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민족주의 연구의 쟁점과 과제

        강진웅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9 민족연구 Vol.0 No.73

        이 글은 식민경험으로부터 다문화 한국에 이르는 근대성의 역사를 회고하며우리의 민족주의 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모색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민족주의는 식민경험, 한국전쟁과 국가건설, 분단체제와 권위주의 통치, 탈냉전 민주화와 남북 화해협력, 세계화와 다문화주의라는시대적 격변 속에서 다양한 얼굴을 드러내며 변화해 왔다. 이 글은 단일민족의신화와 현실,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민족사학과 근대주의, 민족 정체성과 탈민족주의 및 다문화주의로 이어진 민족 담론의 계보를 분석하면서 21세기 한국 민족주의연구의 쟁점과 과제를 성찰한다. 구체적으로 네이션/민족에 관한 동서양의 개념사적 간극과 한국적 예외론, 단일민족론, 분단체제와 종족적 민족주의, 민족주의와탈민족주의, 다문화 한국과 민족 정체성, 21세기 남북통일과 민족주의라는 논제를다루고 주요 쟁점들을 검토하여 향후 과제들을 제기한다. 이러한 분석과 성찰을통해 끊임없이 재구성되어 온 한국의 민족주의를 성찰하고 21세기의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는 민족주의 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모색해 본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issues and tasks in the studies of Korean nationalism through introspecting Korean modernity from colonial Korea to multicultural Korea. Korean nationalism has revealed its various faces with the historical changes of Japanses colonialism, the Korean War and state building, divided system and authoritarian rule, post-cold war democracy and south-nort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go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This article explores the genealogy of the discourse of nation/minjok regarding the myth and reality of a single-race nation,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nationalist historiography and modernism, national identity, post-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East-West conceptual gap of nation and minjok and Korean exceptionalism, theory of single-race nation, divided system and ethnic nationalism,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multicultural Korea and national identity, and the 21st inter-Korean national reunification. By doing so, it introspects Korean nationalism and offers a new perspective of the studies of the 21st Korean nationalism.

      • KCI등재후보

        동북의 조선족사회와 국내 지자체의 민족문화예술교육 협력

        임영상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3 민족연구 Vol.0 No.54

        오늘날 동북 조선족사회는 산재지구는 말할 것도 없이 집거지구인 연변주조차 절대다수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때문에 '도시사람' 조선족이 함께 만나 같은 민족임을 확인하고 민족의 전통문화예술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 프로그램이 중요해졌다. 그리고 이는 집거지구는 지역정부가, 산재지구는 조선족문화관이 주체가 되는 각종 명절행사와 민족문화제 혹은 계절축제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행사 때마다 빠질 수 없는 민족의 전통문화예술을 표현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육성하고 새로운 전통문화를 만들어가는 일이 조선족사회의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한민족의 전통문화예술인 만큼, 동북 조선족사회가 한국의 협력을 받는 것은 필요하면서도 중요한 일이다. 이런 점에서 심양시조선족문화예술관과 전남 진도의 소리가마예술단의 협력 사례는 다른 조선족문화관에서 참고할 만하다. 정기적으로 동북 조선족사회를 방문하여 재능기부를 할 수 있는, 전남 진도의 소리가마예술단과 같은, 문화예술단체가 다행히 한국사회에서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12년 목단강시의 경박호민속문화축제에 경남 창녕의 양산줄다리기보존회가 협력한 것도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는데, 문제는 소리가마예술단처럼 해마다 방문, 목단강시지구 조선족사회와 협력할 수 있느냐이다. 영안시의 유두문화제 또한 진도의 소리가마예술단, 창녕의 양산줄다리기보존회 등과 같은 문화예술단체와의 협력 맺기가 필요하다. 또한 광주시교육청과의 협력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재)광주문화재단과 동북 조선족사회의 교류, 협력사업은 조선족학교와 조선족문화관을 아우를 수 있는 사례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동북3성 조선족학교의 교장 및 교원 30명을 한국 광주로 초청해 문화예술교육연수를 실시하고, 한국의 교육연수단일행 13명이 심양시교육연구원을 방문하여 120명의 심양시조선족중소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사연수를 대상으로 2일간의 중국현지연수를 진행한 점이다. 여기에서 광주문화재단의 동북 조선족 사회와의 교류·협력사업의 지역적인 범위와 방식이 필자에게는 관심이다. 국내의 모든 지자체(특히 16개 광역시)가 동북 조선족사회의 민족문화예술교육에 반드시 협력해야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만, 국내의 지자체와 문화 재단(경우에 따라서는 문화원까지)이 동북3성(내몽골 포함)을 지역별로 나누어 조선족사회의 민족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두 주체, 조선족학교와 조선족문화관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류와 연구사업을 수립하고 제도화해야 할 시점이기 때문이다. 특히 문화사업에서 문화산업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조선족문화관의 경우, 한국사회와의 협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물론 한국사회의 협력은 단순한 전통예술교육 연수에 그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중국정부의 예산을 받아낼 수 있느 ㄴ조선족문화관마다 특색을 갖춘 콘텐츠22)를 개발해야하는 데에도 한국의 전문가집단이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길림성 유하현 경기촌 사람들에 대한 조사와 연구에 집중해온 경기문화재단의 경우, 경기도 교육청이 동북 조선족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교류와 지원사업에 나서고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경기촌 사람들의 삶을 기록하는 일도 마무리할 필요가 있고 조선족사회의 문화중심인 연변(용정)의 문화관과의 협력도 시도 ...

