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안전한 Home Network 서비스를 위한 RMCS 설계 및 구현

        선재훈,이동휘,김귀남 한국융합보안학회 2005 융합보안 논문지 Vol.5 No.2

        최근 들어 Home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과 더불어 Home 네트워크 산업도 날로 발전하고 있다. Home 네트워크에 관한 관심과 보급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Home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접근망(Access Network)과 댁내망(Home Network)의 중간에서 Home 네트워크 서비스를 원활하게 중계하고 댁내망안에서 홈기기(PC, 홈패드, DTV 등)들 사이의 중계 역할을 하는 Home 게이트웨이에 대한 중요성 역시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Home 게이트웨이에 대한 관련 기술의 표준화가 미비한 실정이며, 여러 가지 기술을 적용하여 Home 게이트웨이의 성능을 향상 시키고 표준을 마련하는 작업이 진행중에 있다. 현재 Home 네트워크 관리체계를 보면 대부분이 ID/PASSWORD 접근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미 우리는 기존 네트워크 환경에서 '1.25 대란'과 같은 충분한 댓가를 치루며 보안에 대한 교훈을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Home 네트워크 환경의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역할 기반의 다중인증 시스템 RMCS를 구현하여 시스템이 내.외부 모두로부터 안전한 보호를 제안하였다. 기존 ID/PASSWORD 방식을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외부망으로부터의 접근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였으며, 역할기반의 MIB 구조를 이용하여 Home 네트워크 내부에서도 보다 안전한 권한 제어를 통한 Home 네트워크의 보안을 제안하였다. As home network is increasing to use, home network industry is developing too. Also, it is to be a popular subject in the network's topics. In this reasons, home network become a important thing because home gateway function is working between access network and home network. In the home network, it relates on the personal computer, home pad, and digital television. But, home gateway is not prepared standard point about techniques. Therefore, many kind of technique want to try for developing of home gateway's functions. Usually, we use ID/PASSWORD method in network control system. But, we found a lot of problems about classical network system while we experienced Jan/25 big trouble. We are considering about that home network system are using same network net. Therefore, seriously we have to check about security and safety at the home network's environment. This report focus on the home network's environment to control for using and efficiency and then it wants to find ways to protect from the internal and external attacks. Existing ID/PASSWORD method it used a electronic signature and the security against the approach from of external watch, the MIB structure of role base and the security of the Home network which leads the authority control which is safe even from the Home network inside it strengthened it used compared to it proposed.

      • KCI우수등재

        홈네트워크 산업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이군희(Gun Hee Lee) 한국경영학회 2006 經營學硏究 Vol.35 No.3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define the home-network industry because the home- network industry has various characteristics stemmed from different industr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fine the home-network industry and develop the home-network composite industry index for measuring the current state of home-network industry so that we can look inside of evolution process of home-network industry over years. To identify the home-network industry, we investigate four different sectors - infra sector, solution sector, device sector, and service sector - which are relevant to the home-network industry. For each different sectors, the study develope three index of different aspects ? index related with managerial performance, index related with market, and the index related with future prospect -. Every index score is standardized between 0 and 100 so that 50 indicates average score. After calculation of three different aspect index for each sectors, the final composite index is computed based on the aggregation of four different individual industries. To aggregate the different industry index, the weighted coefficient is utilized based on the market shares of individual industries comparing with the total market size of home-network industry. The final composite index provides 23.5 in 2005. The composite index value is useful if we investigate these values over time.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solution and infra industry has high score of both managerial index and market indicator index. On the contrary, the service and solution industry has high score for future prospect index. The implication is that solution and infra industry have major role of the development of home-network industry at present. However, service and device industry have major role for the development of home-network industry for future.The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to overcome. Insufficient historical data makes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industries and to make comprehensive framework of measurement model of home-network industry. However the study is the first trial to measure the current state of home-network industry. And more sophisticated measurement model will be expected in further study with sufficient data over long time horizon. The index is useful to understand the evolution process of home-network industry if we investigate the index over several years. The index can be utilized to make strategic decision making for both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y as well.

