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논쟁학습 실천자로서 중등 사회과 교사의 가능성 탐색

        오연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4

        This study try to research on attribute o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cognition about practical principles of issues-centered education for reveal the possibility of principal agent in alternativ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practical principle of issues-centered education has concordance with the core of ‘Beutelsbacher Consent with popular readability. The comparison between social studies teachers’cognition and the others’on ‘Beutelsbacher Consent’, this study made the secondary analysis from the data by stratification sampling on 412 secondary teachers in Seoul with in 2017 precedent questionnaire. The conclusion of analysis reveal that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group (concluded history and ethics teacher) have higher general cognition of issues-centered education than the other secondary teachers’.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have more positive orientation for practical principles on ‘prohibition of indoctrination’, and student handle with ‘controversy’ than the other secondary teachers in the valid statistics. So it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possibility have more feasible and positive role than the other secondary teachers’. 본 연구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논쟁학습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실천자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중등 사회과 교사와 비사회과 교사 간의 논쟁학습의 실천 원리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자 한다. 최근 소개된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핵심 내용이 논쟁학습 실천 기반과 정합하고 대중적인 가독성이 있음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정보원·서울교육정책연구소가 주관한「보이텔스바흐 합의 정신에 기반한 학교 시민교육 현장 적용 방안 연구」(2017)에서 서울시 소재의 중등학교 교사 총 412명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 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 사회과 교사 집단(도덕·역사과 포함)은 사회과 교사 집단은 비사회과 교사 집단보다 논쟁학습의 실천 원리에 대하여 높은 인식 경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사회과 교사 집단은 반복과 주입을 지양하는 ‘강제성 금지’ 원리와 논쟁성 있는 쟁점을 교실에서 다루는 ‘논쟁 재현’ 원리에 대하여 높은 인식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울시 사회과 교사 집단은 타 교과 담당 교사집단에 비하여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논쟁학습의 적극적 실천자로서 잠재성과 가능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서 다중지능론의 적용가능성

        오연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2001 사회과교육 Vol.- No.3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교육의 맥락에서 다중지능론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론의 합의와 그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중지능론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론을 검토하여 생산적 요소를 분석하고, 이들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에서 실현가능한 사회과 수업설계안을 제시한다. 다중지능론을 바탕으로 한 교육론은 그 동안 다루기 어려웠던 거시적 아이디어를 다룰 수 있는 근거와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중시하는 새로운 근거와 안내를 제공한다. 또한 학습자 기회 면에서 다양한 교수 방법의 활용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며, 범위보다는 주제 중심의 심층적 접근을 강조하게 한다. 또한, 사회과에서 참평가의 필요성과 의미를 제고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과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제고하게 한다. 다중지능론은 전통적인 지능론과는 다른 전제로 새로운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한편, 다중지능론의 교육적 제안들은 새로운 것이라기보다 기존에 제기된 사회과의 고민과 과제에 대한 풍부한 논거와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학교의 제한적 조건에서 다중지능론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에서도 학습자의 선택권 확대, 다양한 도입점 활용, 생성적 주제의 선정과 역동적인 수행과제를 통한 평가 장면의 확대라는 강점이 드러난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basis for applying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in social studies. It has not been discussed actively Multiple intelligences on practice of social studies classroom. The major conten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it exams the main concepts of the theory. Second, it exams the guides of the 'curriculum for understanding'. Third, it analysis the good points of the theory that would be applied in social studies. Forth, it presents a lesson plan to be applied the theory in social class.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has been criticized from psychometric theory on its uncertainty and unreliability. However, This theory has much meaningful view of education. Especially, When this theory is applied in social studies, the class has much effective fruits. The theory provides basis on understanding of individual difference and dealing with big ideas(such as participation, crea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thinking over emotion. The theory impli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structional-learning activities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social studies.

      • 동작성 가족화를 통한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도 고찰

        오연주,홍혜자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1998 師鄕美術敎育論叢 Vol.6 No.-

        본 연구는 동작성 가족화 검사를 통해 가족간의 상호작용과 아동의 학교 생활의 적응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학업성취도 및 교우관계 등의 변인에 대한 담임교사와의 심층면접결과와 동작성 가족화 검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동작성 가족화는 아동의 잠재된 행동표현까지 표출이 되므로 분석 결과는 아동의 잠재된 심리 및 행동을 알아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아동의 가정생활에 대한 이해를 손쉽게 얻을 수 있으므로 학교에서의 아동의 지도, 특히 학업성취도 및 교우관계에 대한 지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의 사회적 구성주의 토대

