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과 안압변화의 상관관계

        정미아,이은희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4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hanges of intraocular pressureaccording to corneal ablation amount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and the changes of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s before corneal refractive surgery. Methods : The mean age of adults who underwent LASIK corneal refractive surgery were 37.34 ±7.42 years, and 108 adults(48 males, 60 femal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fractive errors, intraocular pressure, and corneal ablation amount were measured using an autorefractor, a noncontact tonometer, and an excimer laser. All test value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p<0.05. Results : The mean intraocular pressure before corneal refractive surgery was 15.08 ± 2.60mmHg in males and 14.16 ± 2.67mmHg in females. The decrease of intraocular pressure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were 4.22mmHg in males and 3.61mmHg in females. Spherical equivalent power were -3.89 ± 2.17D in males and -4.45 ± 2.92D in females before corneal refractive surgery, and -0.10 ± 0.46D in males and -0.04 ± 0.46D in female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The corneal ablation amount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53.95㎛ in males and 61.26㎛ in female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rneal ablation amount and decrease of intaocluar pressure(r=0.2299, p<0.001). As the growth of corneal ablation amount in males, the decrease of intraocular pressu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growth of refractive error, the amount of decrease in intraocular pressure was also significant. The decrease of intraocualr pressure were 3.04 ± 2.18mmHg in low refractive error, 4.10 ± 2.16 mmHg in middle refractive error, and 4.65 ± 3.29 mmHg in high refractive error. Conclusion : We found that intraocular pressure decreased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bynoncontact tonometer and the change of intraocular pressure which is an important index for glaucoma diagnosis, may affect the judgment of eye disease. We think that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heth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is necessary for the measurement of intraocular pressure. 목적: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에 따른 안압변화와 수술 전 굴절이상도에 따른 수술 후 안압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라식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평균연령 37.34±7.42세, 성인 남녀 108명(남자 48명, 여자6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 비접촉형안압계, 엑시머레이저를 이용하여 굴절이상도, 안압, 각막 절삭량을 측정하였으며, p<0.05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각막굴절교정수술 전 안압은 남자가 15.08±2.60mmHg, 여자가 14.16±2.67mmHg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안압 감소량은 남자가 4.22mmHg, 여자가 3.61mmHg로 나타났다. 등가구면 굴절력은 각막굴절교정 수술 전 남자 –3.89±2.17D, 여자 –4.45± 2.92D에서, 각막굴절교정 수술 후 남자 -0.10±0.46D, 여자 –0.04±0.46D로 나타났다.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은 남자 53.95㎛, 여자 61.2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각막절삭량과 안압의 감소량에는 유의한 상관성 (r=0.2299, p<0.001)을 보였다. 성별로는 남자의 각막절삭량이 많아질수록 안압의 감소량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굴절이상도가 증가할수록 안압의 감소량도 커져 경도의 굴절이상도에서는 3.04±2.18 mmHg, 중등도의 굴절이상에서는 4.10±2.16mmHg, 고도의 굴절이상도에서는 4.65 ±3.29mmHg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안압측정은 녹내장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안압 측정시 각막굴절교정수술 여부에 대한 사전설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Correlation between Corneal Ablation Amount and Intraocular Pressure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Mi-A Jung,Eun-Hee Lee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4

