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잠재집단연구

        신택수(Tacksoo Sh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3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은 특정 모집단에 존재하는 비관측 이질적 잠재집단을 추적하고 이들 집단과 관계있는 특성변인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연구문제를 효과적으로 논의할 수 있어 많은 행동/사회과학연구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더불어, LCA와 관련된 기술적 발전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혼합모형기법(Mixture Modeling Technique)을 이용한 LCA는 군집분포의 형태에 따라 잠재집단의 수를 과대 또는 과소 추정할 수 있으며 수립된 모형이 복잡하거나 잠재집단의 수가 증가할 경우 결과의 불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리 알고리듬이 간명하고 분포도의 모양, 표본의 수, 다중공선성 등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 용하여 대안적인 잠재집단성장분석을 시도해 본다. 연구는 총 1,916명의 미국 북서부 종단학업성취도 읽기검사를 바탕으로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GMM)과 대안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잠재집단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두 접근 방법에 의해 각각 3개와 2개의 성장형태가 다른 잠재집단이 추출되었고 특수교육프로그램과 영어교육프로그램 을 수강한 학생의 경우 성장이 빠른 집단에 속할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접근방법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환경,자료의 형태 및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분석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Latent class analysis(LCA) aims to uncover unobserved heterogeneity in a population and to find substantively meaningful groups of people that are similar in their responses to measured variables or growth trajectories(i.e., Growth Mixture Modeling; GMM). The use of this mixture modeling technique (MMT) has allowed for deeper investigation of a variety of substantive behavior/social science researches. Despite technical development and usefulness of LCA/GMM in practice, it contains several problems. Depending on shapes of aggregated distribution, this technique may over or underestimate the number of classes. Also, a complicated structure including small sample size and relatively large number of classes might adversely affect convergence rate and validity of statistical inferences. At this point, this study introduces an alternative latent class approach using longitudinal profil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Relatively simple mathematical algorithm under an alternative method could easily detect latent classes. Also, these statistical techniques are not dramatically influenced by distributional shape and sample size, as well as multicollinearity. With longitudinal academic achievement scores (n = 1,916) from a large urban school district in the upper Midwestern U.S., the study compared the results of two latent class techniques. The GMM and the alternative latent analysis approach found respectively three and two latent classes tha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growth trajectories. Students who received the special education and English language program tended to report faster growth rat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as well as other pertaining issues for these two approaches are discussed. Lastly, this study is to alert applied researchers to selected analytical issues that are required for consideration in decisions to apply one of these two approaches based on research circumstances.

      • KCI등재

        16개 시도지역 고등학교의 전출입에 대한 종·횡단적 특성 분석 및 예측 : 다층 잠재계층분석(multi-level Latent Class Analysis)을 이용하여

        권재기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16개 시도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의 전출입 변화를 종·횡단적으로 분석,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학기술부와 KERIS에서 제공하는 2008년~2010년 정보공시자료(16개 시도의 1,030개 학교)를 활용하였다. 자료에 사용된 전출입은 순수한 전입을 나타내는 ‘순전입’ 변수를 계산·가공한 것이다. 순전입의 해석은 수치가 +이면 ‘순 전입’으로, - 이면 ‘순전출’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수준(지역 간) 및 학교 수준(지역 내) 순전 입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3수준 다층성장모형(3 level multi-level Growth model)을 실 시하였다. 그 결과 총 분산의 7.1%가 학교차에 의한 것이고, 지역 특성은 4.7%에 의해 결 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치에 해당하는 2008년도 순전입은 1.721이고, 매년 약 6.815 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 간.지역 내 학교 순전입의 변화양상을 탐색하기 위하여 다층잠재계층분석(multi-level 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지역 간.지 역 내 학교의 잠재계층은 각각 3개로 나타났다. 지역 수준의 잠재계층은 ‘순전출이 낮다가 급격히 증가하는 지역’, ‘순전입이 증가하는 지역’, ‘전출입이 없다가 순전출이 조금씩 증가 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학교 수준의 잠재계층은 ‘전출입이 없거나 낮은 학교’, ‘순전입이 지속적으로 높은 학교’, 그리고 ‘순전출이 지속적으로 높은 학교’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지역 수준 및 학교 수준의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예측원이 지역 수준 및 학교 수준에 따라 상반되게 나타난 점이 주목할 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transference in regional high schools and find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for developmental changes of such transference and also predict aspects classifying latent trajectory classes. To perform this research,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2008-2011 survey was referred. We applied the multi-level Growth model and multi-level Latent Class Analysis with known class in longitudinal studies, and applied the multi nominal logistic regression in cross-sectional studi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nsference was noted between and among regions. With 3 level multi-level Growth model, the transference trend was analysed. Second, multi-level Latent Class Analysis led to three latent classes for each. Latent class between regions was found to have ‘region with a sharp net outflow increase’, ‘region with a net inflow increase’ and region with a steady net outflow increase’. Latent class among region was grouped to ‘school with no or minimal net transference’, ‘school with a steady net inflow’ and ‘school with a steady net outflow’. Third, it was noted that the prediction for latent classes varies with regional (between regions) or school (among region) level.

