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의 국제이주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용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9 민족연구 Vol.0 No.74

        연구는 한국의 국제이주연구에 관한 양적 분석보다는 학술논문이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담론과 학문적 제언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담론과 학문적 제언에주안점을 두고 새로운 개념, 이론, 학문적 접근, 분야, 분석, 주장 등을 제시했던학술논문을 선별해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논문은 국제이주연구의 동향을 분석한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구체적으로 국제이주연구의 동향분석은이론, 정책, 연계연구, 경향 등의 영역을 검토하며, 이를 토대로 국제이주연구의향후 과제를 영역별로 제시하고 있다. 국제이주이론연구에서 제시된 통합적, 학제간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을 지속하면서도, 기존 이론에 기초해 한국의 국제이주를분석하고 비교방법을 활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국제이주정책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책연구의 양적 성장과 기존 이론을 통한 국제이주정책에 관한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국제이주정책의 형성과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는 이주정책을 둘러싼 정치적분화와 경쟁이 촉발되면, 중요한 연구주제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국제이주의 연계연구는 ‘이주의 여성화’에 따른 젠더, 송출국과 수용국의 연계, 개발과 발전, ‘이주 산업’ 등으로 연구의 확장될 여지가 충분하다. 국제이주경향에 관한 연구의 발전을위해서는 역사적 자료의 축적, 비교분석, 유형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international migration studies and mak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in Korea. It examines selected academic articles that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in the near future and focuses on the analysis of academic discourses and arguments in the articles.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review of articles in relation to the theories, policies, related studies and trends of international migration in Korea and proposes several comments on the international migration studies. It presents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a need for more analysis of immigration to Korea on the basis of established theories such as economic theories, social network and immigration system with the pursuit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comparative analysis. Second, the international migration studies in Korea require to focus on formation and decision making of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ies and to increase of the quantity in research on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ies. Third, the related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need to extend the range of subjects like linkages between sending and receiving countries and migration industry in addition to gender and development. Fourth, the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trends demand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data, comparative research and typology.

      • KCI등재

        국제지역연구로서 중국학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

        이규태 한국중국문화학회 2016 中國學論叢 Vol.0 No.49

        In general,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tegrates all the issues including culture, history, politics, and society, focusing on a certain international area like China. Therefore, this study requires comprehensive analysis capability for wide fields such as culture, history, politics, economy etc. about a certain area. Accordingly, when compared to study methodologies requested by single academic category like existing politics, economics, cultural studies, historical studies etc., it would be natural that this requires more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thinking. But limitation of study method in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cluding sinology has alway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he study realm - related scholars mainly quoted methodology of existing academic studies because independent study methodology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is still poor. Due to such limitation of methodology, scholars with critical view in the nations where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cluding sinology are comparatively active have discussed problems of their academic study, and suggested main issue of limitation as an independent academic studies. In Korea, International area study actively started after middle 1990s, so it can be said that study on its study methodology just actively started. In the body, the author analyzed problems of study methodology in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cluding sinology discussed until now. Based on its results, the study intended to discuss possibility of study methodology which can overcome issue of study methodology under going and can bring more objective study results, considering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aspects of international area study.

