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an Immigrant and an International Student’s Literacy Transfer

        Yoon Jung Kim 한국언어과학회 2021 언어과학 Vol.28 No.2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atterns of literacy transfer of two Korean college-level students: an immigrant student and an international student, enrolled in a midwestern American university. Data collected from three interviews of each participant are analyzed under two general emerging themes: (1) literacy transfer between inside-school and outside-school contexts at the secondary school, and (2) literacy transfer between the first language(L1) and the second language(L2). Both participants' writing practices at home highly influenced their school literacy practices and vice versa. However, a discrepancy was found from participants' perceptions toward L1 to L2 literacy transfer. While one believed that L1 literacies had played a positive role in L2 literacies, the other perceived that L1 literacies had hindered L2 literacies. The results may yield significant pedagogical implications with regard to improving students' literacies.

      • KCI등재

        기술 발전에 따른 리터러시 변화 연구

        이유미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용봉인문논총 Vol.-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changes in the research of literacy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t's to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teracy theory and the New Literacy theory.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after the birth of letters was essential to access information. Learning letters was the first thing to learn as a social competence. This was an essential means of understanding society beyond access to information. However, as technology developed, the means of producing and understanding information began to develop into various media as well as text.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y technology gave birth to visual literacy, and the invention of television has led to media literacy, with the advent of various digital media such as computers and smartphones, digital literacy has emerged. In modern times,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began to study post-human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literacy has changed not just to read and write letters, but to have the ability of critical social reading to understand society. As such, studying the history of literacy has a need and meaning as a basic task of exploring the purpose and object of " literacy" in the new era.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발전에 따른 리터러시의 대상과 목적의 변화를 확인할 뿐 아니라 리터러시에서 뉴리터러시로의 발전을 통한 리터러시 목적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있다. 문자 탄생 이후 문자를 이해하는 것은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었다. 이에 문자를 배우는 것은 사회적 역량으로서 첫 번째로 학습해야 하는 대상이었다. 이는 정보의 접근을 넘어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술이 발전하면서 정보를 생산하고 이해하는 수단이 문자뿐 아니라 다양한 매체로 발전해 가기 시작하였다. 사진 기술의 발전은 비주어 리터러시를 탄생시켰고, 텔레비전의 발명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컴퓨터,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등장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생각하게 하였다. 현대에는 인공지능의 발달과 함께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리터러시의 목적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사회적 기초 역량으로 글자를 이해하는 것에서 사회를 이해하는 비판적 사회 읽기의 능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변화함을 통해 단순히 매체 활용이 아닌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까지가 ‘리터러시’의 목적이 되었다. 본고를 통해 리터러시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새로운 시대의 ‘리터러시’ 목적과 대상을 탐구하는 기초적 작업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Applicability of New Literacy Studies in the Korean English Classroom

        Kim, Jeung Deok(김정덕) 새한영어영문학회 2020 새한영어영문학 Vol.62 No.3

        As literacy practices began to be considered embedd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literacy researchers tr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ose contexts on literacy practices, by examining and bridging the gap between inand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s. In this process,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e domain of literacy theory was possible, leading to the creation of the New Literacy Studies (NLS) approach. However, relatively little literac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from ESL/ EFL contexts as the NLS framework has been applied primarily in Western contexts. Therefore, this current study examines whether the NLS framework can be applied to English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do that, two literacy models, the autonomous model and the ideological model of literacy, are explained, focusing on how each model explains literacy. Then, the status of English and English education in Korea are examined in order to whether NLS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contexts with three primary tenets of NLS. This leads to the inapplicability or limitations of fully applying the NLS’ tenets to Korean contexts.

      • KCI등재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개념 및 범주, 이론적 기반, 그리고 교육의 방향

        박휴용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transitions of the forms and natures of literacy, in the context of sheer ICT (Information-Computer-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This study ventures to discuss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to support the rationale and the validity of the new term, posthuman literacy: First, what are the trajectories of the concepts of literacy an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posthuman literacy?; Second, what areas of study and practice fall into the category of posthuman literacy?; Third, what is the theoretical basis of posthuman literacy?; Fourth, what are the major fields of interest in posthuman literacy research and the directions of posthuman literacy education? The main points of argument can be epitomized as follows: first, posthuman literacy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flat ontology and equal relationship among all creatures in the universe; second, posthuman literacy accepts and enjoys multimodal, critical, virtual/hybrid styles of literacy; third, posthuman literacy firmly stands on the four theoretical positions of new materialism, actor-network theory, non-representative theory, and post-phenomenology; and fourth, posthuman literacy aims to investigate the issues of affection, materiality, and virtuality of literacy practices. 본고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나타난 리터러시의 성격과 형 태의 변화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란 용어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고 의 논의는 네 가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리터러시의 발달 과정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범주는 어디까지인가? 셋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이론적 기반은 무엇인가?, 그리 고 넷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대안적 연구 주제와 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본고 에서 논의한 주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일원 론적 철학과 탈인본주의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세상 속 모든 존재들 간의 평등한 관계 성을 기반으로 한 소통과 상호작용에 목표를 두고 있다. 둘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는 양식성(디지털 리터러시), 핵심적 관점(탈인본주의 리터러시), 방향성(비판적 리터러시), 그리고 성격(혼성적 리터러시)에 따라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논의되고 있다. 셋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핵심원리들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네 가지 주요 이론인 신물질 주의, 행위자-망이론, 비대표성이론, 그리고 포스트현상학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넷 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기존의 리터러시 이론에서 등한시되었던 정서의 재발견, 담론의 물질성, 그것을 가상적 정체성의 문제에 더 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아울 러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교육이 학교 교육의 범주와 포스트휴먼적 존재성을 확장하 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급 속히 발달하는 정보통신기술 환경 속에서 리터러시 연구와 실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주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담론 기반의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이론적 토대 탐색: 포스트-민주주의 사회에 관한 성찰로부터

