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sinterpreting Odds Ratio in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김주헌,김민영,김수영,황인홍,강은진 대한가정의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3 No.2

        Background: In reporting results of case-control studies, odds ratios are useful methods of reporting fi ndings. However,odds ratios are often misinterpreted in the literature and by general readers. Methods: We searched all original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from 1980 to May 2011and identifi ed those that report "odds ratios." Misinterpretation of odds ratios as relative risks has been identifi ed. Estimated risk ratios were calculated when possible and compared with odds ratios. Results: One hundred and twenty-eight articles using odds ratios were identifi ed. Among those, 122 articles were analyzed for the frequency of misinterpretation of odds ratios as relative risks. Twenty-two reports out of these 122 articles misinterpreted odds ratios as relative risks. Th e percentage of misinterpreting reports decreased over years. Seventy-seven report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estimated risk ratios with odds ratios. In most of these articles, odds ratios were greater than estimated risk ratios,60% of which had larger than 20% standardized diff erences. Conclusion: In report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odds ratios are frequently used. They were misinterpreted in part of the reports, although decreasing trends over years were observed.

      • SCOPUSKCI등재

        생활양식과 혈압의 관련성

        주리,정종학,Joo, Ree,Chung, Jong-Hak 대한예방의학회 1997 예방의학회지 Vol.30 No.3

        생활양식과 혈압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6월부터 9월 사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업의학과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가운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실히 응답한 3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고혈압환자 130명(남자 97명, 여자 33명)과 정상혈압자 150명(남자 70명, 여자 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한 고혈압의 위험요인들로 는 연령, 혈중 총 콜레스테롤, 공복시 혈당, 고혈압 가족력, 음주량, 흡연 여부, 식염의 섭취정도, 주중 육류 섭취 횟수, BMI, 하루 커피 음용량과 주중 규칙적인 운동 횟수가 포함되었다. 고혈압의 위험요인이라고 알려진 각 변수들의 단순 분석 결과, 남자에서는 BMI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어, 고혈압군에서 비만인 사람이 더 많았다. 여자에서는 주당 육류 섭취 횟수만이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교차비를 구한 결과 남자에서는 공복시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 고혈압의 가족력, 음주, 식염, BMI가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커피의 음용 및 운동이 고혈압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변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공복시 혈당, 고혈압의 가족력, 식염 및 BMI였다. 여자에서는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변수로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 고혈압의 가족력, BMI, 육류 섭취가 있었고, 이 중 부모 중 한 쪽이 고혈압 환자인 경우, 부모 모두 고혈압 환자일 경우, BMI 및 육류섭취가 고혈압의 유의한 위험요인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변수 중 BMI의 증가가 남녀 모두에서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유의한 요인이었는데 BMI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혹은 생활양식을 추가한 연구 및 식이 섭취에 있어 용량-반응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객관적 방법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며, 병원이 4.9% 감소하여 감소폭이 가장 켰다. 총 상병건수에서 고액진료건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67.6% 증가하였고, 암환자건수는 8.9% 증가하였으며, 장기입원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오히려 1.2% 감소하였다. 총 진료비 규모는 62.2% 증가하였으며, 고액상병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5년간 129.9% 증가하였고, 암환자 진료비는 68.5%, 장기입원환자의 진료비는 59.4% 증가하였다. 상병당 입원진료비 및 재원기간을 1989년 수가로 환산하여 변화 추이를 보면, 상병당 총 진료비는 매우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약제비는 오히려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진료행위료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였다. 재원기간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령구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진료비와 재원기간과는 연령에 관계없이 비슷한 상관계수를 보였으나, 의료보험료 수준과 연령구간별 진료비는 상관계수는 매우 작았으며, 연령군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시계열 분석 결과 향후 약제비는 매우 완만한 감소 추세를 보일 것이고, 진료행위료와 총 진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재원기간은 13.0일로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진료행위료의 증가가 총 진료비의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첨단 의료기기나 신기술의 도입에 의한 것으로 의료기관들의 서비스 다각화 전략과도 관련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의료이용량 즉 입원상병건수의 증가가 진료비 상승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전체 인구 집단의 의료비 상승요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various lifestyle with blood pressur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individuals who got routine health examination 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to September, 1996. Among these people, we selected 130 cases of hypertensives (97 males, 33 females) and 150 normotensives(70 males, 80 females) and study was conducted. The authors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the risk factors related to hypertension such as age,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fasting blood sugar, serum total cholesterol, alcohol consumption(g/week), smoking history, relative amount of salt intake (low, moderate, high), the frequency' of weekly meat consumption, BMI, daily coffee consumption(cups/day) and the frequency of regular exercise(frequency/week) through questionnaire and laboratory test. By simple analysis, BM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male(p<0.05), and the frequency of weekly meat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female(p<0.05).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elevated odds ratio was noted for fasting blood sugar, serum total cholesterol,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alcohol consumption, salt intake and BMI, and reduced odds ratio was noted for coffee consumption and exercise in male but fasting blood sugar(odds ratio=1.022, 95% CI=1.000-1.044), family history in both of parents(odds ratio=3.301, 95% CI=1.864-4.738), salt intake(odds ratio=1.690, 95% CI=1.082-2.298) and BMI(odds ratio=1.204, 95% CI=1.065-1.34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female, elevated odds ratio was noted in serum total choles terol,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BMI and meat consumption. Of all these variables, the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in either of parents(odds ratio=4.981, 95% CI=3.650-6.312), family history in both of parents(odds ratio=16.864, 95% CI=14.577-19.151), BMI(odds ratio=1.167, 95% CI=1.016-1.318) and meat consumption(odds ratio=2.045, 95% CI=1.133-2.963)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hypertension in female(p<0.05).

