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및 건축 분야의 성인지통계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장미현(Jang, Mi-Hyun),차은아(Cha, Eun-Ah),강미선(Kang, Mi-Seon)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11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Mainstreaming’ strategy, creating gender statistics is a basic requirement for the gender-sensitive policy making along with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Gender-sensitive Budget. In spite of its significance and urgency, Gender-sensitive Statistics has hardly been produced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since the field has not only long been regarded as gender-neutral and but also been disinterested in the gender-sensitive policy mak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gender statistics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and to propose the ways of improvement for the production of gender statistics and its application. Developing Gender-sensitive Statistics enables to enlighten the different situations of men and women and to analyze the different influence of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al policy for creating gender-sensitive urban environment.

      • SSCISCOPUSKCI등재

        Gender-Sensitive Sex Education for the Youth in Korea

        LEE-MOK, Sohee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14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20 No.2

        한국의 청소년성교육은 법과 정책에 의해 제도화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 어떤 성교육을 지향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가부장적이고 성별 규범적인 성문화를 바꾸기 위한 대안으로 성인지적 관점의 성교육을 제안한다. 성인지적 성교육은 1) 성차별적인 젠더체계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게 하고 2) 성적 위계질서를 구성하는 “정상/비정상”에 문제제기 하고 3) 인문사회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차이와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 아하!청소년성문화센터의 체험형통합성교육은 발달단계와 성별에 따른 성문화를 고려해 기획 및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성인지적 성교육이 어떻게 성문화에 대한 비판적 관점 형성 및 성주체성 기르기를 가능하게 하는지 보여준다. 성인지적 성교육 확산을 위해서는 성인지적 관점을 훈련한 전문지도력 양성, 현실적인 예산 확보, 다양한 청소년 성문화 담론화가 필요하다. Recently in Korea, the importance of sex education for the youth is receiving more attention than ever before. This is related to the phenomena of child/youth sexual abuse, cyber pornography, statutory rape, etc. Meanwhile, the youth have emerged as the focus group to discuss sexual desire and practice. Therefore, the question that has been raised is what kind of sex education should we aim at?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for sex education and exploring of suitable practices to be delivered by the program “Aha Sexuality Education & Counseling Center for Youth” in Korea. A gender- sensitive sex education should include sensitivity regarding diversity in age, race, class, religion, sexual orientation, and identify a critical perspective about double standards and patriarchal culture. In order to develop a gender-sensitive sex education, experts are required with training in gender sensitivity and appropriate experience, so that the youth will be able to adopt a critical perspective towards social, cultural, and practical sexual norms.

