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쟁점과 실제 적용에 관한 연구 -제3국 출생 탈북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돋움한국어』의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홍혜란 ( Hong Hye-ran ),유소영 ( Yoo So-young ),최수정 ( Choi Su-jeong ),김령 ( Jin Li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9

        본고는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관한 연구로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대상 한국어 교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그간 이루어진 한국어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 중 요구분석 연구의 성과를 집중 분석하여 그 결과를 실제 지도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다문화 가정 아동, 재외동포 아동, KSL 초, 중, 고등학생 등 다양한 변인을 대상으로 한 지도서의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쟁점을 지도서의 구성 체제와 내용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원리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대상 한국어 교재의 교사용 지도서 개발 원리를 첫째, 수업 준비와 운영의 흐름을 고려한 구성 체제, 둘째, 아동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활동 구성, 셋째, 효율적인 수업 준비를 돕기 위한 내용의 이원화, 넷째, 대조분석을 바탕으로 한 학습자 오류 클리닉 제공, 다섯째, 수업 운영의 편의성과 활용도 제고를 위한 수업 보조 자료 개발의 다섯 가지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실제 지도서에서의 적용 예시를 보였다. 이 연구는 교사의 요구분석 내용을 지도서에 반영하고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교사,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지도서 체계와 내용을 마련한 교사용 지도서의 실제를 보여줬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한국어 교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s guidebook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Korean textbooks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guidebook is also intende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efore developing an actual teacher’s guidebook, this paper reviewed previous relevant studies to collect result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guidebook. In addition, the various factors that a teacher’s guidebook must address were analyzed, including multicultural children; overseas Korean children; and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KS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guidebook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osition, and the contents and principles necessary for teachers’ guidebooks were established. The following are five principles for developing a teacher’s guidebook fo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to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is study: 1) a system of composition considering the flow of class preparation and management; 2) class activit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child learners; 3) dualization of contents to help efficient class preparation; 4) providing learner error clinics based on contrast analysis; and 5) development of class materials for the enhancement of convenience and utilization in classroom operation. Furthermore, this paper shows examples of applications in the teacher’s guidebook.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show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 teacher’s guidebook based on a system and contents that consider both teachers and learners’ variabl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and the guidebook that it created will enhance Korean textbooks and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 KCI등재

        문학도시 ‘하이토(俳都)’ 마쓰야마(松山)의 형성 과정에 관한 고찰

        문순희 ( Moon Soon-hee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71

        본고는 근대에 형성된 풍경 체계 속에서 당시 발견된 지역의 인문학적 자산이 현재도 적극적으로 관광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일본 에히메현(愛媛縣) 마스야마(松山)가 문학도시 하이토(俳都)의 이미지를 구축해 나간 과정을 통시적으로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근대 발간된 안내서를 통해 하이쿠의 도시로 창출되는 과정을 확인하고, 나아가 전후 ‘하이토’의 장소성을 어떻게 계승해나갔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쓰야마의 지역 안내서는 1900년대 중반부터 주로 하이쿠를 창작하는 시인들이 중심이 되어 집필되었는데, 안내서 속 명소마다 해당 장소와 관련된 하이쿠를 게재하면서 마쓰야마가 근대 문예 하이쿠의 탄생지라는 것을 인식시켰다. 애초에 하이쿠 시인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하이쿠가 수집되고 안내서가 서술되었다는 점에서 문학성이 강한 안내서가 완성된 것이다. 본격적으로 마쓰야마가 ‘하이토’로 표상되는 것은 1930년대 후반 1940년대 즈음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는 과거 마쓰야마 명소 목록에 없었던 시키나 소세키와 관련된 유적지가 명소로 포함되고 있으며 ‘하이토’라는 용어가 실질적으로 사용되었다. 전후에도 마쓰야마는 ‘하이토’의 이미지를 계승 확대시켰다. 전쟁 직후 곧바로 소실된 시키당을 재건하고 이를 사적으로 지정했으며, 시키의 문인이었던 교쿠도, 교시 등이 중심이 되어 시키를 우상화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와 함께 마쓰야마에 사는 시키 문인들이 하이쿠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시비를 짓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마쓰야마는 ‘하이토’의 역사를 이어나갈 수 있었다. 또한 1980년대에는 시키기념박물관을 건립, 1990년대에는 하이쿠 창작과 관련된 행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면서 문학도시의 이미지를 더욱 강화했다. 이처럼 어느 한 시점이 아닌 시대를 거쳐 지역 문인들이 의도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한편으로 지자체와 주민들이 정책적으로 경제적으로 뒤받쳐 준 결과 문학도시로서의 장소성을 확고하게 구축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paper notes that local places of humanities discovered under the landscape framework during modern times are still actively used as tourism resources today, and examines how Matsuyama established its image as a city of literature (俳都: Haiku-city) among other small cities across Japan. As the hot spring town named Dōgo Onsen is located in the suburb of Matsuyama, and the city was introduced for its popularity in the tour guidebooks that had been published nationwide since the early 1900s. However, these guidebooks introduced Matsuyama simply as a city near Dōgo Onsen, and Matsuyama was nothing but additional information for Dōgo Onsen. It was the late 1900s that Matsuyama published its own local guidebooks and began to express its local characteristics. The guidebooks that introduced Matsuyama were written by Haiku authors (俳人: Haijin) in Haidan since the mid-1900s. The guidebooks included Haiku related to each attraction, which strongly reminded that Matsuyama is the birthplace of modern literature Haiku. In the 1910s when local guidebooks were published across many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Haiku was collected by a network of Haiku authors in Matsuyama and organized by place and figure. Given that Matsuyama’s local guidebooks were written and described by those who created Haiku themselves, it was no surprise that the completed local guidebooks had strong literature value. During the 1920-30s, no guidebook published by Matsuyama was found, and Matsuyama was represented simply as a city of Jōkamachi or hot spring during this period where there was no local guidebook. As seen in Matsuyama’s guidebooks in the 1940s, guidebooks including many Haiku were newly written and published, transforming the image of Matsuyama from the city of history Jōkamachi into the city of literature Haito. By introducing the city in connection with Shiki and Sōseki, two of the greatest authors in modern Japanese literature, the guidebooks further reinforced Matsuyama’s image as the city of literature.