      • KCI등재

        오즈비를 이용한 메타분석에 관한 연구

        강민수,안홍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1

        Meta-analysis is a statistical method that summarizes outcomes of previous studies. This leads us to gain more reliable results. Because of this advantage, it has been widely used in a variety of fields. In this writing, we focus on odds ratios among lots of statistics used in meta-analysis. Adjusted odds ratios are generally presented as outcomes because they give more precise treatment effects. Accordingly, it is reasonable to offer adjusted odds ratios as the results in meta-analysis.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and limits in meta-analysis using adjusted odds ratios.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to summarize the adjusted odds ratios in meta-analysis. As the result, we are able to report the results of meta-analysis as adjusted odds ratios. 메타분석(meta-analysis)은 개별 논문의 연구결과를 통계적으로 통합하여 일반적이고 종합적인 결론을 얻고자 시행하는 분석 방법이다. 메타분석은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메타분석의 대상이 되는 통계량은 평균, 상관계수, 오즈비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오즈비(odds ratio: OR)를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하기 위해 개별 논문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adjusted 오즈비가 연구결과로써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djusted 오즈비는 연구자의 관심변수와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사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 model)에 의해 추출되는 통계량이다. 따라서 adjusted 오즈비를 통해서 보다 더 정확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는 adjusted 오즈비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합리적임을 말해 준다. 하지만 adjusted 오즈비를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과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justed 오즈비를 이용한 메타분석 방법에 대해 모색하여 보고 이를 실증 예에 적용하도록 한다. 그 결과 adjusted 오즈비로써 메타분석 결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 Odds Ratio를 활용한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 진단