      • KCI등재후보

        한국의 국제이주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용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9 민족연구 Vol.0 No.74

        연구는 한국의 국제이주연구에 관한 양적 분석보다는 학술논문이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담론과 학문적 제언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담론과 학문적 제언에주안점을 두고 새로운 개념, 이론, 학문적 접근, 분야, 분석, 주장 등을 제시했던학술논문을 선별해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논문은 국제이주연구의 동향을 분석한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구체적으로 국제이주연구의 동향분석은이론, 정책, 연계연구, 경향 등의 영역을 검토하며, 이를 토대로 국제이주연구의향후 과제를 영역별로 제시하고 있다. 국제이주이론연구에서 제시된 통합적, 학제간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을 지속하면서도, 기존 이론에 기초해 한국의 국제이주를분석하고 비교방법을 활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국제이주정책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책연구의 양적 성장과 기존 이론을 통한 국제이주정책에 관한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국제이주정책의 형성과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는 이주정책을 둘러싼 정치적분화와 경쟁이 촉발되면, 중요한 연구주제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국제이주의 연계연구는 ‘이주의 여성화’에 따른 젠더, 송출국과 수용국의 연계, 개발과 발전, ‘이주 산업’ 등으로 연구의 확장될 여지가 충분하다. 국제이주경향에 관한 연구의 발전을위해서는 역사적 자료의 축적, 비교분석, 유형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international migration studies and mak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in Korea. It examines selected academic articles that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in the near future and focuses on the analysis of academic discourses and arguments in the articles.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review of articles in relation to the theories, policies, related studies and trends of international migration in Korea and proposes several comments on the international migration studies. It presents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a need for more analysis of immigration to Korea on the basis of established theories such as economic theories, social network and immigration system with the pursuit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comparative analysis. Second, the international migration studies in Korea require to focus on formation and decision making of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ies and to increase of the quantity in research on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ies. Third, the related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need to extend the range of subjects like linkages between sending and receiving countries and migration industry in addition to gender and development. Fourth, the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trends demand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data, comparative research and typology.

