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MICE 강소기업의 경쟁우위 형성에 관한 사례연구 -자체브랜드 행사 운영을 통한 기술혁신을 중심으로-

        권장욱,김지우 동북아관광학회 2020 동북아관광연구 Vol.16 No.2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on of differentiation and Focu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competitive strategy of the MICE industry in order to seek strategic alternativ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MICE start-up companies, and derived an alternative of the MICE industry's own brand events. In addition,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MICE mid-sized companies that introduced their own brand ev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company through their own brand ev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collaborative innovations have been implemented with people in MICE-related fields, interacting and developing new technologie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ir own brand events. Although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financial status, efforts to actively develop new technologies have been continued with the possibility of business expansion through diversification of the brand in the future if successful. Therefore, we propose the hypothesis that the operation of a own brand events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self-competitivenes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or collaborative innovation of the MICE start-up companies. 본 연구는 MICE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MICE 산업의 구조와 경쟁전략 분석을 통해 차별화와 집중화라는 방향을 모색하였고, 자체브랜드 행사라는 대안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실제 현장에서 자체브랜드 행사를 통한 기업 내외부의 변화와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자체브랜드 행사를 도입한 MICE 강소기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체브랜드 행사를 하는 과정에서 특정 분야의 인사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관련 업체들과 교류하며 새로운기술을 개발하는 등 협업적 혁신이 나타나고 있었다. 아직까지는 수익창출에 어려움은있으나, 향후의 성공할 경우 브랜드 다각화를 통한 비즈니스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적극적으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었다. 따라서 자체브랜드 행사의 운영이 MICE 기업의 기술혁신이나 협업적 혁신을 통해 자체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한다는 가설을 제안하며, MICE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체브랜드행사에 대한 지원과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온라인 MICE 행사 참가자들의 미팅테크놀로지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 모델을 활용하여

        박시원,정욱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3

        최근 코로나 사태로 새로운 기술과 접목한 IT특화 온라인 행사들이 개최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러 한 IT 산업과 MICE 산업 간 융복합은 오랜 기간 진행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MICE행사 이용자들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기술수용의도’를 살피고, 향후 더 가속화될 IT분야와 MICE분야 간 융복합에 대해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2020 년~2021년 간 국내에서 개최된 온라인 MICE 행사에 참가한 이력이 있는 표본을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08월 01일부터 2021년 09월 30일까지 총 60일간 진행되었으며, 총 취합설문 371부 중 315부(84.9%) 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MICE행사의 기술적 특성과 시스템 품질은 이용자의 유용성과 용이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2) 온라인 MICE행사 이용자 자기효능감과 혁신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은 이용자의 유용성과 용이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3) 용이성과 유용성 및 사용의도 간 인과관계(TAM)도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더 발전될 온라인 행사 관련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온라인 행사에서는 소프트 웨어의 기술적 특성 외에도 기술에 낯선 계층에 대한 사회적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는 실무적 의의가 있다. IT-specialized online events combined with new technologies have begun to be held in the MICE field, such as events utilizing metaverse and VR platforms. However, although the convergence between the IT industry and the MICE industry has been going on for a long time, there are few related studies conducted during the recent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of online MICE event users' new technologies and intend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nvergence between the IT and MICE fields, which will be accelerated in the future. For empirical analysis, samples with a history of participating in online-only MICE events held in Korea between 2020 and 2021 were colle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60 days from August 01, 2021 to September 30, 2021, and 315 copies (84.9%) of the total 37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echnical & Us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influences of the online MICE event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usefulness and ease of users, 2)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se an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TAM)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online events that will be further developed in the future, and have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online event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software but also the social impact on the class unfamiliar with technology.