      • A Longitudinal Analysis of Alcohol Use Behavior among Korean Adults and Related Conditions: Latent Class Growth Model

        Suyon Baek,Eun-Hi Choi,Hye-Kyung Lee 한국성인간호학회 2021 성인간호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8

        Aim(s): The present study classified the changes in alcohol use behavior among Korean adults and explored the related conditions. Method(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4th (2009) to 14th (2019)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subjects were 8,267 adults aged 19-60 years.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used to classify the latent classes of alcohol use behavior among Korean adul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pecific factors that form the classes. In addition, 11-year trajectories of major variables associated with alcohol use behavior for the derived classes was analyzed by growth mixture modeling. Result(s): There were four classe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trajectories of alcohol use behavior: “moderate to low risk class,” “low to moderate risk class,” “stable moderate risk class,” and “stable low risk class.” Subjects who are aged 19-49 years, males, or unemployed; belong to a single-person or grandparent/single-parent family; or have education level of high school graduate or below had higher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table moderate risk class” or “low to moderate risk cla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rajectories of depression,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nd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class of alcohol use behavior. In particular,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showed distinctly decreasing trajectories in the low to moderate risk clas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need for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alcohol use behavior. Therefore, future longitudinal studies should include longitudinal analysis of not only dependent variables, but also various predictors. Furthermore, with respect to alcohol use behavior among Korean adults, the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emphasize the need for mandatory drinking prevention education, intervention, and improvement of workplace drinking culture for males aged 20-40 years, who have been identified as high-risk group, while also suggesting intervention for families, as well as the individual drinker.

      • KCI등재

        청년기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진로특성 변화 및 예측 :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고등학교 3학년 때의 진로특성

        권재기,김진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for developmental changes of the job decision in adolescence and compare the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career worry following the results and also examine influential career propertie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latent classes. In order to resolve our research question, we performed the research using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2004-2008 surveys. We applied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LCGA) and Growth Mixture Models(GMM) with known class in longitudinal studies, and applied the Decision Tree Analysis(DTA) in cross-sectional studies. First, our studies’ results found the four latent trajectory classes(decision class, confusion class, weakening class, indecision class) for the job decision change. Second, in case of students’ career worry, confusion class had the highest initial average(.897, ) and weakening class had the highest linear change rate(.448, ) significantly. Third, among career properties of high school students, gender, indecision reason, aptitude recognition,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influenced prediction for the latent classes significantly. 본 연구는 5년간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여, 밝혀진 잠재계층별로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 변화 양상을 비교하고,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특성을 통해 잠재계층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종단·횡단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을 탐색하는 잠재성장계층분석에서는 직업결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 ‘결정 집단’, 직업결정을 번복하는 ‘결정혼란 집단’, 초기 몇 년간은 직업을 결정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미결정 상태가 되는 ‘결정약화 집단’, 그리고 5년간 직업을 결정하지 못한 ‘미결정 집단’이라는 4개의 잠재계층을 확인하였다. 둘째, 잠계계층별 변화양상을 비교하는 다집단 성장혼합모형에서는 대학생 진로고민의 평균 초기치는 결정혼란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897, ), 매년 .276 정도씩 진로고민이 증가하였다. 셋째, 잠재계층의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의사결정나무분석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특성 중에서 직업결정을 못한 이유, 성별, 적성인지 여부, 학교의 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잠재계층 예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환경공학과 대학생의 지속가능발전 태도에 대한 잠재적 집단 유형과 지속가능발전교육 경험과 학년에 따른 차이 분석

        최재우(Jaewoo Choi),강운선(Woonsun Ka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2 環境 敎育 Vol.25 No.4

        The aim of research is to examine Environment Engineering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SD). In this article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ly, Are there underlying types of environment engineering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ly, are educational experi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year predictive of membership in types of environment engineering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SD)? For this research, I carried out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LCA is a statistical method used to identify a set of discrete, mutually exclusive latent classes of individuals based on their responses to a set of observed categorical variables. I used PROC LCA, SAS procedure for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25.8%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the ecologism centered social welfare class. 6.0%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the techno-centrism centered social welfare class, 9.9% are expected to belong to the social welfare based economic growth class, 39.6% are expected to belong to the greenism class, 9.6% are expected to belong to the techno-centrism centered economic growth class, and 9.1% are expected to belong to the environment centere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class. Secondly, Both educational experi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001) and year (p<.0001) were strong predictors of latent class membership.

