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건강상태, 갱년기 증상, 스트레스 대처행위가 중년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구다슬,김기현,소정은,이애현,이유정,이윤서,이희진,정서윤,Kawazoe Serina,강숙정,김윤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회 2018 이화간호학회지 Vol.- No.52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climacteric symptoms and coping behaviors of middle-aged women on mid-life crisi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mid-life crisis of the middle-aged women. Method: Surveys were distributed to middle-aged women between age of 40 to 65. 261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son's correlation using the SPSS 20.0 program. Result: The mid-life crisis is affected by subject health status(β = -0.22, p < 0.001) and climacteric symptoms(β = 0.22, p < 0.001). It implies that in order for middle-aged women to have less mid life crisis,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with less climacteric symptoms is required.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women is related to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limacteric symptom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women, they should be provided climacteric education program to alleviate the severity of climacteric symptoms and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subjective health status.

      • KCI등재

        중년여성의 부모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신말숙,심혜원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2

        The present phenomenologic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parentification of Korean married mid-aged women, concerning their experiences of parentification and its meanings to their living. Six married mid-aged women with the experiences of parentific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data analysis and writing were proceeded. As results, parentification of the Korean mid-aged women was characterized by the conclusion that the care of family becomes wholly their portion by accepting the tacit requirements of family as their responsibility. Also, they have endured alone their churning emotions, experiencing identity crisis by perceiving “My non-existence, and dealt with their own livings by themselve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for the mid-aged women suffering from the identity crisis due to their experiences of parentifi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help them accept themselves as they face themselves and convert their lives to more independent by the efforts searching for their own expectations and desires, and let them experience the adaptiv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by proper separation. 본 연구는 기혼 중년 여성의 부모화 경험에 대한 본질적 구조를 탐색하고자 중년여성들의 부모화 경험이 어떠하며,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된 현상학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부모화를 경험한 기혼 중년 여성 6명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 분석 및 글쓰기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중년여성들의 부모화 경험에서 “가족 내 무언의 요구를 나의 것으로 받아들임”으로 해서 “돌보는 역할이 온전히 나의 몫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홀로 감당해야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요동치는 감정의 파도를 홀로 버텨냄”과 동시에 내가 없다는 정체성 위기와 혼란을 거치며 “삶의 자리를 스스로 일구어 감”이라는 주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화 경험과 이로 인한 정체성의 위기를 겪는 중년여성들의 상담적 개입을 위해서는, 그들 자신과의 대면을 통해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스스로의 기대와 욕구를 찾는 등의 노력을 통해 주체적인 삶으로의 변환을 돕고, 가족들과의 관계에서도 건강한 분리를 통해 적응적인 관계를 경험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이 심리사회성숙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정윤주 ( Jung¸ Yoon Ju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개인과 사회에서 중요하게 작용되는 중년기 여성 위기감이 심리사회성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인천과 경기도,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기 여성 40~60세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0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 22.0와 SPSS 22.0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상관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중년기 위기감 인식은 평균 값이 2.79(SD=0.51)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사회성숙성 인식은 전체 평균이 3.32(SD=0.45)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사회성숙성과의 상관관계는 부(-)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년기 위기감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성숙성에 대한 인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년기위기감 하위요인 중, 생의 불만족도, 자녀관계 불만족도, 활력상실감, 결혼 불만족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중년기 여성은 심리사회 성숙성을 통해서 자신의 삶의 과정에 나타날 수 있는 위기감에 대한 대처능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인생 주기 발달과정에서도 중년기에 자기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년기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성숙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적용과 성과로 이어지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crisis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dividuals and society on their psychosocial maturity. To verify thi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aged women aged 40 to 60 living in Incheon, Gyeonggi, and Seoul, and finally 507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value of mid-life crisis was 2.79 (SD=0.51), and the average value of psychosocial maturity was 3.32 (SD=0.45). Second, the mid-life crisi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social maturity, which means that the higher mid-life crisis, the lower the level of recognition on psychosocial maturity relatively. Third, the middle-aged women’s crisi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dissatisfaction about life, dissatisfaction about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loss of vitality, and dissatisfaction about their marital life among the sub factors of mid-life crisis. This study concludes that middle-aged women could develop their ability to cope with a sense of crisis that may occur in their lives through psychosocial maturity, and that they could cultivate self-control capability in the middle years of their lives during the development of life cycle.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laid the groundwork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achievements needed for improvement in middle-aged women's quality of life and maturity.

