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유아의 실행기능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도연,김희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능력과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유아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와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유아의 실행기능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 3곳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 120명과 그들의 어머니 1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능력과 실행기능에서는 정서조절능력의 정서통제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 실행기능의 인지적․정서적 실행기능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유아의 실행기능과 정서조절능력, 실행기능과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간에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유아의 실행기능은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인지적 실행기능의 지연억제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정서교육과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executive function, and mother’s emotional socialization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mother’s emotional socialization behavior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by gender and age do not appear except their emotion control ability in gender. Second, young children’s age differed but gender did not differ in their cool executive fun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Third, there was a partial correlation between executive fun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Fourth, there was a partial correlation between executive function and mother’s emotional socialization behaviors. Fifth, there was a partial correlation between mother’s emotional socialization behaviors and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Sixth, there was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socialization behaviors and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s on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included in educational program on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 KCI등재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

        김희진,한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1

        This research aims for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forty eight children who are 4 or 5 years ol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overall tendency of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hildren graded the highest score for empathy among subordinate positions of moral self, compensation, interests about good emotion with parents, sensitiveness about violating rules in the order named. On the other hand, children graded the lowest score for guilty conscience and emotional anxiety after violating rules.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showed the average of 15.38(SD=9.35) on a scale of 24.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got a better grade than that about one's 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their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confession, one of the moral self's subordinate moral positions, seems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mong the total of children's moral self's mark and their subordinate positions, confession, compensation, and interest about other people's misconduct seem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As a result of analyzing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former seems to posses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one subordinate factor among the latter's type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만 4세, 만 5세 유아 4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도덕적 자아,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의 관계에서 도덕적 자아의 하위 도덕적 차원 중 고백이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 총점과 도덕적 자아의 하위 차원 중 고백, 보상, 타인비행관심이 정서조절능력 총점과 정서조절 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성을 한 가지 측면으로 분리한 개념이 아닌 통합적 개념으로서의 도덕적 자아를 연구해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유아의 도덕교육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도덕성 연구와 도덕성 교육에서에서 유아의 정서발달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권정윤,조혜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emotional empath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their children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mong the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9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nd their 3- to 5-year-old children who live in Seoul. A number of the 109 mothers responded to the scale of emotional empathy,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empath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f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Second, the direct effects of emotional empath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on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mpath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recommendation for encouraging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the children in North Korean refugee famili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 심리적 안녕감, 긍정적 정서표현과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며,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109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공감, 심리적 안녕감, 정서조절 능력, 긍정적 정서표현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한 후, Pearson의 상관관계와 경로모형분석을 사용하여 영향력과 매개효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 심리적 안녕감 및 긍정적 정서표현과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은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긍정적 정서표현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 정서표현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발달을 위한 부모 양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유아의 정서 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와의 관계

        송영혜,김은경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유아의 정서적 능력은 또래 유능성,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유아기의 사회화 과정에서 발달시켜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5-6세 유아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통해 자신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교사에게는 유아의 정서능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가 아동기에 과잉보호 또는 거부당한 경험이 많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은 적게 사용하고 회피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가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적게 사용할수록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는 낮았다. 또한, 어머니가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거부당한 경험은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통제적인 반응태도와 상관이 있고, 어머니의 통제적인 반응은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와 상관이 있다. 반면,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유아의 정서인식능력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은 부모로부터 과잉보호 받았던 경험과 상관이 높은 반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는 아동기에 거부당한 경험과 상관이 높았다. 요약하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은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상관이 있으며 이러한 어머니의 정서적 특성은 자녀의 정서능력과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정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머니에게 바람직한 정서조절양식 및 수용적인 정서반응태도를 교육해야하고, 이를 위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motional ability. The subjects were 137 preschoolers`(65boys, 72girls, aged 5-6) mothers and teachers. Emotional ability was measured by their teacher.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measured by mother. The data were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 used much more active-regulation way, thei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better. Second, the more permissive mother`s attitude toward a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bette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rd, the more overprotected and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lower level of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The more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more compulsive attitude toward child`s expressiveness Forth, mother`s attitude toward thei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had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results showed that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ermissive attitude towards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should be developed, counselling on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hould be done designed in order to improve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implicated father`s role in parenting.