        목적: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에 따른 안압변화와 수술 전 굴절이상도에 따른 수술 후 안압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라식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평균연령 37.34±7.42세, 성인 남녀 108명(남자 48명, 여자6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 비접촉형안압계, 엑시머레이저를 이용하여 굴절이상도, 안압, 각막 절삭량을 측정하였으며, p<0.05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각막굴절교정수술 전 안압은 남자가 15.08±2.60mmHg, 여자가 14.16±2.67mmHg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안압 감소량은 남자가 4.22mmHg, 여자가 3.61mmHg로 나타났다. 등가구면 굴절력은 각막굴절교정 수술 전 남자 –3.89±2.17D, 여자 –4.45± 2.92D에서, 각막굴절교정 수술 후 남자 -0.10±0.46D, 여자 –0.04±0.46D로 나타났다.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은 남자 53.95㎛, 여자 61.2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각막절삭량과 안압의 감소량에는 유의한 상관성(r=0.2299, p<0.001)을 보였다. 성별로는 남자의 각막절삭량이 많아질수록 안압의 감소량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굴절이상도가 증가할수록 안압의 감소량도 커져 경도의 굴절이상도에서는 3.04±2.18mmHg, 중등도의 굴절이상에서는 4.10±2.16mmHg, 고도의 굴절이상도에서는 4.65 ±3.29mmHg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안압측정은 녹내장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안압 측정시 각막굴절교정수술 여부에 대한 사전설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hanges of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corneal ablation amount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and the changes of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s before corneal refractive surgery. Methods : The mean age of adults who underwent LASIK corneal refractive surgery were 37.34 ± 7.42 years, and 108 adults(48 males, 60 femal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fractive errors, intraocular pressure, and corneal ablation amount were measured using an autorefractor, a noncontact tonometer, and an excimer laser. All test value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p<0.05. Results : The mean intraocular pressure before corneal refractive surgery was 15.08 ± 2.60mmHg in males and 14.16 ± 2.67mmHg in females. The decrease of intraocular pressure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were 4.22mmHg in males and 3.61mmHg in females. Spherical equivalent power were -3.89 ± 2.17D in males and -4.45 ± 2.92D in females before corneal refractive surgery, and -0.10 ± 0.46D in males and -0.04 ± 0.46D in female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The corneal ablation amount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53.95㎛ in males and 61.26㎛ in female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rneal ablation amount and decrease of intaocluar pressure(r=0.2299, p<0.001). As the growth of corneal ablation amount in males, the decrease of intraocular pressu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growth of refractive error, the amount of decrease in intraocular pressure was also significant. The decrease of intraocualr pressure were 3.04 ± 2.18mmHg in low refractive error, 4.10 ± 2.16 mmHg in middle refractive error, and 4.65 ± 3.29 mmHg in high refractive error. Conclusion : We found that intraocular pressure decreased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by noncontact tonometer and the change of intraocular pressure which is an important index for glaucoma diagnosis, may affect the judgment of eye disease. We think that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heth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is necessary for the measurement of intraocular pressure.

      • KCI등재후보

        안압 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김상문 한국안광학회 2008 한국안광학회지 Vol.13 No.1

        Purpose: To measure and quantify the factors of intraocular pressure (IOP) variation for normal Korean youth. Methods: The IOP of normal youth 805 persons (male: 367, female: 438)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ime and quantity for fixation, reclining posture, hard blinking, drinking water, drinking hard liquor, tobacco and coffee by using non-contact tonometer (AT555, Reichert Co.). In the case of fixation, reclining posture and hard blinking, the intraocular pressure of right and left eye were measured for 6 males and 6 females every 10 minutes during 30 minute. In the case of water, liquor, tobacco and coffee, the measurement for 4 or 5 groups (6 persons/group) having similar IOP were done for the IOP variation of right eye. Results: The mean IOP was 15.2 mmHg for males and 15.8 mmHg for females (slightly higher than male's), respectively and the 99% of those were in the range of the normal IOP. The measured IOP was increased by fixation, reclining posture and hard blinking with males and females. The gradient of increasing slope was 0.15/0.13/0.07/0.08, 0.09/0.08/0.08/0.08 and 0.19/0.08/0.26/0.31, respectively. The IOP variation was elevated by drinking water (especially in the case of 1000 ml) and lower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drinking by hard liquor. Cigarette smoking was associated with rise in intra ocular pressure, but was not shown a definite relation. And coffee had virtually no effect. Conclusions: Fixation, reclining posture, hard blinking and Tobacco caused a transient increase in IOP, but alcohol elicited a slight reduction in IOP overall. 목적: 한국 정상인 청년의 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정상인 청년 805명(남: 367, 여: 438)을 대상으로 비접촉식 안압계인 AT555 Tonometer(Reichert사)를 사용하여 조사대상자의 기본 안압을 측정 하였으며 안압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시, 기대는 자세, 순목의 경우는 남녀 각각 6명을 대상으로 10~30 분 동안 요인에 따른 우좌안의 안압 변동을 조사하였으며 음수, 음주, 담배, 커피는 측정안압이 유사한 6명씩을 한 집단으로 하여 각 요인별로 4~5개 집단의 우안 안압변동을 조사하였다. 결과: 조사대상자의 평균안압은 남녀에서 각각 15.2mmHg와 15.8mmHg로 여자가 약간 더 높았으며 99%가 평균안압의 범위 내에 있었다. 주시, 기대는 자 세, 의식적인 순목에 의하여 남녀의 안압은 각각 우좌안에서 기울기가 0.15, 0.13/0.07, 0.08와 0.09, 0.08/0.08, 0.08 및 0.19, 0.08/0.26, 0.31의 추세선으로 상승하였다. 음수에 의해 안압이 상승하였는데 1000ml 이상에서 변동폭이 현저하였으며 음주에 의해서는 음주량에 비례하여 안압이 감소하였다. 흡연 시에는 안압이 증가하였으며 흡연량과 는 유의성 있는 연관을 보이지 않았다. 커피에 의해서는 유의성 있는 안압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주시, 기대 는 자세, 의식적 순목, 음수, 흡연에 의해 안압이 상승하였으며 음주에 의해서는 안압이 감소하였다.

