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다문화교육경험 유형이 다문화 수용성 태도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강운선(Woonsun Ka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3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다문화교육경험과 다문화 수용성 태도를 유형화하여 다문화교육경험 유형이 다문화 수용성 태도 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가설1), 또한 두 변수 사이에서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매개변수로 기능하는지(가설2)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고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다문화교육경험 유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잠재적 집단분석 방법을, 다문화 수용성 태도를 유형화하기 위해서는 군집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문화교육경험의 직접효과와 사회적 거리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거리감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가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다문화교육경험 유형은 ‘다문화 종합 교육(26.3%)’, ‘다문화 체험 교육(15.8%)’, ‘반편견 교육(25.5%)’, ‘무경험 인식(33.2%)’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태도는 ‘적극적 다문화 수용형(28.3%)’, ‘위협 인식형(16.2%)’, ‘보편적 기본권 인정형(22.3%)’, ‘다문화 수용 신중형(33.2%)’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다문화교육경험 유형은 다문화 수용성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가설1 지지). 넷째,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교육경험 유형과 다문화 수용성 태도 유형 사이를 부분 매개한다(가설2 지지).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주민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 증진과 관련된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Are there underlying typ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f so, what are the types? 2) Are there underlying typ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f so, what are the types? 3) Are typ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predictive of membership in typ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4) I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distance to immigrants between typ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typ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To gather the data, surveys were distributed at high schoo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Latent class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are estimated in order to 1) determine the effect of typ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on typ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with socio-demographic controls variables and 2) test for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distance to immigrants. To assess ‘the social distance to immigrants’ as a mediator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 applied the causal-steps approach describ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findings are as follow. 1) The typ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re ‘multicultural comprehensive education’(26.3%), ‘multicultural activity education’(15.8%), ‘anti-bias education’(25.5%), and ‘perception of nonexperience’ (32.4%). 2) The typ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re ‘active multicultural acceptance’(28.3%), ‘perception of threat’(16.2%), ‘recognition of universal right of immigrant groups’(22.3%), and ‘cautious multicultural acceptance’(33.2%). 3) Typ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could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4) Social distance to immigrants could be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yp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typ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일본 다문화교육의 연구 동향에 대한 메타 분석

        강운선(Kang, Woonsun) 동아인문학회 2011 동아인문학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Japa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end, I collected articl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CiNii. Key word entered for collecting is multicultural education. Data related is 736 case. I analyze collecting data in terms of research domain, research subject, and perspective ty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tegory on educational aim has the highest percentage, and teaching method has second percentage. Second, category of raceㆍethnic has highest percentage. Meanwhile minoruty such as sex, the disability, class, religion and sexual minorities has very low percentage. Third, type of human relationship approach has highest percentage in terms of the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Sleeter & Grant classyfied

      • KCI등재

        사회과 예비 교사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과 결정 요인

        강운선(Kang, Woons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분석하고 연령, 성별,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 활동경험 등의 변수가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북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사회과 예비교사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중등학교 자격 취득 과목은 역사, 일반사회, 지리 등의 세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군집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령, 성별,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활동 경험 등의 변수가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의 글로벌 시민성은 ‘다중적 시민성(25.1%)’, ‘미숙한 시민성(27.6%)’, ‘국가지향 시민성(20.1%)’. 그리고 ‘이문화 인정주의(27.1%)’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연령,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활동 경험은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성별과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과교사교육을 위한 방향과 연구의 한계 및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and to identify differential effect of variables such as sex, abroad experience, contact on international news by digital media, and regional community activity on types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05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re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ables on types of global citizenshi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types: ‘the multiple citizenship(25.1%), ’the immature citizenship(27.6%)’ ‘the nationally oriented citizenship(20.1%)’, and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27.1%). Age, regional community activity, and abroad experience were predictors(p<.05), but sex and contact on international news by digital media were not predictors, The paper includes theoretical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관심기반 실행모형에 근거한 현직교사의 다문화교육 관심 분석

