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하대 인공기질에 이식된 감태(Ecklonia cava)와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의 생존률과 생장

        강정찬,홍종현,이형우,김명숙 한국조류학회I 2021 수생생물 Vol.1 No.1

        해중림을 조성하기 위하여 부착기를 케이블타이(zip-tie) 등으로 PE (Polyethylene) 로프에 고정한 후 이 이식로프를 인공기질에 부착하는 방법은 감태류(Ecklonia spp.) 등 대형 수지상 가근을 가진 다년생 엽상형 갈조류 이식에 흔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반상 또는 원추상 부착기를 가진 다년생 모자반과(Sargassaceae) 해조류는 부착기의 구조상 이 방법을 적용하기 곤란하다. 이 연구는 에폭시 수지 및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의 원추상 부착기를 PE 로프에 고정한 후, 이 이식로프를 인공기질에 부착시켜 이식된 해조류의 생장 양상 및 생존률을 1년간 모니터링함으로써 이 이식 방법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이 연구에서 고안된 새로운 이식방법과 케이블타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 사이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감태(Ecklonia cava)도 인공기질에 이식하여 생장 양상 및 생존률을 관찰하였다. 이식 개체군들은 감태 단독 이식군, 큰열매모자반 단독 이식군 및 감태/큰열매모자반 혼합 이식군 등 3가지 실험군으로 설치하여 각 실험군들의 시간에 따른 생존률 변동차이도 관찰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1년 생존률은 감태 28.8% 및 큰열매모자반 56.9%로 이 연구에서 고안한 이식방법에서 더 높은 생존률을 기록하였다. 또한, 세 이식군 사이의 생존률은 감태/큰열매모자반 혼합이식군이 가장 높은 59.0%를 기록하였고 큰열매모자반 단독 이식군(42.1%), 감태 단독 이식군(27.5%) 순으로 나타났다. 이식 해조류의 엽체 길이는 감태의 경우 4월(47.5 cm), 큰열매모자반은 6월(121.0 cm)에 가장 크게 생장하였다. 두 분류군의 성숙한 생식기탁은 모두 8월에 관찰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에폭시 수지와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원추상 가근을 가진 해조류를 이식하는 방법이 해중림 조성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서로 다른 해조류를 혼합하여 이식함으로써 이식한 해조류의 생존률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method for fixing finger-like holdfasts with zip tie on the polyethylene (PE) rope have been used to transplant perennial laminarian algae such as Ecklonia spp. to the artificial reefs. However, this method has not been available for perennial fucan species such as Myagropsis and Sargassum due to their discoid or conical holdfast. We examined the growth pattern and survival rate of transplanted Sargassum macrocarpum fixed on artificial reefs using PE rope with epoxy resin and instant glue. To compare the survival rate between our new method and the zip tie method for the taxa with a finger-like holdfast, we additionally transplanted Ecklonia cava on the artificial reefs. The test was set to three groups such as Ecklonia group, Sargassum group, and combined both species group, and monitored the number of surviving individuals and frond length during a year. The annual survival rates were 28.8% in E. cava and 56.9% in S. macrocarpum. The rate from the three group were higher in combined group (59.0%) than two other groups: Ecklonia group, 27.5%; Sargassum group, 42.1%. The highest frond length was recorded in April and June in E. cava (47.5 cm) and S. macrocarpum (121.0 cm), respectively. The mature fronds of two species with reproductive conceptacles were observed in August. This study indicates that our transplanting applicatio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for making marine forests on the artificial reefs. Moreover, the survival rate of transplanted seaweeds could be improved by combining different taxa rather than simply one species.

      • KCI등재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금연상담 교육프로그램이 금연상담역량에 미치는 효과