      • KCI등재

        흡연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

        심규선,이성희,김철동,신영철,정미아,이은희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4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intraocular pressure. In addition, the tear film breakup time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tear film due to smoke during smoking.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adults, including 22 males and 2 females, who had no ocular diseases. The ocular function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pupil size, intraocular pressure, accommodation, and tearfilm breakup time. All test values were applied with the average of three measurement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050. Results : Pupil siz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smoking. Intraocular pressu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moking(15.79 mmHg) than before binocular mean smoking(14.17 mmHg). The mean of accommod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moking (9.15 D) than before binocular mean smoking(9.63 D). The tearfilm breakup ti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ight eye before smoking(8.00 s) and after smoking(7.35 s), while the left eye after smoking(6.92 s) and after smoking(6.81 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and intraocular pressure. In addition, higher intraocular pressure were observed in the right eye, showing a shortening of tearfilm breakup time. As a result, smoking were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of intraocular pressure, and the instability of tear film caused by smoking have an additional effect on the increase of intraocular pressure. 목적 : 본 연구는 흡연과 안압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흡연 시 연기로 인한 눈물막의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눈물막 파괴시간도 함께 조사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자는 최근 안과질환이 없으며, 흡연을 하고 있는 남자 22명과 여자 2명으로 구성된 24명이 선정되었다. 안기능 검사로는 동공크기, 안압, 조절력, 눈물막 파괴시간을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값은 3회 측정한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p<0.050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 동공크기는 흡연 전과 흡연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안압은 양안평균 흡연 전(14.17 mmHg) 보다, 흡연 후(15.79 mmHg)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조절력은 양안평균 흡연 전(9.63 D)보다 흡연 후(9.15 D)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눈물막 파괴시간은 오른쪽 눈은 흡연 전(8.00 s)에서 흡연 후(7.35 s)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왼쪽 눈은 흡연 전(6.92 s)에서 흡연 후(6.81 s)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흡연과 안압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으며, 눈물막 파괴시간의 단축이 뚜렷했던 우안에서 좌안보다 높은 안압상승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흡연은 안압 상승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흡연으로 유발된 눈물막의 불안정성은 안압상승에 추가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근시성 굴절이상과 안압의 상관관계 분석

        김보연,이은희,정미아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8

        This study researched the correlation between myopic refractive errors and intraocular pressure.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39 adults(17 of males, 22 of females). We measured the intraocular pressure using a Non-Contact Tonometer(NC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yopic refractive errors was analyzed by dividing into three groups: mild, moderate, high myopia. The gender of subjects showed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he intraocular pressure and refractive errors, but as the refractive errors increased, the intraocular pressure incereased,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 higher intraocular pressure in moderate and high myopia than mild myopia can cause glaucoma, that can develop at a young age. it is need to sufficient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correlation between intraocular pressure and myopic refractive errors in the middle-aged high myopia. 본 연구는 근시성 굴절이상과 안압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대 성인 남녀 총 39명 (남17명, 여 22명) 총 7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압은 비접촉식 안압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근시성 굴절이상은 경도, 중등도, 고도 근시군 3그룹으로 나누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별에 의한 안압과 굴절이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근시성 대상안의 굴절이상도가 증가할수록 안압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경도 근시에 비해 중등도와 고도 근시에서 안압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젊은 나이에 발병할 수 있는 녹내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중장년층의 고도 근시에서 안압과 근시성 굴절이상도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바른 인식과 이해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대사증후군과 안압과의 상관관계