      • KCI등재

        독일의 통일담론에서 ‘민족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긴장? : 한반도 통일론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노현종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2 민족연구 Vol.- No.79

        This research examined the tension between “Nationalism” and “Cosmopolitanism” within German unification discourse. The German case shows that social and democratic development can propel people to overcome the national division. However, at the same time, it can weaken the national unification discourse. Besides, this study reveals that West Germany achieved peace via inter-German exchange and cooperation by balancing the tension between “one nation” and “two states” while discarding East Germany’s “Two Nation-Two states.” The final chapter explores the possible conflict between “Nationalism” and “Cosmopolitanism” in Korean national unification discours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maintaining the “one nation, one state” principle by allowing compromise in detailed policy seems more appropriate than accepting the “2 states” principle. 본 연구는 독일의 통일담론에서 ‘민족’과 탈민족적 ‘세계시민주의’ 사이의 긴장을 조명하였다. 독일 진보진영 내의 이견(異見)은 사회발전과 성숙한 민주주의가 시민들 로 하여금 냉엄한 분단질서를 극복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도 있지만 동시에 민족주 의에 기반한 통일담론과 충돌하여 오히려 이를 약화시킬 수도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본 논문은 동독의 ‘2 민족 2 국가’론에 대응하여 서독이 ‘1 민족’을 고수하며 ‘2 국가’의 현실 속에서 독일관계를 평화적으로 발전시켜 나갔다는 점을 다루었다. 마지막 장에서는 대한민국의 통일담론에서 ‘민족’과 ‘세계시민주의’의 갈등 양상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학계 일각의 주장처럼 ‘2 국가’로 성급하게 전환하기 보다는 ‘1 민족 1 국가’를 유지하되 그 각론을 유연하게 변경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어느 난민 가족의 한국살이 : ‘권리를 가질 권리’로서 성원의 자격에 대하여

        이용승,이은정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2 민족연구 Vol.- No.79

        Are domestic settled refugees eligible to become members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wa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looking into the Korean life of a refugee family who is ‘already’ a refugee but is ‘not yet’ refugee, and pondering about the qualification for membership based on this. The paper focused on ‘membership,’ the right as a community member, as a way to overcome academic inertia that exhibits the difficulties faced by refugees in Korea and suggest what policies are needed to solve these difficulties. Hannah Arendt once referred to the “right to have rights” as a right to belong to a political community. This article reflected on the qualification to become a community member by taking a refugee family which is the most difficult to become member in Korean society as an example. The sub-components of membership were divided into legal status, community familiarity, social connectedness, and rights, and the qualifications for membership in each area were examined.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as soon as migrants, including refugees, enter the territory of the community, they reach the place which to make their actions and opinions meaningful, and begin their journey as members. 국내 정착 난민은 한국 사회의 성원이 될 자격이 있는가? 이 연구는 ‘이미’ 난민이지만 ‘아직’ 난민은 아닌 어느 가족의 한국살이를 들여다보고, 이를 근거로 ‘성원의 자격’에 대해 고민해 볼 목적에 따라 기획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에서 난민이 처한 어려움을 전시하고, 이러한 곤경을 해소하기 위해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를 설파하는 학술적 관성을 넘어서기 위한 방안으로서 공동체 성원으로서의 권리인 ‘성원권’(membership)에 주목하였다. 한나 아렌트는 정치 공동체에 속할 자격으로서 ‘권리를 가질 권리’를 주장한 바 있다. 이 글은 한국 사회에서 가장 성원이 되기 어려운 난민 가족을 사례로 공동체 성원이 될 수 있는 자격을 사유하였다. 성원됨의 하위 구성 요소를 지위, 공동체 친숙도, 사회적 연결, 권리로 나누고 각 영역에서 성원됨의 자격을 살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난민을 포함한 이주민은 공동체의 영토에 들어서는 순간 거주하고, 행위와 의견을 의미 있게 해줄 장소에 도달한 것이며, 성원으로서의 여정을 시작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정치-경제 연계 모델로 본 대만의 코로나19 대응 연구

        김태완 ( Kim Taewan )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0 민족연구 Vol.0 No.76

