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패션 모델의 교과목 개발

        박근정(Keun-Jung Park),김장현(Jang-Hye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5

        최근 사회적‧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 capstone design을 활용한 교육적 접근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Capstone design이 접목된 모델학과의 교과목 개발은 패션쇼 현장에서 패션모델로서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켜 줌과 동시에 패션쇼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시야를 확장시켜준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패션모델학과의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에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을 적용한 교육 과정을 개발 및 그 성과를 제시하고, 교수자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함의점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과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에 관련된 이론적 연구 및 캡스톤 디자인이 반영된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의 과정을 안내하기 위한 모형개발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capstone design을 접목한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들의 수업 수행 방식이나 과정 및 학습 성과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 수행 과정에 대해 매우 큰 만족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Capstone design을 활용한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을 진행함에 있어 교수자의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함의점으로, 패션과 관련된 심층적‧융합적인 관점에서의 교육에 대한 필요, 공간에 대한 시간적‧공간적 활용도의 개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및 산업체들간의 연계성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과 산업체와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통한 교육 범위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educational approach using Capstone Design is gradually expanding with the change in social and educational paradigms. Course development utilizing the Capstone Design in models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can create a positive effect in that it enhances the practical capabilities of the fashion model and expands the perspective of various fields related to fashion shows. This study proved the educational efficacy by applying the Capstone Design to the model work presentation course and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s of the design from the instructor’s perspective. The research methods used to guide this course utilizing the Capstone Design were theatrical research and model development research. This study showed that learners’ satisfaction for this course combined with Capstone Design was very high, and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progress of the class. The instructor’s point of view in progressing this course showed the need for education from an in-depth and convergence perspective related to fashion, improvement of temporal and spatial utilization of space, concerns about establishing connections with experts and various industries, and expanding the scope of education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industry.

      • KCI등재

        지속가능성 개념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교육 통합 프로세스 모델 IPCDEM(Integrate Process for Creative Design Eduction Model) 개발에 대한 연구

        이경아(LEE, Kyung ah),나건(Nah, Ke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창의적 사고의 종합 결정체인 디자인에 대해 양적 팽창이 아닌 질적 변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실천적 개념의 디자인 교육 통합 프로세스를 개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이 본래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들 간의 교류와 융합을 통한 실천학문으로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가치 혁신을 통한 지속가능디자인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지속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과제인 ‘창조적인 디자인 교육 통합 프로세스 모델(IPCDEM, Integrate Process for Creative Design Eduction Model)’ 개발을 위한 논의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사회구조와 디자인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 모델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디자인 의미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지식의 개념 확장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지식기반사회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시대적 흐름인 지속가능주의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디자인교육을 정의였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을 위한 창조적 디자인 교육 통합 프로세스 모델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을 위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실천적 프로세스의 개념 모델인 IPCDEM의 개념을 구축한데 의미가 있다 하겠다.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quality changes rather than quantitative expansion of design, an integrated constellation of creative ideas, this study takes it as its ultimate goal to develop an integrated process of design education with practical concepts. In order for creative based design to play its natural role, it needs changing as a practical scholarship in terms of exchanges and incorporation with various fields. Thus, this study specifically discusses sustain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necessity of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in terms of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value innovation. The task of this study, ‘IPCDEM, Integrate Process for Creative Design Education Model,’has been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of all,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a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mode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and design industry paradigms, this study has worked on the extension of the concept of design knowledge due to changes in the meanings of design. Then, with understanding of the paradigm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analysis of the idea of sustainability as the stream of the times, it has defined sustainable design and design education. Lastly, this study has developed an integrated creative design education process model for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structed the concept of IPCDEM, a conceptual model of practical process on the methodological side of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 KCI등재

