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레비나스의‘ 가족’에서 분리와 거리두기의 관계윤리

        박연규(Park, Yeoung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2

        이 논문은 레비나스의 ‘가족’에 대한 타자윤리적 논의를 그의 분리 개념을 통해 살펴보면서 논자가 관계윤리의 관점에서 제시했던 ‘거리두기’와의 관련성을 탐색해본 글이다. 레비나스는 가족을 그의 타자윤리의 대표적 비유로 가져오면서, 한편으로 그의 타자윤리가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실현 방법으로 제안하고 있다. 레비나스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자기동일화의 위험성을 알렸고, 진정한 타인과의 관계에는 분리라는 일차적 과정이 필수적임을 보여주었다. 타인과의 제대로 된 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면 타자는 나에게 전체화되어 그를 소유하고 통제하고 지배하게 된다. 그러므로 분리야말로 타자를 제대로 만날 수 있는, 즉 타자에게로 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이러한 분리 작업은 거리두기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타자와의 관계에서 윤리적 몸의 변화를 통한 거리두기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대로 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친숙함 또는 익숙함에는 이미 자기 주체화 과정이 심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친숙함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하다. 거리두기나 분리의 과정 모두 윤리적 태도의 전환을 의미한다. 가족의 대표적 이미지는 친숙함이다. 그러나 친숙함 그 자체를 방치하게 되면 가족은 적절한 관계 맺기를 할 수 없게 되며 사랑이나 배려 등의 윤리적 관계를 담보할 수 없게 된다. 가족의 행복이 어떤 식으로 전개되어 가든 그 가장 원초적인 바탕은 친숙함에서 벗어나 적절한 관계 맺기에 있으며 그것은 분리나 거리두기의 형태로 발전되어야 한다. 분리 개념은 레비나스 타자윤리의 고유한 개념이며, 거리두기는 유가의 경(敬) 사상의 핵심 개념이다. 논자는 이 글에서 유가의 경사상과 레비나스의 윤리에 대한 본격적인 비교 분석을 하지 않았지만, 이 두 개념 사이에 타인을 대하는 공통분모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최소한 분리나 거리두기 개념이 친숙함의 공간인 가족에서 어떠한 윤리적 효과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인가가 이 글의 진정한 관심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looked into the meaning of separation of family that Levinas argued in others ethics. And I related it to the concept of distancing which I once proposed as an attitude of relational ethics. Levinas brings the concept of ‘family’ as a typical metaphor representing his others ethics, while through it he lets us notice the danger of self-identification with others, and he proposes the primary process of separation in the relation of others. If separation does not properly work, others are owned, controled, and totalized by ourselves. Thus the concept separation can be a way by which we can go to and meet others. Separation has the same meaning with distancing. If there is no process of distancing by the substantial change of my ‘ethical body.’ I cannot hold an appropriate relation to others. That is,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the familiarization in which the subject of me was already deepened.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distancing means the change of the ethical attitude. The well known representative image of family is familiarization. But if we leave it alone, we cannot have a proper relation to the family members and cannot secure the ethical relation of love and care. The happiness of family is open, and that is not matter here though. Ironically the basic nature of the family rather depends on the proper relation from escaping the familiarization. Above all it should be developed in the form of separation and distancing. Separation is the characteristic concept of Levinas, while distancing is a concept extracted from the Confucian idea of Jing(敬) that I gave it much significance. In this article, I did not put a full-scale comparison of both. I rather anticipated to find a common sense of both. I, with both concepts of separation and distancing, proposed a sort of ‘ethical effects’ from the familiar place of family, and I hope it might be my genuine interest.

