시기에 즈음한 정당과 정치인들의 잦은 이합집산과 공천 지연이 정책공약 개발과 정책선거 자체를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매니페스토 운동에 직면한 정당 및 후보자들의 정책선거 의지와 태도도 더욱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정책공약을 접하는 수요자로서 유권자들 역시 매니페스토 운동에 대한 참여의식과 태도가 더욱 제고되어야 하며, 매니페스토 운동 자체의 기본 목표와 추진전략 등도 포괄적 차원에서 재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책선거와 매니 페스토 운동은 그것의 구조적 제약이나 방법론적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직접 적으로 인식하고 실천하는 행위자, 즉 정당과 후보자, 유권자 자신의 인식과 태도가 중요하다는 점이며, 정책공약의 수요자와 공급자 차원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교육이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sent state and process of manifesto movement in the 2010 local elections, and to examine its results, several problems, and alternatives in the dimensions of policy supplier and consumer. As a research result, in this elections, the manifesto movement for policy-centered election is developed very gradually in comparison with a series of recently elections, but also its many problems revealed. First of all, regardless of intra-democratization of political parties, changes in political party alignment and politicians position at the time of election were the core factor to obstruct policy development and policy-based election, and parties and candidates will and attitude for policy-centered election also need to be more improving. As a consumer of policy, voters and ordinary citizens also need to promote participative consciousness and attitude into the manifesto movement. The manifesto movement itself must be improving and realigning its present ways and strategies fitting into fundamental purpose. In conclusion, for the settlement of manifesto and policy-centered election, perception and attitude of actors, namely political parties, candidates, and voters who directly recognize and practice it, is important, not the structural limits and methodological problems. And also it needs continuous concern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dimension of policy supplier and consumer of electoral process.

      • KCI등재

        외교정책이슈가 미국 대통령선거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주현(Joohyun Kang) 한국정당학회 2009 한국정당학회보 Vol.8 No.2

        본 연구는 학자들 간에 오랫동안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논란을 벌여온 문제인 외교정책이슈가 선거에 영향력이 있는지 여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1988년~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관한 전미선거조사(ANES) 자료를 이용하여 유권자의 투표에 외교정책이슈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여부를 장기 및 단기외교정책이슈에 중점을 두어 프로빗(probit)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상당히 흥미로운 결과를 나타냈는데 외교정책이슈의 영향력은 선거마다 강력한 영향력을 보여준 선거부터 사안별로 부분적 영향력을 보인 선거, 거의 영향력이 없는 선거까지 다양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학자들의 입장과는 달리 실제 선거에서는 외교정책이슈가 영향력이 없다는 입장과 외교정책 영향력을 강조하는 견해가 같이 혼재되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를 통해 다른 주장에 대한 흑백 논리적 사고에서 벗어나 연구 간의 상호이해와 공통부분에 대한 연결고리를 찾았다고 볼 수 있다.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among scholars whether foreign policy issues determine presidential election in the United States. Given the controversy around foreign policy iss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empirically whether the election outcome is significantly determined by foreign policy issue. All data sources are based on 1988-2004 American National Election Studies and the model is estimated by probit. Major finding is that it is very hard to say definitely whether foreign policy issues have a signifiant impact on the election since the data shows mixed empirical results. In one election, the foreign policy issues are key issues in the election and it significantly determines the election outcomes, but in the other election, foreign policy issues do not have any impact on the election. In another election, foreign policy issues do influence the election outcomes but the impact is very strong. Therefore, foreign policy issues can or cannot not be a determinant of presidential election depending on the electoral environments.

