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위스와 독일의 지방자치단체의 입법참여에 관한 고찰

        류지웅 유럽헌법학회 2023 유럽헌법연구 Vol.-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gal systems of Switzerland and Germany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legislation in Korea. Today, opinions and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are expanding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local autonomy and the expansion of decentralization. Currently, in Korea, local governments can indirectly present their opinions, participate in public hearings, hearings, etc. through the Local Autonomy Act, the National Assembly Act, and the legislative operation regulations, and these procedures remain objects, not subjects.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legal systems of Switzerland and Germany, where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 associations are actively participating as legislators and related parties in relation to autonomy, and review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In the case of Switzerland, Kenton is widely recognized for his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To this end, the federal constitution stipulates in detail. Legislative participation is also recognized by expanding diplomatic affairs, and strong legislative participation is promoted through the right to request a referendum, and similar to Germany, federal senators can be formed as representatives of Canton to participate in parliamentary legislation.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gislative participation systems of Swiss and German local governmen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shown. First, legislative participation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is very actively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in Germany, local governments and associations of local governments generally recognize limited and passive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as a supplement to this,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realizing legislative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through the exercise of members of the Federal Council or the right to vote. In Switzerland and Germany, the scope of affair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is widely recognized for the scope of legislation that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 councils can participate in, but legislative participation is not limited to legislation, but even zero, rules, and plans are recognized.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 councils to actively present their opinions on local autonomy and improve the legal system, including legislative participation by local governments It is thought that allowing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t the same national level to participate in actual state legislation and policies as State Council members could be a way to expand the institutional guarantees of local governments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 KCI등재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원자력안전법제의 과제와 개선방향

        황충만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2 No.1

        This dissertation aims to explore the public legal theory of nuclear safety legislation, which has been of little academic rationale, and to suggest the challenges and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for realizing democracy. The problem recognition of this paper starts with the question “Why is democracy not fully applied in the field of nuclear safety? How should the laws and systems of nuclear safety be restructured if democracy is applied to the nuclear safety sector in its entirety?”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issue, this study argues that, as with legislation in the general sector, constitutional principles should be applied in the field of nuclear safety. Especially, the principle of citizen participation based on democracy should be accepted as a core principle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To this end, this research lays the foundation for the challenges and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by clarifying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risk and safety, and deriving the justific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field through constitutional discussion of expertise and democracy. The first challenge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for realizing democracy is to adopt the principle of citizen participation based on democracy as the core principle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mbrace the risk society paradigm and pursue the safety communication paradigm that requests citizen participation in order to transition to democratic nuclear safety governance.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n nuclear safety and local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 be linked and operated in order to implement the principle of citizen participati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is to revise Article 2-2 of the Nuclear Safety Act to reflect the principle of securing technological safety and social safety, and the principle of citizen participation a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Nuclear Safety Information Disclosure and Communication Act’ to promote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n nuclear safety and local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 Especially, the Nuclear Safety Council should be given substantive authority to ensure that the Council, composed of representative personnel, can act as the communication channel, the public sphere, and the monitoring agency. 본 연구의 목표는 그 동안 학문적으로 이론적 근거가 미약했던 원자력안전법제에 관한 공법이론을 탐색하고,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원자력안전법제의 과제와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문제의식은 “원자력안전 분야에서는 왜 민주주의가 전면적으로 적용되지 않는가? 민주주의를 원자력안전 분야에 전면적으로 적용할 경우 원자력안전의 법률과 제도는 어떻게 재구성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일반 분야의 법제와 마찬가지로 원자력안전 분야에서도 헌법적 원리가 적용되어야 하며, 특히 민주주의에 근거한 시민참여의 원칙을 원자력안전법제의 핵심적인 원리로 수용해야 함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위험과 안전 개념에 기초하여 원자력안전법제의 이론적 근거를 규명하고, 전문성과 민주주의에 대한 헌법적 논의를 통해 전문적인 분야에서 시민참여의 정당성을 도출하여, 원자력안전법제의 과제 및 개선방향 제시를 위한 논의의 기초를 마련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원자력안전법제의 선결 과제는 민주주의에 근거한 시민참여의 원칙을 원자력안전법제의 핵심적인 원리로 수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민주적 원자력안전 거버넌스로 전환하기 위해 ‘위험사회 패러다임’을 받아들이고, ‘시민참여를 요청하는 안전 소통 패러다임’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원자력안전 정보공개제도와 지역주민참여제도는 시민참여의 원칙을 실행하는 차원에서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원자력안전법제의 개선방향은 「원자력안전법」 제2조의2를 개정하여 ‘기술적 안전성과 사회적 안전성 확보의 원칙’ 및 ‘시민참여의 원칙’을 원자력안전법제의 기본원칙으로 반영하고, 「(가칭)원자력안전 정보공개 및 소통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원자력안전 정보공개제도와 지역주민참여제도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자력안전 정보공개제도와 지역주민참여제도는 시민참여의 원칙을 실행하는 차원에서 하나의 제도로 운영되어야 하며, 대표성 있는 인사로 구성된 원자력안전협의회가 소통의 통로, 공론의 장, 더 나아가 감시기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전협의회에 실질적인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 KCI등재