      • KCI등재

        스포츠 성폭력 범죄의 처벌에서 ‘성인지 감수성’의역할과 과제

        이성기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9 스포츠와 법 Vol.22 No.2

        Gender sensitivity is being notably stressed in the Korean trials of the sexual violence crimes. Gender sensitivity, in a broad term, means social or collective intellectual capacity to identify gender discriminative factors deeply rooted in our social or cultural structures and to devise proper politic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in an effort to substantialize gender equality in the society. In a narrow sense, however, gender sensitivity from a evidential perspective in the sexual violence trials requires the court to recognize the crime from an average-victim perspective. From a latter perspective, gender sensitivity will lead some serious problems as well as some positive changes in the Korean trials of sexual violence crimes. This article discusses expected problems which are resulted from the meaning of gender sensitivity in criminal trials. For instance, due to its vague meanings gender sensitivity may cause a risk for the court to generalize a specific testimony of a sexual crime victim as being objectively trustworthy without logical discussion in trials. Gender sensitivity also may result in the court of public opinion.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courts use the word “average-victim-perspective” instead of “gender sensitivity.” This article also prospects some positive roles of gender sensitivity that will interpret in a victim’s perspective the elements of sexual crimes such as rape, sexual intercourse by authority, indecent act by compulsion. However, to maintain the normative power of gender sensitivity in criminal trials, much more academic research is required on average behavioral traits or psychological conditions of sexual crime victims. This article also suggests that the court provide the judges with education programs of gender sensitivity. 최근 성폭력범죄 재판에서 강조되는 ‘성인지 감수성’의 개념은 넓게 보면, 우리 사회, 문화 속에서 구조적으로 형성된 성차별적 가치를 간파하여 양성 평등의 실현을 위한 정책 및 제도적 조치를 강구해나가는 사회적, 집단적 지적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재판을 위한 증거법칙적인 관점에서 ‘성인지 감수성’은 성폭력 범죄의 성립 여부를 피해자의 평균적 관점에서 판단할 것을 요구하는 개념으로서 향후 성폭력범죄의 재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몇 가지 우려되는 문제점도 있다. ‘피해자의 평균적 관점’이라는 의미에서의 ‘성인지 감수성’은 경험법칙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의미의 모호함으로 인해 피해자의 진술을 섣불리 일반화하는 오류와 그로 인해 재판에서 객관적이고 치밀한 논증이 생략될 우려가 있다. 가치 함축적이고 목적 지향적 의미로 인해 여론 재판의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가치중립적이고 법적 수용이 가능한 ‘피해자의 평균적 관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한편, ‘성인지 감수성’은 향후 피해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다 두텁기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 구성요건의 해석기제로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한다. 예컨대, 감독자의 위력에 의한 간음죄의 성립 여부에 있어서 간음 행위 당시의 구체적인 위력이 없어도 평상시의 강력한 권력관계에서 발생하는 위력이 존재하고, 피해자의 의사에 반한 간음행위가 있다면 범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강간죄의 폭행, 협박의 기준도 최협의에서 협의로 사실상 변경될 가능성도 있으며, 강제추행죄의 추행 여부의 판단도 피해자의 관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변화를 유도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는 특히, 상하 권력관계가 매우 강한 스포츠 분야에서 코치나 감독에 의해 자행되는 다양한 성범죄의 입증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성인지 감수성’이 성폭력 재판에서 보다 효과적인 규범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이고 객관적으로 판단이 가능한 피해자의 평균적 행동 특성이나 심리적 상태에 대한 보다 다양한 학문적 연구와 이를 통한 일반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관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훈련도 병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Hee-jung Lim ),( Ki-eun Kim ),( Eun-Jung NamKoong ) 한국치위생과학회 2021 치위생과학회지 Vol.21 No.2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confirm the necessity of gender equality programs in the curriculum.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using the Gender Sensitivity tool and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for Adolescents (KGES-A). Results: First,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the students who took women’s studies was high in the areas of educational life and socio-cultural life, and that of the subjects of grandparent families and Catholic was found to be high in the domestic life area. Second, the gender sensitivity of the subjects who took women’s studies was found to be high in all sub-areas. In addition, the gender sensitivity of females was higher in the areas of sexual identity, non-violence, and self-reflection than that of males. That of 4-year college students was higher in the areas of sexual identity, openness to gender roles, and non-violence than that of 3-yea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 gender sensitivity of Catholic students was high in the areas of sexual identity and openness to gender roles. Thir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depending on whether subjects took women’s studies, family type, family type, and religion, and gender sensitivity was found to have an effect depending on whether subjects took women’s studies or gender. Conclusion: Since dental hygienist is a profession that targets humans, education that can instill equal awareness and values of humans is important. To inspire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a prospective professional, it is necessary to conduct programs and education related to gender intelligence within dental hygiene curriculum.

      • 우리나라 국민연금 수급현황에 대한 성 인지적 분석

        김미자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2

        성 분석(gender analysis)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은 1995년 제 4차 북경여성대회에서 성 주류화의 개념이 행동강령에 포함되면서 부터이며, 우리나라도 2002년에 개정된 여성발전기본법에 일반정책이 남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도록 명시함으로써 정부 부처의 모든 정책이 성 인지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나 다른 나라에 비해 성 분석에 대한 활동과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고에서는 현재 가족내에서 남성에 비해 노후소득보장에 대해서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더욱이 인구고령화, 이혼율의 급증, 낮은 출산률 등 가족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여성이 남성배우자의 피부양자의 지위로 노후소득을 보장받는 보장체계로는 노후소득보장의 사각지대에 놓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여성의 노후소득보장으로서 중요한우리나라 국민연금 현황에 대한 성 인지적 분석을 통해서 국민연금 제도가 양성평등적인가의 문제를 제기하며, 국민연금 제도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국민연금제도 의의 및 특성과 연금제도에서 가족지원에 대한 주요국가별 비교와 성 주류화, 성 인지적 개념등의 이론과 성 분석의 주요 준거틀을 통해 국민연금 수급 현황에 대한 성 인지적 분석을 하였다. The discussion about gender-based analysis has been activated since the codes of conduct in the 4th Beijing Woman Assembly included the mainstreaming gender concept in 1995.Korea also laid the founda-tion to build up every governmental policy in a gender sensitive way as stating clearly that the impact of general policies on either sex should be considered in Woman Development Basic Law, which was re-formed in 2002.However, the activities and researches on the gender analysis are insufficient in compar-ision with other countries. Currently, women are in a vulnerable state as compared to men in their family in regard of the elderly income security.That is, the elderly income security system which regards women as their spouses’ dependants is likely to locate women in a blind spot of the elderly income security system under radical change in family struc-ture caused by population aging, rapid increase of divorce rate, and low ferti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question whether the National Pension System is genderly equal,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which is important for securing women’s old age income, through the gender sensitive analysis.This paper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and traits of National Pension System, compared pension sys-tems of main countries, and applied the theories such as mainstreaming gender, gender sensitive concept and gender-based analysis.