      • KCI등재

        기초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 폐지 실패사례 분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전성욱 한국거버넌스학회 2014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by analyzing with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the cause of policy output’s failure and of not switching party nomination system to decision agenda. By expanding party nomination to local councilors in 2006, Scholars, ngo, the public were discussing in earnest to abolish party nomination system. The pledge of presidential candidates’ abolition opened the policy window, and turned this policy problem to be governmental agenda. In the political streams, it attracted the policy makers’ attention, and grabbed at a chance to turn to be decision agenda by installation and debate of a national assembly committee for agreement. But, the partial coupling of three streams (problem, political, policy) closed the policy window, and it made to fail the policy outpu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political stream is the major cause of policy output’s failure. The specific causes are the opposition parties’ competition of superiority in local election, the prevention of political support base’s breakaway, the change in position of political interests, the passive attitude of the president. In the policy streams, the abolition of party nomination system didn’t meet the value acceptability of policy community, and it couldn’t reach the agreement and support of dominant political force. This study contributed to verify the theory by analyzing the political issues in the process of policy agenda setting, to expan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to identify importance of policy entrepreneurs’ role, to enhanc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analysis by utilizing a wide range of empirical data. 본 연구는 정책의제 설정과정에서 기초지방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라는 사회적 이슈가 결정의제로 전환되지 못하고 정책산출에 실패하게 된 원인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6년 기초의원까지 정당공천제가 도입되면서 학계, 시민단체, 국민 등을 중심으로 폐지 논의가 본격화되었고, 이 정책문제는 2012년 여야 유력 대선후보가 폐지를 공약함으로써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고 정부의제가 되었다. 이는 정치의 흐름에서 정책결정자의 관심과 주목을 끌면서 정치권에서 합의기구 설치·운영, 합의를 위한 논의 등 최종 결정의제로 전환할 기회를 가졌으나, 문제제기, 정치적 고려, 정책대안이라는 세 흐름의 불안전한 결합에 의해 정책의 창은 닫히고 2014년 지방선거에서 중앙정당들이 공천을 유지함으로써 정책산출에 실패하게 되었다. 분석결과, 정책산출에 실패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정치적 흐름이며, 여야의 지방선거에서의 우위확보 및 지지기반 이탈 방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입장 변화, 대통령의 소극적 태도를 들 수 있다. 정책대안의 흐름에서는 대안으로써 정책공동체의 가치수용성에 부합되지 못했으며, 정치세력의 지배적인 지지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연구의 의의는 정치적 이슈를 정책형성과정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이론을 검증하고 현실적 적용가능성을 확대하였고, 정책혁신가의 존재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한 점, 사설, 뉴스기사, 기존연구 등 실증자료를 폭넓게 활용함으로써 분석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제고하였다는 점이다.

      • KCI등재

        직선제이후 역대 대통령의 체육관련 연설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조규보(Kyu Bo Cho),이형일(Hyung Il Lee) 한국사회체육학회 201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a president`s will to sports affects the sports policy. Roh Tae-woo, Kim Young-sam, Kim Daejung and Roh Moo-hyun were the presidents who finished their service since the direct election system. Those presidents discussed different sports policies in their sports-related speeches and by looking at those speeches. The speeches on sport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of all, a sports-related speech of each former president since the direct election system appeared to have differences to basic policy of a nation established by a ruler. In case of President Roh Tae-woo and President Kim Young-sam, they basically focused on policy stance of a concerned government in the speeches and there found differences between that policy and sports policy which were being conducted at that time. On the contrary, however, President Kin Daejung and President Roh Moo-hyun made an attempt to relate the sports policy to the policy stance of their administrations. In consideration of what has been studied the above, the sports policy of the president would not have much influence on policies during the time of each president. After all, unless a president has a strong will to enforce certain policies, not to speak of the sport policy, all those fields in Korea will face with different results from what the president has formulated as to the fields. The sports policy by the former presidents since the direct elec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basic policy of a concerned administration. However, most of the administrations were concerned more about international sports event while they failed to create efficient results from a sports for all policy. Since the direct election system was introduce, every presidents came up with new ideas for sports policy field such as physical education, welfare of sportsmen, national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f elite sports, sports industry vitalization and South-North sports exchanges. However, the sports field would not need more of those new ideas any more but it suggests that the administration make plans to be sustainable and practical in the medium and long term. Not only that, a tentatively named sports offics which will be in charge of sports affairs only should be organized while revision of sports act is discussed as a priority.