      • SCOPUSKCI등재

        Fluorescence Detection of Cell Death in Liver of Mice Treated with Thioacetamide

        Jin Seok Kang 한국독성학회 2018 Toxicological Research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cell death in the liver of mice treated with thioacetamide (TAA) using fluorescence bioimaging and compare this outcome with that using conventional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t 6 weeks of age, 24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G1), control group; group 2 (G2), fluorescence probe control group; group 3 (G3), TAA-treated group. G3 mice were treated with TAA. Twenty-two hours after TAA treatment, G2 and G3 mice were treated with Annexin-Vivo 750. Fluorescence in vivo bioimaging was performed by fluorescence molecular tomography at two hours after Annexin-Vivo 750 treatment, and fluorescence ex vivo bioimaging of the liver was performed. Liver damage was validated b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In vivo bioimaging showed that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increased in the right upper part of G3 mice compared with that in G2 mice, whereas G1 mice showed no signal. Additionally ex vivo bioimaging showed that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ivers of G3 mice compared with those in G1 or G2 mice (p < 0.05).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liver showed no cell death in G1 and G2 mice. However, in G3 mice, there was destruction of hepatocytes and increased cell death.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staining confirmed many cell death features in the liver of G3 mice, whereas no pathological findings were observed in the liver of G1 and G2 mice. Taken together, fluorescence bioimaging in this study showed the detection of cell death and made it possible to quantify the level of cell death in male mice. The outcome was correlated with conventional biomedical examination. As it was difficult to differentiate histological location by fluorescent bioimag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fluorescent dyes for monitoring hepatic disease progression and to exploit new bioimaging techniques without dye-labeling.

      • KCI등재

        대전지역 MICE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연구

        김선주,김행종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1

        We analyze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MICE industry in Daejeon area, which is emerging as the center of MICE industry, and confirmed the status and importance of MICE industry in Daejeon area. Previous studies on the economic ripple effect analysis of the MICE industry analyzed only the economic ripple effects related to the exhibition industry, but in this study, the entire MICE industry was analyzed. This study first derives the coefficient of industry association analysis. Next, the expenditure breakdown and costs of MICE in Daejeon are calculated from supply side and demand side. Finally, we analyzed the economic ripple effects and forecasts by MICE. The economic impact of the MICE in the Daejeon region is estimated to be 244,205,696,060 won in 2020, 269,622,821,051 won in 2025, and 297,685,380,827 won in 2030.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s estimated to be 772 in 2020, 878 in 2025, and 998 in 2030. MICE산업의 중심지로 떠오르는 대전지역 MICE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대전지역의 MICE산업의 위상과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ICE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전시회산업과 관련된 경제적 파급효과만을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MICE산업 전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산업연관분석 사용계수를 도출한다. 다음으로 대전지역의 MICE 분야별 지출내역과 비용을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에서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MICE 산업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예측하였다. MICE산업의 대전지역 경제적 파급효과 예측결과는 2020년 244,205,696,060원이며, 2025년은 269,622,821,051원이고, 2030년에는 297,685,380,827로 분석되었다. 고용유발효과는 2020년 772면, 2025년은 878명으로, 2030년에는 998명으로 예측된다.

      • KCI등재후보

        부산의 MICE산업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

        김동하 대한중국학회 2013 중국학 Vol.46 No.-

        所谓MICE是Me et ing(会议)、Inc ent ive(Travel )奖励旅游、 Convention(国际会议)、Event/Exhibition(展览活动)单词首写字母缩写, 简称MICE。由于产业所带来的巨大利润的驱动,MICE产业在许多国家得 到了大力的扶持和发展。现在,MICE产业被认为是集航空、旅游、接待、 基础设施等多种服务部门的组合。奖励旅游,是由公司或集团旨在奖励工作 出色的员工而开展的一种活动形式,它包括举行会议和休闲活动,主要休闲 形式是观光旅游。大型会议,是行业人员举行的信息交流活动。展览会,是 针对目标市场和人群进行的产品和服务销售的展示。 釜山优越的地理环境, 便利的交通,廉洁高效的政府管理, 高度的自由和 开放, 完善齐备的酒店和会展场馆设施,良好的旅游形象等为MICE产业的发 展创造了得天独厚的条件, 釜山政府具有远见卓识, 积极推行主导型战略, 对MICE产业提供强有力的政策支持和资金扶持, 推行一系列灵活务实的营销策略, 针对市场需求,量身创办展会品牌和努力开拓会奖旅游市场, 更为釜 山MICE产业的发展提供了强大的政策支持和发展动力。 本论文首先介绍MICE产业的定义、概念和现状,然后分析韩国个大城 市和主要国家大城市的MICE产业发展战略。本文还探索MICE产业著名城 市和国家的有效政策、支援措施,介绍MICE机构网上促进活动等案例。最 后论述了为釜山MICE产业的发展如何采用适当的发展战略。