      • KCI등재

        잠재계층성장분석(Latent Class Growth Analysis)을 활용한 초기 아동기 체질량 지수 변화 궤적의 유형화 -사회 · 정서발달의 차이를 중심으로-

        은선민(Eun, Sunmin),박영아(Park, Youngah),김충일(Kim, Chungil),이강이(Lee, Kangyi) 한국아동복지학회 201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6

        본 연구는 취학 전후 아동의 체질량 지수(BMI) 변화 궤적이 차별적인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유형에 속한 아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사회 · 정서 발달에서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조사의 7-9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초등 1학년, 초등 2학년 시기에 걸친 체질량 지수의 변화 궤적은 3계층(잠재적 비만형(13.5%), 비만 완화형(6.5%), 정상 유지형(81.1%))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확인된 유형에 따라 사회 · 정서 발달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초등 2학년 시기에 비만 위험집단으로 분류되는 잠재적 비만형의 경우, 정상유지형 아동에 비해 자아존중감과 전반적 행복감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적 비만형 아동은 비만 완화형과 정상 유지형 아동에 비해 또래적응 능력이 낮고, 또래문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기 아동기 체질량 지수의 변화 궤적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을 뿐 아니라 변화 궤적의 개인차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입학을 전후로 비만 위험군에 진입하는 집단과 비만 위험이 완화되는 집단이 교차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초등학교 입학 후에 비만 위험군으로 진입하는 집단이 또래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점을 밝혀, 비만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해 아동의 정서 및 또래관계 측면에 개입해야 할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utilized longitudinal data of child body mass index (BMI) to explore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to examine whether this trajectory change could be classified into heterogeneous types. The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each type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7th- through 9th-year data (2014-2016)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for analysis. A total of 967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patterns of change in child BMI across children aged 5 and first and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potential obesity”, “obesity alleviation”, “normal-maintaining”.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were found among the three types. Specifically, children in the “potential obesity” type, considered being at risk of obesity during the second grade, had lower levels of self-esteem and overall happiness than those in the “normal-maintaining” type. In addition, “potential obesity” children were shown to have lower peer adaptability and to experience more peer problems than those in the “obesity alleviation” and “normal-maintain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change trajectories of early childhood BMI at an individual level. By paying additional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the rationale for intervention in obese children.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분류와 내재화 문제 및 부모 방임의 영향력 분석

        박민지,유미숙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0 청소년시설환경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otential groups of youths' school adaptation change pattern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s' internalization problems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2,378 people), a 4th cohort, was used for analysis, and 5 years of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y were analyzed by Latent Class Growth Analysis(LCGA), Growth Mixture Model(GMM),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school adaptation increased over time and after then decreased.. Second, the two pot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adaptation variable were identified as a'unchanged group' that does not change over time and a'adapted increase group' that changes negatively over time. Third, depress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otential class, and social withdrawal and parental neglect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school adap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학교 적응 변화 양상의 잠재적인 집단을 조사하고 부모의 방임과 청소년의 내면화 문제(우울, 사회적 위축)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의 초4 코호트인 2,378명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5년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첫 번째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고, 두 번째로 개체 간 질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성장혼합 모델(Growth Mixture Model)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류된 잠재계층을 중심으로 개체 간 효과(between effect)를 분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학교 적응 변인의 단일계층 잠재성장 모형 추정 결과 학교 적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고 그 후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적응 변수의 두 가지 잠재적 특성은 시간이 지나도 안정적인 '무변화집단'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부적응증가집단'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우울증은 잠재적 계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사회적 위축과 부모의 방임이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준고령층의 소득계층에 따른 건강 및 의료비 지출 차이에 대한 종단연구