      • KCI등재

        재정정책에 대한 선거와 정부의 정책운영능력 변수의 영향력 분석

        안용흔(Yong Heun AN) 21세기정치학회 2006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6 No.2

        This research paper was aimed at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ions and the economy, especi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elections and incumbent governments' policy capability on fiscal policy in Korea and Taiwan. To perform this work, I reviewed the debates on the relevance of the Political Business Cycle (PBC) theory which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ions and macroeconomic policy. The review of the debates led me to find such necessary conditions as “the fixed election timing” and “manageable economic condition” and then to formulate the first hypothesis of the paper: given such factors as fixed elections and manageable economic stability, incumbent governments will attempt to pursue expansionary fiscal policy before elections. To go further, this paper tried to make the second hypothesis by relaxing an assumption of the PBC theory with regard to incumbent governments' policy capability: given such factors as fixed elections and manageable economic stability, as incumbent governments are more capable of managing fiscal policy, they will pursue expansionary fiscal policy before elections in terms of both probability and extent of managing fiscal expansion. This paper adopted the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RIMA)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se two hypotheses. The ARIMA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ruling governments have pursued expansionary fiscal policy one quarter before elections and that the probability and extent of their fiscal manipulation depended on the degree of their policy capability. Meanwhile, Taiwanese ruling governments have inclined to manipulate fiscal policy three quarters before elections. However, unlike Korean governments, Taiwanese governments did not display a policy tendency to conduct fiscal expans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ir policy capability. In conclusion, the first hypothesis of this paper could be supported in the analysis of Korean and Taiwanese cases, whereas the second hypothesis could be supported only in Korean case.

      • KCI등재

        정책선거 개념의 재정립을 통한 제5회 지방선거의 정책성향 평가

        김욱(WOOK KIM) 21세기정치학회 2012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One is to expand the concept of policy-based elections or policy-based voting. A second purpose is to reevaluate the 5th local election held in June 2nd, 2010, by applying the expanded concept of policy-based elections. The third is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manifesto movement. The concept of policy-based elections, or policy-based voting as a micro foundation of such elections, should be interpreted more broadly. The concept should include not only voting on the basis of specific policies, but also voting on the basis of salient issues, political ideologies, economic performance, or even party identification. In short, the concept should be viewed as a continuum rather than a dichotomous variable. Applying this expanded concept of policy-based elections, the 5th local election can be reevaluated. Contrary to some evaluations, the 5th local election might have been more policy based than previous local elections in that there were some salient issues such as Sejong city, Four Major River Projects, and Free School Meals during the electoral campaign.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post-election survey data also suggests that voters took such issues more seriously when voting than they had done in the previous local elections.

      • 제 20대 총선과 정책선거 평가

        정하윤 한국지방정치학회 2016 한국지방정치학회보 Vol.6 No.2

        In the 20th General Elec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was no policy competition among political parties or candidates and no policy-oriented voting among voters. This article analyzed policy-oriented election based on the activities of core actors in the 20th General Election. In the election process, political parties made public commitments in the area of economy, welfare, security and so on, but there was almost no distinction among parties or candidates and lack of consistency with party lines. Mass media and civic organizations both have analyzed and evaluated commitments of parties, developed Manifesto campaign and so on, but their activities resulted in ineffective. The activities of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uni-directional, normative public relations. Although vot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olicy-oriented voting, they did not decide their votes based on the policies. As a results, it is not easy to demonstrate that the policy-oriented election and voting have realized in the 20th General Election. 2016년 제 20대 총선은 정책, 이슈, 인물이 실종된 선거라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이 글에서는 20대 총선에서 정책선거 여부를 선거과정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활동과 정책내용을 근거로 평가하였다. 정책선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당 및 후보자의 정책공약이 정당 간 차별성을 지니고, 정당강령과는 일관성을 보여야 한다. 20대 총선에 참여한 정당들의 정책방향, 우선순위, 실행방안에서는 차별성을 나타냈지만, 새누리당과 더민주당의 정책공약은 정당강령과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후보자 공약의 경우, 소속 정당의 정책기조나 강령과 후보자 공약이 반대 방향으로 나타난 경우, 서로 다른 정당 후보자들 공약 간 유사성이 나타난 경우가 다수 존재하였는데, 특히 산업, 지역개발정책 등에서는 후보자 간 차이가 거의 드러나지 않았다. 언론과 시민단체는 정당과 후보자로 하여금 정책적 우선순위를 명확히 밝히고, 정책이행을 촉구하는 등의 압력을 행사하는데, 대체로 선거일에 임박하여 활동이 집중되었고, 다양한 검증지표를 사용하다보니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선관위는 유권자 투표참여를 독려하고, 정책선거 및 매니페스토를 홍보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대부분 활동이 당위성과 규범성에 중점을 두었고, 일방향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녔다. 유권자는 정책에 대한 정당 및 후보자의 입장 차이가 선명할 때 정책투표를 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20대 총선에서는 공약 차별성과 일관성이 부족하여 정책투표로 이어지지 못하다. 또한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있어 정책이 우선순위가 되지 못하였고, 매니페스토에 대한 관심 역시 부족하였다. 결국 20대 총선에서 정당 및 후보자, 언론 및 시민단체, 선관위, 유권자의 행태를 볼 때 정책선거와 정책투표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정책선거는 텅 빈 구호에 불과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회의원선거의 정책선거 여부 분석 -18대총선과 19대총선을 중심으로-