        국가관여의 방식에 관한 연구

        김선정 ( Sun Jung Kim ) 한국행정사학회 2013 韓國行政史學誌 Vol.33 No.-

        본 논문은 문헌연구에 따라 지방정부의 정치적 민주화와 행정적 효율화는 지방정부의 다양성과 경쟁에 있다고 보고, 지방정부의 다양성과 경쟁은 국가관여의 방식에서 찾았다. 국가관여의 방식은 세계사적 흐름인 세계화, 정보화, 지방화에서 찾았다. 먼저, 영미계인 영국과 미국은 기본적으로 입법적 관여와 사법적 관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면서 행정적 관여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대륙계인 프랑스, 독일, 일본, 한국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행정적 관여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나 최근의 입법적 관여와 사법적 관여를 강화시키고 있다. 다음으로, 국가관여의 방식은 세계사적 흐름 속에서 변해야 한다. 과거의 일방적·강제적·명령적 성격의 권력적 관여에서, 협력적·지원적·조성적·동반자적 성격의 비권력적 관여로 변해야 한다. In this study,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administrativ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 is to have variety and competition. diversity and competition in local government found in the method to central participation. method to central participation, Global flow of world history, found in globalization, information, localization. First, Anglo-America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is based on basically legislative participation and judicial participation, and strengthening administrative participation can be said to be a trend. Continental, France, Germany, Japan, Korea is a common phenomenon, It is based on the administrative participation, but Recently, legislative participation and judicial participation is strengthened Next, a method to central participation, must be changed in the Global flow of world history. In other words, Unilateral, coercive, command nature of the past, power participation from, Cooperative, Supportive, Companion nature, non-power participation change.

      • KCI등재

        학부모 학교참여의 실효성 보장을 위한 입법 방안: 학부모 학교참여 휴가제를 중심으로

        이미영 ( Mi-young Lee ),박효원 ( Hyowon Park ) 대한교육법학회 2024 敎育 法學 硏究 Vol.36 No.1

        이 연구는 학부모의 학교 참여를 증진시키고 그 실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서 학부모 학교참여 휴가제의 입법화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근본적 목적은 학부모가 자녀의 교육에 보다 깊이 관여하며, 교육 공동체의 적극적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학부모 참여의 중대성을 재조명하고, 최근 10년간의 사회문화적 환경, 학교문화, 기업문화의 변화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하여 학부모 참여 현황에 대한 포괄적 검토를 실시한다. 더 나아가, 해외사례를 통해 휴가제 도입의 필요성 및 그 실행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휴가제 도입에 대한 실질적 실행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본 연구는 휴가제의 명칭 및 근거법, 구체적 범위 설정을 바탕으로 학부모 학교참여 휴가제의 법률(안)을 두 가지로 제시하고 입법 과정에서 예상되는 다양한 부작용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학부모 학교참여 휴가제가 교육 공동체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 영향력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부모 참여 증진을 위한 입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poses the legislation of the parental school participation leave system as a policy alternative to promote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and ensure its effectivenes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parents to be more deeply involved in their children's curriculum and to effectively play their role as active member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o this end, this study re-examines the importance of parental participation and conduct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parental participation by analyzing parents' percep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school culture, and corporate culture over the past 10 years. Furthermore, the necessity and practicability of introducing the leave system were explored through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In suggesting a practical implementation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leave system, this study presented two laws (drafts) for the parental school participation leave system based on the name, basis law, and specific scope setting of the leave system, and included a review of various side effects expect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explores in-depth the positive influence that the parental school participation leave system can have not only on the educational community but also on society as a who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o promote parental participation.