      • KCI등재

        무선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현

        주재한 ( Jae-han Ju ),나승권 ( Seung-kwon Na ) 한국항행학회 2017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1 No.3

        홈네트워크 서비스는 가정내의 모든 가전기기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언제 어디서나 원격교육, 홈오토메이션, 원격검침,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등의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홈네트워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쾌적한 홈네트워크 환경을 구성 및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댁내 설치된 지능형 홈게이트웨이를 접속하게 되고, 이동통신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에는 사용자 접근권한을 확인하기 위해 로그인 페이지가 활성화 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로그인 정보를 통해 인증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정상적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면, 지능형 홈게이트웨이는 사용자와의 네트워크 연결만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사용자는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접근하게 되는 RFID를 이용한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Home network service is evolving into a service that can receive contents such as remote education, home automation, remote meter reading and various entertainment anytime and anywhere by connecting all household appliances in home with wired and wireless network. In this paper, an intelligent home gateway installed at home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home network and configure and maintain a more efficient and comfortable home network environment for the user, In the window, the login page is activated to confirm the user access authority, and the user proceeds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through own login information. When the normal authenti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the intelligent home gateway maintains only the network connection with the user, and the user presents the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RFID which is accessed by the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 KCI등재

        TAM 확장모형을 적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수용모델 분석

        이지은(Lee Jieun),박선영(Park Sunyo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07 소비문화연구 Vol.10 No.4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가정 내 전자 기기를 디지털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홈네트워크 서비스가 출현하면서 사회, 경제적인 측면의 변화와 함께 소비자들의 생활방식 및 니즈 자체도 변화되고 있다. 이처럼 네트워크화 및 정보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기업은 효과적인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을 위해 소비자들의 홈네트워크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기술 중심적인 연구에 치중되어 서비스와 제품을 마케팅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소비자들이 이전에는 접해 보지 못한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기술에 대한 수용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주로 이용되는 신기술에 대한 수용과는 다른 패턴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홈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소비자와 기업 양자의 입장에서 향후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개발하고 소비자의 편익을 확대하여 이용자층을 두텁게 확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BR>  가정환경에서 이용되는 홈네트워크 서비스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업내 IT 수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는 다를 것이므로,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TAM)과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가정환경에서 홈네트워크 서비스 수용에 대한 인과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홈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에 따른 이미지의 향상이 홈네트워크 서비스 수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이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지각된 유용성의 설명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점차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가정생활에서의 홈네트워크 서비스라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잠재적 사용자들의 수용 정도를 볼 수 있는 인과모형을 이론적으로 제안하고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실제 홈네트워크 서비스가 소비자편익중심으로 전개되는 데 필요한 소비자연구의 틀을 마련해 줌으로써 마케팅 및 소비자정보 연구에 있어 몇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Home network services are expected to rapidly increase in number and variety in the near future. The emergence of home network services that connect home-style information appliances is forcing alterations in consumer lifestyles and needs as well as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ccordingly, companies want to identify what factors make consumer use home network services in order to develop future strategies based on what consumers want. However, prior researches on home network services are focused on technical areas from providers or supplier’s perspectives, thus they have not provided companies with beneficial implications for marketing. User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for home network services may be different from adoption of other technologies in that the services are mainly used at home by consumers who have never encountered such technology before. In this paper, by offering information relevant to effective strategies for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focusing on consumers’ viewpoint, we reduce gaps between the needs and seeds of market.<BR>  We developed a theoretical model of technology adoption specific to home network services based on Technology Adoption Model(TAM) and prior research regarding general technology acceptance.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intention to adoption of home network services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iness, image, and perceived enjoyment, but trialability did not influence the intention to adoption of home network services. Specifically we found that positive imag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explaining the adoption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home network service vitalizations are discussed. Lastly this paper concludes with statements of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results.