      • KCI등재

        전근대시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평화

        민병희(Min, Byoung-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49 No.-

        현재 평화 연구가 마주친 다양한 도전과 과제를 생각해 볼 때, 전근대 동아시아에서의 평화라는 주제는 중요하고도 흥미로운 화두를 던져주고 있다. 중국의 부상으로 맞이하게 될 새로운 세계질서의 재편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국제관계학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왔던 근현대시기 위주로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고찰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근대 이전 중국이 주도하였던 동아시아 세계질서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최근 많은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서구의 국제관계학 분야에서는 역사적 자료를 활용하여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 전근대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질서의 패턴에 대한 분석과 이론화를 시도하는 연구들이 출간되어 다양한 관심을 끌고 있다. 이들 국제관계학 연구의 역사적 데이터를 사용한 분석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전근대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와 평화의 문제를 살펴보는데 있어, 일국을 넘어선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장기간에 걸친 패턴과 동향을 보여줌으로써 공헌하고 있다. 그러나 역사학의 시각에서 볼 때 이들 연구에는 문제점들도 상당히 노정되어 있다.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대한 최근의 국제관계학 연구들은 이렇듯 양면에서 모두 평화에 대한 다학제적, 융복합적 접근이 마주한 도전과 과제의 이해를 위한 중요 문제의 지점들을 잘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미국 학계에서 출간되어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킨 전근대시기(각각 명대, 송대와 명대, 명대와 청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대한 세 권의 단행본을 선택하여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이들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평화 연구의 도전과 과제를 고찰하였다. The issu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and peace of the premodern East Asia shed a fresh light on peace studies which faces diverse problems and challenges. The rise of China in recent years has provoked interests and concerns on the re-organized world order in which the USA and China play a crucial role as the superpowers. Realizing the limi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East Asia which have mainly focused on the modern periods, many scholars start paying attention to the cases in the premodern East Asia in which China was the major actor. This paper analyzes three current studies on premodern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in the field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 studies which explore the international order and the issues of war and peace discretely in the Ming dynasty, the Song and Ming dynasties, and the Ming and Qing dynasties using historical data. These studies stimulate historical studies on the same topic in that they show the patterns and trends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East Asia in the long term periods of time from transnational perspectives. However, these studies also reveal serious problems, especially when dealing with abstract and ideational subjects. This paper criticizes their problems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 studies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to enhance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peace studies.

      • KCI등재

        Advanced Education in North Korean Stud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s and International Studies

        Richard W. Shannon(리챠드 W. 새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6

        What is the current state of North Korean studies across the Asia-Pacific region? This study surveys the broad landscape and relevant contexts across the region, including the role of North Korean studies within Korean studies. Korean and North Korean studies programs i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rest of the Asia-Pacific region (including China, Japan, Southeast Asia, Australasia and India) are briefly examined. Second, based on the example of North Korean studies in the Asia Pacific, including local experiences, the project investigates what lessons can be learned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fields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Third, within international studies, the paper considers whether (applied)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North Korean studies (an interesting integration of the “global” and the “local”) may help to generate more productive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the field, and to making a real difference in the intense problems that North Korea represents. The study also presents selected responses to North Korean studies across the Asia Pacific, including a case study of a graduate class offered to mostly foreigners in South Korea, to examine whether involving internationals in the field can make much of a difference. Another response studied is typical reactions of Koreans and non-Koreans to North Korean studies. A third type of reaction is responses to questions on educating internationals about North Korea. The study concludes that applied anthropological approaches in North Korean studies can provide more fruitful avenues for integrative reflection about global and local issues in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and for positive activism for students concerning North Korean studies and problems in the Asia-Pacific region.