      • KCI등재

        재조선 일본인이 재현하는 ‘지방’ -일제시기 지방지 편찬을 중심으로-

        허영란 부경역사연구소 2014 지역과 역사 Vol.- No.34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modern format provincial guidebooks published by the colonial administrative agencies or Japanese people in Korea between 1907 and 1945 and critically review the aspects of Korea represented in them. During the Japanese rule, a number of provincial guidebooks were published in urban areas containing a large population of Japanese people and traditional cities filled with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ic interest, whereas there are few or no data on provincial guidebooks on local agricultural towns where a majority of Korean population resided. The serious regional deviation in the publication of provincial guidebooks reflects an objective deviation in information about local areas available those days. The inequality of information structured in the generation process of historical materials cannot help being reflected in the historical aspects represented through local history research, which is why it is important to analyze an objective situation of “unequal distribution and absence of provincial guidebooks” based on comparative studies when doing a research on local history. Also needed is a discourse criticism of provincial guidebooks during the Japanese rule. The example of Suwon indicates that the provincial guidebooks published mainly by Japanese people targeted the Japanese nationalities and Japanese people in Korea as their readers. Settling down all over the nation, Japanese people placed themselves at the center to look at Korea and the local places where they settled down. As far as they were concerned, the existence of Korean people was a secondary landscape or the object of enlightenment. It is thus necessary to deconstruct such power of viewpoint and trace back the narration of a book in order to critically interpret provincial guidebooks those days. Korean people were in different conditions from the Japanese communities around the nation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colonial ruling system, and such a situation was reflected in provincial guidebooks. Thus reorganizing local history with provincial guidebooks should be preceded by comparing provincial guidebooks for the state of publication and critical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publication environments, conditions, and purposes.

      • KCI등재

        당, 나트륨, 트랜스 지방 교재의 교사용 지도서 지문의 난이도 평가

        이영미(Young Mee Lee),김진아(Jin Ah K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0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5 No.5

        This study is attempted to propose a quality evaluation method of the materials for nutrition education by applying readability test of printed materials for nutrition education.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for the teaching class with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to consider students understanding level and education materials topics or choosing words in developed printed materials. This study performed an evaluation of the readability of text in teachers` guidebook, which is devis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ducation material about sugar, sodium and trans-fat and attempted to estimate the developing materials through analyzing difficulty level of the text. We utilized The Teacher`s Guidebook for Cooking Activity that had been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 by Ministry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readability evaluation standard. Compared with the average score of readability about The Teacher`s Guidebook for Cooking Activity, 72.94 ± 6.85, Sugar Guidebook was 70.94 ± 7.46, Sodium Guidebook was 68.76 ± 14.50, and Trans-fat Guidebook was 58.87 ± 10.79. Considering the subjects careers or ages, The Teacher`s Guidebook for Cooking Activity has little deviation by the subjects careers or ages and was intermediate or easy level; however, Sugar Guidebook, Sodium Guidebook, Trans-fat Guidebook was intermediate or difficult level (p < 0.05). Readability score was especially low when the contents of some particular subjects were too professionalized or scientific terms were frequently used, and thes results were definitely seen in the Sodium Guidebook and Trans-fat Guidebook. With Cloze test score, the readabilityevaluation will be using as an evaluation tool for the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Korean J Community Nutr 15(5): 648~655, 2010)

