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쌍화점」에 나타난 건국신화적 神婚 기원 연구 - 충렬왕대 麗蒙 습합정권 송도가 형성의 역사적 맥락과 쌍화점ㆍ삼장사ㆍ우물ㆍ술집의 역사적 실체를 통해 -
권도경 부경역사연구소 2016 지역과 역사 Vol.- No.39
This paper is the study to intend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the sacred wedding in <Ssanghwajeom> through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formation of the congratulatory song for the the Korea-Mongol’s fusion government in the regin of the king Chungyeol and the historical substance of SsanghwajeomㆍSamjangsaㆍwellㆍpub.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built the theoretical premise that the direct origin of <Ssanghwajeom> is not the folk festival song by the indecent language between man and woman but is the sacred wedding song of the country’s birth myth that the nation founding group has rationalized own royal authority by and it is the result that the origin of the country’s birth myth of <Ssanghwajeom> was specified as the royal authoritive mythical song of the king Chungyeol who became the progenitor the Korea-Mongol’s fusion government by accommondate immigrant group from Yuan dynasty is <Ssanghwajeom>. Under this premise, this paper read the congratulatory lyric context of the country’s birth myth that the folklore sacred wedding song changed to the praise song of the court for the king through the historical distinctiveness of the king Chungyeol who combined the royal family of the previous Korea to be subject to the military government with immigrant group from Yuan and became the progenitor of the the Korea-Mongol’s fusion government. Secondly, this paper proved the historical substance of SsanwhajeomㆍSamjangsaㆍwellㆍpub through the fact that HoihoiabiㆍSamjangsajuㆍwell’s dragonㆍpub’s man was choose on purpose as fictional sacred correlative of the immigrant group affiliated to Mongol came from Yuan and combined with the indigenous group of Korea. 본고는 「쌍화점」에 나타난 건국신화적 神婚 기원을 충렬왕대 麗蒙 습합정권 송도가 형성의 역사적 맥락과 쌍화점ㆍ삼장사ㆍ우물ㆍ술집의 역사적 실체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부정적 음란욕망론이나 뜬소문 경계론, 풍요민속론 등 「쌍화점」에 대한 기존의 주제론들이 해명해 내지 못했던 지점, 즉 남녀음사를 핵심 모티프로 하는 「쌍화점」이 어떻게 궁중의 왕실송도가가 될 수 있었으며, 해당 역사적 배경이 왜 하필 충렬왕대였던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충렬왕대 려몽습합정권의 역사적 신성맥락과 몽고이주집단의 역사적 산물로서의 쌍화점ㆍ삼장사ㆍ우물ㆍ술집이 지닌 신성상징을 통해 해결해 내고자 한 연구가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쌍화점」의 직접적인 기원이 민요의 층위에 있던 男女淫事의 민속제의요가 아니라 해당 민속제의요가 건국 주체 집단의 신성왕권을 합리화하기 위한 건국신화적 神婚歌로 전이된 층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건국신화적 신혼가 기원이 元 나라 이주세력을 수용함으로써 고려 토착민과 원 이주민 통합왕조의 개창자가 된 충렬왕의 왕권신화적 왕실의례요로 특수화 되어 실현된 것이 바로 「쌍화점」이라는 이론적 전제를 구축했다. 즉, 민요의 보편적인 무속풍요제의요로 존재하던 男女淫事謠로서의 「쌍화점」이 궁중 예악의 국왕 송축가ㆍ찬양가의 층위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민속적 男女神婚이 왕권과 관련된 남녀신혼의 층위로 전환될 수 있는 보편적 차원과 특수적 차원의 인식적 전제기반이 요구된다는 입론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본 연구는 충렬왕이 고려무신집단에 예속되어 있었던 전대 고려 왕실을 동아시아의 정치ㆍ문화적 선진세력인 원나라 지배세력을 의도적으로 도래시킨 후 고려의 토착왕실과 결합시킴으로써 실질적인 高蒙 통합계 고려왕권을 연 中興始祖가 된다는 충렬왕조의 역사적 특수성에서 민속적 남녀신혼가 궁중 예악적 국왕 송축가ㆍ찬양가의 층위로 전이되었다는 건국신화의 송도가적 맥락을 읽어내었다. 다음으로 회회아비ㆍ삼장사주ㆍ우물용ㆍ술집아비가 원나라에서 도래하여 고려 토착집단과 결합한 몽고계 이주집단의 허구적 신성상관물로서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쌍화점ㆍ삼장사ㆍ우물ㆍ술집이 충렬왕대에 몽고로부터 전래된 문예적ㆍ종교적ㆍ군사적 산물과 관련되어 있다는 역사적 실체성을 입증하였다.
