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수업 준비와 수업 만족도 관계에서 온라인 수업 방 법의 매개 효과와 수업 부담의 조절 효과

        송영선,염지숙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methods and class burden that affect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class situations. Two hypotheses were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e professor's 'readiness for online clas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through the 'online teaching method'. Second, the influence of the professor's 'online teaching method' on 'class satisfaction' will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lass burden' of the student. As a research method, class evaluation data developed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of K University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adiness for online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by partially mediating the ‘online teaching method’. Second, the ‘class burden’ positively affected ‘class satisfaction’ when interacting with ‘online teaching methods’. Through this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class evaluation’ and the ‘class burden’ should be linked, that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online classes should be used, and that factors suitable for online class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Ultimately, it meant that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ors should us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online classes, and that 'class satisfaction' increases when 'class burden' is linked to 'online teaching method'.

      • KCI등재

        온라인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교환 학생 대상 초급 한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

        김현주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6 No.-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교환 학생 대상의 초급 한국어 수업에 온라인 플립드 러닝(Online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교육 사례를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플립드 러닝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새로운 교육 환경에 맞는 한국어 교육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0학년도 2학기 16주 동안 교환 학생 대상 초급 한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플립드 러닝(Online Flipp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을 실시하였다. 교수자는 직접 제작한 동영상 강의를 수업 전에 학교 온라인 시스템에 탑재하였다. 학습자들은 본 수업 전에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 고 본 수업에 필요한 어휘나 문법을 사전학습하였다. 본 수업은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실시하였다. 수업 후에는 본 수업 내용과 관련된 과제를 수행하면서 수업 내용을 연습하고 심화 학습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수업 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방식이나 수업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앞으로 완벽한 엔데믹 시대가 된다 하더라도 기존의 실험적인 교수 학습 방안이 온라인을 기반으로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더 많아질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 환경을 맞이하여 온라인 플립드 러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온라인 수업에 맞는 다양한 한국어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다양한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성공적인 온라인 플립드 러닝을 위해서 교수자는 온라인 학습 공간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을 활용하는 플립드 러닝에서 더 나아가 온라인 기반의 플립드 러닝을 초급 한국어 수업에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이끌어 냈으며, 이를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교육 환경에 맞는 새로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communication-oriented class situations through online flipped learning applied to beginner Korean language classes for exchange students and to find implications in the preparations for Korean languageeducation. Thus, online flipped earning was conducted for 16 week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instructor uploaded a self-produced video lecture to the school’s online system before class. Prior to the class, students watched the video lectures and studied vocabulary or grammar lessons necessary for this class. Zoom was used to facilitate real-time online classes. After class, they had time to practice and learn the contents of the class while performing task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is class. In the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fter class, learners generally gave positive opinions about the real-time online teaching method or class content. Existing experiment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ll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online in the future, even in the case of a perfect endemic era. To successfully perform online flipped learning in his new educational environment,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First,developingvariousKoreantextbookssuitableforonlineclassesisnecessary. Second, research o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online classes should be conducted. Third, for successful online flipped learning, instructors should actively utilize the online learning spac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esented a new educational plan suitable for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post-COVID19 era by applying online-based flipped learning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the existing flip learning to beginner Korean classes.

      • KCI등재

        비대면 수업에서 온라인 블렌디드 러닝 적용이 작업치료과 대학생의 수업만족도와 학 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주영 ( Ju-young Park ),김훈주 ( Hun-ju Kim ) 대한통합의학회 2021 대한통합의학회지 Vol.9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blended learning(asynchronous online learning class 1+synchronous online learning class 2) method and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online blended learning.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differences in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and online blended learning classes, and discuss the strengths, weaknesses, and satisfactions of online blended learning.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 of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ho took the ‘child development’ course.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class was applied for 1-6 weeks and online blended learning was applied for 9~14 weeks. The online blended learning class consisted of 1 hours synchronous online learning and 2 hours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For the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the screen recording program of OBS Studio was used, and for the synchronous online learning, the Zoom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course evalu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lecture were compar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of online blended learning.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A class: t=-4.19, p=.001, B class: t=-7.94, p=.00) with online blended learning clas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Second, when applying online blended learning class, academic achievement(t=-10.58, p=.00) was significantly higher. Third, the online blended learning clas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in improving the interest in the subject, and it was found to be helpful in online class manage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lass content understanding. Conclusion : We have found that online blended learning can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online lecture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the lectures and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The application of online blended learning should be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and I hope that blended online teaching methods can be developed based on new ideas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차사례분석을 통한 대학 온라인 수업설계 및 실행 실태분석