      • KCI등재

        글로벌 한국학 과정 설계 - D대학교 유학생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박소연 ( Park Soyeon ),최은경 ( Choi Eun-kyung ),최윤곤 ( Choi Yun-g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효과적인 수업 관리와 유학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학 과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국내 대학에 외국인 유학생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내의 학령인구 감소 및 대학 평가에서의 국제화 지수 반영 등으로 인해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대학이 계속 당면하게 될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한국 대학은 외국인 유학생 선발에 있어서는 매우 적극적인 데 반해 이 학생들의 입학 후 수학 능력이나 졸업 후 진로 고민에 대한 정책 마련은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D대학의 사례와 국내 주요 대학에 개설된 한국학 과정을 분석하여 글로벌 한국학 과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D대학의 경우 한 해 1,000명이 넘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부 과정을 수강하고 있으나, 이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한국어 교과목 및 한국 관련 교과목은 약 20학점에 불과하다. 실제 이러한 수업만으로는 전공과목을 수강하는 것에 무리가 있으며 이로 인해 생겨나는 문제점들은 대학 구성원(교수, 한국학생,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많은 부담을 주고 있다. 실제 국내에 한국학 과정이 개설된 학부는 단 8곳에 불과하다. 이 학교들을 여러 기준으로 나누어 볼 경우 첫째, 한국어교육과 한국학을 기반으로 하는 학과와 한국학만을 기반으로 하는 학과로 나눌 수 있다. 둘째, 입학 대상으로 나누면 한국인과 외국인을 같이 선발하는 학교와 외국인 유학생만을 선발하는 학교로 나눌 수 있는데 외국인 전용으로 개설된 학교는 단 4곳뿐이었다. 셋째, 졸업 요건의 학점을 기준으로 전공 지위를 살펴보았다. 단일학과로서의 지위와 복수 전공으로서의 지위를 가진 학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외국인 전용 전공은 복수 전공으로서의 지위를 가진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에서 유학하는 외국인 유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글로벌 한국학 과정’을 제안하였다. 1단계는 ‘교양 한국어 및 한국문화 과정’으로 여러 전공 학생들의 한국에 대한 이해와 전공 전 한국어 실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 강의를 설계하였다. 2단계는 ‘전공 공통 과정’으로 글로벌 한국학의 기본 교과목을 수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 3단계는 ‘전공 기초 과정과 전문 과정’으로 설정하여 ‘한국어교육, 한국어통번역, 한국문화’ 중 1개 이상의 전공을 이수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글로벌 한국학 과정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실력 향상, 전공 강의 수강 전 학부 강의 적응,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갖춘 각 분야별 전문가 양성이라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Korean studies course so as to improve effective class manag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Currently, the percentage of foreign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is increasing, and the universities have to keep trying to attract the students due to the decline in the schooling population in Korea and the globalization index reflected in the university evaluation. While they are usually very active in recruiting international students, their policies on the students' post-admission scholastic ability and post-graduation plans are very insufficient.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we tried to design a global Korean Studies course by analyzing the cases of D University and the Korean studies programs that are opened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D University has more than 1,000 foreign students attending undergraduate courses each year, but only about 20 credits for Korean language courses and classes related to Korea are available. Indeed, these classes alone are not enough for them to be prepared for major courses,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is are weighing heavily on university members (professors, Korean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There are only eight undergraduate schools with Korean studies courses in Korea. These schools can be classified by three criteria. First, they can be divided into schools offering Korean studies course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and Korean studies course only. Secondly, they can be divided into schools for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together, and foreigners only. Only four schools are open exclusively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ird, the status of Korean studies major at each universities can be examined on the grades of graduation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y can be divided into departments which have the status of a single major and that of a double major only. In many cases, a department dedicated to foreigners has a status as a double major.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Global Korean Studies Cour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In the first stage, 'The Korean Language & Culture Program for the Liberal Arts', Korean and Korean culture classes are designed to enhance international students' understanding of Korea.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Stage 2, 'The Common Major Program' enables the students of various majors to take basic curriculum in global Korean studies. In Stage 3 set as ‘Basic Major Course and Professional Program’, stud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one or more major clas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translation & interpretation, and Korean culture. This global Korean Studies course will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skills of foreign students and adaptation of undergraduate courses before major courses, and training experts in each field with an overall understanding of Korea.