      • KCI등재

        중국 고대소설에서 ‘중복’의 서사론

        趙寬熙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49 No.-

        서사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중복repetition’의 문제는 동서고금을 통해 비평가들이 주목했던 주요 항목 가운데 하나였다. 청대의 소설 비평가critic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중국 소설비평의 비조라 할 진성탄金聖嘆Jin Shengtan은 물론이고, 대표적인 평점가fiction commentator들인 장주포張竹坡Zhang Zhupo와 마오쭝강毛宗崗Mao Zonggang, 즈옌자이脂硯齋Zhi Yanzhai까지 ‘범to repeat’과 ‘피to avoid’의 문제를 언급했다. 이들은 ‘중복’, 곧 ‘범’의 문제를 소설 작자의 기량을 보여주는 하나의 척도criterion or measure로 보아, 훌륭한 작자일수록 ‘중복’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줄거리 구성이나 인물 형상을 빚어내는 데 적절하게 활용했다고 주장했다. 이들 가운데서도 ‘범피’에 관해 특히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던 이들은 진성탄과 마오쭝강이었다. 진성탄의 ‘정범Major Repetition’, ‘약범Minor Repetition’ 논의도 정치精緻하지만exquisite,, 마오쭝강은 《삼국지연의》 전체에 대한 그의 비평 가운데 상당 부분을 ‘범피to repeat and avoid’에 할애할 정도로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사실 이른바 ‘범필repetition’이 추구하는 바는 중국 고대소설 평점가들이 말했던대로 문장의 수사적인 차원에만 머무는 것은 아니다. 문학의 본령은 항용 독자들에게 새로운 정감을 제시하고 독자의 기대 지평을 뛰어넘는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에 있기도 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는 것이다. 곧 유사이래 끝없이 만들어지는 이야기들이 항상 독자들의 기대를 배반하고 새로운 감각을 제공하기보다는 늘 뻔한 내용이 반복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은 게 사실이다. 지금도 수없이 만들어지는 일일 드라마 등을 보더라도 그 내용은 항상 거기서 거기인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판에 박은 드라마가 만들어지는 것은 앞서 말한 대로 창작상 불가피한 측면이 있어서이기도 하지만, 독자나 관객 또는 청중들이 그것을 원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곧 서사의 수용자는 새롭고novel 기이한queer 것도 추구하지만, 자신들에게 익숙한 그 무언가something familiar에 안주하고자 하는 양면적인 심리를 갖고 있는 것이다. 그 과정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그와 같은 상투적인 이야기가 만들어지고 그것이 반복되면 하나의 관습Custom이 된다. 이미 하나의 관습이 된 서사는 추종자들에 의해 하나의 의식Ritual으로 승화하며, 이것이 극단적으로 나아가면 컬트Cult가 되는 것이다. 이야기의 ‘중복’ 또는 ‘반복’이야말로 이러한 과정을 주도해 가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곧 이야기의 ‘익숙함familiarization’이야말로 ‘낯설게 하기’와 함께 소설 작자가 이야기를 만들어 가면서 채용하는 주요한 서사 전략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The problem that ‘repetition’ often appears in the narrative works is the major component that critics focused on through all times and places. The critics of Qing dynasty also were without exception. The founder of Chinese fiction criticism, Jin Shengtan金聖嘆, the representatives of fiction commentators, Zhang Zhupo and Mao Zonggang, and even Zhi Yanzhai commented the issues of ‘repeating犯’ and ‘avoiding避’. Because they regarded ‘repetition’, that is, ‘repeating’ as a measure showing the writer’s ability, they argued that great writers did not avoid ‘repetition’ and rather properly utilized it in organizing a plot or shaping features of characters. Among them, those who profoundly discussed ‘repeating’ and ‘avoiding’ were Jin Shengtan and Mao Zonggang. While Major Repetition正犯 and Minor Repetition略犯 that Jin Shengtan addressed were exquisite, a large part of Mao Zonggang’s criticism o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reflected his high interest in ‘repeating’ and ‘avoiding’. However, in fact, the aim to employ ‘repetition’ was not only for rhetorical expressions as ancient fiction commentators said. The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presents readers with fresh emotion and defamiliarization different from readers’ expectation, but the opposite effect is produced, as well. Since the dawn of history, make-up stories had always gone against readers’ expectation and a cliche synopsis had been recursive rather than a different storyline. Even countless modern soap operas always have the same plot. Nevertheless, such stale soap operas are being made because not only do writers lack in creativity but readers or audience also want it. Namely, those who accept narration pursue ‘novel and queer’ things. Simultaneously, they have double-faced psychology to stick to something familiar. The process is schematized as follows. Once a cliche story is made and repeated, it becomes kind of custom. The customary narration is sublimed as a ritual by followers, and, in an extreme case, becomes a cult. The ‘redundancy’ or ‘repetition’ of a story plays a critical part in leading to such a process. In other words, familiarization of stories, along with defamiliarization, is one of the main narrative strategies that writers make use of when creating a story.