        강정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nline class design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universities by using the online class analysis tool to analyze the online education status. To this end, a cross-case analysis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practical design plan including design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for designing and executing more effective online classes was propo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first, the ratio of middle and low level of online class design and execution suitability is more than twice that of upper level, so that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for instructor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executing face-to-face classes into online classes. And it was found. Second, the suitability of the class evaluation area in online class design and execution is the lowest, because the evaluation method and tool are not properly selected and implemented to consistently evaluate whether the goal of the class goal and content has been achieved. Third,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rea of ​​online class design and execution, there is a lack of proper 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online class type due to the high ratio of middle and low level design by online class type, and it is not suitable for specific class types(lecture type, AOD type). It shows a biased design. Fourth, in the teaching method area, the ratio of the intermediate level of motivational and maintenance strategie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ub-areas, and it was necessary to plan and execute more detailed motivational strategies for learners with low self-regulation ability. Fifth, the ratio of middle and low level for explanation strategy and question strategy, which are common lesson strategies in online class types, was higher than the ratio for other sub-areas. It is necessary to properly plan and present a questioning strategy to students, a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learners.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difficulties that may arise when designing and executing online classes by providing instructors with information to be aware of when designing and using materials,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 KCI등재

        콘텐츠 활용형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개발된 수업 콘텐츠의 특징 분석

        신정윤 ( Jung Yun Shin ),박상희 ( Sang He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6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 과학 수업 콘텐츠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온라인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사들이 개발한 온라인 과학 수업 콘텐츠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을 직접 제작한 10명의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의 제작 과정과 어려움, 온라인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해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이 제작한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을 분석하여 온라인 과학수업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은 교사가 수업 연구, 각본 작성, 수업 동영상 촬영 및 편집의 전 과정을 구상하고 수업 및 실험과정을 직접 촬영하는 형태로 제작되었거나 전자저작물이나 디지털교과서 등에 음성을 녹음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제작 시간 부족, 촬영과 편집의 어려움, 오개념 전달에 대한 우려, 기존 자료에 대한 저작권 해결 문제, 외부 공개에 대한 부담 등을 어려움으로 인식하였다.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한 경험이 있는 교사였지만 온라인 과학 수업의 장점에 관해 적극적으로 대답한 연구 참여자는 없었다. 다만 온라인 수업의 특징인 반복 학습의 가능, 수업 시간과 장소의 자유로움, 교사의 수업계획이나 통제의 용이, 시각적 매체 활용으로 수업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 등에서 면대면 수업보다 유리함이 있을 것으로 응답했다. 반면에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 과학 수업의 단점으로 학생들의 탐구기회가 줄어들고,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이 부족해지는 것을 꼽았다. 특히 이러한 단점들은 온라인 과학 수업의 질 특히 탐구 수업을 어렵게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했다. 온라인 과학 수업이 면대면 수업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견해를 취하는 교사들도 있었지만 여러 교사가 콘텐츠 활용형 온라인 수업 방식을 보완하는 보조적 수업 활동이 제시된다면 온라인 과학 수업과 면대면 수업을 병행하는 방식은 가능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온라인 과학 수업의 도입 단계나 정리 단계에서는 면대면 과학 수업의 과정과 유사하였지만, 탐구 단계와 개념 설명 단계에서는 면대면 과학 수업과 큰 차이를 보였다. 온라인 과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흥미 유발을 위한 여러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학생의 실험 참여를 유도하지 않는 시범 실험이나 실험결과를 획일적으로 정리하였고 교과서 본문 내용과 개념을 교사가 정리하고 설명함으로써 교사 주도 개념 설명식 수업의 형태를 띠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online science class videos in the context of covid-19, their perception of online science c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content developed by teachers.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made online science class videos themselve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online science class video produced by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participants in the study recognized the lack of production time, difficulty in filming and editing, concerns over misconceptions, the problem of solving copyrights for existing materials, and the burden of external disclosure. Although it was a teacher who had experience producing online science class video contents, no research participants actively answered the merits of online science clas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participants cited that the shortcomings of online science classes were that students had fewer opportunities for inquiry and lack of communication or interaction. In particular, these shortcomings were thought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online science classes, especially in making inquiry classes difficult. Some teachers took a negative view that online science classes could not completely replace face-to-face classes. However, if multiple teachers are presented with supplementary teaching activities that complement the content-based online teaching method, the method of combining online scienc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is no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the introduction and arrangement step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were similar to the process of the face-to-face science class, but the inquiry step and the conceptual explanation step showed a big difference from the face-to-face science class.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주현 ( Moon-ju Hyun ),최문용 ( Choi-mun Y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성격 5요인이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고,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으로 배포ㆍ회수되었는데 총 257부를 회수하였고, 정제를 거쳐 총 217부를 최종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1의 성격 5요인은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 하위요인 중 학습자 외적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성, 우호성은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경증은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1-2의 성격 5요인은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 하위요인 중 학습자 내적 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은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2의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 외적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변수임이 입증되었다.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 과정에서 교수와의 의사소통, 교수와의 질의응답, 콘텐츠의 질, 학습관리시스템 등으로 요약되는 학습자 외적요인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보다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향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수업 내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습자-교수자, 학습자-학습환경 등을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demonstrated a methodology that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for students play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class and online class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drawn. First, does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effect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class? Second, does the relationship within the online class effect online class satisfaction? For the study, using 217 self-reported online survey data from students across the college and university. The conclusion from the analysis indicated as follows. First, five factors including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neuroticism(OCEAN) were derived as student’s personality traits. Seco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had a partially positive relation to the degree of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class, especially student’s external factors(extraversion, agreeableness, neuroticism), and student’s internal factors(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Third,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class had a positive relation to the degree of online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hypothesis 2.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contributed most to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class & online class satisfaction in the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코로나 19로 인한 대학생의 비대면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만족도 연구