      • KCI등재

        중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정서지능의 관계

        김소진(Kim So-Jin),이동현(Lee Dong-Hyun) 한국체육과학회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tatistics and sports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gather the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t.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25 students in five middle school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Win Ver 12.0. First, no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ased on gender, merely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emotional appraisal and emotional expression. Depending on different academic years,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t. The monthly income of the parents of stud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mpathy, thinking facilitation and application of emotional knowledge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ducation level of fathers of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 sub-factor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cond, participated students showed higher, compared to ones who did not participate, in ability to recognize and express emotions, to facilitate thinking, to apply emotional knowledge, and to regulation feelings. Third, relation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t is strong and the higher use of cognitive strategy, the more affects on ability to recognize, express emotions, to empathize, to facilitate thinking and to apply emotional knowledge were shown.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배율미,조광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 in preschool children's social skills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social skills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y, and the effect of the children’s social skills on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97 children enrolled in 2 preschools located in S city, Kangwon-do.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hecklist and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for preschool level (K-SSRS: Teacher Forms) were used for measuring the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Stepwise-Regression analysi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girls and boys were different in the scores of collaboration as a sub-domain of social skills. Girls had the higher scores in collabor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an boys did.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each domain of social skills. Third, self-control, collaboration, and assertion as each domain of social skills were the predictable variables for explaining the relative effect of the children’s social skills on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기술 및 정서조절능력의 차이가 어떠한 지와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 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S시에 소재한 2곳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6세 유아 197명이었다.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정서조절능력 검사도구와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7월 6일부터 8월 10일까지 약 5주 동안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t-검증,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기술 하위영역인 협력성에서는 여아와 남아가 차이가 있었고 정서조절능력은 여아가 남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인 협력성, 자기통제, 주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기술은 정서조절능력에 대해 전체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사회적 기술 하위영역인 자기통제, 협력성, 주장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역할놀이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강민정 ( Kang Min-jeong ),유형근 ( Yu Hyeong-keun ),정연홍 ( Jeong Yean-h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역할놀이 활용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으로 2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회기당 60분씩 총12회기를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분석을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 방법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결과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고자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정서조절능력 변화가 통제집단의 정서조절능력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조절능력의 하위 영역별 분석결과에서도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 이용,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대인관계에서의 변화가 실험집단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 관찰 결과에서도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임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y devising and execut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role play for improvement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s an object of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his study was to consist of 25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based on two classes of four-grade in the B elementary school as research object.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change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role play for improvement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hanges in the self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domains, emotional regulation and impulse control domains, self emotion using domain, domain of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emotions in others, and interpersonal domain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well as analysis results by analysis results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i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만2세 영아의 어휘능력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조직 내 의사소통과 학습조직문화의 매개효과

        박미영(Park, Mi-Young),김수향(Kim Soo Hya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만2세 영아의 어휘 능력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경상북도 P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2세 영아 300명의 어머니와 해당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양육효능감, 어휘능력, 정서조절능력에 관련한 설문 조사를 2018년 7월 16일 ~ 7월 27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만2세 영아의 어휘 능력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만 2세 영아의 어휘 능력에 의미 있게 예측하는 양육효능감의 하위변인은 의사소통능력이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만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있어서 ‘정서관리’ 에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만2세 영아의 ‘정서관리에 의미 있게 예측하는 양육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의사소통능력은 부정적으로, 교육, 발달지원 능력은 긍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영아 정서조절 능력 하위요인 ‘정서표현’과 ‘정서 대처’에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만2세 영아의 어휘 능력, 정서조절능력에 중요한 예측 변인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 s parenting efficacy on vocabulary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2-year-old infant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on parenting efficacy, vocabulary ability,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was conducted from July 16 to July 2018 for the mothers of 300 2-year-old infants and their homeroom teachers attending a daycare center located in P-city, Gyeongsangbuk-do. It was carried out up to 27. For the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mother s parenting efficac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vocabulary ability of 2-year-old infants. The sub-variable of parenting efficacy that significantly predicts the vocabulary ability of a 2-year-old infant is communication ability. Second, the mother s parenting efficac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emotional management” i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2-year-old infants. Among the sub-variables of child-rearing efficacy predicted meaningfully for emotional management of 2-year-old infants, communication ability was negative, and education and developmental support ability were positively predic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other s parenting 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coping ,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infant 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ther s parenting efficacy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vocabulary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2-year-old infants.

      • KCI등재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한세영(Sae-Young Han),조인영(In-Young Cho),한아름(Ah-Reum Han) 한국보육지원학회 2019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the children’s social power throug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ethods: A total of 339 four-year and five- year 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 an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i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path analysis using AMOS 21.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social power. Also,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ocial power. Second, mothers’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had indirect effects on social power – prosocial leadership and social dominance-throug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etween mothers’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ocial power. Also,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in order to understand children’s social power and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서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이경미(Lee, KyungMi),윤채영(Yun, Ch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서적 심리변인을 학업 스트레스, 정서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으로 상정하고, 이 연구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9년 5월 10일부터 30일까지 약 20일 간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검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318명 자료를 최종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은 학업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결과, 상정된 연구모형은 적합도가 양호하였으며, 최종 모형에서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주는 직접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매개로 한 간접 영향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완전 매개로 중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스트레스를 완화시켜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논의하였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terpersonal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And it was verifie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mediated i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adjust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00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at 3 middle schools in Busan from May 10th to 30th in 2019 and the collected data of 318 students was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25.0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AMOS 24.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oug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Second, academic stress did not significantly direct influence academic stress. In conclusion, in a school field academic stress could be reduced by improving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ould be improv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is study result, and the limitation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y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