      • KCI등재

        친숙화-새로운 자극 선호 절차를 통한 6개월 영아의 재인 능력과 특수 인지 능력의 17개월 영아 IQ에 대한 예측

        성현란,심희옥,곽금주,배기조,장유경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8 No.4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ion of 17-month-old infants' global intelligence from 6-month-old infants' visual recognition memory and specific cognitive abilities. The secondary purpose was to investigate whether specific cognitive abilities such as object permanence and imitative ability as well as demographic variables can contribute to the prediction of 17-month-old infants' global intelligence. Recognition memory was meant to be the novelty rate which was measured by a familiarization-novel stimulus preference procedure. 17-month-old infants' global intelligence was measured by means of CAS-2(Cognitive Ability Scale-2). The recognition memory of 6-month-old infa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17-month-old infants' global intelligence. 17-month-old infants' global intelligenc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bject permanence measured at 15 months old, and with imitative ability at 9-, 11-months old, respectively. Moreover, demographic variabl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17-month-old infants' global intelligence. It is noteworthy in this study that 17-month-old infants' global intelligence was predictable only through recognition memory which was the one and only variable among various variables measured at a relative early age around 6 months old. 본 연구의 첫째 목적은 6개월 영아의 시각적 재인기억이 17개월 영아의 전반적 지능을 예언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둘째 목적은 17개월 이전에 측정된 대상영속성 및 모방과 같은 특수인지능력들과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이 17개월 영아의 지능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재인기억은 친숙화-새로운 자극 선호 절차를 통한 신기성 비율로서 측정하였다. 17개월 영아의 전반적 지능(IQ)을 측정하는 데에는 CAS-2를 사용하였다. 6개월 영아의 재인기억은 17개월의 전반적 지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특수 인지 능력 중에서 15개월에 측정된 대상 영속성 점수, 그리고 9개월과 11개월에 측정된 모방 점수만 전반적 지능과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그 외에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전반적 지능과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무엇보다도 6개월과 같은 초기의 지표 중에서 재인기억만이 17개월의 지능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KCI등재

        The Neo-Confucian Concept of Ritual Propriety, Learning by Familiarization, and Genuine Knowledge

        유소영,한재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25 No.1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Neo-Confucian concept of ritual propriety (li 禮). In the Neo-Confucian view, the advent of ritual propriety occurred by the tension between the moral ideal and ontological predicaments of human beings, such as material disposition (qibing 氣稟) and human desires (renyu 人欲). Although human affairs (renshi 人事)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Heavenly principle (tianli 天理), it would be extremely difficult for human beings to accomplish it. To resolve this problem, Neo-Confucians pay significant attention to ritual propriety, which serves as appropriate criteria in one’s everyday life. They define ritual propriety as the “formal code of human affairs,” which indicates the accessible instruction manual established by the sage, whereby human beings could start practicing to realize their original nature, which is the endowed Heavenly principle in their heart-and-mind. They also suggest the way to practice ritual propriety called “learning by familiarization” (xishu 習熟). Tis learning strategy requires one to accustom oneself to accordingly conducting ritual propriety since one’s childhood, like habit formation, as a groundwork for the higher level of learning. Seeking “genuine knowledge” (zhenzhi 眞知) through “apprehension of principles” (qiongli 窮理) as the next step of learning ritual propriety. In so doing, Neo-Confucians investigate the source of oughtness of human beings.

      • KCI등재후보

        국민참여재판에서 증인사전면담의 도입가능성에 관한 고찰 - 영국의 증인사전면담제도를 중심으로 -

        이승현(Lee, Seung-hyun) 대검찰청 2012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37

