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urrent Status of Image-Enhanced Endoscopy for Early Identification of Esophageal Neoplasms

        Shin Hee Kim,Su Jin Hong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21 Clinical Endoscopy Vol.54 No.4

        Advanced esophageal cancer is known to have a poor prognosis. The early detection of esophageal neoplasms, including esophagealdysplasia and early esophageal cancer, is highly important for the accurate treatment of the disease. However, esophageal dysplasiaand early esophageal cancer are usually subtle and can be easily missed. In addition to the early detection, proper pretreatmentevaluation of the depth of invasion of esophageal cancer is very important for curative treatment. The progression of non-invasivediagnosis via image-enhanced endoscopy techniques has been shown to aid the early detection and estimate the depth of invasionof early esophageal cancer and, as a result, may provide additional opportunities for curative treatment. Here, we review theadvancement of image-enhanced endoscopy-related technologies and their role in the early identification of esophageal neoplasms.

      • KCI등재

        Clinical Outcomes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Superficial Esophageal Squamous Neoplasms

        Jung Soo Park,Young Hoon Youn,Jae Jun Park,Jie-Hyun Kim,Hyojin Park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6 Clinical Endoscopy Vol.49 No.2

        Background/Aims: Endoscopic treatment has been broadly applied to superficial esophageal neoplas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allows for high rates of en bloc resection, precise histological assessment, and low rates of local recurre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ESD for superficial esophageal neoplasm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36 esophageal ESDs for superficial squamous neoplasms in 32 patients between March 2009 and August 2014 at Gangnam Severance Hospital. Results: The median patient age was 64 years, and 30 men were included. The indications were early squamous cell carcinoma in 26 lesions, adenoma with high-grade dysplasia in five lesions, and low-grade dysplasia in five lesions. The en bloc resection and R0 resection rates were 97.2% (35 of 36) and 91.7% (33 of 36), respectively. Microperforation and post-ESD bleeding occurred in 5.6% (2 of 36) and 5.6% (2 of 36), respectively. Post-ESD esophageal strictures developed in five patients (13.9%). Five patients (15.6%) had an additional treatment after ESD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in three, radiation therapy in one, and surgery in one patient). There was no disease-specific mortality during the median follow-up of 31 months. Conclusions: Favorable clinical outcomes were observed in ESD for superficial esophageal squamous neoplasms. Esophageal ESD could be a good treatment option in terms of efficacy and safety.

      • KCI등재

        식도암의 병기 결정에 있어 흉부 CT의 유용성

        오봉석,홍성범,장원채,김윤현,김병표,최용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12

        배경 및 목적: 식도암의 병기 결정은 병변의 절제 가능성 여부를 결정하고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Computerized Tomography, CT)은 식도암의 병기 결정을 위해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진단 방법 중의 하나이지만, 다양한 위양성 및 위음성 소견에 의해 제한점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는 수술 전 식도암의 병기 결정에 있어서 흉부 CT의 유용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식도 편평 상피 세포 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환자 114예를 대상으로 수술 전 CT에 의한 병기와 수술 후 조직 소견에 의한 병기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CT 진단에 의한 주변 조직 침습, 림프절 침범, 그리고 원위부 전이 여부 등을 관찰하고 , 이를 수술 후 조직 병리 소견과 비교함으로써, 이들의 진단에 대한 CT의 민감도(Sensitivity), 특이도(Specificity), 정확도(Accuracy) 및 일치도(Reproducibility)를 구하였다. 일치도는 Z-test를 시행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식도암의 CT에 의한 병기와 조직 병리 소견에 의한 병기의 일치도는 원발성 종양의 국소 침윤의 경우 0.32 (p<0.01), 림프절 전이에 대하여는 0.36 (p<0.01)이었으며, 원위부 장기에 대한 전이 여부에 대하여는 0.62 (p<0.01)이었다. 림프절 전이나 원거리 전이에 대한 CT와 조직 병리 소견의 일치도는 종양의 국소 침윤에 대한 일치도보다 우수하였다. 원발성 종양의 주변 장기 침습에 대한 CT의 정확도는 T1군(78.9%)과 T2군(62.3%)에 비해 T3군(65.8%)과 T4군(98.2%)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식도암의 국소 종양 침윤에 대한 CT진단은 각 병기별로 민감도에 비해 특이도가 높았다. 결론: 식도암의 병기 결정에 있어 CT 진단은 종양에 의한 식도 벽의 침습 정도를 파악하는 것보다 주위 조직이나 장기, 그리고 림프절의 전이를 파악하는데 더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decision of staging of esophageal cancer have great effect on the resectability of the lesion and estimation of the patient's prognosis. Today, CT is one of the most popular modality for staging of esophageal cancer. However, it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of false-positive or false-negative findings on cancer st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icacy of CT in preoperative staging of esophageal cancer. Material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analysed the difference of staging of esophageal cancer between CT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for the 114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esophageal cancer who underwent operation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9 and June 2003.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chest CT in the staging of esophageal cancer compared to postoperative histopathologic findings by calculating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chest CT to detect abnormality. Result: The reproducibilities between chest CT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0.32 (p<0.01) for primary tumor (T), 0.36 (p<0.01) for lymph node invasion (N), and 0.62 (p<0.01) for distant metastasis (M). The reproducibilities between chest CT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for lymph node invasion (N) and distant metastasis (M) were superior to that of primary tumor (T). The accuracy of primary tumor (T) was 65.8% and 98.2% in group III and IV,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 I and II (78.9% and 62.3%). In general, specificity of chest CT for TNM staging was superior to sensitivity. Conclusion: In conclusion, preoperative CT scanning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lymph node invasion and metastasis of lesion than primary tumor invasion.