      • KCI등재후보

        홈 네트워크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XML을 이용한 댁내 가전기기 자동 설정 방식

        한도형,좌정우,박근현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5

        Standardization of the home-networking technologies and the home network trial has been tried to activate the home network services and develop the new business models. Home network mobile service using a cellular phone provides the control and monitoring the states of the information appliances and HA(home automation) devices through a home network gateway interworking with a home server. For this purpose, the home network mobile application in a cellular phone can automatically change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appliances and HA devices interworking with a home serv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home appliance auto-configuration scheme using XML for home network mobile services. The proposed scheme is implemented on WIPI of the domestic mobile platform standardization.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와 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수익 모델 발굴을 위해 홈 네트워킹 기술에 대한 표준화와 시범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홈 네트워크 모바일 서비스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홈 서버와 연동된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댁내의 정보가전과 홈 자동화 기기의 상태 확인과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휴대폰의 홈 네트워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홈 서버와 연동하여 댁내의 정보가전과 홈 자동화 기기의 구성에 대한 설정과 변경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XML을 이용하여 댁내 정보가전과 홈 자동화 기기의 구성에 대한 자동 설정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홈 네트워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국내 모바일 표준 플랫폼인 WIPI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 사설IP 기반 홈네트워크에서 세션이동성 지원의 적응적인 SIP 응용서버 시스템 구조 설계

        오연주,범민준,김동희,백의현,Oh, Yeon-Joo,Beom, Min-Jun,Kim, Dong-Hee,Paik, Eui-Hyun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06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1 No.2

        The home network is generally separated from the Internet, as it is made up of a private network due to security issues and the lack of IPv4 addresses space. Also, a user may want to move from a terminal to another terminal connected in the home network during communicating with people outside the home. In this case, people connected in the Internet, or another home network could not communicate the user at the home. These limitations prevent a SIP-capable device connected in the home network from communicating with another SIP-capable device connected in the Internet or the outside of the home network.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s the Adaptive SIP Application Server System as a software architecture that a user inside of the home can communicate with people outside of the home when the home is composed of a private IP-based network. Moreover, the proposed architecture provides the session mobility that allows the user to maintain a media session even if changing the terminal inside of the home during the session established. The proposed system was implemented over a home server device which acts functionality as a connection point for transmitting IP packets between a home network and the Internet.

      • KCI등재

        Agent for Home Server Management in Intelligent Smart Home Network

        문석재,신효영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14 No.2

        The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integrates various devices in the home into one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information sharing, control, and operation environment between devices. This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operates around a home server. Home applianc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have numerous home servers in logical areas as the intelligent home network in the home accelerates. Therefore, the need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home servers is emerging. We propose an agent system for efficient intelligent smart home server management. The agent system monitors the home server and operating environment for home server management of the intelligent smart home network. By referring to this monitored information, the service module of the home server is managed, and the home server is dealt with whether it is normal or not. In addition,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rvice agent created in the group management server while migrating the home server, it is possible to deal with integrated meter reading, crime prevention, and topics. And when a new service is applied to the home server, it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and distributed to the home server through the agent, so that the intelligent smart home network can be efficiently managed.

      • KCI등재

        네트워크 가전의 통합형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조작방법의 특성과 공통조작요소의 추출