        신동일(Dongil Shin) 한국문화사회학회 2021 문화와 사회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이데올로기적 속성, 사회적 실천, 혹은 담론으로부터 고안된 리터러시 (언어)교육이 시민적/비판적 리터러시를 복원시키며 포스트-민주주의 시대의 사회질서를 새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고 제안할 것이다. 본 연구는 포스트-민주주의, 혹은 유연한 신자유주의 통치로부터 무력화된 성찰적 근대성(Beck, 1986), 혹은 (자아의 성찰적 기획과 그것에 기반을 둔) 삶의 정치(Giddens, 1997)를 리터러시 교육과 담론연구를 결합시켜 새롭게 환기시키고자 한다. 대안적 사회질서를 구축하기 위해서 시민적/비판적 리터러시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선행 논점에 동의하면서 이론적 토대로서 언어기호의 원리로부터 구성된 세계, 즉 구성주의적(constructivistic) 담론의 대중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할 것이다. 민주주의 위기로부터 리터러시 (언어)교육의 필요성을 재차 주목하면서 2장에서는 리터러시 교육의 전통적이면서 기능적인 개념을 먼저 살펴본다. 그런 후에 민주주의의 위기, 시장의 횡포, 혹은 신자유주의적 통치질서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사회적 실천의 리터러시, 이데올로기 모델의 뉴 리터러시 문헌을 살펴보기로 한다. 3장에서는 보다 권력화된 통치질서에 저항할 수 있는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를 ‘담론’의 개념으로 재정의하면서 리터러시 교육이 사실상 담론 교육임을 부연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대안과 대항으로 제안된 뉴 리터러시 혹은 담론 기반의 리터러시 교육이 실제적인 권력효과를 생성시킬 수 있을지 푸코(Foucault)의 주체성과 통치성 문헌으로부터 이론적 정당성을 모색하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ourse-based literacy education in the context of post-democracy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The way literacy is viewed and taught needs to be inevitably linked to social and ideological behavior, since the traditional ‘autonomous model of literacy’ as neutral, objectively definable set of reading and writing skills seems to be artificial and narrow from the current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as well as in the era of corporate-dominated and newly built media environment. As a strategy to overcome the disappearing ‘civic public sphere’ in modern democratic society, this study suggests raising awareness of constructivistic approaches to ‘discourse’ studies in education settings, which are hoped to fill the gap between (inter)textual and contextual, or functional and critical literacy. The reconceptualized models of literacy are discussed on the new tradition of multiliteracies, multimodality, multi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digital literacy, which invalidates the conventional literacy as a standardized, autonomous, cognitive skill on the printed materials. Literacy education for democratic society needs to incorporate social practice into rejuvenating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kicking against power order. Then, the features and domains of discourse to be taught in literacy education are summarized, with an emphasis on Fairclough’s model. Foucault’s subjectivities and governmentaltiy are briefly discussed to highlight the meaningfulness of discourse-focused literacy education as a way to create the newly conceived power of resistance. This study finally make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신물질주의적 유아 리터러시: 개념과 성격 및 사례 분석

        박휴용 언어과학회 2022 언어과학연구 Vol.- No.102

        This paper ventures to dismantle previous theoretical foundations, such as humanism, ecologism, or constructivism, by proposing posthumanism as a newly emerging onto-epistemological paradigm on children’s literacy. To pursue this aim, this paper adopts new materialism and analyzes about 500 children’s picture books published as children’s literature. The core research questions of this paper are two-fold: First, what are the notions, theoretical bases, and principles of new material children’s literacy?; and Second, how posthuman chanracters and principles are applied in actual children’s picture books? The major arguments of this paper are: First, materiality, multi-modality, and affection can be the core components of posthuman children’s literacy; Second, new material literacy tend to project post-human identity and thing-subjectivity, post-contextual hybrid-virtuality, and post-cognitive embodiment. This paper’s argument may broaden the theoretical horizen of children’s literacy. .