      • KCI등재

        국민의 입법참여 확대를 위한 정부입법예고제도 개선 방안

        방극봉 忠南大學校 法學硏究所 2021 法學硏究 Vol.32 No.2

        The legislative notice system is a system that informs the public of the contents of legislation before legislation. Its purpose is to reflect the opinion of the people in the legislation, and it is used as a useful means of democratic legislation that guarantees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In Korea, it was first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in 1983,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only system in which the people can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 legislative process. At the time of its initial introduction, it was operated on a limited basis due to the passive attitude of the public officials of each ministry concerned about the weight of the legislative work. Since then, it has undergone a gradual development process through expansion of the subject of the legislative notice, the range of persons who can submit opinions, and the period of legislative notice, and it is now reaching the present.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s’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the current system is still evaluated to be inadequate. In order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people on the legislation,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create conditions for the people to actively submit their opinions. Therefore, several improvements are needed in order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and develop into a government legislative notice system that serves democratic legisl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legislation as easily, accurately and as abundantly as possible. Second, the reasons for omitting excessively widespread legislative notices should be drastically reduced, and even if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the opportunity for the public to submit opinions on the legislative proposal should not be overly limited. Third,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synthesize and organize what opinions the people submitted and how they handled the proposed legislation, and publicize them so that all the people can know. 입법예고제도란 입법에 앞서 입법안의 내용을 국민에게 미리 알리는 제도를 말한다. 그 목적은 입법에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려는 데 있으며, 국민의 입법참여를 보장하는 민주적 입법의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3년 정부에 의하여 처음 도입되었고 정부입법절차에서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최초 도입 시에는 입법업무의 가중을 우려한 각 부처 공무원들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운영되었으나, 이후 입법예고의 대상, 의견을 제출할 수 있는 자의 범위, 입법예고 기간 등의 확대를 통한 점진적 발전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 입법참여라는 관점에서 보면 현행 정부입법예고제도는 여전히 미흡하다고 평가된다. 입법안에 관한 국민의 의견을 실질적으로 수렴하기 위해서는 국민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출하고자 하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국민의 참여를 확대하여 민주적 입법에 봉사하는 정부입법예고제도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입법안에 관한 정보를 최대한 쉽게, 정확하게, 풍부하게 제공하고, 입법예고의 대상도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지나치게 광범위한 입법예고 생략사유를 대폭 축소하고, 특별한 사정이 있어 입법예고기간을 단축하는 경우에도 국민이 입법안에 대하여 의견을 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지나치게 제한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예고된 입법안에 대하여 국민이 어떠한 의견을 제출하였는지, 제출한 의견을 어떻게 처리하였는지를 종합·정리하여 국민 모두가 알 수 있도록 공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 KCI등재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에 따른 자치입법권의 범위에 관한 검토