      • KCI등재

        Strategies for Technology Innovation through International Standards in SMEs

        Jae-Young Kim(김재영),Jae-Woong Choi(최재웅),Byoung-Ho Jun(전병호)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6 전자무역연구 Vol.14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중소기업이 국제표준에 참여한 사례를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활용전략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국제표준에 직접 참여한 국내외 중소기업의 사례분석을 통해 국제표준 활용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략적 제휴의 활용과 정보의 획득 등 국제표준을 통한 기술혁신 활용전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전체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며, 두 번째 장에서는 국제표준 및 글로벌 강소기업들의 특성에 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았다. 세 번째 장에서는 국내외 국제표준 획득 사례 분석을, 네 번째 장에서는 국제표준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성과를 분석하고, 마지막 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 및 국제표준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전략에 대한 정책적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중소기업에 있어서 상당한 수준의 시간과 노력이 투입될 수밖에 없는 국제표준화에 대한 관심이 성과를 창출할 수 있으며,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이라 할지라도, 역량을 갖춘 전문가가 있다면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한산업 분야의 표준화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 충분히 기술력과 외교력을 발휘할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독창성/가치: 기술혁신전략에 대한 기존 연구는 중소기업의 경영 양상에 대한 분석에 집중되어 글로벌 경영 환경에서 국제표준의 활용의 장점을 간과하였다. 하지만, 국제표준 및 국제인증 시스템을 활용하여 제품의 질적 수준 및 고객들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형성하는데 주요 요인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사례분석을 통해 밝혔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activation strategies for technology innovation in SMEs through a case study on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case study indicates that utilizing international standards in SMEs can enhance global market competitiveness. The activation strategies for technology innovation in SMEs include strategic alliance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by participating in a standards network. Composition/Logic: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explains the study’s background and purpose. The second chapter analyzes prior studies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global, and hidden champions.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internal and external case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in SMEs. The fourth chapter examines international standards’ effects on SMEs. Finally, the fifth chapter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echnology innovation strategies through international standards. Findings: This study’s results demonstrate that SMEs can obtain various benefits from using international standards. Well-competed experts especially play significant roles in globalized competitive standardization. Although SMEs have several drawbacks compared to larger companies, they can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effectiv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iginality/Value: Previous studies of technology innovation strategies have focused on SMEs’ general management aspects and neglected international standards’ use in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this study has originality and value in that it indicates that using international standards can provide SMEs with several benefits, such as improving product quality, enhancing customer reliability, and developing global partnerships.

      • KCI등재

        19세기 말 프랑스 동양학자들의 불교 연구 동향 고찰 - “국제 동양학자 학술회의”를 중심으로 -

        장정아 ( Jang Jung-a ),윤애선 ( Yoon Ae-s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8

        ‘근대 서구 문헌학’이자 ‘근대 서구 동양학’으로서 출발한 ‘근대 서구 불교학’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모든 불교학의 시초로서 그 속에는 서구 오리엔탈리즘의 시선과 한계가 내포되어있다. 따라서 불교학 자체의 고찰에 있어서는 문헌학이자 동양학으로서의 불교학에 대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고는 불교 연구 자체에 대한 고찰의 하나로, 근대 서구 불교학의 중심 역할을 한 프랑스의 동양학자들, 그들의 불교 연구 동향을 19세기 말 “국제 동양학자 학술회의”라고 하는 동양학회의 문헌연구 결과에 한정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즉, 위 학술회의가 파리에서 처음 개최된 1873년부터 19세기 말에 열린 11회 학술회의까지 해당 학회에 참석한 동양학자들의 불교 연구 발표문을 개괄함으로써, 당대 서구 동양학자들의 불교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특히 프랑스 동양학자들의 발표문을 자세히 읽음으로써, 당대 서구 속 프랑스의 동양학과 불교학의 문헌학적 특징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 그 의의를 생각하는 것이 본고의 방향이자 내용이다. 본고의 고찰 대상인 “국제 동양학자 학술회의”의 국제학회로서의 성격이 동양학과 불교학에 있어서 서구 내 프랑스의 좌표를 가늠하게 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본고의 고찰이 19세기 말로 한정되는 이유는 19세기 말에 프랑스 동양학의 일부로 태동하게 되는 프랑스 한국학의 좌표 설정을 준비하는 것이 본고의 또 다른 목표인 데 있다. This study's object is to read the Buddhist Studies of the french orientalists in the late 19th century. We especially try to reveal the Buddhist Studies in the ‘Congrès international des orientalistes / Internaional Congress of Orientalists’. The Buddhist Studies of the modern western society is the Oriental Studies of the modern western society and the modern western philology. Therefore there is the orientalist and imperialistic viewpoint in the original Buddhist Studies. It is therefore important that we have the consciousness of the western angle and its representations in the western Buddhist Studies. But we have the consciousness of the virtue of the text analysis in the western and modern Buddhist Studies, which is revealed as regards the french Buddhist Studies in this paper.