      • KCI등재

        MICE 도시마케팅 인식에 따른 MICE 주최자 시장세분화 연구

        서민령,김미성,윤유식,백나영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

        연구는 MICE 산업에서 주요한 의사결정권을 지니고 있는 주최자에 대한 심도 있 는 이해를 위하여, MICE 도시마케팅 인식에 따라 주최자집단을 세분화 하고, 각 집단 별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여 위하여 MICE 주최자에 대한 이해와, MICE 도시 마케팅인식, 마케팅성과, 행동의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MICE 행사를 기획, 운영, 개최한 경험이 있는 국내 MICE 주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과 가설검증을 위하여 최종적으로 310부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 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등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MICE 주최자들은 MICE 도시마케팅 인식에 따라 고인식집단, 중도인식집단, 저인식집단의 3가지 집단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별로 마케팅성과 및 행동의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모든 마케팅성과 및 행동의도 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의도 중 개최지 선정에 대한 항목만 고인식집단 과 중도인식집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항목들은 모두 저인식집단, 중도인식집단, 고인식집단 순으로 응답 값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MICE 주최자집단은 MICE 도시마케팅 인식에 따라 나누어 이해할 수 있으며, MICE 도시마케팅 인식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마케팅의 성과와 행동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MICE 도시마케팅의 주요 의사결정권자인 주최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 고, MICE 도시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의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gment the MICE organizer groups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MICE city marketing and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organizers who have the major decision-making power in the MICE industry. 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oretical review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ICE organizer, MICE city marketing awareness, marketing performance, and Intention of action were conducted. A survey was conducted for domestic MICE organizers with sufficient experience in planning, operating, and hosting MICE events on the subject for empirical analysi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For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 total of 310 valid samp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ICE organizer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ly recognized group, moderately recognized group, low recognized group according to MICE city marketing awareness.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marketing performance and behavioral intention for each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ll marketing performance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the behavioral intentions, only the items for venue selection were found to have no difference between the highly recognized group and the moderately recognized group, and all of the other items showed difference in response values in the order of low recognized group, moderately recognized group, and highly recognized group. Through this study, the MICE organizer group can be divided and understood according to the MICE city marketing awarenes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MICE city marketing awareness level, the higher the marketing performance and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organizer, the main decision maker of MICE city marketing, has been broadened and the basis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revitalizing MICE city marketing has been established.

      • KCI등재

        충남 지역 발전을 위한 MICE 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김난영,석용현 한국무역전시학회 2017 무역전시연구 Vol.12 No.2

        MICE 산업은 국내외적으로 성장 추세에 있으며,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에 MICE 산업은 점차 우리나라 주요 시도를 중심으로 다자간 경쟁구도를 형성하며, 지역별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충남은 충분한 발전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산업계나 학계에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남의 MICE 산업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지역의 MICE 산업 발전을 위한 주요 요인을 도출하여 보았다. 또한, 충남의 MICE 산업 및 기반시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사항을 비교분석하여, 충남의 MICE 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충남의 MICE 전담조직 구성 및 행정적, 재정적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충남의 MICE 산업의 핵심 기반시설이 될 수 있는 전문 전시 컨벤션 시설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충남의 유니크 베뉴 발굴 및 육성이 필요하다. 넷째, 충청권 MICE와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이 필요하다. 다섯째, 충남의 주요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MICE 수요 창출이 필요하다. 여섯째, 충남의 MICE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주목 받지 못했던 충남의 MICE 산업 활성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MICE 산업 육성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ICE industry is growing in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as a strategic means of balanced local developments, it attracts public attention. In Korea, the MICE industry is gradually building a multilateral competition structure focusing on main cities, and competition between regions is getting more fierce. As Chungnam has sufficient potential of development, however, the MICE industry has failed to attract attention from the industrial or academic circles. Thus, this study aims to propose plans to activate the MICE industry in Chungnam.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extracted main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MICE industry in different regions by analyzing the relevant previous studies and even analyzed the present states of the MICE industry and its infrastructure in Chungnam.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factors extracted, this study proposed plans to activate the MICE industry in Chungnam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make an organization in full charge of MICE in Chungnam and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easures. Secondly, it is needed to establish MICE-specialized exhibition convention facilities that can be the key infrastructure of the MICE industry. Thirdly, Chungnam’s own unique venues should be discovered and cultivated. Fourthly, synergy effect should be created in association with MICE firms in the Chungcheong region. Fifthly, demands for MICE should be created focusing on the main strategic industries of Chungnam. Sixthl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MICE-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 Chungnam.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e importance of activating the MICE industry in Chungnam will be more emphasized, and more practical guidelines will be provided for the promotion of MICE industry.