        박창규 ( Chang Gyu Bark ) 대한정치학회 2015 大韓政治學會報 Vol.23 No.3

        대의제민주정치에서, 유권자들이 투표할 후보자를 선택할 때 공약은 매우 중요하다. 2012년에 치러진 제19대국회의원선거는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2004년의 예비후보 자제도 도입과 참여경선제 도입, 2006년 지방선거부터 본격화된 매니페스토 운동 등 정책선거를 위한 노력의 성공적 정착의 기로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회의 원선거의 정책지향 정도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간하는 유권자의식조사를 주요 자료로 분석하였다. 특히 제18대총선과 제19대총선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선거일 1주일쯤 전에 지지할 후보자를 결정한 유권자를 주로 분석하였다. 이들 중 꼭 투표한 다는 유권자는 정책과 공약을 고려하여 실제로 투표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18대국 회의원들이 제시했던 공약에 대한 이행정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19대 국회 의원선거에서 당선되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비패권지역에서는 선거공약의 실행정도가 낮은 경우에는 재출마할 때 당선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권 자들은 공약을 투표에서 고려하고 있으며, 정책선거의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n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campaign promises is very important when voters choose a candidate to vote. Articl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2012, has many meanings. Preliminary candidate system and the Public participation candidacy decision introduced in 2004, manifesto and policy motion introduced in 2006 provincial election was also the crossroads of the successful settlement. In this respect, Voter``s opion survey released by the Central Election Commission as the main material, I analyzed the voter``s attitude to policy-oriented degree of parliamentary elections. In particular, I analyzed the 18th general election and 19th general election. The voters decided to support the candidate about a week before the election, I was mainly analyzed. Of these voting means that voters actually vote is expected to consider the policies and commitments. I also analyze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commitments that Article 18 parliamentarians were present. I analyzed whether they are elected from 19 parliamentary elections. As a result, in the non-hegemonic regions, if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election pledges were low, the possibility of re-election chances are low. In other words, voters considers campaign promises in election and the election can be said that the possibility of a policy-elections gradually increasing.

      • KCI등재

        TV토론 보도와 정책선거: 제19대 대선토론 방송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우지숙,김한솔,안준규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行政論叢 Vol.55 No.4