      • KCI등재

        한국 국제정치학에 있어 안보연구의 경향 평가와 전망: 1963-2000년간 『국제정치논총』에 게재된 관련 논문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박영준 고려대학교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017 평화연구 Vol.19 No.1

        The study of national security has been a centerpiece of international studies. This paper tries to overview the Korean security studies which have been appeared its annually published journals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in the later 1950s. During the Cold War period, Korean security studies had emphasized possible threats from North Korea as well as surrounding super powers rivalry. To respond to it, Korean theorists of security studies who were strongly influenced by realist approach proposed multiple tools for national security such as a formation of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forging the collective security organization of anti-communist countries in the region, and self-strengthening of military powers. It should be noted that some theorists suggested a more liberal approach such as the concept of ‘security for mutual benefit’ or a policy of ‘expanding diplomacy toward communist countries’ prior to the non-traditional security concepts which became prevalent after the demise of the Cold War system among Western scholars. With the advent of Post-Cold War Period, Korean security studies began to suggest more liberal approach of security studies implementing the concept of ‘common security’ or ‘cooperative security’ to the real diplomatic sphere. Based upon these security studies, Korean government could actively propose multilateral security framework in the region and published its national security strategy reflecting the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Foreseeing more conflicting security environments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Korean security studies should focus on formation of its own security theory based on indigenous historical experience. 국가안보란 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생명에 대해 가해지는 위협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배제하기 위해, 군사, 정치, 외교, 경제적 수단들을 강구하려는 국가의 정책적 노력을 가리킨다. 무정부 상태를 방불케 하는 국제정치의 세계에서 국가안보는 국가의 우선적인 정책목표가 되어 왔다. 따라서 국제정치학의 영역에서도 국가안보연구는 중심적인 위치를 점해 왔다. 이 글은 『국제정치논총』을 중심으로 지난 60여 년간 한국 국제정치학자들이 국가안보에 대해 발언해온 담론들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냉전기 한국의 연구자들은 주로 현실주의적 시각에 입각하여, 북한의 군사적 위협과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 간의 세력관계를 주요 위협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동맹의 체결, 집단안보기구의 형성, 그리고 자주국방 정책을 통한 국력 강화 방안 등을 정책수단으로 제안해 왔다. 적대국과의 공존을 추구하는 ‘호혜적 안보’ 나, 군사안보 이외에 국제법이나 국제기구를 활용한 포괄적 안보개념이 선구적으로 제안되기도 하였다. 탈냉전기 이후 한국 연구자들은 서구에서 유래된 ‘공동안보’ 및 ‘협력안보’의 개념을 적극 수용하여, 북한과의 공존적 관계 구축, 그리고 동북아 역내에서의 ‘다자간 안보협의체’ 구축 등의 정책방침을 제안하였다. 이 같은 연구자들의 국가안보연구는 21세기 들어 노무현 정부나 이명박 정부의 『국가안보전략서』에 반영되는 성과도 나타났다. 그러나 국가안보에 관한 이론적 자산을 주로 서구에서 유래된 개념들에 의존하거나, 한국 국가안보정책 전개에 대한 실증적 고찰이 부족한 점은 한국 안보연구의 한계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불확실성을 더해가는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정세를 타개해 나가기 위해서라도, 한국의 국가안보연구가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해 가려는 노력들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국제결혼 한국남성들의 결혼해체 경험 연구