      • KCI등재

        중년기 위기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개별성-관계성의 조절효과

        황유경(Yugyeong Hwang),최웅용(Woongyong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중년기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개별성-관계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40세~65세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 중년기 위기감, 개별성-관계성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493부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과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각 변인의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년기 위기감, 개별성-관계성,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분석 및 개별성-관계성의 조절효과를 보기 위해 조절적 댜중회귀분석과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중년기 위기감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별성-관계성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중년기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별성-관계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기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개별성-관계성 수준이 높은 집단보다 낮은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년기 위기감이 낮을 때보다 높은 경우에 개별성-관계성의 영향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년기 위기감이 높고 개별성-관계성이 낮은 경우일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별성-관계성 수준에 따른 집단별 조절효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관계성 부분발달집단은 중년기 위기감이 낮을 때 심리적 안녕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중년기 위기감이 높아질수록 심리적 안녕감의 감소 폭이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별성-관계성 발달집단은 중년기 위기감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높은 수준의 심리적 안녕감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는 중년여성의 개별성-관계성의 고른 발달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중년여성의 상담 및 교육 시 중년기 위기감의 내용을 탐색하고 개별성-관계성의 발달수준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을 제공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중년여성의 관계성 향상을 위한 상담 개입 시 무엇보다 상담자와의 참만남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의 중요성과 중년여성이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정체성을 찾아가는 개별성의 발달을 위한 성공 경험의 획득과 사회적 자원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n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 s mid-life crisi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find out the control effect of individuality-relatedness. Methods To verify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493 copies of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middle-aged women aged 40 to 65 living across the country. Result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crisis in middle-aged women, the low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evel of individuality-relatedness,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t was found that individuality-relatedness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 s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ividuality-relatedness, the relational partial development group showed the highest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the sense of crisis was low.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ity-relatedness development group maintained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gardless of the high and low sense of crisis in middle age. Conclusions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even development of individuality-relatedness among middle-aged women. In addition, it suggests the need to explore the contents of the sense of crisis in middle-aged women during counseling and education, and to provide a differentiated counseling approach according to the level of development of individuality-relatedness.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experiences and social resource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ty in which middle-aged women seek independent and autonomous identity.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유연성의 관계에서 비집착의 매개효과

        이영림 한국종교교육학회 2022 宗敎敎育學硏究 Vol.71 N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non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CONTENTS To accomplish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id-life crisis,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nonattachment to 300 middle-aged wo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6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earcher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nonattachment between mid-life crisis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RESULTS First, that midlife crisi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onattachment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nonattach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flexibility. Second,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life women’s crisis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showed that it was partially mediated by nonattachment. The importance of nonattachment was identified in the effect of mid-life women's crisis on their psychological flexibilit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Buddhist-based counseling program for women experiencing a mid-life crisis.

      • KCI등재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킷 트레이닝의 효과

        이향범(Hyang-Beum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서킷 트레이닝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서킷 트레이닝에 따른 건강관련체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건강관련체력 중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그리고 체지방률은 실험집단의 시기와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킷 트레이닝에 따른 신경전달물질 중 도파민과 세로토닌은 실험집단의 시기와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서킷 트레이닝은 건강관련체력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켜 중년여성의 근손실을 예방하고 만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증가시켜 불안, 분노, 수면장애, 우울증 등을 개선시켜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ositive impact of circuit training on mid-aged women"s stamina and secretion of neurotransmitters, both of which improve quality of lif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Th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stamina, muscle endurance, cardio-endurance, fat level and physical constitution) of mid-aged women who engaged in circuit training revealed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measured period and in the interaction effect among groups. Also, with regard to neurotransmitter levels among the mid-aged women, dopamine and serotonin level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erms of the measured period and the interaction effect among groups. Overall, based on the results found, circuit training improves health in terms of increasing strength, while preventing the loss of muscles in mid-aged women and effectively reduces fat level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hronic diseases. In addition, the training itself increases the secretion of neurotransmitters, resulting in improvements related to nervousness, anxiety, sleep disorders and depression as well as enhancing quality of life.

      • KCI등재

        경력역량을 통해 드러난 여성의 장인성에 대한 질적 연구

        구유정(Koo, Yoojeong),황정산(Hwang, Jeongsan),장원섭(Chang, Wonsup)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4

        본 연구는 일하는 여성의 일과 삶에서 나타나는 경력역량인 의미지, 방법지, 관계지의 요소별 특성을 탐구함으로써 어떠한 장인성이 발견되는지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경력 경로를 가진 경력 10년 이상의 중년 여성 7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고 질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력역량은 중년여성의 일하며 살아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는 점에서 유용한 분석 틀로 활용되었다. 그 결과 일하는 여성의 경력역량은 ‘일을 통한 자아표현(의미지)’. ‘일과 삶의 경험 교차를 통한 전인적 성장(방법지)’, ‘가치 창출의 기반이 되는 관계들(관계지)’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양한 삶의 경험으로 구성된 경력과정에서 자신이 보유한 경력역량을 자유자재로 크래프팅했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장인성을 보여주었다. 중년 여성의 경력역량에서 나타난 장인성은 급변하는 일터 환경 속에서 여성의 지속 가능한 경력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남성 중심적이었던 장인에 대한 논의(장원섭, 2015, 2018)에서 더 나아가 여성 장인성으로 확장될 수 있는 논의의 시작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what masterity is found by investigating career competencies in working women’s work and life. Qualitative data from seven mid-aged women with more than 10 years of diverse work experience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career competencies for understanding how mid-aged women work and live. As a result, we found three categories such as “self-expression through work” as knowing why, “a holistic growth through work-life intersection” as knowing how, and “relationships as a basis for value creation” as knowing whom. Working mid-aged women freely crafted their career competencies in a context of their work and non-work, which ultimately show masterity leading to meaningful lives. Masterity found from this study can be explained for women’s 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 It is also expected to be a cornerstone of studying women’s masterity, as an alternative for the gender-blind discussion of the existing concept of masterity(Chang, 2015, 2018).