        윤영란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related to class oper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by analyzing colleg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130 college students who took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essential classes were conducted as recorded video classes, and class satisfaction survey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areas of class planning, class progress, class management, class data, and class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university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due to COVID-19 was high, but class data and class evaluation were low, requiring improv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educational suggestions related to class oper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overall, support for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should be actively provided throughout the university, especially for professors in charge of large-scale lecture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fairness in class evaluation should be secured as to how it is fairest to evaluate large-scale students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 situations. Considering the non-face-to-face online class situation, various evaluation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ensure fair evaluation suitable for the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test questions, fair evaluation criteria, and rapid feedback on evaluation results.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교양교과목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온라인 교양교과목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업 운영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학년도 2학기 비대면 온라인 교양필수 교과목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130명을 연구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교양필수 교과목 수업은 녹화된 동영상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업만족도 조사는 수업계획, 수업진행, 수업관리, 수업자료, 수업평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수업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수업자료와 수업평가 부분은 수업 만족도가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온라인 교양교과목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업 운영 관련 교육적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온라인 교양교과목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관련 기술에 대한 지원이 대학 전체에서 특히 대규모 강의 중심의 교양과목 담당 교수들을 위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 운영 기술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비대면 온라인 교양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대규모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공정한지 수업평가의 공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 상황을 감안하여 시험문제의 적절성, 공정한 평가 기준 제시, 평 가결과에 대한 신속한 피드백 등 온라인 교육 환경에 적합한 공정한 평가가 될 수 있는 수 있도록 평가 방안들이 다양하게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교양필수 영어읽기와 영어쓰기 교과목 온라인 화상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김석훈(Sok-H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 교양필수 영어읽기와 영어쓰기 교과목의 온라인 화상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파악하고 수업형태에 따른 만족도 및 선호도와의 상호관계를 살피고 향후 정상적인 학기 교과목 운영에서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교양필수 영어교과목 수업형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A대학교 교양필수 2과목을 2학기 동안 모두 수강한 동일한 2학년 학생이며 구글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0년 12월 29일부터 2021년 1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자료는 R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일원배치분산분석, 이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독립변수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결과 두 교과목 모두 다양한 온라인 화상수업의 형태에 대한 만족도는 전공(대학)과 교과목 내용 각각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토이지 않았으나, 온라인 수업형태, 전공과 수업형태, 과목 내용과 수업형태 변인들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이런 요인들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향후 수업형태 선호도에 대해서 영어읽기는 대면수업, 녹화 화상수업, 실시간 화상수업과 같은 독립형태 수업형태, 영어쓰기는 대면수업뿐만 아니라 대면 + 녹화 화상수업, 실시간 화상 + 녹화 화상수업의 병행 수업형태에 대한 선호도도 높았고, 대면수업과 실시간 화상수업은 수업 내용의 질과 면대면 상호작용의 필요성, 녹화 화상수업은 온라인 교육의 편리성의 이유로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bjectives This paper identifies learners’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for general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s compulsory courses in the COVID-19 situation, examines the interrelationship with degree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lass types: face-to-face class, synchronous online class, and asynchronous online class, and proposes a preferred class type after the pandemic.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ophomores who took two English required courses for two semester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9, 2020 to January 15, 2021. Statistical analysis was processed via R and verified the interac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learner’s major and curriculum cont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different class types, major and class types, and curriculum content and class typ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ere might be an interaction between variables in terms of learners’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class types in both classes. Regarding the preferred class types after the pandemic, it was confirmed that independent class types, such as face-to-face class, asynchronous online class, and synchronous online class were highly preferred in order for reading class, whereas face-to-face class and hybrid class types, such as face-to-face class + asynchronous online class and synchronous + asynchronous online class were highly preferred in order for writing class. Conclusions It was also confirmed that preference of face-to-face class and synchronous online class was attributed to the quality of class content and the need for face-to-face communication, whereas that of asynchronous online class was attributed to convenience of online class.