        강정찬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competencies. Methodology: This study adopte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needs analysis, literature review, and verification through on-site applications in order to develop the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training program.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consists of an overall curriculum that can actually improve the professionals’ competencies required to counsel smoking cessation issues and covers its detailed contents and learning experiences. Second, the curriculum has three phases: basic, intensive and supplementary. Each phase reflected specific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o create an appropriate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Third, the on-site application of the program resulted in a positive impact on the counseling skills of the learners in terms of their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Valu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skills of practitioners such as smoking cessation counselors and school teachers. This suggests that the flipped learning for training courses and training programs applied to this study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actitioners’ counseling competencies. 본 연구의 목적은 금연상담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플립 러닝을 기반으로 한 금연상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금연상담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개발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문헌분석과 함께 요구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통한 효과검증을 거쳐 현장에 필요한 실무중심의 금연상담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발된 금연상담 교육프로그램은 첫째, 금연상담 전문가에게 필요한 금연상담역량을 실제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체 교육과정의 구성(기본, 심화, 보수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세부 학습내용 및 경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교육과정은 크게 기본, 심화, 보수교육과정의 세 단계로 구성되고 각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학습자(교육생)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플립 러닝 환경을 조성하였다. 셋째, 개발된 금연상담 교육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결과, 학습자의 금연상담역량인 지식, 기능, 태도의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연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금연상담사나 학교흡연예방담당교사 등에게 플립 러닝 환경의 구성이 학습에 효과적이며, 금연상담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담과 같은 실제 실습 경험을 통해 상담자의 역량을 향상해야 하는 교육과정이나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플립 러닝 적용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창의·융합 독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모형 개발

        강정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design teaching that includes processes,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Thes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s were developed as formative research that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expert interviews, and a pilot study. This study produced several results. Firs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includes the processes and principles needed for systemic and systematic design principles, which translates into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Second, these macro-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use the principle of convergence, finality, diversity, solving problem, and experience, which are executed through unit teaching. Third, these micro-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use the processes,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of five design stages which are executed through lesson class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give the result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to the teachers, and then they suggest various interventions that help improve creativity convergence instruction. The three types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troubleshooting-type class model, team challenge-type class model, and individual challenge-type class model) for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teachers and learners, which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problem-solving, collaboration, discussion competences, and reading strategies.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융합 독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탐색과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현장 실행 가능성이 높은 수업절차 및 과정, 실행지침, 고려 및 주의사항이 포함된 실천적인 수업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연구를 적용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이론적 교수·학습방법 및 모형을 개발하고 전문가검토와 현장적용을 통한 형성평가를 거쳐 실천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창의·융합 독서교육 교수·학습방법 및 모형은 첫째,독서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들과의 창의·융합을 위해 학습준거의 틀 속에서 독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거시적 전략과 미시적 전략을 통합하고 구조화시켜 제시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읽기 자체의 기능 및 전략학습을 위한 독서학습과 글에 담긴 내용, 개념의 이해 및 파지를 위한 학습독서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독서교육을 위한 창의·융합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가 함께 이루어지는 총체적 언어학습을 위한 통합적 학습내용 및 환경에 부응하도록 창의·융합 수업모형을 크게 세 가지 유형인 문제 해결형, 팀 과제형, 개인 과제형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각각의 수업모형들은 교사들의 수업설계 및 실행의 효율성, 효과성을 높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절차 및 과정, 절차별 실행지침과 더불어 핵심적인 독서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수업전략 및 모형들은 현장 교사들이 창의·융합 독서교육을 위해 단원수준, 차시수준의 수업을 설계하고자 할 때 필요한 수업전략 설계 정보를 거시적 전략과 미시적 전략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창의·융합 독서수업을 실행할 때 도입, 전개, 정리 단계별로 창의·융합 수업전략과 함께 독서전략을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수업실행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목적 지향적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분석모형 개발