        임현(Im, Hyun)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1 No.4

        이 논문은 2022년 1월 시행을 앞두고 있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법률에 근거하여 변화된 자치입법권의 범위를 검토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고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이자 내용으로 한다.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입법권에 관한 다양한 변화가 있었는데, 조례 제정을 ‘법령의 범위에서’ 할 수 있도록 하고, 법령에서 조례로 정하도록 위임한 사항은 그 법령의 하위법령에서 그 위임의 내용과 범위를 제한하거나 직접 규정할 수 없도록 하였으며, 주민의 조례발안에 관한 사항을 따로 법률로 정하도록 하고, 주민이 규칙의 입법에 관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도입하였다. 또한 자치입법권의 강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용으로 지방의회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정책지원 전문인력을 지방의회에 둘 수 있도록 하였고, 중앙지방협력회의의 설치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지방자치법의 개정내용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자치입법권의 범위를 재검토하고, 자치입법권의 확대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치입법권의 범위와 관련하여서는 조례제정권과 법률우위, 법률유보, 중앙정부의 하위법령과 조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자치입법과정에의 주민참여의 문제로서 주민조례발안제 및 규칙의 입법과정에의 주민참여에 대해 검토하였다. 자치입법권의 확대는 지방자치의 다양한 측면과 연계되는데, 근본적으로는 자치입법의 대상인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의 확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대등한 관계, 주민의 적극적 참여 등 지방자치의 핵심적 내용과 지방자치의 환경이 지방자치제의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실현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cope of the changed legislative power of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Amendment of the Local Autonomy Act, which is set to take effect in January 2022, and to present measures to substantially guarantee and expand it. Various changes have been made to local governments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through the full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Act, allowing ordinances to be enacted “within the scope of laws”, restricting or directly stipulating the contents of delegation in subordinate statutes, and allowing residents to submit opinions on the legislation. In addition, policy support experts were allowed to be placed in local council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local councils as a content that could affect the strengthening of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and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ral Regional Cooperation Counci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se revisions to the Local Autonomy Act, this paper reviewed the scope of legislative power of local government and suggested ways to expand it. Regarding the scope of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the relationship between legislative power of local ordinance and precedence of statutes, statutory reservation and subordinate statutes and ordinances of the central government was examined. In addition, as a matter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autonomous legislative process, residents ordinance initiative was reviewed. The expansion of legislative power of local government is linked to various aspects of local autonomy, and fundamentally,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core contents of local autonomy and the environment of local autonomy, such as the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affairs, equal relation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 KCI등재

        입법과정에서의 대국민 소통과 참여방안

        박영도 한국입법학회 2012 입법학연구 Vol.9 No.1

        입법은 의사소통 과정이다. 입법절차에 대한 대국민 소통과 국민 참여는 현상태 의 극복과 사회의 적극적인 변화를 지향할 수 있고, 지식의 전달과 이익의 표출에 기여하며, 또한 참여의 주체들로 하여금 입법에 대한 책임의식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입법절차에서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국민참여를 활성화하 기 위한 다수의 제도적 장치 마련하고 있는 국가이다. 다만 이들 절차는 입법권한 을 행사하는 기관이 그 권한행사를 위해 이용하는 절차이며, 기관을 위한 절차로서 입법절차의 목적을 정보수집으로 파악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때문에 의견이나 정보 제출하는 개개인은 절차에서 부차적인 역할밖에 기대되지 않고, 참여절차가 기관 주도로 개시되기 때문에 참가자가 하더라도 그 행사는 기관의 절차개시의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소극적 지위에 머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입법과정에서 보다 적 극적은 소통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스위스나 영국처럼 입법계획단계에서의 의견 수렴절차를 제도화해야 하며, 주요법안에 대한 전문가 참여 및 공시제도를 의무화 해야 한다. 또한 주요 법령정비시 계획단계에서부터 전문가나 이해관계자들이 참여 하여 그들의 의견을 수렵한 종합적인 보고서를 공시하고 그에 대한 일반인의 의견 수렴을 통해 최종계획을 마련하는 협의제도를 신설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 재 구축되어 있는 정부입법추진 포털사이트를 개편하여 의견수렴절차에 관한 포털 사이트로서 ‘보는 문서’에서 ‘이용하는 문서’로, 나아가 ‘활용하는 문서’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Lawmaking is a kind of communication process.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citizens for legislative proceedings not only help us to get over the present problems and to change the whole society actively, but also contribute to deliver knowledge and to express interest among citizens. In addition, they also play a role in boosting sense of responsibility of the concerned about legislation. Korea has a lot of institutional measures for legislative procedure to gather extensive opinions from various strata of society, and to vitalize participation of citizens. These processes are, however, used by the organizations which are to exercise legislative authority, and as processes for organizations, tend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legislative procedure as information collecting. Therefore, individuals who submit opinions of information are expected to play only secondary roles, and because of organizations' leading role in beginning participation process, even if participants take part in the procedure, relying on organizations' decision in process beginning, they have nothing to do but remain passive. Consequently, we need to institutionalize an opinion collecting process on the legislative programming stage, which is similar to the institutions that Switzerland and the United Kingdoms have. And it is also important to make participation of the experts for the major bills draft and its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compulsory. Furthermore, comprehensive reports which include various views of experts and stakeholders should be announced officially when it comes to readjustment of major laws. And then, consultation process gathering the general public's opinions to arrange final plans should be established. Lastl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governmental portal site already constructed to an opinion-gathering portal, which will lead the contents to be 'documents to be seen' to 'documents can be used', and eventually to 'documents that we can make the best use of it'.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기능적 권력통제에 대한 공법적 검토