        강운선(Woonsun Ka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7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7 No.1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관한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관심 수준은 어떠하며, 교사들의 개인 변인에 따라 관심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학교 교사 375명을 대상으로 관심단계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관심수준을 분석한 결과 무관심 단계(단계0)가 가장 높게 나타나서, 본 연구에 참여한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대부분이 다문화 교육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관한 교사의 관심은 성별, 연령대, 근무경력, 학교급, 다문화교육경험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stages of concern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total number of 375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a study that assess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concern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eliminary data were analyzed by aggregating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results and developing a profile that provided the average scores for each stage of the individuals in a group. Mean scores were converted to percentiles and plotted following the procedures outlined by George et al.(2013). Findings indicated that 80% of teachers in this sample are unconcerned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spondents have a little concerns about management. Secondly, variables such as sex, age, career,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were predictors of concer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aper includes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관심기반 선택모형에 근거한 초중고 교사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관심 수준 분석

        강운선(Kang, Woo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 학교 교사들의 관심 수준과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관심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6년 11월 1일부터 2007년 1월 10일까지 비확률 표집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관심기반 선택모형을 활용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관심 수준과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관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무관심 단계(단계0)가 80% 정도를 차지하였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관심은 교외연수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 연령대, 근무경력, 학교급, 교내연수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stages of concerns regarding 2009 revised curriculum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total number of 253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a study that assess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concerns regarding 2009 revised curriculum. Preliminary data were analyzed by aggregating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results and developing a profile that provided the average scores for each stage of the individuals in a group. Mean scores were converted to percentiles and plotted following the procedures outlined by George, Hall, & Stiegelbauer(2013). Findings indicated that 80% of teachers in this sample are unconcerned abou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respondents have a little concerns about management. Secondly,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career, school level, and trainning experience in school about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predictors of concern about 2009 revised curriculum. The paper includes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중학교 사회과 교사의 동료교사 협력학습 참여 양상과 구성주의 수업실행과의 관련성

        강운선(Woonsun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동료교사 협력학습의 참여 유형을 도출하고, 참여 유형과 수업전문성과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OECD에서 시행한 교수학습 국제조사(2013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자료를 활용하였다. 유형화에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업전문성과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1) 동료교사 협력학습 중에서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의 참여수준을 비교하면 동료교사와 수업자료 교환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관찰과 피드백 등의 활동에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동료교사 협력학습의 참여 유형을 비참여형(41.8%), 정보공유형(37.3%), 반성적 실천가 지향형(10.0%), 그리고 연구과제지향형 (10.85%)으로 분류하였다. 3) 동료교사 협력학습의 참여유형은 수업전문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How are participation in cooperative professional learning among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service teachers? 2) Are there types of participation in cooperative professional learning(CPL) among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service teachers? If so, what are the types? 3) Have the types of participation in CPL on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a significant effect? To gather the data, the data of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 2013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conducted by the OECD.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participation in CPL and MANOVA was analy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ypes of participation in CPL on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The research results were following: 1) Exchanging teaching materials with colleagues is higher than any other, 40% of teachers exchanged teaching materials with colleagues. 2) The types of participation in CPL can b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the Disengaged group(41.8%), the Sharing group(37.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group(10.0%), and the Task-focused group(10.85%). 3) The types of participation in CP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The paper includes theoretical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의 소셜 미디어 활용동기와 만족도 관계에서 활용행태의 매개효과