        국민참여재판에서는 공판중심주의적 심리절차와 집중심리가 이루어지고, 배심원은 법정에서 증인의 증언만으로 당사자의 주장과 입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국민참여재판은 검사와 피고인이 법관뿐만 아니라 비전문가인 배심원까지 설득해야 하는 부담을 지게 되고, 대체로 1일 재판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단시간 내에 배심원을 설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국민참여재판에서는 증인의 증언을 명료하게 하는 절차를 거침으로써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증인의 올바른 증언을 위해 검사가 증언 전에 사전면담을 할 필요성이 있다. 검사는 증인이 자연스럽게 증언할 수 있도록 질문사항을 미리 알려주고, 증인의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관련서류를 보여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증인의 진술 중 모순되는 내용을 명확하게 한다. 이것이 바로 증인사전면담이다. 증인사전면담은 크게 증인친화와 증인검사로 구분된다. 현행 수사실무에서 증인친화는 어느 정도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증인검사를 인정할지 여부를 두고 견해가 나뉜다. 증인사전면담은 검사가 공판준비를 철저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증인이 배심원에게 설득력 있는 증언을 하게 하여 형사사건의 실체적 진실 발견에 기여한다. 반면에, 증인사전면담을 통해 검사가 증인과 접촉할 경우 검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증언하도록하여 증언이 변질될 위험성이 크다는 비판이 있다. 영국은 예비조사와 몇 년간의 실무상 검토과정을 거쳐 2008년 2월부터 잉글랜드와 웨일즈를 중심으로 증인사전면담을 실시하였다. 영국은 증인사전면담에 대한 실행지침 (Pre-Trial Witness Interviews: Code of Practice) 뿐만 아니라 검사 가이드라인(Guidance for Prosecutors)을 마련해 두고 있다. 당초 증언 왜곡의 가능성 등에 대한 문제는 검사에 대한 사전교육 및 절차과정의 투명화 및 체계화를 통해 어느 정도 해소된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에서도 국민참여재판에서 증인의 효과적인 증언을 위해서는 증인사전면담이 필요하다. 다만 증인사전면담이 증언의 내용을 왜곡하거나 증언을 코치하게 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증언의 왜곡가능성을 막기 위해 증인사전면담은 증언 내용을 구체화하고, 증인의 기억에 있어서 차이가 나거나 빠진 부분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증언 변질이나 왜곡을 막기 위해 검사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증인에게 기억에 반하는 내용을 증언하도록 해서는 안 되고, 이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증인사전면담제도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형사소송법에 증인사전면담 허용에 대한 근거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증인사전면담을 위해서 검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한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증인의 증언 전 면담 참여 여부는 자발적이어야 하고 강제해서는 안 된다. 둘째, 판사와 상대방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만 증인에 대한 면담이 가능하다. 셋째, 증인의 범위는 피해자 등 특정한 범위의 증인으로 한정되어야 한다. 넷째 면담절차는 반드시 음성녹음, 영상녹화 등으로 기록되어야 한다. 다섯째, 증인사전면담을 통해 얻은 정보는 반드시 피고인에게 알려야 하고, 면담기록은 피고인에게 송달되어야 한다. 여섯째, 검사는 증인에게 면담 목적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증인이 면담과 관련하여 하는 질문에 대하여 성실히 답해야 한다. 일곱째, 증인이 요청한다면 증인지원자와 동석할 수 있도록 한다. 여덟째, 검사는 면담 과정 중에 항상 객관적이고 공정함을 잃지 않아야 한다. 이외에도 증인사전면담이 올바르게 정착하기 위해서는 증인사전면담 방식에 대하여 검사를 대상으로 한 연수 및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사가 사전면담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근무시간을 보장하고, 행정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Prosecutors need to interview witness before trial for the desirable testimony of the witness. During pre-trial witness interview(PTWI), prosecutors let the witness know about questions to make them testimony in natural way, and show them relative case files(documents) to bring back their memories. These pre-trial witness interview makes testimony of witness clear. PTWI consists of 'Witness Proofing' and 'Witness Familiarization'. Witness Familiarization has been used in recent criminal investigation.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over whether to admit Witness Proofing or not. PTWI contribute to discover the truth of the criminal cases in that it makes witness's testimony more convincing to the jury. On the other hand, PTWI has huge risk making the testimony distorted. UK(England and Whales) implemented PTWI on February, 2008 after going through pilot study and preliminary test in a real investigation for few years. UK prepared 『Pre-Trial Witness Interview: Code of Practice』 and 『Guidance for Prosecutors』. Controversy over the possibility of distortion of the witness testimony are settled in some extent by educating the practicing prosecutors and by making the process of PTWI transparent. In this respect, Korea needs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Pre-Trial Witness Interview for effective testimony in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However, PTWI should not distort or coach the testimony. To prevent distortion, PTWI has to be implemented by crystallizing the contents of testimony and supplementing missing parts. Moreover, prosecutors should not make the witness testify something against their memories, and clear guidelines are also needed. To introduce Pre-Trial Witness Interview, related provisions for PTWI needs to be provided in Criminal Procedural Law. In addition, guidelines for PTWI practice should be prepared, and it should include; 1) the decision of witness about whether to participate in PTWI or not should be voluntary. 2) PTWI is available only when judge and opposite party agree to the proposal. 3) Witness should be limited to victims or others having specific relation to the case. 4) The procedures of PTWI should be recorded in audio or video tape, or etc. 5) The supporters of witness should be together if witness asks. 6) Prosecutors should always maintain fair and disinterested attitude during PTWI. 7) Disciplinary training and education for prosecutors are needed.