      • A Gender-Sensitive Analysis of Precedent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Deuk-kyoung Yoon,Bok-soon Park,Eui-jeong Hwang,Cha-yean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GSPR(Gender Studies and Policy Review) Vol.9 No.-

        A gender-sensitive analysis of precedent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is expected to resolve male-centered social norms while addressing the power im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thus setting a direction for a more balanced life for men and women. It should also contribute to ensuring the human rights of women, who constitute the majority of violence victims, as well as to actualize the vision of Article 10 of the Korean Constitution: “All citizens shall be assured of human worth and dignity.” With the progress in laws relating to women and the family, a number of precedents dealing with violence against women have been accumulated. However, there has yet to be a quantitative study analyzing these precedents in earnest, let alone one provid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this study, a gender-sensitive approach will be applied in order to analyze precedents concerning violence against women, particularly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and to propose a number of legislative tasks. This study addresses the history of law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changes in the way these laws have been applied, a gender-sensitive analysis of precedents concerning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and suggestions for legislative tasks. Several methods were employed in the study, including a literature review, collection and analysis of precedents relating to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workshops on the respective topics of precedents relating to violence against women, and expert meetings seeking advisement. Regarding precedents for sexual violence, 705 cases of rape and forced indecent acts brought to courts of third instance between 2000 and 2013 were analyzed. For precedents regarding domestic violence, 56 family protection cases focusing on violence, injuries and assaults by spouses and 582 additional criminal cases were analyzed from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From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legislative tasks proposed based on the sexual violence precedents include the prescription of all acts of non-consensual sexual contact, even in the absence of manifest physical resistance, and the refinement of sexual violence laws. Legislative tasks proposed based on domestic violence precedents include a change in the legislative paradigm for laws addressing special cases of domestic violence and actualization of punishment levied on domestic violence crimes. Other suggestions include expanding awareness of gender sensitivit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mong law enforcement officials.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이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윤지원(Ji Won Yoon)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2

        최근 성과 관련된 문제가 대학사회에도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면서 성적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성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과 실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 성적 자율성의 정도와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을 높이고 바람직한 성문화 조성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미혼의 남녀 2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성인지 감수성은 5점 만점에 평균 4.18점, 성 태도는 3.38점, 성 의사소통은 3.07점, 성적 자율성은 4.23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 및 성적 자율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t=-4.77, p<.001), 학년(F=3.39, p=.019), 이성교제 경험(t=-5.24, p<.001)에 따라 성인지 감수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t=-3.08, p=.001), 학년(F=3.84, p=.010)에 따라 성 의사소통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t=-2.02, p=.023), 대인관계 만족도(F=8.64, p<.001)에 따라 성적 자율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적 자율성은 성인지 감수성(r=.216, p=.004), 성 태도(r=.301, p<.001), 성 의사소통(r=.336,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성 태도는 성 의사소통(r=.424, p<.001) 및 성인지 감수성(r=.260,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 의사소통(β=0.306, p<.001), 성별(β=.231, p<.001), 대인관계 만족도(β=0.182, p=.003), 성인지 감수성 (β=0.155, p=.015), 성 태도(β=0.136, p=.043)의 순으로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6.7%였다. 즉, 성 의사소통과 성 태도가 개방적일수록 대인관계 만족도와 성인지 감수성이 높을수록 성적 자율성이 높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성적 자율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스로 성 관련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의 성에 주도권을 가질 뿐 아니라 상대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올바른 성 가치관을 형성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성문화를 형성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sexual autonomy and create desirable gender culture. As gender-related problem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college student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practice to protect oneself from sexual problems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maintain sexual health is emphasized. Reflecting these chang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egree of gender sensitivity, sexual attitude,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autonomy and then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gender sensitivity, sexual attitude,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autonomy. Also, it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exual autonomy in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unmarried men and women, with 230 attending a university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2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gender sensitivity was an average of 4.18 points out of 5 points, sexual attitude was 3.38 points, sexual communication was 3.07 points, and sexual autonomy was 4.23 points. And it analyzed the difference in gender sensitivity, sexual attitude,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autonom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sensitivity by gender (t=-4.77, p<.001), grade (F=3.39, p=.019), and dating experience (t=-5.24, p<.0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communication by gender (t=-3.08, p=.001) and grade (F=3.84, p=.010),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autonomy by gender (t=-2.02, p=.023)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F=8.64, p<.001). Sexual autonomy was positively related to gender sensitivity (r=.216, p=.004), sexual attitude (r=.301, p<.001), and sexual communication(r=.336, p<.001). Sexual attitude was positively related to sexual communication (r=.424, p<.001) and gender sensitivity (r=.260, p<.001). The influencing factors in college students' sexual autonomy were sexual communication (β=0.306, p<.001), gender (β=.231, p<.001), interpersonal satisfaction (β=0.182, p=.003), gender sensitivity (β=0.155, p=.015), and sexual attitude (β=0.136, p=.043)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6.7%. In other words, the higher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attitude,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gender sensitivity, the higher sexual autonomy. It was also confirme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sexual autonomy than male students. The results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so that they can develop the ability to prevent sexual problems on their ow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one will not only take the initiative in one's sexuality but also contribute to forming a proper sexual value that can protect the rights of the other person and create a desirable sexual culture.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젠더감수성 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성차를 중심으로