        본 연구는 전대미문의 COVID-19에 대한 지구촌의 분투 속에, 상대적으로 낮은 치사율과 감염사례를 기록하고 있는 대만의 사례를 본인의 정치-경제 연계 모델을 통해 분석한다. COVID-19 사태에 앞서 발생한 홍콩사태와 2020년 1월의 총통 선거과정에서 중국을 위협으로 인식하는 국민적 공감대 확산으로 인해, 탈중친미 및 신남향 정책을 강하게 추진해온 차이잉원(蔡英文) 정부가 초기에 중국을 포함한 대외봉쇄를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한국과 대부분의 선진민주국가들은, 국가경제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데 무게를 둠으로 대만만큼 과감한 봉쇄정책을 취할 수 없었다. 경제적 손실에 예민할 수밖에 없는 선진민주주의 국가들은, 한국의 대처를 더 공감하면서 자국에 적용가능한 모범사례로 꼽고 있다. 대만의 사례는 한국보다 더 좋은 결과를 이어가고 있지만, 대부분의 선진민주주의 국가들이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대만의 국내외적 특수 상황에 의한 독특한 경우로 분석된다. This research scrutinizes Taiwan’s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Compared to other major countries, Taiwan has been achieving very successful results including having the fewest number of infected people and the lowest fatality rate. This success results in the people’s strong support of the Taiwan government’s leadership and its bold decision to blockade all entry of foreign individual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COVID-19. Using the politico-economic linkage model, this paper shows that Taiwan has effectively utilized its domestic public opinion on China’s threat and the deepening of US-China conflicts. In the Taiwanese eye, the 2019 Hong Kong incident proves that Beijing’s ‘one-country-two-system’ is a mere political propaganda and lacks substance. The Tsai regime’s New Southbound Policy (NSP) and the US-China conflicts provide an easier environment to choose a decisive blockade policy.

      • KCI등재후보

        필리핀 코피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승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6 민족연구 Vol.0 No.65

        Research on Kopino has been rearly conducted. Even when kopino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media highlighted and strengthened the typical passive and powerless images of the women and children in the Philippine. For a broad understanding of oth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nal mechanism which is making the limited perspectives. Therefore this is about ‘Who am I overlooking Kopino’ rather than ‘Kopino, who they are’. The presence of Kopino could be possible under the Korean society sufferance about what Korean males have done outside Korea border. The presence of the sudden emergence Kopino and their mother to claim child rearing expenses could be a very strange landscape in South Korea. However the perspective on them is only to be consumed as the images of passive victim through the media representation which stresses their “patheticalness” and “helplessness”. It also presents them as a woman living without man in the patriarchal society. On the other hand, some of Kopino support NGO shows them with objectification as a mission field. Kopino issue could be one of the steps to build a method of Asia which allows Asia as one of the references. This is a challenge for Asia countries to resolve emotional conflicts between inter-Asian countries. With resolving the nod of conflicts and expanding emotional intimacy, introspective attitude would bring new aaffect among Asian countries. 코피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게 이루어졌다. 한국사회에 코피노들이 미디어를통해 소개 될 때에도 특정 이미지가 부각되어 타국의 여성과 아동의 수동적 모습을강화하였다. 타자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서는 이러한 수동적으로 그려지는 코피노와 그들의 어머니에 대한 제한된 시각을 벗어나야 하고 그러기 위하여 이들을바라보는 한국사회 내부의 메커니즘을 돌아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이논문에서는 ‘코피노 그들이 누구인가’가 아닌 ‘코피노를 바라보는 나는 누구인가’에관한 성찰적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코피노의 존재는 한국사회 남성이 대한민국이라는 지리적 영역 바깥에서 행한일을 국가 내부적으로 묵인함으로 가능했다. 양육비 청구를 위해 갑작스러운 등장한코피노와 그들의 어머니의 존재는 한국사회에 매우 낯선 풍경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들을 바라보는 시각은 수동적이고 피해자적 이미지의 재현을 통하여“불쌍”하고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소비될 뿐이다. 이것은 그들을 드러내는 방식에있어서 가부장적 사회 분위기 속에서 남성이 부재한 여성에 대한 미디어의 재현과그들을 선교의 대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대상화 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피노 이슈는 아시아가 아시아를 하나의 참조체계로 놓고 방법으로서의 아시아를구상해 가기 위한 하나의 단계일 수 있다. 이는 아시아 국가 간의 정서적 화해를위해 반드시 돌아봐야 하는 과제이다. 서구 사회가 아니라 아시아 국가가 서로매듭을 풀어가고 유대의 확장을 이루어 가기 위해서 방법으로서의 아시아가 개념적 논의를 꾸준히 지속해야 하는 것과 같이 한국의 성찰적 발걸음이 아시아 국가 간에 새로운 정동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디지털 기억공간에서 민족주의가 발현되는 방식에 대한 연구 - 한중일 네티즌의 갈등사례와 정체성을 중심으로