      • KCI우수등재

        MICE 산업별 확산 효과 분석 및 신규 참가자 수요예측 연구 -Bass의 확산모형을 중심으로-

        조성찬,류가연,차재빈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2

        The MICE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is taking the lead in attracting activities and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to foster it as a national strategic industry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rational demand forecasting and research on the trend of participants are essential for successful operation in relation to determining the appropriate size of MICE-related facilities and securing infrastructur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usion effect of the MICE industry using Bass' diffusion model, and predicted the demand for new participants. The regional scope of the study was targeting six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and Jeju.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subdividing the types of participants into Koreans and foreign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eeting field has an innovation effect and an imitation effect,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region. In the exhibition area, the innovation effect in all regions was low, and the imitation effect was high in some regions. In the convention field, the innovation effect in all regions was low, and most regions showed no imit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e diffusion effect by city and the demand forecast for new participant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suitable for the needs and types of participants, such as determining the size of MICE infrastructure and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the factors of diffusion of MICE participants in the future and establish customized investment and strategies accordingly. Furthermore, in the tourism field, new types of industries are continuously appearing through the organic combination of different industries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As such,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Bass diffusion model to the demand forecasting of industries appearing in a new form in the market such as the MICE industry. MICE 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세계 각국에서 국가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자 국가 차원의 유치 활동과 지원에 앞장서고 있다. 이에 따라 합리적인 수요예측과 참가자 추이에 관한 연구는 MICE 관련 시설의 적정 규모 결정 및 기반시설 확보 등과 관련하여 성공적 운영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다. 한편 MICE 참가자 추이는 새로운 혁신이 특정 집단에 수용되는 확산과정으로 혁신의 개인적 수용과 사회적 확산과정의 관점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Bass의 확산모형을 활용하여 MICE 산업의 확산 효과를 분석하여 이에 따른 신규 참가자 수요예측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지역적 범위는 서울과 제주를 포함한 6대 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가자 유형을 내국인과 외국인으로 세분화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Meeting 분야는 지역에 따라 각각 혁신 효과와 모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xhibition 분야는 모든 지역의 혁신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지역에서 모방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Convention 분야는 모든 지역의 혁신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지역이 모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도시별 확산 효과 및 신규 참가자 수요예측 결과는 MICE 인프라 규모 결정 및 마케팅 전략 수립 등 참가자 수요 및 유형에 적합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MICE 참가자의 확산 요인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에 따른 맞춤형 투자 및 전략 수립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관광 분야는 경쟁우위 확보를 위하여 서로 다른 산업의 유기적 결합을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산업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MICE 산업과 같이 시장에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는 산업의 수요예측에 있어서 Bass 확산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이 연구에서 제시하였음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제주 MICE 산업의 역사적 고찰

        홍성화(Sung-Hwa Hong),양성국(Sung-Kuk Yang),강재정(Jae-Jung Kang) 韓國經營史學會 2013 經營史學 Vol.65 No.-