        이건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1 No.2

        Background: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high intraocular pressure (IOP), a well-known risk factor for glaucoma and especially primary open angle glaucoma, is associated with age, sex,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nd obesit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OP and metabolic syndrome (MS). Methods: We measured IOP and MS components according to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ith modified guideline for waist circumference. High IOP was defined as ≥21 mmHg in one or both eyes. Results: Looking at the components of MS in men, those with high blood pressure (BP) had significantly higher IOP. In regression analysis, fasting glucose, triglyceride, systolic BP and diastolic BP were positively, and ag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OP. In women, those with high fasting glucose and BP had significantly higher IOP. In regression analysis, diastolic BP, systolic BP, fasting glucose, body mass index and triglycerid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ft IOP while diastolic BP, fasting glucose and triglycerid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ight IOP.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ing odds ratios for high IOP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ponents of M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S and its component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OP. 연구배경: 많은 연구에서 높은 안압은 나이, 성별, 고혈압, 당뇨, 비만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들과 녹내장, 특히 원발성 개방 각 녹내장의 위험요인인 안압과의 연관성을 보기위해 시행한 연구이다. 방법: 2009년 5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일개 건강증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중 녹내장의 병력이나 현재 안과치료를 받고 있거나 만성 신질환, 고지혈증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자는 대상에서 제외한 9479명(남자 5659명, 여자 38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대사증후군은 2001년 개정된 National 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와 2005년의 American Heart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에 따라 5가지 항목 중 3가지 이상을 만족할 때 진단하였다. 안압은 21 mmHg 이상일 때 높은 안압으로 정의하였다. 대사증후군 및 구성요소와 안압의 연관성을 보기 위해 일반 선형모형, 회귀분석 및 경향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남성에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혈압의 대사증후군 기준을 만족하는 군의 안압이 유의하게 높았고, 회귀분석에서 공복혈당, 중성지방,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에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고, 나이는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여성에서는 공복혈당과 혈압의 대사증후군 기준을 만족하는 군의 안압이 유의하게 높았고, 회귀분석에서 좌측 안압은 이완기혈압, 수축기혈압, 공복혈당, 체질량 지수, 중성지방에서 양의 관련성을 보였고, 우측 안압은 이완기혈압, 공복혈당, 중성지방에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안압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고, 경향분석에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대사증후군과 그 구성요소들은 높은 안압과 연관성이 있다.

      • KCI등재

        안압상승의 위험인자로서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의 비교

        박상신,이은희,백도명,조성일 한국안광학회 2010 한국안광학회지 Vol.15 No.3

        Purpose: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mpare body mass index (BMI) with waist circumference (WC) as a predictor of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IOP). Method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458 adults, aged 20 year or above, of one community in Kyunggi-do. Mean IOPs were stratified jointly for BMI and WC tertile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used to compare between BMI and WC. Results: Although any BMI tertiles were not associated with IOP within each tertile of WC, WC tertile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levation of IOP within the third BMI tertile (≥24.9 kg/m2). After adjusting for age and sex, only WC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OP. In additional adjustment for lifestyle variables, both BMI and WC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levation of IOP.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e stronger association of IOP with WC than BMI, whether they were adjusted by age and sex or additionally lifestyle variables. Conclusions: These data showed that BMI and WC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OP. However, WC appeared to be a better indicator for higher IOP than BMI. 목적: 본 연구는 안압 상승의 예측인자로서의 비만 지표인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허리둘레 중 어 떤 지표가 예측인자로서 더 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20세 이상의 성인 458 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BMI를 삼분위로 층화한 후 허리둘레(삼분위)에 따른 안압을 비교하였으며, 다음 으로 허리둘레를 삼분위로 층화한 후 BMI(삼분위)에 따른 안압을 비교하였다. 또한, BMI, 허리둘레와 안압 간의 선 형회귀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허리둘레 층화 후 BMI에 따른 안압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BMI 24.9kg/m2 이상의 대상자들에게서는 허리둘레와 안압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과 연 령을 보정한 경우에는 허리둘레만이 안압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기에 생활변수까지 보정한 다중선형 회귀분석결과 BMI와 허리둘레는 모두 안압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허리둘레 증가가 안압 상승 에 대해서 보다 높은 설명력과 유의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BMI와 허리둘레 모두 안 압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허리둘레가 BMI보다 안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안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김현,이군자 대한시과학회 2013 대한시과학회지 Vol.15 No.3