심민정 부경역사연구소 2022 지역과 역사 Vol.- No.51
In the Busan area, the castle ruins of Geochilsan-gun are located at the site of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in Suyeong-gu.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and researching documents related to Geochilsan-gu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the ancestral rites to the sea god was held in the southern sea, and this rite was located in the Baeksan area of Suyeong-gu, Busa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laces where ancestral rites were held to the god of the sea were located in key points of water and land transportation. The priestly places of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seas are all being prepared at the end of the sea in the territory of Silla. The place where ancestral rites are held to the god of the southern sea is connected to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by land transportation called Donghaetong. Through this place, Geochilsan-gun(Dongnae) was economically, administratively, and militarily connected to Gyeongju, and it also played a role in holding national ceremonies and ment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area, where ancestral rites are held to the god of the South Sea, is a place of ceremonial border located on the border of the sea, showing both openness and closedness in the maritime traffic route. Hyeongbyeon, which is regarded as the location of the ancestral rites to the god of the southern sea,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Suyeong River and the sea meet. Also, if you climb Suyeong River, pass the point connecting to the mainland, and go northwest, you will pass Castle of Dongpyeon and meet Hwangsan River of the Nakdong River where ancestral rites are held to the gods of the southern river. And to the south, it meets Busan Port. It is very important as it is located in a key point where all land, sea and rivers are in contact. 부산 지역에는 거칠산군의 치소성으로 볼 수 있는 성터가 수영구 병무청 자리에 소재하고 있다. 거칠산군성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 사료는 대단히 소략한 상황이라 이 치소성이 존재할 당시 신라, 혹은 통일기 신라의 역사·문화 등을 구체적으로 모두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관련 역사·문화 실체를 확인하기 위한 문헌조사와 연구 과정에서 당시 거칠산군의 기능 중 하나였던 中祀 四海祭를 실시했던 남해 제장 兄邊이 부산 수영구 백산 일대에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사해 제장은 신라의 영역 중 육지와 바다의 경계 지역에 마련되고 있다. 수·육상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경계 지역과 수도 왕경으로의 연결성, 해당 지역이 침해받지 않고 안전하게 지켜져야 한다는 신라의 의식 등이 반영되어 있다. 南海 제장이 신라의 왕경인 경주와 연결되는 육상 경로는 東海通이다. 이곳을 통해 거칠산군은 왕경과 경제·행정·군사적으로 연결되었으며, 국가제사 제장의 역할까지 겸하면서 정신적 소통까지 함께 하였다. 그리고 남해제장은 해양경계에 위치한 경계제사지로 해상교통로상의 개방적·폐쇄적 특징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남해제장의 소재지로 비정되는 형변은 수영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고, 수영강을 거슬러 올라가 육지와 연결되는 지점을 통과하여 서북쪽으로 이동하면 동평현성지를 거쳐 南瀆 제장이 위치한 낙동강 黃山河와 만나며, 남쪽으로는 釜山浦와 만난다. 이처럼 陸·海·江을 모두 접촉하고 있는 요지에 위치하여 그 중요성을 확인시켜 준다.