      • KCI등재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에너지 절약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수연(Lee, Soo-Yeon),배진호(Bae, Jin-Ho)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에너지 절약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의 교실 밖 수업을 통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는 자료를 선택, 학습을 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의 환경소양이 향상되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에너지 절약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교실 밖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생각을 깊이 할 수 있었고, 교실 안 수업에서 이를 충분히 토의, 토론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 학생들의 에너지 절약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학생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학생과의 면담을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에게 환경적 소양 습득에 유용하며, 과학과 에너지 영역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증진하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에너지 절약 태도 발달에 기여하고, 과학과 에너지 영역에 대한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flipped learn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ergy saving attitudes. For this purpose, 22 elementary 6th graders were surveyed and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flipped lear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chose and learned materials that fit their level through out-of-class learning, and this process was thought to have advanced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Second,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flipped learn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energy sav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out-of-class learning, students were able to think deeply about renewable energy, and discuss it sufficiently in the classroom. Using this method showed a significant change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ergy saving attitudes. Thir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to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were very positiv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students revealed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ch as being useful in acquiring environmental skills and promoting interest and curiosity in science and energy areas.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flipped learning of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energy saving attitudes and positively influencing change in perception of science and energy.

      • KCI등재

        인성기반 창의,융합적 리터러시 교육 -뉴 3Rs 리터러시 언어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김지숙 ( Ji Suk Ghymn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영문학21 Vol.28 No.1

        This paper is to provide a new language-learning model, ‘New 3Rs Literacy’, largely psycholinguistic in nature and sociocultural in practice,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literacy with a range of digital technologies. The model, taking the reciprocal teaching concept for communication, focuses on humanity-based teaching to foster a variety of language-using, learning activities. The model of ‘New 3Rs Literacy’ language learning is specifically of; 1) Reading through questioning language use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who reflect various viewpoints and thinking in the storybook; 2) Researching of explor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for the study to expand knowledg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3) wRiting to lead a creative expressing ability in view of humanity and social discourses. The study is to provide the humanity-based literacy learning model for language learners to the extent that they can talk of, really language use and activities by various characters in the storybook and e-text, and creatively produce, share, access, and interact with meaningful content by engaging in participatory culture in the digital era.

      • KCI등재

        초등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3-4학년군 1학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

        정현선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5 No.-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media literacy reflected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Media literacy is closely related to the theories of New Literacy Studies, emphasizing literacy as sociocultural practices, and Multiliteracies theory as well as the curriculum changes with an emphasis on the 21 st century core competencies and learner participation. This study discusses how media literacy related contents might reflect real life experiences of students; what might be the views of the activities on students’ experiences of media communication; and how and whether the activities might be useful to improve students’ media literac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re are meaningful examples from the viewpoint of media literacy in that the textbooks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as citizens to solve problems in specific contexts and that they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nging literary culture, media and communication. The textbooks might need to be improved in terms of the negative perspectives on the effect of media literacy on children’s media use, insufficient strategies of reading the meaning of media texts, insufficient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format and expression of media texts, and the use of terms and concepts of media, for example, animation. 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4학년군 1학기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 내용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사회문 화적 실천을 강조하는 신문식성 이론, 문식성의 개념 확대를 바탕으로 한 복합문식성 이론, 핵심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조하는 학교 교육의 변화 등을 배경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 내용들은 무엇인지, 이 내용들이 학생들의 일상적 삶에 비추어 얼마나 실제적인지, 그리고 이내용들은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활용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에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 관점 에서 의미 있는 사례로는 구체적인 맥락 속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참여적 문식 활동, 변화하는 문식성, 미디어, 소통에 대한 이해를 돕는 제재를 제시한 점 등으로 나타났고, 개선이 필요한 사례로는 어린이의 미디어 문식 활동에 대한 균형적 관점의 재현 필요성, 실제적 문식 활동을 위한 사전 찾기와 정보 검색의 연계 필요성, 미디어 텍스트의 온전한 의미 읽기를 위한 비언어적 표현과 영상 언어 교육의 필요성, 비판적 미디어 이해를 강조 하는 미디어 텍스트 읽기의 필요성, 미디어 텍스트의 형식과 표현에 대한 의미 이해 활동의 필요성, 미디어 관련 정확한 용어와 개념 사용 필요성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어교육의 융복합적 특성과 문식성

        윤여탁 ( Yoon Yeotak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1

        이 글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는 시기에 국어교육은 어떤 지향을 해야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융복합 교과로서의 국어교육의 특성을 설명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국어교육의 지향과 방법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 내용을 문식성(文識性, literacy) 교육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즉 국어교육에서 중시했던 기능적 문식성을 넘어 문식성의 개념을 확장해야 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융복합적인 교과로서의 국어교육은 의사소통 차원의 언어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신 문식성’ 능력의 함양이라는 맥락에서 멀티미디어를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라는 점을 주목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국어교육의 내용이자 제재가 되는 예술로서의 문학 작품을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에 주목하는 ‘문학 문식성’의 위상과 역할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미래 사회에서 새롭게 추구해야 할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의 지향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eriod calling for a transformation of the ide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do thi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convergence curriculum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direction and the method of it’s practice. Explained in terms of changes in literacy education,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oncept of literacy should be extended beyond functional literacy, which is importa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convergence curriculum should focus on the learners’ ability to operate multimedia as a “new literacy” ability from the viewpoint of communicative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status and role of “literary literacy” are discussed focusing on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literary works as contents and material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the orient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the direction of literacy education to be pursued in future is clar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