        본 연구는 제주지역 MICE 산업의 발전과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다룬 연구이다. 제주는 2003년 국제컨벤션센터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인 MICE 관련 산업의 발전이 시작되 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제주관광공사와 컨벤션 뷰로의 설립, 산업 지원 법률 의 마련과 같은 도정과 주민들의 노력으로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2009년 정부로부터 제주 MICE가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제주 MICE 산업은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팀빌딩, 테마파티와 같은 MICE 상품이 이루어졌으며 만 명이상의 인센티브 투어단을 연달아 유치하고, WCC와 같은 국제적인 행사를 개최하면서 제주 MICE의 위상은 높아졌다. 그러나 오늘날에 국내외 MICE 관련 산업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며, 제주의 경우 현재의 모습만을 갖고는 시장을 개척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MICE 산업이 갖고 있는 다양한 인프라와 경쟁요소를 정책, 산업인프라, 인력양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정책을 살펴봄에 있어서 제주 특별자치도의 출범이후 제주도가 행해온 핵심정책을 위주로 살펴봄으써 앞으로 지향해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산업 인프라와 전문인력 부분을 재점검하여 개선이 필요한 사항 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reviewed historical development of Jeju MICE industry. Since The International Jeju convention center was opened in 2003, Jeju got a key point to develop a MICE industry. After that, Jeju tourism Organization and, Convention Bureau’s foundations, legislated the related tourism law and several efforts to develop the industry was keep going and cause a drastic advance in Jeju. Especially, The central government selected the Jeju MICE industry as a one of The New Growth Engine Industry in 2009, Jeju saw the new periods. During the cooperation of the organizations, Jeju exploited the MICE program such as Team building, Theme-party, performance program and professional teaching program. Holding the Incentive tour teams, and International convention like WCC, it made a Jeju as a top of MICE destination. But, as the world market’s competition is growing more fierce, Jeju got a limitation to develop the industry in nowaday. So this study considered the industry in terms of policy work, infrastructure, human resource program and suggested a thing that need to be improvement.

      • KCI등재

        MICE산업 역량강화 및 지역특화 중요도 분석 - 강릉지역을 대상으로 -

        한진영 한국무역전시학회 2021 무역전시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강릉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MICE 생태계 진단, 인프라 및 역량강 화, 그리고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한 특화 MICE전략 개발를 위한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 하여 강릉지역 MICE 역량강화 및 지역특화요인을 추출하여 중요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강릉지역 관광정책 등에 있어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 는 강릉 DMO회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0년 10월 20일부터 11월 16일까지 온라 인 설문을 하여 총 9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강릉 MICE 공급시설의 중요도에 대하여 컨벤션센터를, 강릉 추가설립 호텔 성급의 중요도에 대하여 4성급호텔 설립을, MICE 공급시설 확충에 있어 MICE사업체 유치 및 육성을, 강릉지역 MICE 조직 확충에 있어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이 강릉 MICE산업 역량강화의 우선순위로 분석되었다. 강릉 MICE 유치 중요도에 있어서는 강 릉 빙상경기장 활용을, 강릉 MICE연계 융복합 관광상품 개발에 있어서는 강릉 MICE 도심투어상품 개발을, 지역 연계성 강화에 있어서는 강릉 대표 MICE브랜드 개발이 강 릉 MICE산업 지역특화를 위한 우선순위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강릉만의 고유한 문 화관광자원, 올림픽 레거시 등을 활용한 MICE산업 역량강화 및 MICE목적지로서의 활 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priorities for meetings, incentives, conventions, and exhibitions (MICE) ecosystem diagnosis, infrastructure and capacity building, and development of specialized MICE strategies in connection with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by extracting regional specialization factors and strengthening MICE capacity in the Gangneung area. For data collection, Gangneung DMO members, who play a central role in Gangneung tourism policy, were targeted and a total of 96 participants were surveyed with an online survey from October 20 to November 16,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vention center, a 4-star hotel, the MICE organization in Gangneung, and a cooperative system were identified as priorities for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the Gangneung MICE industry. Also, the use of Gangneung Ice Stadium, Gangneung MICE-linked convergence tourism produc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Gangneung MICE brand were identified as priorities for the regional specialization of the Gangneung MIC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