하혜경 부경역사연구소 2020 지역과 역사 Vol.- No.47
This study identified the tourist attractions of Jinju through administrative records, tourist guides, tourist guide postcards, and newspaper record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ttractions recognized by local residents. To this end, the history and spatial changes of Jinju-gun were documented to derive what attractions are and where they are distributed. The types of attrac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historical, natural, and living attractions.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the attraction through the records reproduced by subjective memory, the interpretation was performed through the viewing object of the attraction, the activities of the people, and the meaning given to the attr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representative attractions of Jinju Coun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divided into 'Jinjuseong Park (historic attraction)', 'Namgang(natural attraction)', and 'Main town and Jinju Station area(living attraction)' with Chokseokru. Seco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amous attraction of Jinju will be moved to Namchon, which is connected to the south of the Nam River, centering around the existing Chokseokru, where the main shrine is located, and the area around Jinju Station, which was newly built in Bukchon, the center of Jinjuseong. Third, it is necessary to connect Bukchon, Namgang, and Namchon, where the origin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Jinju landscape are found most condensedly, as one original city center and connect them to regional regeneration.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진주군을 기록한 기행록, 여행안내서, 지역안내서, 관광안내엽서, 신문 기록을 통해 진주의 명소를 파악하여 장소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진주군의 역사와 공간변화에 기초한 사실적인 문헌자료를 통해 명소 분포를 도출하였으며, 역사명소, 자연명소, 생활명소 등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시대별·집단별로 인식한 명소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일제강점기 진주군의 대표명소는 촉석루가 있는 ‘진주성공원(역사명소)’, ‘남강(자연명소)’, ‘본정과 진주역일대(생활명소)’로 구분된다. 이들은 일제강점기 진주경관의 발달 특징을 가장 압축적으로 보여주며 진주민의 일상적 삶의 궤적이 중첩된 장소였다. 둘째, 일제강점기 진주의 명소는 본정이 위치한 촉석루, 진주성 중심의 北村에서 신설된 진주역일대를 중심으로 남강 남쪽에 있는 南村으로 이전되면서 역사명소에서 생활명소로 관심이 이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1910~1920년대에는 자연명소와 역사명소 중심이었다면, 1930~1940년대는 생활명소들이 일상의 중심역할을 하였다. 진주지역 조선인은 역사적장소를 명소로 인식한 반면, 조선총독부 관료 및 일본인은 근대시설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진주가 가지고 있던 전통적 행정중심도시로서의 기능은 탈각되어 간 반면 보편적인 근대도시로 발달을 보여줌과 동시에 미래 진주의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 진주성이 있는 남강 북쪽 권역뿐만 아니라 남강 남쪽 권역의 진주역 일대까지 확대하여 하나의 원도심으로 바라볼 필요성을 설명한다.
백승옥 ( Beack Seoung-ok )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2
이 글의 목적은 현 경남 함안에 존재했었던 안라국의 역사를 향후 어떻게 연구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안라국사 연구의 중장기적 안목과 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목적 달성을 위해 최근까지 진행된 가야사 연구의 흐름과 안라국의 역사를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① 가야 각국들 간의 존재형태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그동안 『三國遺事』의 五伽耶條 등을 근거로 가야제국은 연맹체의 형태로 존재했었다고 설명되어 왔다. 가야전기에는 김해의 금관가야가 중심이 된 가야연맹체가, 후기에는 고령의 대가야가 중심이 된 연맹체가 존재했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맹체론 속에서는 안라국사가 제대로 정립될 수 없다. ② 안라국의 내부구조를 밝히는 작업에 더욱 주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안라국의 국가발전단계를 논할 수 있을 것이다. ③ 안라국이 존립하고 또 존재할 수 있었던 기본 동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관련하여 안라국의 해양적 성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당시 지리적 환경과 진동만을 통한 바다로의 진출과 관련한 연구가 더해져야 할 것이다. ④ 안라국의 대외관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다. 안라국과 백제, 고구려, 신라, 倭와의 관계는 물론, 다른 가야 諸國들과의 관계와 그 속에서 안라국의 위상 등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어야 할 것이다. ⑤ 그 외에 안라국과 관련된 地名과 인명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way how to research the history of Anraguk which had existed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Haman county in the future. This is because it requires long term perspective and plan to study Anraguk history. To achieve the purpose, this paper gathered the flow of Anraguk history studies which had been conducted until a recent date and arranged the history of Anraguk. As a result, we believe that the following issues are to be resolved. ① The arrangement about the existence forms among Gaya countries is needed. Meanwhile, Gaya empir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form of federation on the basis of Ohgayajo(五伽耶條) in Samgukyusa(三國遺事). It has been described that in the early of Gaya, Geumgwan Gaya of Gimhae was the center of the federation, and in the late Gaya, Daegaya of Goryeong was the center of the federation. But the history of Anraguk cannot be established properly in this theory of federation. ② We should focus more on the task to illuminat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nraguk. It will enable us to discuss the stage of development of Anraguk. ③ The researches about the dynamics which made Anraguk exist are necessary. In this regard, the marine nature of Anraguk should be noted on. The study regarding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at the time and the expansion to the ocean through Jindong bay should be added. ④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foreign relations of Anraguk. The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Gaya countries(諸國) and the status of Anraguk among them as well as relationship between Anraguk and Baekje, Goguryeo, Silla, Wae(倭) should be progressed. ⑤ The studies about place names(地名) and human names are also required.