        채순옥,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5

        This study is phenomenological research about the damage experience from marital dissolution of Korean 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 but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experience of marital dissolution of Korean men vividly and clearly in the position of Korean men who selected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is, this study had in-depth interviews with 13 Korean 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 motive of international marriage, psychological phenomenon for dissolution process of marriage, and their lives after dissolution of marri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the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he Korean men who experienced marital dissolution after international marriage first selected international marriage with desperate hope for a happy family unlike the existing results that Korean men selected international marriage for instrumental purpose. But they experienced marital dissolution due to the reasons of wife's elopement, extramarital affair and the return to their countries with no entry to Korea. And due to marital dissolution, the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complex negative feelings and physical symptoms such as a sense of loss, despair, powerlessness, shame, fear, resentment, guilty. In particular, 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had the characteristics of strong depression and anger experiences about their country, society, the press and international matchmaking agencies in the process of dissolution of marriage. This study revealed that not only immigrant women but also Korean 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can be victims.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Korean 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experienced pains for marriage dissolution and wills for recovery simultaneously after dissolution of marriage. Based on there results, we suggested discussion and suggestion for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국제결혼 한국남성들의 결혼해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지금까지 국제결혼 관련 선행연구들은 결혼 이주여성의 입장에서 이루어진 것이 많았으나, 본 연구는 국제결혼 한국남성들의 결혼해체 경험을 남성의 입장에서 생생하고 명확하게 드러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한국남성 13명을 대상으로 국제결혼을 선택한 동기와 결혼해체과정에서의 심리적 현상, 결혼해체 후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이 이루어졌다. 심층 면담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국제결혼 후 결혼해체를 경험한 한국남성들의 결혼 동기는 국제결혼을 도구적인 목적으로 선택한다는 기존 연구결과와는 달리 일반적인 남성들과 동일하게 행복한 가정에 대한 간절한 소망을 가지고 국제결혼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아내의 가출, 외도, 본국으로의 귀국, 미 입국 등의 사유로 결혼이 해체되었고, 이로 인해 상실감, 절망감, 무력감, 수치심, 두려움, 원망감, 자책감 등의 매우 복합적인 부정적 감정과 신체적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제결혼 한국남성들은 결혼해체를 통해 국가와 사회, 언론과 결혼중개업체에 대한 강렬한 억울함과 분노감을 경험하는 것이 매우 특징적인 현상으로 드러났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결혼 이주여성만이 피해자가 아니라 국제결혼을 한 한국남성들 역시 피해자일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국제결혼 한국남성들은 결혼해체 이후에 결혼해체의 고통 속에서 시간이 경과하며 회복의 의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초 한국학 교육을 위한 문화 어휘 정보화 연구

        이수현,이선중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he Informatization of Cultural Vocabularyfor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Soohyun Lee & Sunjoong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and content of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 an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Korea and expertise as a Korean schola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of “basic Korean studies” and studies on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to set the direction in which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 should move, followed by selecting cultural vocabulary for Korean studies education. In this study, cultural vocabulary was selected as a proper noun, an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proper nouns were set to select vocabulary, a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form of Sejong Corpus were used to examine the trends of each category of proper nouns.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Korean studies education through examples of cultural vocabulary for each category. Finally, this study specified what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in the future by showing examples of cultural vocabulary informatization that should be done after selecting cultural vocabulary. Key Words: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 Cultural Vocabulary, Informatization, Corpus,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기초 한국학 교육을 위한 문화 어휘 정보화 연구이 수 현**ㆍ이 선 중*** 요약: 본고는 유학생의 한국 적응과 한국 유학파로서의 전문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인 ‘기초 한국학 교육’의 개념과 내용을 명시화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기초 한국학’과 ‘한국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기초 한국학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설정하였으며, 해당 방향성에 입각하여 한국학 교육을 위한 문화 어휘를 선정하였다. 문화 어휘는 고유명사를 예로 하여 선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우선 고유명사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이후에 세종 현대 문어 말뭉치의 형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빈도를 중심으로 고유명사 분류별 경향성을 살폈다. 분류별 문화 어휘들의 예를 통해 한국학 교육 내용으로서의 가치와 의의에 대해 논하였다. 문화 어휘를 선정한 이후에 이루어져야 할 문화 어휘 정보화를 위해 예시를 보임으로써 앞으로 ‘한국학 교육과정’이 개발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명시화하였다. 핵심어: 기초 한국학 교육, 문화 어휘, 정보화, 말뭉치, 유학생 교육 □ 접수일: 2022년 2월 20일, 수정일: 2022년 3월 1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본 논문은 ‘2021년 한글학회 대전지회 봄 정기학술대회(2021.6.5.)’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정보학협동과정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Yonsei Univ., Email: soohyun.lee@yonsei.ac.kr)*** 교신저자,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대학 초빙교수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Paichai Univ., Email: sunjlee@kakao.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