        플립러닝형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 제안

        이경림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4

        Considering the fact that many college students have a hard time applying fashion design theories in order to design creative fashion, this study proposed a flipped learning-based fashion design ideation education model for systematic and efficiently designed training cours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flipped learning and fashion design ideation and developed a flipped learning-based fashion design ideation education model using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After the first and second validity evaluations by eight fashion education experts,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education model were test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CVI) and Inter-Rater Agreement(IRA). According to study results, the flipped learning-based fashion design ideation education model was programmed into three parts: 1) outside the classroom-online preview using a video lectures prior to the training class; 2) inside the classroom–offline project team-based training class; 3) inside the classroom–offlin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 model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fficiency, systematic design, and project learning. The flipped learning-based fashion design ideation education model can make students have an active ability towards creative fashion design by linking design theories and practices in an efficient manner. It is anticipated that this model would help fashion designers build their design capability,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related educational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학생들이 패션디자인 이론을 실습수업에 연계시키지 못하여 창작 패션디자인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에 착안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디자인 실습수업을 위한 플립러닝형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과 패션디자인발상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교육모델을 개발・설계한 후 형성연구방법으로 e-러닝과 플립러닝 교육경험이 있는 패션관련 전문가 8인에게 내용타당도 지수(CVI)와 평가자간 일치도 지수(IRA)를 사용하여 1, 2차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플립러닝형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플립러닝형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은 Part1~3로 분류된 수업으로 설계되었으며, 학생들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디자인 프로젝트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발된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은 디자인 이론과 실습을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어 학생들이 창작 패션디자인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는 모델로 평가되어 실무에서의 디자인역량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후 패션디자인 관련 전문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플립러닝 초등체육수업 설계모델

        권정아,박재정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 design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model, an initial desig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validated. Internal validation was conducted through expert validity review and usability evaluation using the method of multiple choice questions,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fter conducting external validation through field evaluation, it was completed as a final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 design model. The final design model is schematized in a bottom-up structure, which reflects the meaning of the word flipped lear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it is implied that the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 should be designed by reflecting the learner's situation and needs through cooperative instructional design. The design model consist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ages. In the analysis stage, learner analysis, curriculum analysi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re analyzed. In the design stage, cooperative class design, flipped learning-based physical activity design, and physical activity support strategy are designed. In the development stage, learning materials and growth-oriented evaluations are develope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re are design elements to be taught in common regardless of domains and design elemen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omain. Common design elements include team-based physical activity implementation, instruction by learner's individual level, online/offline physical activity connection, promotion of learner-learner and learner-teacher interaction, and encouragement of learner's voluntary participation. Finally, the evaluation stage consists of reflection, growth-oriented evaluation, and class evalu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플립러닝 체육수업 설계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타당성 검토와 사용성 평가를 거쳐 내적 타당화를 했고 현장평가로 외적 타당화를 진행한 후최종 플립러닝 체육수업 설계모델로 완성했다. 최종 설계모델은 상향식 구조로 도식화되어있는데 이는 플립러닝이라는 낱말이 가진 의미와 교수학습 특색이 반영된 것이며 협력적 교수설계로 학습자 상황과 요구를 반영해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설계해야 한다는 의도가 함축되어있다. 설계모델은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로 구성되어있다. 분석단계에서는 학습자 분석, 교육과정 분석, 교육환경을 분석하고 설계단계에서는 협력적 교수설계, 플립러닝 기반 신체활동 설계, 신체활동 지원 전략을 설계해야 하며,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성장중심평가를 구안해야 한다. 실행단계에서는 영역 무관하게 공통으로 지도해야 할 설계 요소와 영역별 특색에 맞는 설계 요소가 기술되어 있는데 공통 설계 요소로는 팀 기반의 신체활동 실행, 학습자개인 수준별 지도, 온·오프라인 신체활동 연계, 학습자-학습자와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 촉진, 학습자 자발적 참여 유도가 있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는 성찰, 성장중심평가, 수업 평가를 하도록 구성되어있다.