        허자윤,손봉수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본 연구에서는 Odds Ratio를 활용하여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을 진단한 선행연구의 진단방법을 개선하였다. Östen Johansson 외(2009)는 Odds Ratio에서 착안한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 진단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교통량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는 것이었다. Östen Johansson 외(2009)가 정의한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은 {(Case Hour가 밤일 때 교통사고 발생건수)/(Case Hour가 낮일 때 교통사고 발생건수)}/{Case Hour가 밤인 날 Comparison Hour의 교통사고 발생건수}/(Case Hour가 낮인 날 Comparison Hour의 교통사고 발생건수)}이다. 이 때, Case Hour는 계절에 따라 낮인 날도 있고, 밤인 날도 있는 시간대이고, Comparison Hour은 연중 항상 밝은 시간대이다. Östen Johansson 외(2009)의 연구 결과, 야간에는 교통사고 위험성이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에서는 약 30% 교통사고 위험성이 증가했고, 지방지역에서는 약 50% 교통사고 위험성이 증가했다. 그러나 Östen Johansson 외(2009)의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 진단방법은 교통량에 대한 고려가 없기 때문에, 연간 교통량이 일정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이다. 즉, 계절에 따라 교통량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dds Ratio의 정의를 되짚고, 교통량을 고려하였을 때의 Odds Ratio를 활용한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 진단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상장 중소기업의 기업인수성과 -정책자금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송치승,노용환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1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of the acquiring SM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ssociated with policy fund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Corporation (SBC). Unlike current literatures which focused only on listed corporations, we do in-depth analysis depending on financial statements of the relevant private SMEs to merger and acquisition. Collecting 52 samples supported by policy fund from SBC during 2002~2011, we select 12 samples met for requirements such as minimum one year condition before and after the merge. We focus 12 acquisitions and study before and after the acquisition effect for acquiring firms considering industry factors. We analyze firms’ financial ratio including ‘operating cash flow’ (OCF), wilcoxon score rank sum by using non-parametic analysis, and Odds Ratio. According to results, the acquiring firms do not get positive performances for profitability, growth, and cash flow generation. On the other hands, they have improvements of consistent financial stability from the analysis of financial ratio, OCF, non-parametic analysis, and Odds Ratio.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acquisition between private SMEs makes a contribution for financial stability of acquiring firms although it does not play a positive role on profitability, etc. This finding may have some limitation for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 because of insufficient data. Nevertheles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robability of repayment of debt principal supported by SBC could be increased, in the perspectives of SBC, which, of course, yield the improved management of policy fund. This, also, suggests that efficiency of policy fund operation can be higher through process that the returned fund is provided to new or early staged SMEs. This paper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for not only private firm’s acquisition in Korea but also the SME’s acquisition supported by policy fund. This study, also, make a contribution for providing the SBC and policy authorities with the policy development and theoretical base related to M&A.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 중소기업의 기업인수성과로서 정책자금을 지원받았거나 지원받고 있는 정책자금 지원 비상장 중소기업의 기업인수가 이들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비상장 중소기업임에 따라 시장자료의 사용이 곤란하여 재무제표에 의존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정책자금지원을 받은 비상장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재무비율분석, OCF 분석, 인수 이전과 인수 이후 집단 간 선형순위점수의 차이분석, 그리고 Odds Ratio을 산업요인 조정전과 후로 나누어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기업인수가 해당 인수기업의 수익성, 성장성, 현금흐름 창출 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인수는 재무분석, 재무비율에 대한 비모수분석, 그리고 Odds Ratio 분석결과에서 모두 산업요인조정 전․후와 관계없이 일관되게 인수기업의 재무적 안정성 제고에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정책자금 지원기관의 입장에서 보면 채권회수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정책자금 지원기관의 채권회수 가능성의 제고는 궁극적으로 정책자금운용의 효율성에 선순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상기업에 대한 최초의 인수합병에 관한 실증적 연구일 뿐만 아니라 정책자금 지원중소기업의 인수합병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기도 하다. 이러한 연구의 의의 외에도 본 연구는 비상장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정책당국이나 정책자금운용기관의 인수합병관련 정책의 개발과 논리제공에도 공헌하였다 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정책자금 지원 중소기업이 인수합병을 해야 하는 이유와 동시에 정책자금기관이 지원중소기업의 인수합병을 적극 유인해야 하는 이유 등은 인수합병기업의 규모의 경제, 피인수합병기업의 경영효율성, 정책자금 지원기관의 재정부실 감소 등으로 제시될 수 있지만 이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인수합병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비상장기업으로 확보된 정책자금 지원기업들의 인수합병에 대한 자료의 과부족으로 객관적인 연구결과의 제시에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향후 비상장 중소기업의 인수합병 자료의 D/B구축이 이루어지면 해결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비례승산비를 따르지 않는 순위형 자료의 메타분석법

        송혜향,김현재 한국보건통계학회 2003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28 No.1

        Researches are undertaken ever-increasingly to find innovative treatments, and thus published papers are accumulating at an enormous rate. Meta-analysis enable previously published study results to be reviewed and summarized, and the meta-analysis methodologies differ depending on continuous or discrete outcomes. Ordinal outcomes are often found in medicine a few examples are the number of injurious fall, the degree of dementia or degree of pain. The summary statistics of these ordinal data are Odds Ratio(OR), Relative Risk(RR) and Risk Difference(RD). In this paper the generalized odds ratio, generalized relative risk and generalized risk difference (Edwardes and Baltzan, 2000)are proposed as summary statistics of the 2×R contingency table data and meta-analysis method based on generalized association estimates is proposed. Recently, Whitehead et al.(2001) suggested logistic regression models for meta-analysis of 2×R contingency table data and these models require th proportionality of odds ratio. In this paper we compare meta-analysis methods based on the generalized estimates with logistic regression models, using the data of Whitehead et al.(2001, 1994) and also the fall data which were colle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xercise programs. The proportional odds assumption does not hold for some study data in th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s and thus the generalized estimates would be more suitable.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above 2×R contingency table data to evaluate association measures, tests of treatment efficacy and homogeneity. Even with these limited simulations it was shown that much used RD with arbitrarily dichotomizing ordinal data are not a recommended strategy and that logistic regression models present sometimes wrong estimates when the assumption of proportional odds ratio does not hold