        Purpose: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parameters that affect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d by non-contact tonometry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corneal refractive surgery. Methods: One hundred fifty four subjects (261 eyes) who underwent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or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 were participated. IOPs were measured with non-contact tonometer (KT-800, KOWA, JAPAN) and corneal curvature, corneal ablation amount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measurement were performed by using Orbscan topography (Orbscan Ⅱ, Busch + Lomb, US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IOP and the changes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corneal curvature drop and corrected diopter value were investigated statistically using SPSS 18.0 (SPSS Inc, Chicago, Illinois). Differences were considered significant when the P vale was less than 0.05. Results: The subjects who received corneal refractive surgery were in the mean age of 31.45±5.98 years and 83 patients (131 eyes) were in LASIK group and 71 patients (130 eyes) were in LASEK group. The Pre and post operative IOP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R=0.25, p<0.05 and R=0.133, p<0.05). The post-operative IOPs were decreased over the periods of operatio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refractive surgery (p=0.192). The postoperative IOP chang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ounts of corneal ablation (R=0.348, p<0.05) and corrected dipoters (R=0.334, p<0.05) and changes of the corneal curvature (R=0.355, p<0.05). The underestimated IOPs per 1μm ablation, 1 diopter correction and 1 diopter corneal curvature change were 0.031mmHg, 0.41mmHg and 0.637mmHg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OPs measured with non-contact tonometer after refractive surgery were decreased, and the amount of underestimated IOP was increased with corneal ablation amount. For the patients who have undergone LASIK or LASEK, we recommend that their falsely postoperative low IOP readings would result in delay in diagnosis of glaucoma. 목 적: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비접촉식 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고 측정안압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LASIK 또는 LASEK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154명(261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압은 비접촉식 안압계(KT-800, KOW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각막곡률, 각막지형도검사, 중심각막두께는 Orbscan(OrbscanⅡ, Bausch+Lomb,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술 후 안압 변화량과 중심각막두께 변화량, 각막곡률 변화량 및 교정굴절력과의 상관성은 SPSS ver. 18.0(SPSS Inc, Chicago, Illino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154명(261안)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1.45±5.98세이며 LASIK 수술군은 83명(131안), LASEK 수술군은 71명(130안)이었다. 수술 전 안압과 수술 후 안압은 중심각막두께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25, p<0.05, R=0.133, p<0.05). 굴절교정수술 후 안압은 수술 경과기간 동안 감소하였고(p<0.05), 굴절교정수술 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92). 수술 후 안압 변화량은 각막절삭량(R=0.348, p<0.05), 교정굴절력(R=0.334, p<0.05), 각막곡률 변화량(R=0.355, p<0.05)과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수술 후 측정된 안압은 각막절삭량 1μm를 기준으로 약 0.031mmHg, 굴절력 1 D 교정을 기준으로 약 0.41mmHg, 각막곡률 1 D 변화량을 기준으로 약 0.637mmHg 감소하였다. 결 론: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수술 전보다 감소하였고, 안압 감소량은 각막 절삭량이 많을수록 더 많아졌다. 따라서 LASIK 또는 LASEK 굴절교정 수술안의 경우에는 낮게 측정된 안압으로 녹내장의 조기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와 안압의 연관성

        박성균 ( Sung Kyun Park ),박대중 ( Dae Jung Park ),김지선 ( Ji Sun Kim ),구윤희 ( Yun Hee Koo ),이사라 ( Sa Ra Lee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1