        곽경화 한국보건사회학회 2017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6

        본 연구는 준고령층의 소득 계층의 변화 과정의 특성을 공유하는 하위집단, 즉 잠재계층들을 구분하고, 소득 계층의 변화유형에 따른 건강 및 의료 이용의 불평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소득 변화의하위 집단별 만성질환 수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의료비 지출의 변화 궤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2008년부터 2013년까지 이루어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08년을 기준으로 55세~64 세에 해당하는 준고령층 2,34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잠재계층성장분석과 잠재성장곡선분석을 실시하였다. 준고령층의 소득 계층 변화궤적은 4개의 하위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하위계층 감소집단, 중하위계층 감소집단, 중상위계층 유지집단, 상위계층 유지집단으로구분하였다. 이러한 4개의 하위집단 중, 하위계층 감소집단과 중하위계층 감소집단이 중상위계층 유지집단과 상위계층 유지집단에 비해서 객관적 건강 및 주관적 건강 모두 초기 수준에서 차이가 나며, 시간이 지날수록 건강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 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종단적으로 입증하는 결과이다. 또한, 이러한 4개의 하위집단별 개인의료비 지출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하위계층 감소집단의 소득대비 의료비 과부담을 입증하는 것이다. 하지만, 앞서 하위집단별 건강의 차이가 있다는 결과와 함께 고려해 보건데 소득 계층별 의료비 지출상의 불평등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소득 계층별 건강불평등이나 의료 이용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보건정책을 필요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of income status over time and to investigate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trajectories of health and medical expenditure among adults aged 55 to 64 years.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the Korea Health Panel, collected from 2008 to 2013.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performed latent class growth analyses and latent growth curve analyses. Trajectories of income status were categorized into four latent classes, low-decreasing, mid-low-decreasing, mid-high-stable, and high-stable groups. There were chronic disease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different over time depending on latent classes of income status, supporting health disparities. Although there were no socioeconomic differences of trajectories in medical expenditure, individuals in low income status may have disadvantages in medical expenditure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ir health status. As a result, findings from the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ore sophisticated public policy to reduce the gap of trajectories in health and medical expenditure across socioeconomic status.

      • KCI등재

        인간발달연구에서의 종단자료 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신택수 한국인간발달학회 2014 人間發達硏究 Vol.21 No.3

        This study explained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data and analytic tools. It also described how various modeling techniques can be applied to longitudinal study. Among the several longitudinal data methods, the study focused on latent growth modeling (LGM) based analytic approaches. LGM is modeled as a function of an underlying growth process. It also explores effects of specific factors on individual variation in the growth characteristics. In the unconditional analysis, the growth trajectory of mathematics achievement was followed by nonlinear shape (i.e., concave shape). For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al model,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both initial status and growth. Although female students reported lower initial scores, the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faster in females than in males. Additionally, low SES students repeatedly reported lower scores across years. In the school level,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initial status, the initial status and the growth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suggesting school gap sustained. Lastly, reading ability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mathematic achievement and the proper number of latent classes was deemed to be 4. Other pertaining issues were also discussed.

      •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정서문제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주요 예측변인 검증

        장은아,정혜원 한국교육학회 2024 敎育學硏究 Vol.62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문제 변화에 따른 이질적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정서문제의 변화를 예측하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1패널의 1∼5차년도 자료에 잠재계층성장분석(latent class growth analysis)을 적용하여 정서문제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였고, SEMforest 분석을 통해 정서문제 변화를 설명하는 상위 중요도 10개 변인을 탐색하였으며, 3단계 접근법(three-step approach)을 활용하여 주요 예측변인이 잠재계층 분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정서문제 변화유형은 저수준 감소 후 상승(20.5%), 중수준 유지(58.8%), 고수준 유지(20.7%)의 3개 계층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SEMforest 분석 결과, 정서문제 관련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6개 변인과 더불어 기존의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4개 변인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셋째, 주요 예측변인이 청소년의 정서문제 변화유형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그릿(흥미유지)은 상대적으로 정서문제 수준이 낮은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이는 변인이었고, 학업무기력(능동수행 결여)과 스마트폰 의존도, 부모양육태도(비일관성)는 상대적으로 정서문제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정서문제 감소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latent classes of emotional problems in adolescence and to explore and test key predictors of change in emotional problems. To this en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applied to data from the first through fifth wav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anel of KCYPS 2018. SEM forest was used to explore the top ten most important variables explaining change in emotional problems, and the three-step approach was applied to examine how key predictors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ee latent classes in emotional problems during adolescence were classified: low-level decrease followed by increase (20.5%), middle-level maintenance (58.8%), and high-level maintenance (20.7%). Second, SEM forest analysis revealed that six variables had been studied in previous research while four other variables were newly identified. Third, happiness, self-esteem, and grit (consistency of interest)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emotional problems, while academic helplessness (lack of active performance), smartphone dependence, and parenting attitudes (inconsistency)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motion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reducing emotion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