정강환 ( Jeong Gang Hoan ),노용호 ( Roh Yong Ho ) 부경역사연구소 2004 지역과 역사 Vol.-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ientific festival programs based on history. To develop programs, this study researchers used various methods including history books about Jang, Young-sil, surveys from potential visitors, consultings from history experts. This study provided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based scientific programs. This study also analyzed resources and provided SWOT of this festival, strategy model based on target market, and positioning for the festival.
근세 세계화(archaic globalisation)의 맥락에서 본 조선시대사
신상원 부경역사연구소 2023 지역과 역사 Vol.- No.53
유럽 내에서 조선시대사 연구는 한국학 (Korean Studies)이라고 하는 분과 아래에서 행해지고 있다. 한국학은 한국의 정치, 사회, 문화, 역사 등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지역학의 하나이다. 당연히 이런 종합적인 이해를 위한 노력으로 인해 다양한 주제와 시기를 넘나들므로, 한국학이 다루는 범위는 아주 넓다. 당대 한국과 역사 속의 한국,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한국까지 포함하는 학문 분야인 것이다. 한국학의 조선시대사 연구는 이런 넓은 범위 안의 한 분과이다. 유럽 내에서 한국의 관심 증가에 따라 이런 한국학과 그 분과인 조선시대사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는 전근대시기 보다는 근대 그리고 현대시기에 집중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전근대시기 연구에서는, 조선후기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며, 고대시기나 고려시기는, 원래부터 연구가 많지 않은 분야인 전근대 시기에서도 더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 내 조선시대사 연구는 의미있는 연구 결과들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영미권의 세계화 연구 경향에 따라 연구되어, 세계사와 동아시아사적 차원에서 조선시대사를 보는 경향이 크다. 본 논문은 최근의 이런 유럽 내 조선시대사 연구들을 통해, 세계화의 맥락에서의 한국사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Within Europe, scholars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re actively engaged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Korean Studies, as an area of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plore various facets of Korea, including its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history. Consequently, Korean Studies encompasses a broad spectrum of topics and historical periods, spanning from contemporary Korea to its rich historical past and even its future. Studying on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constitutes an integral part of this expansive field within Korean Studies. As interest in Korea continues to burgeon in Europe, research endeavours focusing on Korean Studies and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undertaken by scholars in the discipline, are steadily gaining momentum.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research on Korean Studies in Europe predominantly centre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with relatively less emphasis on the pre-modern era. Moreover, within the pre-modern period, there is a prevailing concentration on the late Chosŏn period, while the ancient and Koryŏ periods occupy a relatively smaller niche within this field of study. Despite these tendencies,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conducted in Europe yields substantial and insightful findings. These outcomes are frequently situated within a global and East Asian historical context, aligning with prevailing academic trends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This research endeavours to explore the history of Korea within the framework of globalisation, drawing upon recent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conducted within the European academic landscape.