      • KCI등재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 분석 : 제 1~7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teacher´s guidebook of 3rd. 5th and 7th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정혜승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4 No.-

        본고는 1~7차 중학교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그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용 지도서가 어떤 기능을 수행해 왔으며,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그 자체에 대한 해설과 안내,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설명,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 평가 안내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교사용 지도서가 이와 같은 기능을 다 할 때 교육과 정의 의도한 대로 보다 충실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교사용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을 기존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을 분속한 결과, 국어과 교사와 지도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그차체에 대한 핵설과 안내가 비교적 잘 되어 있는 편이며,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해 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7차 지도서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나 평가에 대한 안내 면에서 많은 발전을 이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교사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것은 교사용 지도서의 계속된 문제이다. 장차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교사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를 올바로 인식하고 있을 때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가 될 수 있다. 교사용 지도서는 바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교사에게 제공하는 통로이다. 즉, 교사용 지도서는 교과서 개발자와 교사의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교량 역할을 해야 한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1st~7th teacher's guidebook for middle school(hereinafter "guidebook") in order that we can review its functional performance and can find any problem of it. A guidebook should meet functional requirements that it should include explanation about and guidance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 explan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presentation of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instruction for evaluation. The purpose of curriculum can be accomplished through fulfilling the functional requirements. The analysis results on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1st~7th guidebook from the viewpoint of above function requirements shows that the guidebook includes good explanation about and good guidance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d they have been developed consecutively. Especially the 7th guidebook shows much growth in the area of specific instruction and evalu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However it is a common problem from the 1st to 7th guidebook that no enough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has been offered to teachers. It is thought that this problem should be solved in the future guidebook. The teacher can be the subjec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hen he or she correctly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The guidebook is the path for furnishing in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guidebook should play a role of bridge connecting textbook developer and teacher.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초등 교사의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사용 실태 연구

        김지은 ( Ji Eun Kim ),엄해영 ( Hae Young U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2

        이 연구는 초등 교사가 국어과 교수·학습 실행에 있어서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에 관하여 조사한 실태 연구이다. 연구 결과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를 자주 사용한다고 인식한 응답이 우세하였으며, 약 83%의 교사들이 1주일에 1회에서 5회 정도 지도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들은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에서 교수·학습 활동의 안내 기능을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반면, 평가 자료 및 활동 자료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안으로 크기 및 제본 방식의 변화, 이독성 증대, 자료의 유형 한글 파일화, CD 및 인터넷 사이트 운영을 통한 자료 제공 방식의 개선, 수업 모형과 아이디어의 다양화, 내용의 적정화, 평가 및 활동 자료의 보완을 요구하였다. 자료 활용에 있어서 전반적으로는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의 도움이 컸다고 응답하였다. 이미지 및 동영상 자료는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 및 유료 사이트를 통하여, 교수·학습 활동 안내 자료 역시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하여 마련한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자료는 유료 사이트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활동 자료는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하여 마련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를 통해 국어과 지도서가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전반적인 만족도고 높은 편이나, 일부 기능에 있어서 다른 자료원에 비하여 활용도가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a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book according to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09. For this purpose, A survey ab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korean language guidebook usage was conducted by 158 teachers.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83%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book approximately one to five times per week. The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guidebook was high. But satisfaction for the textbook understanding was the highest, and for the activity resources was the lowe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the external, and internal revolutionary changes on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book. Elementary teachers required change in the way of size and binding, increase the text readability, printable resources, CD and internet sites offer to make it easier to use, and diversification of evaluation and activity resources. Sources other than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book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verall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So, we found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book which are currently used needs to be checked in order to make changes considering the improvement of teacher`s guidebook.