        강정찬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목적 지향적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분석모형과 그에 따른 실행 절차 및 지침, 실행절차별 고려 및 주의사항 등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개발연구를 적용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와 현장 적용을 통한 형성평가 과정을 거쳐 현장에 필요한 실천적 모형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결과 개발된 수업분석모형은 첫째, 좋은 수업(효과성, 효율성, 매력성, 안정성)을 만들기 위한 수업개선의 본질적인 목적을 수업분석의 목적으로 하여 수업분석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절차 및 지침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진단분석, 수업분석, 결과처치의 3단계가 체계적인 성격을 가지면서 수업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는 체제적인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각 단계별로 수업분석에 필요한 실행절차별 세부 고려 및 주의사항이 제시되어 있다. 진단분석 단계에서는 교사 스스로 자신의 수업에 대하여 진단해 보는 과정으로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 안정성의 좋은 수업의 4가지 관점에서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고 반성하여 잠정적인 수업문제를 진술해 보도록 한다. 수업분석단계는 실제 수업분석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크게 분석목적설정, 분석영역선정, 분석방법 및 도구선정, 수업분석실행의 4가지 체계적인 과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다. 진단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분석 목적을 설정하고, 분석목적에 따라 상황과 여건을 고려하여 수업분석영역을 선정한다. 수업분석 영역을 바탕으로 객관적인 분석자료 확보를 위해 적합한 수업분석 방법 및 도구를 선정하여 통합적으로 수업분석이 실행된다. 결과처치단계는 좋은 수업의 4가지 범주별로 나누어서 각각 분석결과를 정리하고 종합분석하게 되고, 협력적 대화를 통해 다양하고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찾거나 제공한다. 이러한 수업분석의 전략과 정보들은 현장의 수업분석자와 교사들에게 실천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수업개선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alytical model for classroom activities to improve purposeful teaching that includes processes,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is analytica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expert interviews, and a pilot study. Findings/Results: This study produced several results. First, the analytical model includes the processes and principles needed for analysis-based classes which translates into good teaching outcomes (effectiveness, efficiency, attraction, stability). Second, this model uses the processes of analysis which are executed through three systematic stages (diagnostic analysis, analysis of classroom activities, handling of the results), and this systemic approach that should be implemen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a variety of variables in relation to teaching. The instructional analyst provides the teacher with a checklist and a reflective essay assign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self-diagnostic analysis regarding the teacher’s instruction at the diagnostic analysis stage. The analysis of classroom activities consists of setting up an analysis of the purpose of the activity, selecting areas for analysis, selecting analysis methods and tools, and conducting an analysis. The instructional analysts give the results of the instructional analysis to the teachers, and then they suggest various interventions that to help solve instructional problems. Value: The analytical model for classroom activities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provides useful guidelines for instructional analysts and teachers, which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 KCI등재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을 위한 개입안(intervention)설계 모형

        강정찬,이상수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The instructional situation is very complex and dynamic, so it is difficult to solve instructional problems by the improvement of a single variable, such as a teacher or a learner. Instruction consultants and teachers need to consider a variety of variables to solve problems regarding instructional mismatch. These problems need to be solved through systematic (linear) and systemic (nonlinear) approaches and proc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rvention design model for effective instructional consulting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textual field investigation. The model of intervention design for instructional consultation uses performance technology to solve instructional problems by approaching these issues systematically through a systemic viewpoint. This model uses the processes of designing that would be executed through five systematic and systemic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reover, concrete action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designing intervention. This model emphasizes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a consultant and a consultee (teacher) so that the consultant can enhan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onsultee during the consulting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고찰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을 위한 개입안 설계 모형과 그에 따른 실행절차 및 지침, 실행전략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개입안 설계 모형은 첫째, 수행공학적 접근에 기초하여 컨설턴트와 교사 간에 협력적이고 창의적인 관점에서 개입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는 절차 및 지침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가 체계적인 성격을 가지면서 현장 상황에 맞게 비선형적 체제적인 접근에서 구성되며, 각 단계별로 컨설팅에 필요한 구체적 실행전략과 고려 및 주의사항이 제시되어 있다. 분석단계에서는 개입안의 설계와 개발단계, 실행단계에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설계의 전 과정에 걸쳐 분석활동이 이루어지는데, 개입안 설계 시에 개입안 목표 규정, 개발 시 다양한 개입안 분석, 실행 시 실행모니터링 결과개관이 이루어진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컨설턴트와 교사의 협력적 상호작용, 창의적인 접근을 통해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구체적인 개입안들을 설계한 뒤에 프로토타입(prototype)수준에서 개입안들을 개발하게 된다. 이처럼 다양하게 선정되거나 개발된 개입안들은 선택준거에 따라 점검되어 최선의 개입안으로 선택된다. 실행과 평가단계에서는 컨설턴트와 교사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게 되고,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개관한 뒤 보다 효과적인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특히 평가단계는 실행 후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설계 전 과정에서 역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략과 정보들은 현장의 수업컨설턴트와 교사들에게 실천적인 도움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수업 개선을 위한 현장연구방법으로서 설계기반연구(DBR)