      • KCI등재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모형 개발

        표창우,엄우용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2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guidelines that college faculty members can use when designing a flipped clas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irst,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guideline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a junior college were developed. To this end, draft model and guidelines were draw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the college faculty members. The draft model was evaluated for validity, relevance, usefulness, explanation, and comprehension by instructional design experts and the faculty members. Second, the revised version of the model and guidelines were tested for the internal validity by the instructional design experts and the external validity by the college faculty member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a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flipped learning includes 13 steps and 17 components. This model includes easily understandable terms for each step and the step-by-step components. In particular, the model was divided into Pre-Class and In-Class. In addition, this model includes the formative evaluation and feedback related to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Second, fifty-eight specific guidelines of the model were developed. The guidelines include the outline of each step and the details of the main contents to be checked at each step.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can serve as a guide for the faculty members to design and to implement flipped learning. With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e faculty members will be able to implement a successful flipped learning. Second, with the instructional design guidelines, the faculty members can easily design and develop a flipped learning class. The outlines and content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guidelines were described in detail concern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 KCI등재

        4년제 대학 시각디자인 전공자의 정보문해력 향상을 위한 정보디자인 교육모델 연구

        이주훈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ducational model for information design to enhance the information literacy, through resetting the purpose, direction, and content of an information design curriculum for the college student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However this study is not focusing on persuading the information design class to be included in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curriculum, but effectively teaching Information Design Literacy, which is more expanded, subdivided, and advanced from Visual Liter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model, first of all, I conducted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bout Visual, Media, Digital, Data Visualiz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related to information design education and explained how each main concept of the literacies is connected with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design education model. The second, I reorganized the communication system developed by Thomas Ockerse as the basic structure of the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core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teaching methods and results of information design classes that I have taught from 2003 to 2021. Consequently, I designed the model that has an effect on the visual design education as a new information design system to study the literacy for new paradigm shift although it basically consists of the visual design knowledge such as visual grammar and graphic design expression skills constructed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ield.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a concrete system and four detailed courses for information design education. In addition, the model is to share the idea, to apply to practical studies, and to make many cases. From the update task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is that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can help new illiterate people who can read texts but can’t interpret visual information to communicate better.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 시각디자인전공 정보디자인 교과목의 교육 방향과 목표 그리고 내용을정보문해력 향상에 맞게 재설정하여 교육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시각 커뮤니케이션디자인 교육 분야에서 정보디자인 교육을 하나의 교과목으로 개설하고 다루어야 한다는 필요성 설득에만국한 시키지 않고 이 연구를 통해 제안한 정보디자인 교육모델이 시각 문해력에서 더욱 확장되고 세부적으로 진보된 정보디자인 문해력을 효과적으로 학습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정보디자인 교육과 관련한 미디어문해력, 디지털문해력, 데이터시각화문해력 그리고 정보문해력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고 어떻게 그것의 각 주요 개념들이 정보디자인 교육의 필요성과 연결되는지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교육목표와 방향, 그리고 교육구조를 설정하는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둘째, 2003년부터 현재까지 저자가 교육한 정보디자인 관련 교육 컨텐츠와 정보디자인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항목들을 각각 범주화하여 이를 토마스 오커스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적용하였고 정보디자인 교육 시스템을 구조화하였다. 셋째, 이 모델은 전통적으로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 교육 분야에서 구축해온 고유의 시각언어와 그래픽 표현 기술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정보디자인 문해력을 향상하기 위한 새로운 정보디자인 문법을 다시 시각 커뮤니케이션디자인 교육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그 결과 이 모델은 정보디자인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체계와 4가지 세부적인 교육 경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가 지속해서 수업에 적용되고, 검토, 보완된다면, 시각디자인은 정보 체증이 삶의 일부로 받아들여지는 정보화시대에서 글과 그림을 이해할 수는 있으나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는 또 다른 개념의 문맹자들을 위하여 정보 소통의 효율성을 더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개발