        연구목적: 폐경 여성에 있어서 혈중 에스트라디올 (estradiol, E2) 농도와 안압 수치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2,462명의 폐경 여성들에게서 혈중 E2 농도의 측정과 함께 안압을 측정하였다. 혈중 E2 농도 측정은 방사면역측정법 (radioimmunoassay, RIA)을 이용하였으며 안압은 골드만 압평 안압계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양 표본 t-검정, 선형 회귀 분석, 일원배치 분산 분석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56.2±5.6세였다. 평균 E2의 농도는 13.4±12.9 pg/ml였고, 좌안압, 우안압, 그리고 양측 평균 안압의 평균치는 각각 13.1±2.6 mmHg, 13.0±2.4 mmHg, 그리고 13.0±2.6 mmHg로 확인되었다. 혈중 E2의 농도에 따라 환자를 2군 또는 4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각 군에 따른 평균 안압의 수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선형 회귀 분석 결과에서도 평균 안압과 나이, 그리고 평균 안압과 혈중 E2 농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폐경 여성에 있어 혈중 E2 농도와 안압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estradiol (E2) level and intraocular pressure (IOP)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0, serum concentration of estradiol and IOP were measured in 2,462 postmenopausal women. Serum concentration of estradiol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and IOP was measured using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tudent``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56.2±5.6 years. The mean E2 concentration was 13.4±12.9 pg/ml. The mean IOPs were 13.1±2.6 mmHg, 13.0±2.4 mmHg, and 13.0±2.6 mmHg for the left eyes, right eyes, and the average of both eyes, respectively. When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r 4 groups according to the E2 concentration, the IOP of each grou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On linear regression analysi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IOP and age or IOP and serum E2 concentra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no direct association between IOP and serum E2 concentr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 절삭량에 따른 안압 보정방법의 비교

        정희재,박창원,김효진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that would be underestimated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according to corneal ablation amounts, and was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corrected IOP method for each group. Methods : The subjects were 1,002 eyes of 501 people (237 men, 264 women) who underwent corneal refractive surgery. The mean age was 26.89±5.18 years. IOP was measured with a non-contact tonometer and 4 correction methods, and was used to correct the underestimated IOP. IOP in three groups with low, moderate and high myopia according to ablation amounts was analyzed postoperative corrected IOP to compare correction methods. Results : The preoperative IOP was 15.67±2.39 mmHg and postoperative IOP was 10.12±2.11 mmHg,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ean 5.55±2.09 mmHg. The postoperative IOP calculated by Ehlers' correction method was 14.53±2.47 mmHg, which was 1.14±2.83 mmHg different from the preoperative IOP, showing the most similar to preoperative IOP. In addition, the IOP corrected by the Ehlers equation showed the smallest difference from preoperative IOP in all groups. Conclusion : The Ehlers correction method is shown the most accurate among the four correction methods in low, moderate, and high myopia group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It would be a useful method for preventing the lat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laucoma. 목적 :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저평가되는 안압을 다양한 각막 절삭량에 따라 경도, 중등도, 고도 근시 군을 나누어 조사하고, 각 군별로 가장 적합한 수술 후의 안압 보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평균 연령 26.89±5.18세의 남녀 501명 1,002안(남자 237명, 여자 264명)을대상으로 하였다. 안압은 비접촉식 안압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수술 후 저평가된 안압을 보정하기 위해 Ehlers,Shah, Dresden, Orssengo/Pye의 보정방법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각막 절삭량에서의 안압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세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한 수술 전 안압은 15.67±2.39 mmHg이었고, 수술 후 안압은 10.12±2.11mmHg로 평균 5.55±2.09 mmHg 만큼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 Ehlers의 보정방법으로 산출된 수술 후의 안압은 14.53±2.47 mmHg로 수술 전 안압과 평균 1.14±2.83 mmHg 차이를 보여 네 가지 보정방법 중에서 수술전 안압 측정치와 가장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또한 각막 절삭량에 따라 나눈 경도, 중등도, 고도근시 각 군 모두에서 Ehlers 식으로 보정된 안압이 수술 전 안압과 차이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결론 : 굴절교정수술 후 고도근시를 포함한 다양한 근시군 모두에서 4가지 보정방법 중 Ehlers 보정법이 가장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는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저평가되는 안압의 실제 값을 산출하여 녹내장에 대한조기진단 및 치료시기가 늦어지는 것을 막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