        강정찬,이상수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2

        수업은 학습자, 교사, 수업내용, 학습 환경들 간의 체제적이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업 현장의 사회 문화적, 상황적 맥락을 기초로 하여 수업을 개선하고 실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장연구방법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설계기반연구(Design-Based Research, 이하 DBR)의 개념, 특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DBR의 설계 원리와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수업 개선을 위한 현장연구방법의 과학적 지침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BR은 현장연구방법의 학문적이고 이론적인 기초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의 경험이나 지식이 반영되어 있는 수업이론을 창출하고 실천적인 실제가 통합된 개입안을 개발하는데 적합한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수업 개선을 위한 DBR의 설계 원리는 일반적 설계 원리와 구체적 설계 원리로 구성되어 현장 상황에 적합한 연구 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DBR 모형은 체제적 관점에서 수업과 관련된 여러 요인들을 분석하여 수업 체제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DBR의 주요특징, 설계 원리에 따라 이론적으로 통합하여 제시되었다. 본 연구모형의 연구 방법 및 절차는 크게 문헌조사/현장검토, 형성적 순환, 이론/실제 일반화의 3단계이며, 각 단계로 적합한 연구 방법과 연구 자료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 되었다. 본 연구 결과의 의의는 첫째, 수업 개선을 위한 DBR의 설계 원리와 연구모형은 수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이론에 기반을 두고 실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개입안을 개발하도록 함으로서 수업 이론과 실제의 통합을 가져올 수 있다. 둘째, 수업 개선을 위한 DBR의 연구 설계를 통해 적응적, 상황적 설계라는 새로운 현장연구의 방법적 접근을 시도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ories regarding Design-Based Research(DBR), to suggest research design principles and research model as a design methodologies. To apply DBR in process of developing interventions like instructional model, instructional program would be overcame the problems and limitation of learning and instruction situation. In general, Interventions were developed to need a systemic, flexible methodology aimed to improve instructional theories and practice. DBR is grounded in both theory and the real-world context. DBR model that Based on DBR design principles consists of three phases: first, to extract authentic research tasks through literature survey involving research topic and field contextual investigation; second, to design authentic research method(procedure) was Based on authentic research tasks, and developed research system design from repetitively formative cycles; third, to develop pragmatically instructional practices is grounded in both theory and the real-word context. To implement from practice principle and repetitively formative cycles procedure of DBR, to integrate a variety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application process,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BR methods, DBR had a potential not only to construct more applicable designs over time but also to generate well-supported design theories about learning and instruction. Thereby resulting in deeper understanding of complex learning environments. Multiple sources of data from observations, interviews, surveys and others documentation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as problems, weakness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the model applying to instruction.

      • KCI등재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 탐색

        강정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mprovement methods of teaching management through the systematic classroom activities analysis that include teaching management strategies, teaching management analysis methods and tools. Method: These improvement methods of teaching management was developed through action research that utilize literature review, expert interview, and field application.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ystematic teaching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effective and various teaching management information was constructed and presented. Second, teaching management analysis methods and tools were developed to implement systematic classroom activities analysis to improve teaching management. The teaching management analysis methods and tools use the processes of analysis that would be implemented through three steps (diagnostic analysis, analysis of classroom activities, handling of the results). Conclusion: These improvement methods of teaching management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nd materials to design and practice systematic teaching management strategies .to instructional analysts and teachers. Also, it will provide methods and tools of reflective management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class management. 연구목적: 수업경영과 관련된 하위요소와 구체적인 세부전략을 통합하여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수업경영을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인 분석방법 및 도구를 개발, 적용하여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실천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문헌연구, 전문가 검토를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을 개발하고, 교사 2명을 선정하여 현장 사례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자료의 수집,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결과: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으로 첫째, 효과적이고 다양한 수업경영 정보에 기반을 둔 체계적 수업경영 전략으로 구성 제시하였다. 체계적 수업경영 전략은 크게 4개 영역 구성요소로 수업시간 관리, 수업자원 관리, 언어적 표현 전략, 비언어적 표현전략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하위 전략 및 세부 하위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교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해당 설명을 개요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다. 둘째, 수업경영 개선을 위한 체계적 수업분석을 실천하기 위한 수업경영 분석방법 및 도구를 개발하였다. 수업경영 분석 절차는 진단분석 - 수업분석 - 결과 처치의 3단계 과정을 거치되 각 단계별로 필요한 수업경영 분석도구로 진단분석도구인 체크리스트와 성찰일지, 수업분석도구로 수업관찰 및 분석도구인 수업시간 관리 분석도구, 수업자원 관리 분석도구, 언어적 표현전략 분석도구, 비언어적 표현전략 분석도구, 결과 처치도구로 방사형 그래프와 종합분석이 포함되어 있다. 논의 및 결론: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은 현장 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수업경영 전략에 대한 설계 및 실천에 실제적인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경영 분석방법 및 도구를 제시하여 수업경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반성적 성찰방법 및 도구, 자기 성찰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차사례분석을 통한 대학 온라인 수업설계 및 실행 실태분석