      • KCI등재

        두 모집단 비율 비교에서 상대위험도와 승산비에 기초한 표본크기 추정

        조성경 ( Seong Kyung Cho ),강위창 ( Wee Chang Kang ),채성산 ( Seong San Chae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1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36 No.1

        Objectives: We suggested a method of calculating sample size to compare the relative risk or the odds ratio, in which we used the asymptotic distribution of the logarithm of its estimator. The empirical power of the proposed sample size was investigated through simulation studies. Methods: The proposed formula of calculating sample size was derived based on the score test statistic induced by the asymptotic distribution of the logarithm of the estimated relative risk or the estimated odds ratio. Through some simulation studies the empirical power of the proposed sample siz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sample size formulated from the asymptotic distribu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wo estimated proportions. Results: When true relative risks or odds ratios were greater than 1, the power of the proposed sample size was more close to the intended power than that of the sample size obtained by the commonly used formula in the comparison of two proportions. Conclusions: When the comparison of two proportions should be carried out with the relative risk or odds ratio, the proposed formulas gave us more valid sample size than the formula derived by the test statistic of the difference between two proportions.

      • Hypotheses testing of Bayes' theorem for fuzzy prior parameters

        Man-Ki Kang,Gue-Tak Chio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5 No.2

        We have fuzzy hypotheses testing from Bayesian statistics with ideas from fuzzy sets theory to generalize Bayesian methods both for samples of fuzzy data and for prior distributions with non-precise parameters. Appling the principle of agreement index, the posterior odds ratio in the favor of hypotheses Ho is equal to product of the fuzzy odds ratio and the fuzzy likelihood ratio. If the posterior odds ratio exceeds the grade judgement, we accept the hypothesis H? for the degree.

      • KCI등재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식습관 및 식이섭취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지선경(Ji Sun-Kyung),장학철(Jang Hak C),최혜미(Choi Haymie)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1

        임신성 당뇨병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인자를 알아보고자 컴퓨터용 식품섭취빈도조사지와 설문지 등을 이용하여 임신성 당뇨병의 환자군-대조군 연구를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신성 당뇨병군이 대조군보다 연령과 BMI가 높았고, 당뇨병의 가족력이 많았다. 임신전의 식습관은 임신성 당뇨병군이 대조군보다 1일 식사횟수가 적었고, 식사 시간이 불규칙하고 식사속도가 빨랐으며 채식을 적게 하고 기름진 음식을 싫어하는 경향이었으며, 식습관점수가 낮았다. 식품섭취빈도법으로 조사한 영양소 섭취량에서는 임신성 당뇨병군이 대조군보다 탄수화물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고 단백질의 에너지 섭취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지방의 섭취량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임신성 당뇨병군이 대조군보다 단백질과 칼슘, 인, 비타민 B₁의 영양밀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두 그룹 간에 섭취량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는 식품 중 쌀, 중국국수, 돼지고기 등은 임신성 당뇨병군에서 대조군보다 많이 섭취하였고, 옥수수, 오정어채, 큰멸치, 수박, 포도, 복숭아, 밤, 땅콩, 호상 요구르트, 치즈, 검정콩, 당근 등은 대조군에서 섭취량이나 섭취빈도가 많았다. 두 군 사이에 섭취량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는 음식 중 온면, 시루떡, 햄버거, 돼지고기편육, 삶은 계란 등은 임신성 당뇨병군에서 섭취량이 많았고, 전병, 두부조림, 오징어채무침, 깍두기, 야채샐러드, 김치국, 과일샐러드, 콩밥, 콩조림, 토마토쥬스 등은 대조군에서 섭취량이나 섭취빈도가 많았다. 특히 쌀의 경우에는 임신성 당뇨병군이 대조군보다 섭취량은 많았으나 섭취빈도는 적어 임신성 당뇨병군에서 1회의 섭취분량이 많았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영양소 중에서는 탄수화물이나 에너지의 섭취량이 많을 때 임신성 당뇨병의 odds ratio가 증가하였고, 식품이나 음식은 쌀, 국수, 돼지고기, 온면, 시루떡, 햄버거, 삶은 계란, 돼지고기편육 등의 섭취량이 많을 때 임신성 당뇨병의 odds ratio가 증가하였다. 상관관계의 분석결과 에너지 섭취량, 탄수화물 섭취량 등이 혈액의 포도당농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임신성 당뇨병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인자는 지방보다는 탄수화물의 섭취량으로 생각되어지며 단백질을 포함한 식사의 질과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is defined as glucose intolerance discovered or onset during pregnancy and attention is needed because of increased risk of perinatal morbidties and higher incidence of diabetes afterwar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Develop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ontaining 192 food items were used to assess nutritional status of 246 control subjects and 104 GDM subjects. Food habits of subjects were examined in the questionnaire. The more irregularity and less variety of meal were found in GDM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GDM group tended to eat rapidly and do not like vegetables and greasy foods. Total score of food habits in GDM was lower than control group, which suggests that GDM group have undesirable food habits. Mean daily energy and carbohydrate intakes of GDM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nd percent energy from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ol. Nutrient density of protein, calcium, phosphorus and vitamin B₁ of GDM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refore dietary quality of GDM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Odds ratio for GDM was high when energy and carbohydrate intakes were high. And when the intakes of rice, noodle, shiruduk, hamburger, boiled egg, steamed pork shank were high, the odds ratio for GDM was hi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mount and frequencies of several foods and dish items were related with the occurrence of GDM subjects. On the whole, GDM subjects consumed more cereals and less vegetables and less legumes. From these results, pregnant women with GDM tended to have unhealthy food habits, and carbohydrate intake was important dietary factors on the onset of GDM. (Korean J Nutr 2008; 41(1): 41~53)