        오연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1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social studies that the implication of th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representative approach in issues-centered education. There is no general agreement on the implication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in philosophical or ideological position and in classroom practical position. The advocators of issues-centered education tried to prove the outcome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but they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the analytic meaning on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My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educational base of the Public Issue centered social studies through alternative framework. Two research problems were explored with text analysis. First,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constructivism. Secon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fist research problem, it was analyzed to investigate educational foundation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Constructivism had progressive viewpoint, and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d social constructivist foundation as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was suggested to be made a emphasis on individual intellectual process, analysis, and student's choic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was suggested to be manipulated social issues which give rise to conflict in cognitive process. Second,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considered that student has cognitive structure in his mind and that he has capability of a cooperative inquiry in classroom debates. Last,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was suggested to be made a emphasis on context or situatedness in group discussion and its utility on social constructive process in debates. 쟁점 중심 사회과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는 공공 쟁점(public issue) 중심 접근의 본질에 관해 적지 않은 논란이 이어져오고 있다. 철학적․이념적인 입장에서뿐만 아니라 교육 실재의 효과성 면에서 비판과 한계가 제기되어 왔다. 공공 쟁점 중심 접근의 지지자들은 정당화 논거를 개발하고 교육 효과성을 입증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렇지만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분석적으로 드러내는 연구는 간과되어 온 편이다. 본 연구는 대안적인 교육 관점으로서 공공 쟁점 사회과의 교육 기초를 분석적으로 조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에 대안적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구성주의에 주목하면서, 이를 전제로 공공 쟁점 중심 접근의 사회 구성주의적 토대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는 교과 내용으로서 인지적 과정 그 자체를 중시하며, 인지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사회적 쟁점을 다룰 것을 제안하고 있다. 둘째, 학습자는 사회를 이해하는 나름의 선행 지식 구조를 갖고 논쟁의 맥락에서 협동적 탐구를 수행하는 존재로 상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성을 강조하고 수업의 효능성을 사회적 의미 구성과정에 두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의 사회 구성주의적 토대를 강하게 시사하는 것이었다.

      • KCI등재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정치적 관심도에 따른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 실천에 대한 인식과‘회피’지향성 분석 - 충청권 소재의 국립대 재학생을 중심으로 -

        오연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5 사회과교육연구 Vol.22 No.4

        As this study researches on Korean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cognition of practice and their role orientation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depended on their degree of political interest. We try to serve the basic practice of controversial political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This study surveyed the 295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Chungchung, pre-service teacher i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history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n analysis of questionnaire. The first, ‘Lower Political interest group’ has more sensitive cognition about practice of public issues-centered education. The second, ‘Higher Political interest group’ has less orientation of ‘Avoidance’ teachers’ role on a certain public issues-centered discussion than ‘Political interest group’s. To make a conclusion,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olitical interest might be one of factor for authentic classroom discussion and ‘Lower Political interest group’ has more passive practice of public issues-centered discussion.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의 실천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실천하는 사회과 교사의 정치적 인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을 실천할 것으로 기대되는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정치적 관심에 따라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의 실천 지향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충청권 소재의 두 국립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교육, 지리교육, 그리고 역사교육을 전공하는 재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 결과, 낮은 정치적 관심도 집단이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 실천의 정치성을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정치적 관심을 가진 중등 예비 사회과 교사 집단이 높은 정치적 관심 집단보다 일부의 공공쟁점에 대한 토론학습 실천에 대하여 ‘회피’ 역할 경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치적 관심도가 낮은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는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에 대하여 위축적인 실천 지향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스웨덴과 한국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오연주,한유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00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육교사와 보육 선진국으로 평가되는 스웨덴 보육 교사에 대한 비교 연구를 위해, 두 나라 보육 교사의 일반적 특성, 직무만족도, 이적 의도 및 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웨덴 프리스쿨 30곳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32명과 우리나라 어린이집 24곳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분석 결과 스웨덴 보육교사는 우리나라 보육교사에 비해 연령과 경력이 높았으며, 인간관계에서의 직무만족도와 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에서 우리나라 보육교사에 비해 높았다. 근무조건에 대한 만족도, 전체적인 만족도, 이직 의도에서는 우리나라 보육교사가 높았다 두 나라 모두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arly childhood care center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between Sweden and Korea. Participants are 132 swedish teachers working in Go¨ebory, Sweden and 113 Korean teachers working in Seoul, Korea.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December, 2003 to February, 2004 in Sweden and Korea by means of questionnaires. From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it was found that the Swedish teachers are older and have much carrier than the Korean teachers. The Swedish teachers showed higher score in the job satisfaction related to human relation and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an the Korean teachers. By contrast, the job satisfaction related to working conditions, the total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score of the Korean teachers are higher than the Swedish teachers. The turnover intention is highly correlated negatively to the job satisfaction in both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