        강정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nline class design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universities by using the online class analysis tool to analyze the online education status. To this end, a cross-case analysis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practical design plan including design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for designing and executing more effective online classes was propo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first, the ratio of middle and low level of online class design and execution suitability is more than twice that of upper level, so that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for instructor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executing face-to-face classes into online classes. And it was found. Second, the suitability of the class evaluation area in online class design and execution is the lowest, because the evaluation method and tool are not properly selected and implemented to consistently evaluate whether the goal of the class goal and content has been achieved. Third,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rea of ​​online class design and execution, there is a lack of proper 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online class type due to the high ratio of middle and low level design by online class type, and it is not suitable for specific class types(lecture type, AOD type). It shows a biased design. Fourth, in the teaching method area, the ratio of the intermediate level of motivational and maintenance strategie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ub-areas, and it was necessary to plan and execute more detailed motivational strategies for learners with low self-regulation ability. Fifth, the ratio of middle and low level for explanation strategy and question strategy, which are common lesson strategies in online class types, was higher than the ratio for other sub-areas. It is necessary to properly plan and present a questioning strategy to students, a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learners.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difficulties that may arise when designing and executing online classes by providing instructors with information to be aware of when designing and using materials,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 KCI등재

        Phase Shift in Vertical Distribution of Macroalgal Assemblages on Udo Islet, Jeju, Korea, After a Decade of Revisiting

        강정찬,이형우,고영욱,김명숙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3 Ocean science journal Vol.58 No.4

        We investigated seasonal macroalgal assemblages using virtual transect lines and 0.25 m−2 quadrats from the upper intertidal zone to subtidal 15 m depth during the period from May 2019 to February 2020 at Udo Islet, Jeju Island. A total of 191 species (15 Chlorophyta, 36 Ocrophyta, and 140 Rhodophyta) were observed among the quadrats, with annual mean biomass of 1998.8 g wet wt m−2. To confirm the decadal variation of the macroalgal assemblage in Udo, we compared our data with previous observations during 2009–2010 at the same locations reported by Kang et al.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species diversity did not decrease, although subtidal biomass showed a considerable decrease. Notably, the biomass of non-calcareous macroalgae was considerably reduced, whereas calcareous algal biomass doubled despite maintaining the distribution of dominant species. This changing pattern of macroalgal assemblage is similar with the early process of sea-barrenness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on the Jeju coast. In this study, it was not possible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decrease in abundance of non-calcareous algae, as the survey focused on only macroalgal assemblage without verifying any environmental factors. Further studies identifying additional factors that might be directly connected to marine deforestation, including physiological, 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are essential to recovering or at least maintaining the macroalgal community of Udo Islet.

      • KCI등재

        A novel species Symphyocladia glabra sp. nov. (Rhodomelaceae, Rhodophyta) from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강정찬,김명숙 한국조류학회I 2013 ALGAE Vol.28 No.2

        Six species of the genus Symphyocladia are currently recognized worldwide, all of which are reported to grow on the Korean coast. We described a new species Symphyocladia glabra sp. nov.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The new species is characterized by mostly an erect and broad thallus, the parallel arrangement of numerous apical cells, completely fused congenital cells, a corticated basal portion of faint midrib with six to eight pericentral cells, rhizoids cutting off from pericentral cells, and absent vegetative trichoblasts. The new species has morphological similarity to S. marchantioides and S. jejuinsula. However, S. glabra sp. nov. is distinguished from S. marchantioides by the corticated lower portion of the thallus and the absence of vegetative trichoblasts, and S. jejuinsula by number of pericentral cells and the fact that the thallus does not taper upward. The phylogeny of rbcL sequences indicated that S. glabra sp. nov. is definitely a separate entity within the genus Symphyocla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