      • KCI등재

        중년여성의 자기표현과 외모콤플렉스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희정 ( Hee Jung Mung ),박길순 ( Kil Soon Park ) 한국미용학회 2013 한국미용학회지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tail the desire of the mid aged women who want to express themselves and who have appearance complex by targeting mid aged women between the ages of 35 and 59, and examines whic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s carried out the most in order to search for positive measures. Data was studied from December 20, 2011 to January 20, 2012.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SPSS WIN 18.0 was used to conduc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elf-expression group that is aware of others` perception and group with appearance complex oriented towards the reality are more interested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s for the weight control behavior, assertive self-expression, societal appearance complex and ideal-oriented appearance complex exert significant effect. In terms of the apparel related behavior, passive self-expression, self-centered self-expression, self-expression that is aware of others` perception, self-expression, assertive self-expression, societal appearance complex, self-aware appearance complex and ideal-oriented appearance complex exert significant effect. As for the hair related behavior, passive self-expression, self-centered sel -expression and societal appearance complex exert significant effect. Meanwhile, in case of skin care behavior, verbal self expression, self-expression that is aware of others` perception and ideal-oriented appearance complex exert significant effect.

      • KCI등재

        메타분석적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중년 여성의 우울과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장희원(Hui Won Jang),유성모(Seongmo Yoo),허선희(Seon-Hee He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6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우울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우울에 대한 평균효과크기를 구하고, 우울 관련 변인들을 요인으로 분류한 후, 우울 관련 요인과 우울간의 구조적 관계를 메타분석적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여 중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추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년 여성의 우울을 주제로 2000년 이후 발표된 연구 중 중년 여성의 우울 및 관련 변인 간의 상관계수를 보고한 54편의 국내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연구 및 메타분석적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문헌연구 결과 중년 여성의 우울과 상관계수가 보고된 변인은 49개로 나타났으며, 이 변인은 환경적 요인(개인환경적 요인, 신체환경적 요인), 인지적 요인(자아인지적 요인, 사회인지적 요인), 정신적 요인(긍정적 정신건강 요인, 부정적 정신건강 요인) 등 3개의 요인과 6개의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3개의 요인과 우울과의 평균효과크기를 토대로 합동상관행렬을 구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메타분석적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총효과의 순서는 환경적 요인(0.466), 정신적 요인(-0.327), 인지적 요인(-0.290)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 effect size of depression based on the studies for depression related variables of middle-aged women and classify depression-related variables into factors, and analyze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factors which affect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throug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epression related factors. For this analysis, 54 domestic studies which repor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and depression related variables were selected for meta-analyt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mong studies published after 2000 under the theme of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49 variables were reported for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hich were classified into 3 factors and 6 sub-factors: environmental factor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cognitive super factor (self-awareness sub-factor, social cognitive sub-factor), and mental factor (positive mental health sub-factor, negative mental health sub-factor). A pooled correlation matrix was calculated based 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depression and 3 factors,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 meta-analytic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rder of effect sizes affecting depression was environmental factor (0.466), mental factor (-0.327) and cognitive factor (-0.290).

      • KCI등재후보

        중고령 전업주부와 취업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김여진(Yo Jin Kim),홍환(Hwan Ho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factors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over 45 years old. From life course perspective, even though they are at the same point of life cycle,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may differ depedning on their employment statu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factors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working women and housewives. 2920 married women of age 45 and older whose spouse are alive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wave of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data. According to t-test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orking women are less depressed and more satisfied with their life than housewives. When factors were analyzed for each group,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pouse and children a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quality of life for both groups of women. For working wives, whether they live with their children or no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while for housewives, the exten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ere found to be sinificant.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ervice programs related to these women need to examini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more closely, and that as for housewives, programs to encourage and support them to particiapte in a variety of social activies, especially in voluntary service,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중고령 취업여성과 전업주부의 삶의 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고령화 연구 패널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의 1년차 연구자료를 활용한 본 연구의 대상자는 45세 이상의 중고령 기혼여성 2920명이다. t-검증과 회귀분석으로 이들의 삶의 질의 지표인 우울과 삶의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을 개인, 사회적 관계, 그리고 취업여성은 직업차원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고령 취업여성이 전업주부보다 덜 우울하고 삶에 대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공통적으로 삶의 질과 유이한 관계가 있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였다. 집단별로는, 취업여성은 자녀와 동거를 하면, 그리고 직업에 만족할수록 삶의 질이 더 좋았고, 전업주부는 사회활동 참여 정도가 삶의 질과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고령 여성의 삶을 이해고자 할 때, 가족관계에 초점을 맞출 것과, 특히 전업주부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폭넓고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