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현재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0 과학교육논총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홀리스틱 학습 방법의 전략을 여러 가지 연구관점에서 살펴보고 홀리스틱과학학습에서의 포괄적인 학습모형을 그 시사점으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자의 능동적 교수-학습모형(김현재,1995)에 McCarthy, Samples와 Hammond의 홀리스틱 과학학습에서 4MAT 체계의 학습모형과 Hassard의 홀리스틱 과학학습모형, Gardner의 Ml관점의 과학학습접근 모형을 연관지어 새로운 포괄적인 홀리스틱 과학학습 모형을 제시하므로 이것이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사려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holistic learning approach for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goal of the study used literature review as its main method about theory of holistic learning on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process of steps as follows; ·Summary on main concepts and holistic approach for holistic education ·Consideration of holistic learning on science education by several researchers (Anderson, Samples and Hammond, McCarthy, Hassard, Carin and Sund etc.) ·Discussion and suggestion for holistic learning model of science education concerning correlation between Kim's model I(1995) and McCarthy ·Hassard ·Gardner.
행복한 교실을 위한 홍익인간 교육의 홀리스틱 접근 : 홍익하는 청소년의 영성적 비전 지도를 위한 Holistic Workshop
김현재 한국카운슬러협회 2002 相談과 指導 Vol.37 No.-
건국 이후 50여년간의 역사는 바로 교육입국으로 국가발전에 기여한 것도 사실이지만, 이러한 전통적인 교육은 교사 주도적 입시위주의 교육 문화가 관행처럼 흘러오는 누적된 교육의 병이 극대화 상태가 된 이후에, 교육의 위기설이 대두되고 있는 것도 또한 사실이다. 1986년부터 사립초교에서 실시된 열린교육의 도입으로, 그간 우리교육의 본질화 운동에 힘입어 학생주도적 학습개방에 여러가지 기여한 바가 많다. 그러나 21세기 초고속화와 지구촌화라는 대전환기를 맞아, 세계적인 교육파라다임의 전환은 “인간이 자연의 주인공이기보다는 공존자로, 새 교육문화의 사고인식의 틀이 단편적 석적에서 전일적 합적으로, 가치관에서 외형적 생산에서 내면적 체험감상으로, 인간성의 이기적 배타성에서 이타적 동체적 협동으로,”(박이문,1996)하는 홀리스틱교육관점(삶의 의미와 사회적 정의구현을 위한 교육)이 제시되고 있다.(김현재,1997, 1999) 여기서 홀리스틱교육에 연관되어 개인의 인간성이나 자기실현까지도 초월하여 전우주에 중심
김현재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95 科學數學敎育年報 Vol.11 No.-
과학 교육에서 정기적인 교실 과학 활동 외에 야외 관찰 및 견학, 암석, 동・식물의 수집 및 채집, 해양탐사 등 야외 자연 활동이 필요하다. 자연환경의 견학은 그 견학으로부터 얻은 많은 이익과 더불어 부득이하게 일어나는 환경적 손상을 견주어 볼 수 있다. 여기서 SATIS Project 8-14(Box 2:3-5) 해변 견학(Visiting the seashore)은 특별한 야외 활동의 한가지 사례이다. 그러나 특수한 해변 견학의 활동은 다른 야외 견학 활동에서도 또한 공통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야외, 견학활동은 견학시 아동들이 어떠한 방법과 마음가짐을 하여야 될 것인가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그리고 이 단원을 통하여 학생 등은 자연의 생명 보존, 환경 보존을 위한 자기 나름의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된다. * 특수 환경에서의 생명 연구하기 * 불필요한 것은 수집 안하기 * 식물과 동물의 견식 있는 취급 * 환경에 살아 있는 것들을 되돌려 놓아주기 이 단원은 일련의(선택 가능성이 있는, 또는 그것만으로 사용 가능한) 활동들을 통해 훌륭한 야외실습을 발전시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