        류석진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0 민족연구 Vol.0 No.75

        이 논문의 목적은 민족주의가 디지털 기억공간에서 어떻게 발현되고 있으며, 현실 민족주의와 어떠한 차별적 속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디지털기억공간에서 나타나는 한·중·일 네티즌들의 갈등 유형과 전개 양태를 경험적인자료를 통해 제시하고 이에 기초한 분석과 해석을 통하여 민족주의와 관련한 한중일 네티즌의 특징과 정체성 모색을 위한 시론을 제시한다. 민족주의가 디지털 기억공간에서 발현되는 방식의 특징은 1) 네트워크를 배경으로 담론의 응집정도와 확산속도가 크고 빠르다. 2) 갈등분야는 영토, 역사, 사회·문화이다. 역사는 영토와 중첩되어 각국의 기념일을 기점으로 역사교과서, 과거사 책임 등의 문제로 발현된다. 사회·문화 분야에서는 혐한, 혐일, 혐중 등 상대국에 대한 감정적 혐오와 배외주의가 다수를 이룬다. 민족주의가 디지털 기억공간에서 발현될 때의 특징은 다음 세차원에서 탐구될 수 있다. 구성적인 동시에 적대적 상호의존 관계 속에서 정제되지않은 언어가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유통된다. 전통적 주체와는 달리 특정한 집단으로 호명할 수 없는 네티즌의 등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행동 양식은 전통적인 사회운동 혹은 집단행동의 논리와는 차별적인, 경로를 파악하기 힘든 감염병적특성을 보이기에 이에 대응하기도 매우 어렵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dentify how the nationalism is manifested in digital memory space with the case study of conflicts among Northeast Asian (Korea/China/Japan) Netizens. The distinct features of nationalism as is manifested in digital memory space are, 1) because of the network characteristics, the condensation and diffusion of the (dis)information and discourse are very rapid and wide; 2) the area of conflicts covers the issues of territory, history, and society/culture; 3) the emotional hatred and jingoistic languages against each other are used in digital memory space. In order to determine the identities of netizens and to explore the consequences of these conflicts happening in digital memory space upon the real political/social/economic world, four aspect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1) who are the netizens involved in these conflicts; 2) how do they behave as a collectivity and communicate; 3) what are the proper relationship with the real world nationalism; and 4) how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can and should respond to these viral mobilization in order to achieve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 KCI등재후보

        다문화주의 개념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19세기 고소설 <三韓拾遺>를 통해서-