      • KCI등재후보

        한국 장례문화에서 본 화장률의 지역별 남녀별 실증적 연구

        김혁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lthough the overall cremation rate in Korea is on the rise, a big variation in cremation rate for each basic municipality, the social phenomenon in which the variation in cremation rate between genders is occurring, to prove it through GIS analysis and to explore why it appeared so between men and women. As a study data and method, the study included 285,535 deaths in a year from January to December 2017 with regional data of men and women's burial and cremator were collected, as analysis method, male cremation odds ratio by region(OR) and used a spatial self-correlation, spatial autocorrelation with Moran's I. As a result of research, there are in 2017 the cremation rate was 87.2% for men and 81.6% for women and male deaths wear more cremate than female deaths. In the region the highest rate of male odds ratio was found in Sacheon-si, Gyeongsangnam-do and six regions differed more than three times from 34 regions, and six regions differed more than two times. The reason for the large difference in the cremation rate of regional genders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regional longevity and the group composed of the chronic power difference that has been dominated by local societ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gender discrimination occurs not only in general life but also in social phenomenon of funeral. Furthermore, we want to provide a foundation to contribute to gender discrimination. There is a desire to show a direction that can be organically connected with psychological reality through incorpo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본 연구의 목적은 GIS 분석으로 우리나라 화장률의 지역적 편차, 성별 편차를 보이는 사회현상의 배경과 원인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발생한 사망자 285,535명에 대한 남녀의 매장 및 화장자의 지역별 분석 자료이다. 분석방법은 지역별 남성 화장률 오즈비(odds ratio: OR)와 이를 바탕으로 한 국지적 차원의 공간자기상관(spatial self-correlation, spatial autocorrelation) 지수에 해당하는 통계량으로 Moran's I를 산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2017년 전국 남성의 화장률은 87.2%로 여성 81.6%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남성의 오즈비가 가장 높은 곳은 경남 사천시로 4.4였다. 오즈비가 3배 이상 차이를 보이는 지역은 6개 지역, 2배 이상의 격차를 보이는 지역은 34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성별의 화장률이 크게 차이 나는 이유는 첫째, 지역적 장법의 물리적 환경 차, 둘째 지역 사회적으로 지배해온 만성적인 권력 차이에서 오는 구성된 집단들 간의 차이, 셋째, 인구집단에서 오는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차별적 요소가 일반적인 생활뿐 아니라 ‘장례’라는 사회현상에서도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이 결과가 성차별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밑거름을 제공하고 싶다. 또한 다른 학문과의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심리학적인 현실과 유기적으로 연결 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