이종봉 부경역사연구소 2014 지역과 역사 Vol.- No.34
This article attempts to review the foundation and activities of the Pukyung Institute for Korean History. And it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the institute and the extended suggestions for the institute as well. From 1992, there had been a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As a result, it was founded on February 19, 1994 with the aim of studying on local history and popularizing history. As for its organization, there were the general assembly, the council, an auditor, the steering committee, a director, the first and second research bureaus, the secretariat, and the editing bureau. Shortly after, the second research bureau was abolished. And the planning office was newly installed and operated. Popularizing history has been carried out in two primary direction: public lectures and history trips. The public lectures have been given on a wide variety of historical subjects. The institute also had consistently a number of the history trips from the time when it was established to 2007. Recently, the institute is pushing forward the two activities by the Non-profit Organization Support Project of Busan. The institute has generated the academic achievements on local history as follows. First, a number of historical books for the public were published including following works: 『Gaya History for Citizen』, 『The History of Busan for Citizen』, and 『History of Busan for Citizen』. The institute also authored some academic texts like 『Korean History and Korean People』 in two volume which was intended as a historical introduction. In addition, the institute have held 28 symposia on local history such as ‘Review and Suggestion for Local History,’ the first symposium, and ‘local movement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in commemo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Korean Liberation. These symposia have been contributed greatly to studies on local history and Korean history.
조선 후기 사회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 -
염정섭 부경역사연구소 2016 지역과 역사 Vol.- No.38
As the main entrance explaining the late Joseon society, we can point out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and peasant society theory. Meanwhile most researchers of Korean history largely based on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Key element of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is maybe sprout of capitalism thoery. Sprout of capitalism thoery argued wealthy managerial peasants during 17-19 century Joseon society as a type of capitalist tenant who managed a lot of arable land. But Sprout of capitalism thoery has a problem in that it would have to apply historical development of Western history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Ages into Korean history. The emergence of capitalism in agriculture was the unique phenomenon confined to the UK in world history, that is a downside to sprout of capitalism thoery. The presence of wealthy managerial peasants needs to go through the new certification process and then wealthy managerial peasants could be re-established as a historical existence. Peasant society theory explained that the peasants are self-reliant farming farmers not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But there are lots of question about peasant society theory esp. maturity of peasa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y don’t explain the problems of modern East Asia. Finally I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part to re-establish the contents of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is that we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governance system. 조선 후기 사회 성격을 설명하는 주요한 입장으로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을 지목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사회에 대한 성격 규정과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 그동안 한국사 연구자들의 이해는 대체로 內在的 發展論에 입각한 것이었다. 내재적 발전론의 핵심요소는 자본주의 맹아론이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 맹아론은 17~19세기의 조선 사회에 자본가적 借地農, 즉 경영형 부농의 성립하고 성장하였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자본주의맹아론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발전이 서양사의 역사발전단계론을 한국사에 적용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등장이 세계사에서도 영국에 국한된 현상이었다는 점도 자본주의 맹아론에 불리한 점이다. 경영형 부농의 존재 유무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실은 자본주의 맹아론을 실증의 측면에서 비판하는 것이다. 경영형부농의 존재를 밝힌 양안의 성격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경영형부농의 존재는 새로운 역사적 논증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역사적 존재로 재정립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농사회론은 農民 대중의 자립적 농업경영이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야 가능하였다고 설명한다. 이에 따라 18세기 이후 1950년대까지 조선사회의 성격을 소농사회로 규정한다. 그런데 小農이 과연 조선 후기에 특별히 성숙된 것인지 의문이다. 그리고 조선사회의 農法 변화에서 더욱 커다란 의의를 갖고 있었던 것은 14세기 후반 벼농사 연작법의 정착이라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소농사회론은 일면적인 분석결과의 혐의가 짙고 게다가 동아시아의 ‘근대’에 대한 설명이 거의 不在하다는 점도 문제점이다. 내재적발전론의 내용을 재정립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배체제의 변화를 파악하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