        노기현(Roh, Ki-Hyun)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7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7 No.4

        국정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상향적인 참여는 헌법상의 지방자치의 기능이나 지방자치권 보장으로부터 도출된다. 지방자치제도는 행정의 권한을 중앙과 지방에 기능적으로 분산(그리고 상호 통제)시킴으로써 이른바 분권적인 다핵화를 실현 시키고, 그를 통하여 중앙과 지방간의 ‘기능적인 권력통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소수자의 이익보호와 권력집중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가 수행하는 헌법이념의 실현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자치권을 수호하기 위한 주관적인 법적 지위를 수호하기 위해서는 청문권이나 참여권 등의 보장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방의 이해가 걸린 중요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는 현행 국회법 등의 규정에 의해 단순히 공청회 등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는 것 이외에는 어떠한 결정권이나 협의권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구체적으로 ①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고권의 보장 미비, ② 협의체 등의 국회참여권의 한계, ③ 지방자치 등의 사항을 다루는 전문위원회 및 기구의 부존재를 들 수 있다. 이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상호간의 견제와 균형을 이루면서 통합과 조화를 추구하도록 하는 “기능적 권력통제”의 실현에도 반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국회의 입법과정에서 지방분권의 핵심과제와 지방분권 관련 다수의 법안들이 국회에서 제대로 그리고 제때에 논의 되지 못한 채 폐기되는 현 상황에 서 일본에서의 지방자치단체 지방의회 협의체의 국회의견제출권이나 국가와 지방간의 소통의 장을 특별법을 통해 제도화 하고 있는 점 등과 독일의 연합체 및 연방참사원 등을 통한 법률 발안권 등의 국회입법참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이에 대한 극복으로 제정 시행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ㆍ지방자치단체 정책협의회 운영 규정 (대통령령)은 지방자치단체의 입법참여의 측면에서 여전히 미흡하며, 국회입법의 참여확대에 있어서도 큰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지방자치에 대해 영미형의 고유권설이 아닌, 대륙형의 전래권설에 입각한 나머지, 지방분권에 대한 논의가 주로 국가의 사무이양이나 재원의 이전에 초점을 맞춤으로 인해, 국가(혹은 의회)의 입법조치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의 의사의 반영 에 대한 제도적 설계가 미흡해진 것은 아닌지 추측해 본다. 이를 위해 ① 지방자치법 제22조 단서에 대한 법률제정요청권 부여 방안, ② 국회 공청회의 참여 보장방안, ③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통한 (가칭)지방분권특별 위원회를 신설하는 방안, ④ 지역대표형 상원을 운영하는 방안 등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이제부터 지방자치에 있어 행정권의 지방분권으로부터 입법권의 지방분권의 시대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re are serious interests in the provinces,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can simply participate passively in public hearing etc. based on the“The National Assembly law”, local governments do not have the right to decide on the law. his is contrary to the realization of “functional power control” that pursues integration and harmony while keeping checks and balances between the state and local public entities, and improvement is required for this. Specifically, ① the lack of guarantee of the ordinance high right of local governments, ② the limit of participation rights to the National Assembly such as consultation bodies, ③ the absence of technical committees and specialized agencies specializing in matters of local autonomy. Until now, important issues in decentralization and numerous bills were often abandoned in the National Assembly without much discussion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in the case of Japan, local public gomernments have the right to submit opinions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y can also exchange views by creating a forum for discussion with the state. Also in the case of Germany, the federal council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Federal Council of Parliament are in a process of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ion. Such cases of foreign countries have great suggestions in Korea. Recently, the “provision of administration concerning policy councils betwee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has been enacted and enforced, but it seems that the participation of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in legislation is still not enough and has not been completely improved. From now on, local autonomy must change its paradigm from “decentralization of administrative power” to “decentralization of legislative power”. For this purpose, it is now necessary to discuss ① establishment of legislation request right against the provisions of Article 22 of the Local Autonomy Law, ② guarantee of participation rights in the hearing of the National Assembly, ③ establishment of a special decentralization committee, ④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representative Senate.