      • KCI등재

        Physical 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Patient With Long Thoracic Neuropathy After Esophagectomy: A Case Report

        Junghwa Do,임원빈,Ja-young Kim,전재용,Young-ki Cho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20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27 No.3

        Esophageal cancer is a representative cancer that occur physical deterioration but, physical problems after surgery were not well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on the long thoracic neuropathy after surgery, and to identify the symptoms and effects of physical therapy after esophageal cancer surgery. This is a case of a 61-year-old man who showed winging of the scapula with long thoracic nerve injury on the results of electromyography after an esophageal cancer surgery. Physical therapy programs were implemented 8 sessions during hospitalization. The quality of life, fatigue, shoulder range of motion (ROM), numeric rating scale (NRS), 6-minute walk test, and 30-second chair stand test were assessed. The quality of life, fatigue, shoulder ROM, NRS (pain), 6-minute walk test, and 30-second chair stand test were improved. However, the esophageal-specific symptom was not different after physical therapy program. As esophageal cancer suffers from physical difficulties after surgery, physical therapy programs are thought to be helpful.

      • KCI등재

        갑상선 종물로 오인된 식도 해면상 혈관종 1예

        권희준,이성진,이상혁,진성민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8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1 No.4

        Hemangiomas are benign vascular neoplasms found as a bluish mass in the skin or internal organs. Though hemangiomas are the most common benign neoplasms seen in children, it occurs rarely in adults. Furthermore, hemangiomas of esophagus are very rare and represent less than 3% of benign neoplasms of the esophagu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a cavernous hemangioma of the esophagus which was misconceived initially as a thyroid neoplasm. Cavernous hemangioma can occur in the neck region of adults and a differential diagnosis of anterior neck mass should be conducted.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08;51:384-6)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식도암 수술에서 식도내시경초음파(EUS) 진단의 효용성

        정재승,이성호,조성준,손호성,선경,김광택,김형묵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2

        Effectiveness of Esophageal Ultrasonography in SurgicalTherapy of Esophageal Cancer 25세 여자 환자가 우측 하흉부 및 좌측 상복부의 불쾌감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흉부 X-선 및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상 우폐 하엽에 위치하며 횡격막과 접하고있는 4×4×4cm 크기의 둥근 종괴가 관찰되고, 우폐 하엽과 우폐 중엽에서 전이성 병변들이 관찰되었다. 시험적 개흉술 결과 우측 횡격막에서 기시한 종괴가 우폐 하엽에 직접 침범되어있었으며. 우폐 하엽과 우폐 중엽의 흉막하에 전이성 병변들이 발견되었다. 종괴에 대한 냉동 절편 조직 검사상 육종으로 진단되어 종괴 기시부의 횡격막 및 종괴에 의해 침범된 부위의 우폐 하엽을 일괄 절제하고 우폐 하엽과 우폐 중엽의 전이성 병변들을 쐐기 절제하였다. 최종 조직 검사상 횡격막의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이었고, 보조적 항암 약물 치료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횡경막에서의 발생이 극히 드문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식도암의 외과적 근치 절제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류세민,조원민,최영호,목영재,김현구,조양현,손영상,김학제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2