        김경령(Kyeong Ryeong Kim),서은희(Eun Hee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위한 젠더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젠더감수성 차이와 프로그램의 효과 차이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1개교의 ‘성심리와 성교육’ 수강생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 61명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검사를 진행하여 젠더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젠더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은 12회기(회기당 100분)로 구성되며, 젠더감수성의 개념과 최근 경향성을 충분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적대적 성차별, 온정적 성차별,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에서 남자 대학생의 젠더감수성 수준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젠더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은 대체적으로 대학생의 젠더감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는 전체 집단과 남학생 집단에서 적대적 성차별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의 점수가 프로그램 참여 후 향상되었다. 여학생 집단에서는 여성혐오와 온정적 성차별의 점수가 프로그램 참여 후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성차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교육과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교육적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ender sensitivity program and to verify the gender difference in gender sensitivity and the effect of gender sensitivity program. 61 college students who agree to join this study among attendance at ‘psychosexuality and sex education’ responded pre and post surveys of gender sensitivity. The gender sensitivity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100 minutes per session) and involves the concept of gender sensitivity and recent trend of sexual discrimination and sexual viol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hostile sexism, benevolent sexism, and discrimination against sexual minority. Second, gender sensitivity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ender sensitivity program was advanced more than before. After gender sensitivity program, except for hostile sexism, all sub-factors of gender sensitivity were improved in male group and total group. After gender sensitivity program, misogyny and benevolent sexism growed up in female group. The effect of gender sensitivity program was not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도서지역 주민의 젠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연구