      • KCI등재

        시민의 입법참여와 헌법 - 국민발안제 도입논의를 중심으로

        차진아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외법논집 Vol.42 No.3

        Democracy in the 21st century seems to face new changes. The classic representative democracy that originated from the 17th century Britain centered on the parliament. The popular democracy in the 20th century had political parties at the center. The democracy in the 21st century is characterized by strong trends to incorporate the people’s voices—even the unpolished ones—into the democratic process. These trends, while some of them are based on distrust toward the parliament and political parties, prove that the existing democratic systems failed to properly consider the various voices of the people. Democracy in the 21st century, on the other hand, shows different trends. For example, the Brexit in the United Kingdom, President Trump’s victory in the United States presidential election, and President Macron’s victory in France, as well as the rapid growth of radical parties in the German general election, are expressions of people’s discontent over the failure of the parliaments and major parties to represent the will of the people. Granted that people’s judgments and decisions mentioned may be debatable, but one thing is clear: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representative politics are becoming more apparent, and they call for a new alternative that will succeed where the conventional system failed. Contemporary democracy is widely recognized as rooted in a representative system, which is supplemented by elements of direct democracy (citizen’s initiative, recall election, and national referendum). However, the elements of direct democracy have successfully supplemented representative democracy only in a few countries including Switzerland—at least among developed countries. At this juncture, new attempts at supplementing the representative system in meaningful ways with elements of direct democracy may only naturally occur. In this sense, Korea is not unique in witnessing a sudden spike of interest in citizen’s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Rather, it is a common trend shared by democratic countries of the 21st century. On the other hand, numerous commentators point out that an uncontrolled deluge of people’s voices may result in decisions dominated by the sentiment of the moment as exemplified the Brexit referendum in the United Kingdom, which may spread populism across the society. Therefore, approaching the issue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warrants a high level of caution. In light of the issues discussed above, this article overviews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the elements of direct democracy (II), followed by a review of changes in the 21st-century citizens’ needs regarding democracy (III).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s in the first two sections, the article moves onto an overview of the people’s elevated consciousness as sovereign beings after the Candlelight Protests in 2016, and the trajectory of demands for expanded participation (IV). This section also sheds light on the special significance that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has with regard to supplementing the representative system (IV. A New Paradigm for Democracy in the 21st Century and Citizens’ Participation in Legislation). Then, the article reviews the scopes and requirements of Citizens’ initiative for legislative bills, which constitutes one of the key issues for the 10th amendment of the Korean Constitution (V. Discussions on Ways to Participate in Legislation and the Adoption of Citizens’ Initiative). 21세기의 민주주의는 새로운 변화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고전적 대의제 민주주의가 의회중심의 민주주의였고 20세기 대중민주주의가 정당중심의 민주주의였다면, 21 세기에 들어와 의회나 정당이 아닌 국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어떤 의미에서는 덜 다듬어진 형태의 거 친 목소리까지- 반영시키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의회에 대한 불신, 정당에 대한 불신에 기초한 경우도 있지만 무엇보다 기존의 민주적 정치체제가 국민의 다양한 의사를 적절하 게 반영하는 것에 실패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예컨대, 영국의 브랙시트,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의 당선, 프랑스 대선에서 마카롱의 당선, 독일 총 선에서 급진적 정당들의 비약적 성장 등은 기존의 의회와 주류 정당들이 국민의 의사를 충분히 대변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다. 과연 이러한 국민들의 판단과 결정이 현명한 것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기존의 대의정치의 한 계가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는 점이며,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요청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 민주주의는 대의제를 근간으로 하고, 직접민주제(국민발안제, 국민소환제, 국민투표제)는 대의 제를 보완하는 것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다. 그런데 직접민주제적 요소에 의한 보완이 제 기능을 하는 경우는 스위스 등 작은 나라들 몇몇을 제외하고는 –적어도 선진국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런 시점 에서 직접민주제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한 대의제의 보완이 실질화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시도들이 등장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시민의 입법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도 우리나라의 특수한 상황이 아닌, 21세기 민주주의 국가들의 공통된 흐름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자칫 시민들의 목소리가 절제 없이 쏟아져 나온다면 영국의 브렉시트와 같이 그때그때 감정 적인 결정을 내리는 문제점이 현실화될 우려도 적지 않고, 나아가 자칫 포퓰리즘이 보편화될 수 있다 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민의 입법참여에 대해서는 매우 신중한 접근이 요청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이 논문에서는 「대의제 민주주의와 직접민주제에 의한 보완의 전통적 구 조」(Ⅱ)를 개관한 다음, 「21세기 시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의 변화」(Ⅲ)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2016년 촛불집회 이후 국민의 고양된 주권의식 및 참여확대요구의 흐름을 개관한 다음, 국가의사결정에 대한 시민참여의 다양한 유형 가운데, 특히 입법참여가 대의제 보완에서 갖는 특별한 의미를 조명하였다(「Ⅳ. 21세기 민주주의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시민의 입법참여」). 이러한 검토를 바 탕으로 하여 제10차 개헌의 주요 쟁점의 하나인 법률안에 대한 국민발안제 도입의 범위와 요건에 관 한 여러 개헌안을 비교⋅평가하였다(「Ⅴ. 시민의 입법참여의 방식과 국민발안제 도입에 관한 논의)」.