        황지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enhance creativity and convergence problem-solving competency fo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velopment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problem-solving competency enhancement were carried out by applying the ADDIE development model process. To this end,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pstone design. The needs of learners and educational experts were analyzed.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apstone design class model system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e lesson design model was applied to the capstone design clas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2 in Gyeonggi-do D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finally developed by applying student satisfaction and feedback from education experts in the evaluation sta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learner analysis, educational environment analysis, teaching/learning model design and development, teaching/learning model application, learner satisfaction survey, and education expert evaluation. It contains the overall contents of the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proces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veloped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enhance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apstone design, which started from the engineering department, are appropriately opera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instructors who plan and operate capstone design class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위한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개발은 ADDIE 개발모형과정을 적용하여 교수설계모형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에 대해 문헌을 분석하고 학습자 및교육 전문가의 요구조사 분석 후 창의ㆍ융합적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체계를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이를 경기도 D대학 2022년 1학기 유아교육과 전공필수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적용하였다. 이후 평가단계에서 학생 만족도 및 교육 전문가의 피드백을 적용하여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이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주요결과인 학습자 분석, 교육환경 분석, 교수학습모형 설계 및 개발, 교수학습모형 적용, 학습자 만족도 조사 및 교육전문가 평가 등 유아교육과의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과정의 전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 모형은 공학계열로부터 출발한 캡스톤 디자인의 성격을 유아교육 영역에 적합하게 운영 할 수 있도록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유아교육과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계획 및 운영하는 교수자에게 도움이 될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적용한 디자인 스케치 교육 모델 연구 - 제품-서비스 융합 디자인 방법론을 중심으로 -

        문재호,신진우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7 No.-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changing from manufacturing industry to the service industry in advanced countries. For design, we think that it should be changed from supply side to consumer side, and that it has to be suggested as service design for meeting form and function in consumer’s point of view. Thus, it can be said that a curriculum is needed to be supplemented and improved for changing grounding in design at a university, considering connections with one’s major. In the actual reality of education,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user’s experiential value to design. Therefore, we need the process center design education for creating ‘value’, which can meet user request while we repeat a process of thinking in the problem area and the solution area, creating idea and collecting. This article used the products - service convergence methodology for applying user behavior, his experience and its value to products, and drew naturally a design sketch by step. We selected 40 freshmen students, majoring in industrial Design for case study. The class in sketch was done for 15 weeks for them. A robot cleaner and a portable tongs were the result of study. As the result, the students were trained to design that can sympathize user’s request while understanding users in a process of design. The students were able to solve creatively a problem through process-based instruction, so that they have broadened their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during the course of drawing information, idea and a final solution. We expect that such education will raise achievement in learning linked with a curriculum subject such as design project; the products - service convergence methodology. We try to make the foundation of educational model related with a creative design that is possible to apply to freshmen students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산업구조는 제조 산업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디자인은 공급자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되어 사용자 관점의 형태와 기능을 만족시키는 서비스 디자인으로 새롭게 제시되고 있다. 대학의 디자인 기초교육 변화를 위해서는 전공과목과의 연관성이 고려된 커리큘럼의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 현실에서는 사용자의 경험적 가치를 디자인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가치' 창출을 위한 디자인 교육을 위해서는 문제영역과 해결영역의 사고과정을 반복하면서, 아이디어를 발산하고, 효과적인 아이디어를 수렴하여, 사용자 요구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과정 중심의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품-서비스 융합 디자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사용행위와 경험 및 가치를 제품에 적용시켜 단계별로 자연스럽게 디자인 스케치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사례연구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는 저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스케치 수업 15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사례결과는 로봇 청소기, 휴대용 고데기이다. 결과로 학생들은 디자인 과정에서 사용자를 이해하고 그들의 요구를 공감하는 디자인 훈련을 할 수 있었다. 과정 중심의 수업을 통해 창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문제에 관한 정보, 아이디어, 최종적 해결안의 도출 과정으로 수렴적, 발산적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결과적으로 제품-서비스 융합 디자인 방법론 커리큘럼인 디자인 프로젝트 등의 교과목과 연계된 학업에서도 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선행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저학년 학생들에게 적용 가능한 창의성 계발 스케치에 관한 교육 모델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기초학력 지도ㆍ지원을 위한 협력수업 설계 및 지원단계 모형 개발