        유상미 ( Yu¸ Sang-mi ),김병록 ( Kim¸ Byung-rok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도서 지역(island area) 주민들의 젠더 감수성(gender sensitivity) 수준을 살펴보고, 젠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ecological system) 변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전라남도 신안군에 소재한 14개의 읍·면 중에 연륙·연도 사업을 통해 외부 지역과의 지리적 접근성 및 접촉 빈도가 높은 4개 읍·면(압해, 지도, 흑산, 비금)의 주민들이다. 이는 도서 지역의 지리적 특성 및 시기적 특성에 의해 젠더 감수성 인식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도서 지역 주민의 젠더 감수성은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선정된 조사문항으로 측정한다. 젠더 감수성은 설문조사의 결과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성차별(gender discrimination)과 성역할 고정관념(gender role stereotype)의 요인으로 분류한다. 주민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젠더 감수성 차이를 분석하는데, 성별, 연령, 직업, 학력, 거주 년 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다. 특히 ‘직업’ 변인에서 단순 노무 종사자와‘학력’변인에서 무학력자가 성차별 인식 및 성역할 고정관념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생태 체계변인이 젠더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생태 체계 변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결과로 거시체계 영역 중‘직업 생활 인식’이 도서 지역 주민들의 젠더 감수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서 지역의 경우는 특히나 남성 중심적 직업 인식이 강해 농업·어업의 경영인, 사업주, 특정 모임의 대표 등을 남성들이 수행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남녀 분리된 직업 환경은 남성 또는 여성에게 고정화된 이미지를 각인시킬 뿐만 아니라 특정 직업에서의 성별 일관된 이미지는 개인의 젠더 감수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한다. 본 연구는 도서 지역 주민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젠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도서 지역에 대한 연구는 접근성의 한계로 인해 거의 진행되지 않는 상황으로, 연구 대상의 외연을 확장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의 일반화 등의 한계도 지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gender sensitivity of the residents of the island area, and to identify the ecological system variables that affect gender sensitivity. Among the 14 eups and myeons located in Sinan-gun, Jeollanam-do, residents of 4 eups and myeons (Abhae, Map, Heuksan, and Bigeum) with high geographical accessibility and contact frequency with external regions through the Yeonryuk and Year project. This is because it is judged that there will be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gender sensitivity depending on the geographic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region. The gender sensitivity of island residents is measured by survey questions selected through review of previous studies. Gender sensitivity is classified into the factor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gender role stereotype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t analyzes the difference in gender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population'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backgroun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 according to gender, age, occupation, education, and number of years of residence. In particular, in the 'occupation' variable, the simple labor workers and the non-educated in the 'educational' variable have high recogni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gender role stereotypes. Next, we analyze the influence of ecological system variables on gender sensitivity.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f the ecological system.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life perception” of the macroscopic syste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ender sensitivity of the residents of the islands. In the case of islands, especially male-centered occupational awareness is strong, and males are often carrying out agricultural and fishery managers, business owners, and representatives of specific meeting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gender-separated occupational environment not only imprints a fixed image on men or women, but also that a gender-consistent image in a specific occupation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n individual's gender sensit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ek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gender sensitivit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residents in islands. In particular, research on islands is a situation that hardly proceeds due to the limitation of accessibility, and it is significant that the extent of the research subject has been expanded. However, limitations such as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are also pointed out.

      • KCI등재

        성인지적 관점의 군대 젠더폭력에 대한 연구

        허경미 한국공안행정학회 202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the sexual assault case of the 20th Fighter Wing of the Air Force as national gender violence and to seek a desirable response direction from a gender perspective. Looking at the issues of sexual violence in the Air Force from this point of view, first, it lacked a gender-sensitive approach in the sexual assault case handling procedure, second, it revealed the typical form of national gender violence through poor investigation and organized concealment, and third, the collapse of the victim support system and professionalism. Fourth, it revealed the limitations of the military criminal justice system against gender violence. As a policy suggestion from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to solve this problem, first, military sexual violence cases should be regarded as gender sensitive based violence and a gender-sensitive criminal justice system should be applied. Second,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soldiers and unfair systems and attitudes need to be improved, and discrimination in hiring, education, promotion, personnel assignment and living conditions should be prohibited. Third, the proportion of female military officers should be increased through the integrated recruitment of men and women at the 3 Military Academy. Fourth, a human rights bureau (office)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each military headquarters. Fifth, military courts that cannot expect sexist criminal proceedings should be abolished. 이 연구의 목적은 공군제20전투비행단 성폭력사건을 국가젠더폭력으로 진단하고 성인지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대응방향을 모색하는데 두었다. 공군성폭력 사건의 쟁점을 살펴보면 첫째, 성폭력사건 처리절차에서 성인지적 접근태도가 결여되었고, 둘째, 부실수사와 사건은폐로 국가젠더폭력의 전형을 드러냈으며, 셋째, 피해자지원체계 붕괴와 전문적 역량을 갖추지 못했으며, 넷째, 젠더폭력에 대한 군형사사법체계의 한계를 드러냈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한 성인지적 관점의 정책적 제언으로 첫째, 군대성폭력 사건을 젠더폭력으로 간주하고 성인지적 형사사법시스템을 적용하여야 한다. 둘째, 여성군인에 대한 차별과 불공정한 제도 및 구성원 태도개선이 필요하며, 임용‧교육‧승진‧인사배치 및 생활여건 등에서 차별이 금지되어야 한다. 셋째, 3군 사관학교의 남녀통합모집으로 여성장교 비중을 늘려야 한다. 넷째, 국방부 및 각군 본부에 인권국(실)을 두어야 한다. 다섯째, 군사법원은 성인지적 형사절차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폐지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