        배경: 식도암의 조기 발견과 수술은 완치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최근의 수술술기와 방사선 치료, 항암 요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그 장기 성적은 만족할 만한 수준에 있지 못하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2년부터 2002년 7월까지 10년간에 걸쳐 식도암의 근치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는 식도암으로 외과적 처치가 필요하였던 129예 중 근치 수술을 시행 받은 68예의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68명의 환자에서 남:여 비는 59:9, 나이는 61 7.4세였고 주된 증상은 연하곤란, 통증, 체중 감소 등이었다. 식도암의 위치는 상부 4예, 중부 36예, 하부 20예, 위식도 경계부위 8예였고, 세포형은 편평상피세포암이 대부분으로 60예, 선암이 7예, 흑색포암이 1예 있었다. 5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전 항암 요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종양의 병기는 1기가 7예, 2A기가 25예, 2B기가 12예, 3기가 17예, 4기가 7예였다. 식도대용으로 사용한 장기는 위가 대부분으로 62예, 대장이 6예 있었고, 경부에서 문합이 28예, 흉부에서 문합이 40예 있었다. 문합은 자동 봉합기 사용이 24예, 수기 봉합이 44예였다. 수술 후 조기 합병증으로는 문합부 누출이 3예 있었지만 큰 문제없이 치료되었다. 누출된 예의 연결 방법은 자동 봉합기 사용이 2예, 수기 봉합이 1예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2예에서 급성 간부전과 패혈증으로 인해 조기사망하였다. 수술 후 23명의 환자에서 평균 수술 후 3∼5개월 사이 항암 주사 및 방사선 요법의 병행 요법을 시행하였고 추적 관찰은 55명(80.88%)의 환자에서 가능하였다. 기간은 1달에서 76개월 사이로 평균 33.73 22.18개월이었고, 이들 환자의 병기는 각각 1기가 5예, 2A기가 21예, 2B기가 9예, 3기가 15예, 4기가 5예였다. 수술사망환자를 포함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1년 58.43 6.5%, 3년 35.48 7.5%, 5년 18.81 7.7%였고 최장 생존환자는 병기 1기로 108개월째 추적관찰 중이다. 세포형별, 성별, 문합위치별, 암의 위치, 술 전, 술 후 병합 요법의 시행과 생존율의 차이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지만 병기별, T1, 2, 3, 4 군 간의 비교, N0과 N1군 간의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결론: 대개 식도암에 대한 치료는 고식적 치료가 많은 환자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조기 진단 및 적극적인 수술적 절제, 적절한 술 후 치료 등으로 장기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식도암 조직에서 p53 및 nm23 유전자 발현의 임상적 의의

        박건,이종호,사영조,진웅,권종범,박재길,이선희,곽문섭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3

        Background: Although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esophageal carcinoma as well as in the detection of early stage esophageal carcinoma by diagnostic techniques, the prognosis of the esophageal carcinoma patients remain poor. The p53 gene product is known to regulate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And the nm23 gene was identified originally as an anti-metastatic influence whose expression was correlated inversely with tumor metastatic potential in murine melanoma cell lines. This experiment was intended to know the relationship among the p53 and nm23 gene expression versus clinicopa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esophageal cancer. Material and Method: Total 40 cases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had undergone esophagectomy at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p53 mutant-type protein and nm23 proein was graded as <10% positive tumor cells: negative; 10~30% positive tumor cells: +; 30 ~50% positive tumor cells: ++, and >50% positive tumor cells: +++. The tumor invasion was grades as none:- ; mild:+ ; moderate:++ ; severe: +++. Result: Overexpression of p53 protein and nm23 was not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and clinio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esophageal cancer. Moreover, the combination analysis of p53 and nm23 revealed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 expression and the clinicopatholic characteristics of the esophageal cancer. 배경: 식도암 환자에서 조기진단 및 수술적 치료 방법의 상당한 진전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예후는 여전히 좋지 않다. p53 종양 억제유전자는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nm23 유전자는 설치류 흑색종에서 종양의 전이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실험은 p53과 nm23 유전자 발현과 식도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인 특징상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에서 수술한 식도암 환자 40명의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고, p53 변이형 단백질과 nm23 단백질을 면역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10% 양성 종양세포 : negative ; 10∼30% 양성 종양세포: ; 30∼50% 양성 종양세포 : ; >50% 양성 종양세포: 의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고, 또한 종양의 침습 정도는 none, mild, moderate, severe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p53 변이형 단백질과 nm23 단백질의 과발현은 생존율 및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연관성이 없었고, 또한 p53 및 nm23유전자 발현의 조합 분석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 KCI등재

        식도와 폐의 동시성 중복암 -2예 보고-

        김대현,이인호,윤효철,김수철,김범식,조규석,박주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2

        The synchronous double cancer of the esophagus and lung is rare. Right lower lobectomy and Ivor Lewis procedure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a 75 year-old male patient who had synchronous double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horacic esophagus and right lower lobe of the lung. Left upper lobectomy was performed in a 69 year-old male patient who ha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eft upper lobe of the lung, and four months later we performed Ivor Lewis procedure for the squamous cell carcinoma that occurred in the thoracic esophagus. The above two patients were doing well 10 months and 24 months after the operation respectively without recurrence. We treated the two cases of synchronous double cancer of the esophagus and lung with complete resection, and report this with review of literature. 식도와 폐에 동시성 중복암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우폐 하엽과 흉부 식도에 원발성 편평상피세포암이 발생한 75세 남자 환자에 대해 우폐 하엽 절제술과 Ivor Lewis 술식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좌폐 상엽의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좌폐 상엽 절제술을 시행했던 69세 남자 환자에서 4개월 후 흉부 식도에 발생한 편평상피세포암에 대해 Ivor Lewis 술식을 시행하였다. 상기 2명의 환자는 수술 후 각각 10개월, 24개월째이며 재발 없이 잘 지내고 있다. 저자들은 식도와 폐에 발생한 동시성 중복암 2예에 대해 완전 절제를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