      • KCI등재

        온라인 수업 운영에 대한 교원의 인식: H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윤혜림,권정선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As online university classes conducted because of COVID-19 are becoming more common and long-term, perceptions of the online class management of H University faculty membe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to search for online class quality enhancement plans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duce implications. Surveys were conducted on 267 faculty members currently working at H University located in Busan and results were deduced using SPSS 25.0 analysis. Analysis was conducted on preferred online class management types,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interaction, interaction methods, class preparation efforts, learner evaluation methods, and general satisfaction in online class preparations and management for class quality improvement. Based on survey analysis results, presentations were made first for systematic policy support, second for the procurement of system stability, third for the introducti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a communicative system, fourth for the improvement and construction of class environments, and fifth for the educational support of teachers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online class managemen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was only conducted on cases of one university but it is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is a study that is absolutely needed in initial stages for the generalization and settlement of online classes and detailed and diverse future research must be conducted for future online class operation quality management and flow.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의 온라인 수업이 일반화・장기화됨에 따라, 온라인 수업의 질 향상 방안 탐색을 위해 H대학 교원들의 온라인 수업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부산 소재의 H대학에 재직 중인 교원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 진행 후 SPSS 25.0를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선호하는 온라인 수업 운영 유형, 상호작용 유무, 상호작용 방법, 수업 준비 노력, 학습자 평가 방법, 수업 질 제고를 위한 요구, 온라인 수업 준비 및 운영 전반 만족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수업 운영의 질 관리를 위하여 첫째 제도적 정책적 지원, 둘째 시스템 안정성 확보, 셋째 소통형 시스템 도입 및 구축, 활용, 넷째 수업 환경 개선 및 구축, 다섯째 교수자 교육지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 대학의 사례만을 대상으로 한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지만, 온라인 수업의 일반화 및 정착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 꼭 필요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온라인 수업 운영 질 관리 및 환류를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후속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 분석 : K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혜인(Chong, Hyein),우수정(Woo, Suj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교양필수 영어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관련 선호도를 살펴보고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조절변수인 연령, 교수자, 영어수준, 영어 선호도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지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한 K 대학 학부생 870명이였으며 Google Forms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실시간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t검정, 대응표본-t검정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변수인 연령, 교수자,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온라인 수업에 관한 선호도보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더 낮았지만 실제 교양영어수업의 만족도의 경우 온라인 수업방식 만족도보다 실시간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수업 선호도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높은 학생이 영어 수업 만족도가 더 높았다. 영어 수업 만족도에는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가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선호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긍정적 실시간 수업의 경험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된다면 이는 실제 실시간 비실시간 병행 방식 온라인 수업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 of online learning for a general English course in Covid 19 situation, explore how online class preference affects degree of satisfaction of general English online class and examine whether the influence varies depending on the controlling variables such as age, instructor, English level, and English prefer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7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K University who took the same compulsive general English cours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Google Forms questionnaire. This study processed an independent sample-t test, response sample-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discover the effect of bichronous online learning(blending of bo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on English class satisfac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o observe the effect of online class pre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reference to online learning was lower than that of online learning, but in the case of their satisfaction of general English online course, satisfaction with the synchronous online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nline class. In addition,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and general English class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erarchy of factors influencing English class 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English preference, online class preference,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