        강운선(Woonsun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사회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의 활용동 기와 학습매체로서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등학교 사회과 예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편의표집방법 중의 하나인 임의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군집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으며, 활용행태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가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의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는 관람자(30.3%), 참가자 (27.2%), 창작자(23.8%), 그리고 비참여자(18.6%)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해 소셜 미디어 활용동기는 학업, 인정, 사회관계, 그리고 정보공유의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셋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는 활용동 기와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연구 한계 및 미래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research object was to tes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ypes of use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motive and satisfaction as learning media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For gathering the data, surveys were distributed at university in Kyungsangbuk-do.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behavior, and I applied the causal-steps approach described by Baron and Kenny(1986) for tes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 1) The types of use behavior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spectators(30.3%)’, ‘the joiners(27.2%)’, ‘the creators(23.8%)’, and ‘the inactives(18.6%)’. 2) To explore what motivates users to use social media, the study ran factor analysis to determine the potential groupings of 18 items. The analysis yielded four factors: learning motive(factor1), recognition motive(factor2), social relation motive(factor3), and sharing information with others(factor4), 3) The types of use behavior could be a partial medi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motive and satisfaction as learning media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The paper includes theoretical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강운선(Woonsun Kang),김종혜(Jonghye K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석하고 다문화교육경험 등의 변인에 따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역사교육과, 일반사회교육과, 지리교육과, 경제학과, 사회학과, 행정학과 등 사회과 교사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였으며,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변인에 따른 차별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원주의적 다문화교육자(23.5%), 보수주의자(41.6%), 중도주의자(34.9%) 등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유형화되었으며, 다문화주의 태도, 전공, 외국의 다문화 교육현황에 대한 교육경험. 다문화 정책과 법에 관한 교육경험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perception types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and to identify differential effect of variables such as sex, major, multiculturalism, abroad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cence on perception types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13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i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ables on perception types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three types: ‘multicultural educator(23.5%), ‘conservatives’ (41.6%), and ‘centrist’(34.9%). Sex, major, multicultral law education, and comparative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predicto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Q-분석을 통한 중등학교 예비 사회과 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

        강운선(Woonsun Ka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環境 敎育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ern Korean secondary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CC, an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curriculum. Q methodology was used to discern Korean Secondary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views on CC. I collected 47 Korean pre-service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from Kyeongsangbuk-do area, Korea.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items including environmental problem, government regulations against CC, and social policies to obtain equitable distribution of resources. Q factor analysis reduces the many individual viewpoints of the subjects down to a few “factors”, which represent shared ways of thinking.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ly, the results identify four factors: ecological communitarianism, liberal ecologism, anthropocentrically environmental liberalism, and nature circulation. Secondly, pre-service teachers having taken ESD lessons are likely to belong to ecological communitarianism more than pre-service teachers having not taken ESD lessons.

      • KCI등재

        한국 사회과 다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 분석

        강운선(Kang, Woons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과다문화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는데 주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여 년 동안 축적되어 온 사회과다문화교육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의 영역(주제), 대상, 강조하는 목표나 관점 등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학술지를 제공하는 RISS, KISS, DBpia 등의 사이트를 통해 사회과다문화교육 관련 학술지를 수집하고, 영역(주제), 대상, 목표와 관점 등의 내용을 Ucinet과 Netdraw 등의 프로그램으로 사회 연결망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물에서 교육과정(47%)과 교육방법(16%)이 차지하는 비중이 60%이상을 차지하며, 목표(13.6%)와 성격(5.7%)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미만에 이르렀다. 둘째, 사회과다문화교육의 대상은 다문화 가정을 포함하여 인종?민족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가 15%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종교,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사회과다문화교육자들은 다양성 존중, 다른 문화의 이해, 반 편견, 차별 폐지 등의 목표를 강조하는 경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정의, 비판적 의식, 사회재건 등을 강조하는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y is very short. Korean people have considered Korea to be a homogeneous country for a long time. This fixed idea is changing by marriage immigration rapidly increased since 2000. As a resul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s very short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including Japan, Australia, USA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 some directions. I reviewed 76 articles related to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which were published until October 22. 2011 in Korea. For analysis, I used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curriculum has the highest percentage,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has second percenta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domain. Second, most of research subject are race/ethnic. Third, social studied researchers took perspective based on cultural pluralism empasing on diversity and anti-bias. Based on researh result, I recommend that research subject need to be enlarge the area including sex, class, disability, religion, and the marginalized in future. Also I propose that social studies researchers try to take an perspective based social reconstructionist l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