        이영태 ( Youngtae Lee ),이경남 ( Gyeong Nam Lee ),오택근 ( Taek-keun Oh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기초학력 지도ㆍ지원을 위한 협력수업 설계 모형과 설계원리, 지원단계 모형과 지원단계 내용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설계ㆍ개발 연구방법 및 절차에 따라 문헌 분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모형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과 개발 방향을 도출하여 협력수업 설계 모형과 설계원리, 협력수업 지원단계 모형 및 지원단계 내용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과 설계원리 및 지원단계 내용에 대해 32명의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2차례 실시하였고, 32명의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적인 협력수업 설계 모형과 설계원리, 지원단계 모형과 지원단계 내용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기초학력 지도ㆍ지원을 위한 협력수업 설계 모형은 수업설계 요소를 5단계(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로 구성하였으며, 13가지 단계별 주요 수업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기초학력 지도ㆍ지원을 위한 지원단계 모형은 수업의 실행단계에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협력교사와 담임교사의 개입정도와 개별화 맞춤형 지도를 단계적으로 실행하는 모형으로 Tier 1(수업 내 관찰/진단), Tier 2(수업내 개별지도ㆍ지원), Tier 3(수업 외 집중지도ㆍ지원)의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단계별 주요 교수전략 및 내용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담임교사와 협력교사가 기초학력 지도ㆍ지원을 위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협력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안내서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과 기초학력 지도ㆍ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있어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models for co-teaching instructional design and basic education guidance. In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according to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nd models were developed through expert validation. Based on this newly established notion of basic academic skills and the result from the survey, we specified the definitions and development of a structural co-teaching instruction design model and a guidance model to support basic education. The validity of the initial models and design principles were verified twice by 32 experts, and the final draft of the models and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32 experts. The result was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with five steps (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evaluation) and 13 design principles and a co-teaching guidance model with three steps (Tier 1, Tier 2, Tier 3) and three guidelines. The co-teaching interfactional model to support students with a lack of basic academic skills described how to design co-teaching instruction. The co-teaching guidance model for basic education explained the strategy of implementing the degree of intervention and customized guidance of instructors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students’ basic academic skill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디자인 교육 특성화를 위한 융·복합형 디자인 교육 개념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교통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아,송연호,장효민,이경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오늘날 사회가 요구하는 디자이너 상은 정치·경제, 역사·문화적 차원에서 급변하는 주변 정세에 즉각 대처할 수 있는 능동적인 디자인 인재가 요구된다. 과거 산업화 시대에는 기술과 지식 전수를 통한 '기능 중심의 디자이너'가 요구 되었다. 하지만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진 오늘날에는 뛰어난 창의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능력을 겸비한 '창조적인 디자이너'가 요구된다. 즉, 오늘날의 디자이너는 '디자인'이라는 영역 내에서의 이론적, 실무적 교류 및 융합 능력을 바탕으로 타 분야들과 원활히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대학의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도 미래지향적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타학문과의 교류 및 융합뿐만 아니라 디자인 영역 간의 상호작용 즉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의 주요 논점은 디자인의 의미의 변화에 따른 디자인의 개념을 재 정의하였다. 또한 재 정의한 디자인 개념에 따라 융·복합형 디자인 교육의 개념모델로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의미 및 개념을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디자인 교육 개념 모델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급변하는 사회 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준비된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융·복합형 디자인 교육 개념모델(CDECM, Convergence Design Educating Concept Model)' 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논문은 소속대학의 융합교육 계획에 따라 디자인 교육특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후속 과제인 '미래지향적인 통합 디자인 교육 모델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로 사용하고자 한다. A major viewpoint of this study lies on the fact that design concept is accordingly re-defined to the change of design meaning. Moreover, according to the re-defined design concept this study proposes a communication design as a conceptual model for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For these,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and concept of communication in the aspects of various dimensions and applied it to a conceptual model of desig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vergence Design Educating Concept Model (CDECM), for raising prepared designers to actively cope with the social conditions that change suddenly. Also,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used for 'a study of future-oriented integrated design educating model,' and also, a succeeding project as a basic research for specialized design education according to convergence education plans of the affiliated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