      • KCI등재

        국회의원의 의정활동에 있어 개인적 수준 변수들의 영향력 분석

        정회옥(Jeong, Hoi Ok),윤종빈(Yoon, Jong Bin),박영환(Park, Young Hwa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6 정치정보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국회의원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경력 등 개인적 측면에 주목하여 의정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국회의원의 의정활동은 충실도와 입법생산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충실도는 본회의 출석률, 상임위원회 출석률로, 입법생산성은 대표법안 발의 수, 법안 가결 성공률, 법안 가결 처리기간으로 측정하였다. 우선 18대, 19대 국회의원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19대 국회의원들이 18대에 비해 더 성실하고 생산성 있는 의정활동을 수행했고 더 효율적인 입법 활동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19대 국회의원의 사회경제적 배경 등 개인적 변수와 의정활동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자면 선수가 낮거나 정치적 경력 혹은 경험이 부족한 의원일수록 오히려 의정활동에 충실한 것으로 나타났고, 상임위원장이라는 국회 내에서의 경험이 의원의 입법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중앙관료 경력이 없을수록 대표 법안 발의에 활발한 반면 가결처리에 더 오랜 시간이 걸려 입법효율성은 떨어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또한 의원의 당직 경험이 출석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가결성공률을 높여 입법 활동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legislators" individual-level factors on the legislative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19th National Assembly of South Korea. Legislative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multi-dimensional variables such as participation rate in committees, the number of bill initiatives, and bill passing rat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19th Congress was more effective and productive, compared to the 18th Congress.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e significant effects of seniority, education, previous career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firm that individual-level factors do influence Congressmen’s legislative effectiveness, albeit in a rather limited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