      • Comical Operation of Dismemberment on Novel Characters

        Sea Hyunjoo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2011 수행인문학 Vol.41 No.2

        Charles Dickens's Our Mutual Prieud is permeated with laughter, humor, and elements of self-parody which M. M. Bakhtin refers to as the result of novelization, and it is undoubtedly due to Dickens's ironic way of presenting his characters to the readers. Dickens rarely introduces his characters straightforwardly either in an approving or disapproving way. He tries to bring their hidden part to light and to show how it is different from their facade.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surface and center arouses laughter, which provides readers with insightful knowledge of the truths as wel! as emotional and moral satisfaction. Dickens's "comical operation of dismemberment" on his characters is made possible because he takes quite a different authorial position from that of epic writer, who, according to Bakhtin, speaks about a past that is to him inaccessible, in the reverent point of view of descendent. Dickens, on the contrary. speaks about the present, his contemporaries. Since there exists no absolute distance between the author himself and his objects, he can observe them freely and closely. Novel writer Dickens makes good use of generic tactics of the novel, that is parody and travesty, and their etfect laughter to destroy the epic and any hierarchical distance and to investigate his object far more freely and familiarly.

      • 러시아 형식주의 : ‘낯설게 만들기’ 이론과 실제

        서영윤 한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2010 소통과 인문학 Vol.10 No.-

        The Russian Formalists view literature as an autonomous system. De-familiarization is a critical formular of Russian Formalists that defines the difference between literature and non-literature. According to them, human perceptions are automatic so literary works can make a reader perceive by making the familiar seem str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ussian Formalist theory of de-familiarization and illustrate its practices revealed through some literary works. Here three kinds of de-familiarizing devices are demonstrated. First, in their Metaphysical poems Donne and Crashaw make the familiar seem strange by not naming the familiar object. Second, in Brecht's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and Ionesco's The Bald Soprano the playwrights provide us with a new perception of familiar ones by debunking habitually received lifestyle, thoughts or ideology. Third, in his Six Characters in Search of an Author Pirandello de-familiarizes realistic drama through the laying bare of automatized devices of realistic drama and provides us with a new perception of realistic dramatic form. Strictly speaking, all literary works seem to involve some kind of renewal of perception, that is some kind of de-familiarizing devices by which the familiar is made strange. The Russian Formalists, however, assert that a de-familiarization is the distinguishing element of literature itself and reject the investigation of other realities that literary texts might reflect. Consequently, Russian Formalists have the limit that they were engaged merely in a nonideological study of data.