      • KCI등재후보

        간찰서식집의 부록 연구 - 조선후기부터 1950년대까지 -

        윤세순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2 No.-

        In this paper, I studied the appendix of letter writing guidebooks that were us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1950s. This period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namely the late Joseon Dynasty, 1890s~1910s(period of growth), 1920s and 30s(period of prosperity), 1940s and 50s(period of decline). Among the letter writing guidebook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Gandokjeongyo(簡牘精要)』 treated the appendix importantly. In addition, the part of an appendix to 『Gandokjeongyo』 also appeared in appendix of modern letter writing guidebooks, that is to say ‘Formal designation between family and relative(三黨稱呼)’, ‘a letter to the marriage(婚書式)’, ‘a message that inform a person's death(訃告)’, ‘a letter that comforts death(吊狀)’, ‘a letter of consolation(慰狀)’, ‘the old name of each village’. As a result of studying the appendix of the letter writing guidebooks in the 1890s~1910s(period of growth), it was divided into the aspect of inherit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aspect that reflects the new changes of the time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appendix of the letter-writing guidebooks in the 1920s and 30s(period of prosperity), things related to weddings(婚禮)·funeral(喪禮)·ancestral ritual formalities(祭禮) were becoming a trend. this reflects the public's desire to pretend to be a noble while making Confucian customs a part of their daily lives at a time when status and class collapsed. on the one hand, themethod of writing telegram and postcards, which were not seen in the appendix of the previous period, and what can be called a kind of life encyclopedia appeared in the appendix. in addition, the East-West chronology is included in the appendix of many letter writing guidebooks during this period, indicating that letter-writing guidebooks tend to become manneristic. As a result of studying the appendix of the letter-writing guidebooks in the 1940s and 50s(period of decline),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endix only during this period. however, I was able to find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letter-writing guidebooks.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appendix of the letter-writing guidebooks continued to change until the 1950s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hile absorbing new phenomena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부터 1950년대까지 통용되던 간찰서식집에 실려 있는 부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기간은 크게 4개의 시기, 즉 조선 후기, 1890년대~1910년대(성장기), 192·30년대(전성기), 194·50년대(쇠퇴·변모기)로 구분해 보았다. 조선 후기의 간찰서식집 중에는 『간독정요』가 부록을 활용하여 간찰서식집을 다채롭게 구성하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간독정요』의 주제별 예문 간찰 부문의 부록들, 즉 삼당칭호(三黨稱呼), 혼서식(婚書式), 고부(告訃)·조장(吊狀)·별지(別紙)·위장(慰狀), 각 읍의 고호(古號)와 도리(道里) 등이 근대 간찰서식집의 부록으로 계승되었다. 성장기인 189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 간찰서식집의 부록을 파악해보니, 크게 조선 후기의 간찰서식집을 계승한 측면과 새로운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즉 신구(新舊)의 문화가 뒤섞여있는 현상을 보였는데, 이를 전통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것을 모색하며 성장 발전해 나아가는 긍정적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전성기인 192·30년대의 간찰서식집에는 혼례(婚禮)·상례(喪禮)·제례(祭禮)에 관련된 부록이 대세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신분과 계급이 무너져내리던 시기에 유교적 관습을 생활화하면서 양반 행세를 하고 싶었던 대중의 욕망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앞 시기 간찰서식집 부록에 보이지 않던 전보(電報)·엽서(葉書) 작성 방식과 일종의 생활 백과라 할 수 있는 것들이 등장했다. 또한 이 시기 많은 간찰서식집의 부록에는 동서양연대표가 실려 있는데, 이를 통해 이 시기 간찰서식집이 매너리즘화되는 경향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쇠퇴·변모기인 194·50년대에는 이 시기만의 부록의 대세적 특징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다만 개별 간찰서식집의 독특성이 간혹 발견될 뿐이었다. 이처럼 간찰서식집의 부록은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당대의 새로운 현상을 흡수하면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1950년대까지 변화를 거듭하며 그 생명을 지속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2011 개정 실과 교사용 지도서의 ‘기술의 세계’ 영역 단원체제 및 내용 분석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사용 지도서 ‘기술의 세계’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의 단원체제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1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모든 검정 교사용 지도서의 ‘기술의 세계’영역 단원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교사용 지도서 단원의 체제, 교수·학습지도안, 보충자료 내용요소, 수행평가 내용과 지필평가 문항 수 이었다. 이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 및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구성은 출판서간 대·중단원의 시수의 차이가 너무 지나치게 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앞으로 개발될 지도서에서는 실과 교수·학습 방법과 밀접한 문제해결 교수·학습법, 프로젝트법, 실습법등이 많이 개발되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에 교수·학습 지도안 예시는 전단원에 꼭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공된 보충자료의 양과 내용의 수준이 단원과 지도서 별로 어느 일정 수준의 양과 질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앞으로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는 최근 일선 학교에서 지필평가를 지양하고 다양한 수행평가의 유형이 더 많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앞으로 지필평가는 지도서에서 가급적 제시되지 않는 편이 평가의 실용성 측면과 수행평가를 강조하는 현장의 현실적 측면에서 더 나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units on the ‘World of Technology’ domains of practical arts teachers’ guidebooks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research materials, Six teacher’s guidebooks published in 2011 were analyzed. It was divided into ‘contents’, ‘time allocation’, ‘lesson plan’, ‘supplementary materials’ and ‘assessment tools’ to analysis of content organization. All six teachers guidebooks were rather well designed and composed of former and detailed exposition. Each guide-book contains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The contents in 6 teacher’s guidebooks was mostly similar. But there wa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usability of the teacher’s guidebooks The teachers’ guidebooks provide teachers with sufficient complementary materials and information to teach practical arts. Guidebooks under this study need to be reformed. More studies on the teacher’s guidebooks and developmental study for the model guidebooks is needed along with the revised curriculum and new textbooks. It will provide an analytical perspective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comparing various types of teachers’ guidebooks.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가정 교사의 인식 및 활용