        최원오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1 민족연구 Vol.0 No.46

        Multiculturalism is a concept in multicultural society that focuses on dealing with the "differences" or "distinctions" of immigrant culture. The author proposes that there is a need to extend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for use as a narrative analysis tool, rather than limiting it to discussions of multicultural society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a society or nation is actually multicultural, it will still face issues of dealing with internal differences/distinctions. But there is a danger that multiculturalism, by focusing on things immigrant. may oversimplify internal issues. In order to avoid this dange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iachronic understanding of a given nation or society. Literary works aim to give readers time to reflect on such issues, so contemplating the issues of differences/distinctions that are depicted in Literary works will extend and deepen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This will also contribute greatly to the task of theorization of this idea. This paper examines this possibility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classical novel Samhanseubyu. 다문화주의는 다문화사회에서 부각된, 이주자(이주자문화)에 대한 '차이/차별' 의 처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개념이다. 그런데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여부와는 상관없이 한 민족이나 국가는 내부의 '차이/차별'에 대한 처리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주의는 이주자의 그것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한 민족/국가 내부의 문제를 단순화시켜 버릴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차이/차별'에 대한, 한 국가내지는 사회의 통시적 인식에 착목할 필요가 있다. 문학작품은 사람들에게 그러한 문제를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문학작품 속에 그려진 '차이/차별'의 문제를 고찰하는 것은 결국 인문학적 관점에서 다문화주의를 반성적으로 고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러자면 '다문화'의 '문화'를 한 민족/국가 내부의 다양한 문화까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써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전제한다. 이를 통해 필자는 다문화주의를 다문화사회를 분석하는 사회학적 개념으로써 제한하기보다는 서사분석과 같은 인문학적 지형으로도 확장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차이/차별'이 사회문화적으로 크게 부각된 19세기의 고소설 <삼한습유>를 통해 이러한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이것은 인문학적 관점에서의 다문화주의를 이론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인문사회계열 베트남 유학생의 졸업 후 한국 유학 자본 활용 전략 연구

        이예지,김연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3 민족연구 Vol.- No.81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experiences of Vietnamese students who studied at universities in Korea are utilized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By analyzing how the cultural capital they acquired through studying abroad improved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process of domestic and foreign employment. It was intended to derive edu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Korean universities may provid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further improvements for the study abroad system in Korea. As an empirical approach,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2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and post-graduate students from Korean universities. 5 out of 12 study participants were employed in Korea and other 7 were employed in Vietnam at the time of interview. Many of them were working as interpreters at both Korean overseas branches in Vietnam and companies in Korea. Some worked as assistants in the Departent for foreign students affairs at Korean universities, professors of Korean studies at Vietnamese universities, Vietnamese recruitment agencies for study abroad, and instructors at Korean language institutes. It can be seen that the Korean language skills developed through studying abroad are being used as an important capital. Korean language skills are important tools, but cultural capital developed while studying abroad has been found to be useful for their employment or work life, such as understanding or speaking the same local dialects with one’s employers or learning culture quickly through part-time employment experiences. In addition, the ability to write and work on documents using computers is also as useful for their employment competitiveness and for securing an advantageous positions and employer's dedicated interpreter, that leads to high wages or a waiver from strenuous overtim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student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plans to improve the study abroad system in Korea were recommended to optimize the career path of Vietnamese students after graduation. 이 연구는 베트남 출신의 한국 대학(원) 졸업 유학생들의 유학 경험이 그들의 진로궤적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추적연구이다. 국내・외 취업 과정에서유학을 통해 그들이 획득한 자본들이 그들의 경쟁력을 어떻게 향상했는지를 분석하여, 유학생들을 위한 교육과 취업 지원 프로그램, 더 나아가 유학 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경험적 접근으로서 본 연구는 베트남 출신의 한국 대학(원)을 졸업한 유학생12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12명 중 5명은 한국 내에7명은 베트남에서 취업하였는데, 대부분이 국내・외 한국 기업(해외지사)의 통번역사, 한국 대학 외국 유학생 담당 부서의 조교, 베트남 대학의 한국학과 교수, 베트남 현지유학원의 학생 유치 담당자, 한국어 학원의 강사 등으로 재직 중인 것으로 나타나, 유학을 통해 개발한 한국어 능력이 중요한 자본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능력도 중요하지만, 고용주와 같은 지역 사투리를 쓴다거나, 시간제 취업 경험을 통한 빨리빨리 문화를 체득하는 등과 같이, 유학 중 개발한 문화 자본이 그들의 취업이나 직장생활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글쓰기와 컴퓨터를 활용한 서류 작업 능력이 이들의 경쟁력으로 인정받고 사무직 업무, 고용주의 전담 통번역사로 지정되어 잔업 처리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높은 임금 등으로 이어지는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는데 도움 되고 있다. 한국 대학이나 정부의 유학 정책이 유학생의 유치와 대학에서 적응에만 중점을 둔 채, 이들의 졸업 후 진로 지도를 위한 지원이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베트남 유학생들의 유학 후 진로를 최적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유학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