        홍상희(Hong Sanghe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근 미래에 실현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 완비에 대비하여 향후의 홈 네트워크 정보가전의 통합형 유저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공통조작요소의 추출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유저의 사용편의성 향상과 메이커 입장에서의 디자인전략 수립이라는 측면에서 전기전자제품의 대표적인 메이커의 홈 네트워크에 대한 현황파악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스테이션 의존형 시스템 구축','조작성의 향상','기기 간의 친화성 향상'의 필요성 규명과 함께 네트워크 가전의 인터페이스 구축의 개념 모델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유저 인터페이스의 통합화가 가능한 기종의 선별과 네트워크 가전으로서의 조작방법상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총 48개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40가지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 가정 내의 전기전자제품은 크게 4가지의 조작방법에 따른 총 7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 중 Full Control과 Remote Control Non Control Simple Control Direct Control의 5개 그룹에 속하는 전기전자 제품들이 홈 네트워크 가전에 적합하며 공통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그 제품군들의 통합형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공통조작 요소로 Direct Control과 Simple Control Non Control이 적합하다는 점도 규명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analyze the network-connected home appliances from the point of maker and user's improvements in usability by building the integrated user interface design of network-connected home appliances. As a result the study revealed the necessity of'Construction of system with dependent station','Improvement of operation' and'Improvement of affinity between home appliances'. It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cept model for user interface of network connected appliances. In order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method for network connected appliances and sort according to integratable user interface the closer examination of the feature in user interface design analyzed 48 types of home appliances based on the 40 characteristics of physical properties and assorted into seven groups by four elements of operation methods. Among them five groups of Full Control and Remote Control Non Control Simple Control Direct Control were appropriate for network connected appliances. The analysis also defined that building up of integrated user interface for home appliances of home network system is very important. The three types of common control factors Direct Control Simple Control and Non Control are also suitable for the integrated user interface of network-connected home appliance.

      • KCI등재

        Analysis of Secure Remote Access to Virtual Private Home Network with L2TP Tunneling methods

        최동유,한승조,Basukala, Roja Kiran,Choi, Dong-You,Han, Seung-J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2

        홈 네트워크는 전자적이고 전기적인 집의 여러 장치와 여러 이더넷과 같은 기술인 무선네트워크, 전화선, 파워라인의 통합인 인터넷과 연결된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한다. 이런 홈 네트워크는 인터넷에 기초를 두며 인터넷을 통해 모든 사람이 홈 네트워크에 접근을 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는 주거인이 편하고 안전한 삶을 위해 발전하며, 정보는 보안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홈 네트워크의 모든 리모트 접근은 믿을 수 있어야 한다. 이 논문은 홈 네트워크에 안전한 리모트 접근인 VPN에 기초를 둔 계획적이고 필수적인 두 가지 터널링 보안 방법인 L2TP을 분석 하였다. Home network is the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of several electronic and electrical devices at hone with the integration of several technologies like Ethernet, wireless, phone line and power-line at the residential gateway to the internet. This internet based home network can be accessed from any part of the world through any device by any poison via internet. Since home network is developed for comfortable and safe life of home users, the information flow to/from home network needs to be private. Hence the remote access of the home network must be secured. This paper analyses two secure tunneling methods, voluntary and compulsory for L2TP(Layer Two Tunneling Protocol) based VPN(Virtual Private Network) for secure remote access of the home network.

      • KCI등재

        홈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의 효율적 분배를 위한 홈 게이트웨이 구조 설계

        이동욱,한상우,이철호,김종원,조충래,전용일,Lee Dongwook,Han Sangwoo,Lee Chulho,Kim JongWon,Cho Chunglae,Jun Yong-il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6b

        가정 내 디지털 정보 가전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동시에 외부 인터넷 망과의 접속을 통해 방송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방송통신 융합형 홈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통신 융합을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이기종 단말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홈 게이트웨이의 구조를 제시한다. 제안한 홈 게이트웨이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상호 통신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웨이 기능과, 콘텐츠를 중개하는 미디어 서버기능, 그리고 콘텐츠를 변환해주는 미디어 변환기로서의 역할을 수행 한다. 홈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전송 시나리오에서 제안한 홈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살펴보고 실효성을 판단한다. The need for a unified data communication for home digital devices and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in home network has led to recent research on home gateway over th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network. In this paper, we discuss requirement for such home gateway design and define services that the home gateway provides. Then, we propose a home gateway architecture aimed to efficient multimedia distribution for heterogeneous devices in the home network. The proposed home gateway has a role of protocol gateway, media server, and media trans-coder. Finally, we show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home gateway in several multimedia distribution scenar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