      • KCI등재

        생활화 영역과 연계한 민요 감상 교육의 설계

        김민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1

        This paper examined the necessity for and the reason why Korean folk songs should be assessed by relating these songs with the familiarization area through the means of analyzing the appreciation and familiarization area of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by also analyzing the music education textbooks of Korean folk songs. On this basis, this study examined th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of Korean folk songs relating it to ‘the manner of enjoying Korean folk songs’ and to the ‘realization of the value of Korean folk songs'. Firstly, th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to ‘the manner of enjoying Korean folk songs’ outlined the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the usage of working, ceremony, and play songs and for how they were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examining and communicating the usage of Korean folk songs. Secondly, th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to ‘realizing the value of Korean folk songs’ planned that the activities of appreciating local songs designated by cultural assets were related with the activities of attending local festivals and of examining local cultural assets of the familiarization areas. This study which focused on the internalization of the value and of the active manner of appreciating Korean folk songs was planned out by following the appreciation of the songs through examination, by communication, and with experience. Consequently, this study is relevant to even more experiencing of Korean folk songs through relating the education of Korean folk songs with the familiarization area of the curriculum. Furthermore, this author expects that education in these songs be planned out in various acceptable ways, thus leading learners to its practical study. 본고에서는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 감상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과 생활화 영역을 분석하여 민요 감상 수업을 생활화 영역과 연계하여 설계해야 할 근거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고찰해 본 결과, 감상 영역의 내용은 생활화 영역의 ‘음악을 즐기는 태도’,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의 내용 체계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민요를 즐기는 태도 갖기’와 ‘민요의 가치 인식하기’를 연계하여 민요 감상 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첫째, ‘민요를 즐기는 태도 갖기’와 연계한 감상 수업은 노동요, 의식요, 놀이요의 쓰임 이해하기에 관한 감상 활동이 생활화 영역의 민요의 쓰임 조사․발표하기 활동과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민요의 가치 인식하기’와 연계한 감상 수업은 지역 전승 민요와 문화재로 지정된 민요 감상 활동이 생활화 영역의 지역 축제 참여하기, 문화재 조사하기의 활동과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와 같이 민요를 감상한 후 민요와 관련된 내용을 직접 조사․발표하고, 민요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함으로써 감상 영역과 생활화 영역이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민요를 능동적으로 감상하는 태도를 형성하고, 민요의 가치를 내면화 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본고에서 설계한 민요 감상 수업은 생활화 영역과 연계함으로써 생활 속에서 민요를 접할 수 있는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앞으로 학습자들의 실천적 학습을 주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에서 체계적인 민요 감상 교육이 설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트레드밀 내리막 보행의 적응기동안 하지협응패턴의 변화

        윤석훈(Yoon, Suk-Hoon),김주년(Kim, Joo-Nyeon) 한국체육과학회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miliarization period required to find the most reproducible coordination pattern of lower extremities through the assessment of continuous relative phase(CRP), derived from phase planes of two adjacent joints, during treadmill downhill walking. Twelve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overground downhill walking and treadmill downhill walking which lasted 10 min. A three-dimensional mo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rst 6 trials of each minute, beginning when the treadmill reached full speed. CRP measures between pelvis-thigh, between thigh-shank and between shank-foot wer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istal from the proximal phase angle in a range from 0° to 180°. CRP patterns were examined with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and root mean square differences (RMS differences) when comparing ensemble mean curves of the treadmill downhill walking to overground downhill walking. For thigh-shank CRP pattern, significant reductions in RMS differences were found over 10 min. There were no increases in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for all familiarization period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ubjects should be familiarized to the treadmill downhill walking for at least 10 min prior to data collection that can be generalized to overground downhill walking.

      • Comparison of performance in the A-Not A, 2-AFC, and same-different tests for the flavor discrimination of margarines: The effect of cognitive decision strategies

        Lee, H.S.,van Hout, D.,Hautus, M.J. Longman Scientific Technical ; Elsevier Science Pu 2007 Food quality and preference Vol.18 No.6

        The performance of three different discrimination tests (A-Not A, 2-AFC, same-different) was investiga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varying aspects of the test protocols, such as the familiarization procedure and retasting of the reference (A), during testing on discriminability and the cognitive decision strategy used in the tests, when discriminating between the two different margarines. Seven judges, who were not familiar with margarine products, each gave 24 ratings for each of six protocols, resulting in 168 ratings in the pooled data, and from which R-indices and d' estimates were calculated. When both test products were presented beforehand for familiarization, judges adopted the beta cognitive decision strategy. When only the reference (A) was presented to the judges beforehand for familiarization, and the reference (A) was retasted before the test product either by prescription or at will, the tau cognitive decision strategy was adopted. When the number of samples tasted within a test increased, discriminability was considerably decreased. Such differences between test protocols were explained in terms of the concept formation of the test products, carry-over and fatigue effects, and memory problems caused by longer time-intervals between tas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