        강은영,신혜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regarding teacher's guidebook for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lass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The data were collected via e-mail to teachers teaching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s. These e-mail addresses were acquired from middle school web pages registered on the Educational Board. The 355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eachers recognized highly the necessity of teacher's guidebook. However, as the actual guidebook was not adequately helpful, the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Teachers utilizing guidebook had more positive recognition on teacher's guidebook than teachers who did not. And teachers majored in technology education thought teacher's guidebook more helpful compared with teachers major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Second, teachers referenced teacher's guidebook mostly for field practice guidance.Third, teachers who did not utilize teacher's guidebook used other reference materials such as Internet Web sites and audiovisual materials. They were most commonly used for the reason that the contents were ample and easy to access. Fourth,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to improve teacher's guidebook. The provision of learning contents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class, the various samples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 specified methodsof planning and criteria for performance assessment, the adequate supplementations regarding textbook contents, and the improvement of the outward layout format of the guidebook.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가정 교사의 인식 및 활용실태를 분석하여 우리 교육 현실에 맞는 새로운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에 대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이메일을 통하여 수집하였는데 전국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서울시교육청 및 각 도교육청 그리고 각 광역시 교육청에 등록되어 있는 중학교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가정 교사의 이메일을 토대로 하였으며, 설문은 Web을 구축하여 사이트에 접속해서 답변을 할 수 있게 하였다. 855명에게 이메일을 발송한 결과 366명이 설문에 응답을 해주었으나 기술교사 9명과 중복 답변 2명을 제외한 355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필요성에 비해 교사용 지도서가 도움이 되지 못하며 따라서 만족도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 활용교사가 미활용교사보다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술교육 전공 교사가 가정교육 전공 교사보다 교사용 지도서가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둘째, 가정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참고하는 부분은 ‘차시별 지도의 실제’로 나타났고, 각 부분에 따라 총론은 ‘교수-학습 방법’, 각론은 ‘차시별지도의 실제(학습내용해설)’, 차시별 지도의 실제는 ‘학습 자료’와 ‘학습 내용 및 활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지 않는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가 충분한 도움을 주지 못하거나 다른 참고 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용 지도서 외에 인터넷 사이트, 시청각 자료를 가장 많이 참고하며, 이런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사용하기 편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사항으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의 제시, 다양한 교수-학습 과정안 제시, 수행평가 계획 및 기준에 대한 구체적 제시, 교과서 내용에 대한 충분한 보충 설명, 지도서의 외형적 체재 개선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안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을 중심으로 한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의 모습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과서를 설명하는 교재로 보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교사용 지도서에 관한 독자적인 연구보다도 교과서와 관련하여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수업을 두 축으로 하여, 교사와 교육과정 자료와의 관계, 교사의 전문성 단계, 수업의 종류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의 형태와 내용 구성이 상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설명서로서의 교사용 지도서, 자료집으로서의 교사용 지도서, 해석서로서의 교사용 지도서로 구체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차기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eacher's guidebook for the integrated subjects. The purpose of the teacher's guidebook is to guide and assist textbooks. For this reason, it is true that a research about teacher's guidebook did not go well. In this study, it adopt two criterion that explore the alternative form of teacher's guide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teacher's guidebook depend on 1)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urriculum materials, 2)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3) the concept of instruction. Second, there are three forms of teacher's guidebook; teacher's guidebook as a manual, teacher's guidebook as a teaching sourcebook, teacher's guidebook as a interpr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