        This paper explored the role of media in a policy-oriented election process by analyzing news frames and the reporting quality of the broadcast reports of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debat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ain news reports on the presidential debates on KBS, MBC, SBS, MBN, TV Chosun, Channel A, and JTBC. The new reports most often employed the ‘war frame’ in reporting the presidential debates, although JTBC and Channel A employed the ‘debate evaluation frame’ most often and TV Chosun used the ‘issue frame’ most often. The ‘strategy frame’ that is often used by the US media in its reporting of political elections appeared the least frequently in Korean broadcasting media. The network TV stations used the ‘war frame’ more frequently than non-network TV channels, and public broadcasting stations used the ‘war frame’ more frequently than the private broadcasting stations, suggesting that people who watched the debates through TV news reports must have watched the debates through the lens of war, battle, and contest. The reporting quality of the TV debate news turned out to be quite low in terms of the amount and quality of policy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news reports and the level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ports. Also found was cynical and negative reporting that focused mainly on the candidates’ mistakes or weaknesses without rational evidence or ground. The quality of news reporting was the highest on JTBC and SBS and was the lowest on MBN and MBC.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 and the reporting quality demonstrated that the reporting quality was higher both in terms of policy information and level of analysis in the reports using the ‘issue frame’ than in those using the ‘war fram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and arguments of previous scholars. Interestingly, policy information was non-existent when the news reports used the ‘policy evaluation frame,’ which was even less than those using the ‘war frame’ or the ‘strategy frame.’ Furthermore, the cynical and negative reporting was also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reports using the ‘policy evaluation frame’ over those using the ‘war frame’ or the ‘strategy frame.’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Korean broadcasting reports on presidential debates tend to evaluate and comment on the debates in a cynical and negative tone without supporting evidence or ratio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how the broadcasting media currently report on presidential debates and how the media can improve their reporting in ways that can contribute to realizing policy-oriented elections. 이 연구는 제19대 대선 후보 토론회에 대한 방송보도가 정책선거를 도모하는 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살펴보기 위해 보도의 프레임과 보도 품질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사와 MBN, 채널A, TV조선, JTBC 등 종합편성 방송사의 메인 뉴스에서 TV토론에 대한 보도 175건을 분석한 결과, 국내 주요 방송사들은 대선 후보자들의 TV토론을 주로 전쟁 프레임을 사용하여 보도하고 있고 이슈 프레임과 토론평가 프레임, 토론전략 프레임으로 보도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이 드러났다. 방송을 통해 TV토론을 시청한 유권자들은 후보들 간의 공방, 공격, 설전, 난타전 등의 기본 틀로 토론을 시청한 것이다. 지상파 방송사가 종편 방송사보다, 그리고 공영방송사가 민영방송사보다 오히려 더 전쟁 프레임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정보성, 분석의 심층성, 부정적・냉소적 비난보도의 차원에서 측정한 보도의 품질은 대체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MBC와 MBN의 보도 품질이 낮은 반면 JTBC와 SBS의 보도 품질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보도 프레임과 보도 품질의 관계를 보면 선행연구에서 지적해 온대로 전쟁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이슈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의 보도의 품질이 월등히 높았다. 흥미로운 것은 토론평가 프레임을 사용하는 보도에서 정책정보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전쟁 프레임을 사용한 경우보다도 부정적・냉소적 비난 보도가 많이 나타나, 방송사들의 토론평가 보도가 상당 부분 근거 없는 비난과 냉소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선거를 위한 미디어 역할의 관점에서, 충분한 정책 정보와 이해를 갖춘 유권자들이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정책 선거의 실현에 대선토론 방송보도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정책 선호, 정책 인식, 그리고 정책 투표의 영향: 18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김성연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5 의정연구 Vol.21 No.3

        Whether voters’ policy preference influences their vote choice is an important question directly related to the working of representative democracy. However, while much empirical research has shown that partisanship, ideology, and the state of national economy matters in Korean elections,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oters’ policy preferences on vote choice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various aspects of policy voting in the 201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using 『EAI Election Panel Study, 2012』. The results show that voters’ policy preference had a strong impact on vote choice independent of partisanship, ideology, regionalism, age, and the state of national economy. However, these effects of policy preference became clear when both voters’ policy preference and their perception of candidates’ issue stands were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he age effects disappeared when the effects of policy preference and ideological orientation were controlled for. It implies that generation cleavage in Korea may not be as important as we previously thought once we take into account policy preference and ideology. Finally, Park successfully portrayed herself as supporting the reform of Jaebul, which helped her to win the election.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가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는 민주주의의 작동 일반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 선거에서 정당 투표, 경제 투표, 이념 투표 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정책 투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최근 공개된 『EAI 총선대선패널조사, 2012』를 이용하여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가 후보 선택에 미친 영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한다. 분석 결과, 우선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는 정당 지지, 이념, 경제 평가, 출신 지역, 나이 등과 더불어 지난 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선택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영향은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와 후보들의 정책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보다 분명하게 나타났다. 또한 정책 선호와 이념의 영향을 통제하면 나이의 영향은 후보 선택에 더 이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세대 균열이 이념 및 정책 균열과 중첩되어 있으며 그 자체의 영향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마지막으로,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 후보는 경제민주화 공약 등을 통해 자신을 재벌 개혁을 지지하는 후보로 인식시켰고 이것이 박근혜 후보의 지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