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교수·학습 성과관리 준거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PDCA 모형을 기반으로

        이해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0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체계적인 질 관리를 위한 대학 교수‧학습 성과관리 준거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PDCA 모형에 따라 선행연구, 대학사례,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지표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준거를 개발하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Plan–Do–Check–Act의 대학 교수‧학습 성과관리 준거를 총 10개 요소, 39개 세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는 대학 교수‧학습 전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자체평가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현장 활용성 높은 성과관리 준거를 개발하여 실제 대학 교육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분석, 관리하고 환류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성과관리 모델로 매우 의미있는 연구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 및 실제 중도탈락 여부, 재입학 여부에 따른 집단별 특성 탐색 연구 -G 국립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정윤선(yunseon Cheong),양정모(Joung Mo Ya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와 실제 중도탈락 여부, 재입학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 특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의 G 국립대학 재학생 2,812명의 학적 데이터와 대학 적응력 검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집단의 구분은 중도탈락에 대한 의도와 실제 중도탈락 여부에 따른 2×2 네 집단과 재입학한 학생 집단을 포함하여 총 다섯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학업 관련 변인과 대학 관련 변인에서 다섯 집단이 어떠한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지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에 중도탈락 의도가 있었고, 실제 중도탈락한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학사경고 횟수와 낮은 평점평균(GPA)을 보이는 집단이며, 장학 횟수와 상담 횟수, 총 취득 학점도 낮았다. 중도탈락 의도가 없었지만 중도 탈락한 집단 역시 이들과 비슷한 수준의 장학 횟수와 상담 횟수, 취득 학점을 보였지만, 평점평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관련 변인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중도탈락 의도가 있던 중도탈락 집단은 학문적 통합성이 낮고, 교수와의 관계와 대학 만족도가 낮은 특징을 보였으나, 중도탈락 의도가 없던 중도탈락 집단은 학문적 통합성이 높고, 높은 정서적 안정성과 진로 정체성, 경제적 안정성을 보이는 집단으로 나타나 차별적이었다. 한편 중도탈락 의도는 있으나 탈락하지 않은 집단은 정서적 안정성과 경제적 안정성이 가장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 역시 낮았다. 마지막으로 재입학 집단은 학사경고 횟수와 일반휴학 횟수가 높으나 교수와의 관계와 대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groups based on the intention to drop out, actual dropout status, and re-entry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For this purpose, enrollment data and CAT data of 2,812 students at G National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were utilized. The groups were categorized into five, including a 2×2 matrix based on the intention and actual occurrence of dropout, as well as a group of students who re-entry. The results of explor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mong the five groups in academic and university-related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group with both prior dropout intention and actual dropout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academic warnings, a lower grade point average (GPA), fewer scholarship and counseling instances, and lower total acquired credits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group without prior dropout intention but who dropped out exhibited similar levels of scholarship and counseling instances, and acquired credits, but with a higher GPA. Examining differences in university-related variables, the group with dropout intention and actual dropout displayed lower academic integration, poorer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lower university satisfaction. In contrast, the group without prior dropout intention but who dropped out showed higher academic integration, higher emotional stability, career identity, and economic stability. Those with dropout intention but did not drop out constituted the group with the lowest emotional and economic stability and lower satisfaction in their major. Lastly, the re-enrollment group exhibited higher instances of academic warnings and general leaves of absence but demonstrated positive perceptions of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the universit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by providing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ng university dropouts.

      • KCI등재후보

        Kirkpatrick 4-Level 모형 기반 대학 교수지원 프로그램 성과지표 개발 및 타당화 검증

        남민우,이해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0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대학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과 실적으로 교육의 질 관리가 매우 강조됨으로써 더불어 대학 CTL의 교수-학습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질 관리 부분들이 강조되는 바 교수지원 측면에서 질 관리를 위한 성과지표 및 산출식을 개발하고 타당화 검증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지원 4개 단위 프로그램에 대해 Kirkpatrick 4-Level 모형에 따라 단계별 성과지표를 제시하였다. 현행 성과 목표 달성에 유리한 형식적 지표 구성에서 진일보하여 교수지원 사업을 실질적으로 점검, 개선, 환류하고, 사업성과를 우수하게 평가받을 수 있는 양질의 성과지표로의 연구적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반영하였다. 또한, 대학별로 우후죽순 활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지원 성과지표들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체계화하여 향후 타당성 높은 성과지표 개발과 성과 관리의 표준화된 모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하이플렉스(HyFlex) 기반 대학 간 공유협력 수업 개발 연구

        최보라(Bora Choi),김현우(Hyunwoo Kim),윤혜진(Hyea Jin Yoon)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2023학년도 1학기 전주 J대학, 서울 K대학, 청주 S대학이 변화하는 교육환경을 위한 대안이자 대학생의 학습전략 향상을 위하여, 하이플렉스 기반 대학 간 교양교과를 공동으로 개발·운영하였고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기, 인지, 행동 영역으로 나누어 자기조절학습검사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하고 성찰일지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의 동기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으나 타 대학 수강생들의 수업 태도를 보면서 학습 동기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인지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는데, 정보의 정교화 및 조직화, 다양한 관점 및 사고의 확장 효과가 있었으며, 대학별로 팀 활동 수행을 통해 상호작용이 촉진되었다. 셋째, 행동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하거나 향후 대학 생활에서 활용하겠다는 의지가 나타났다. 또한, 실제적 과제의 수행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을 돌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학습방법을 탐색하여 실천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간 공유협력 수업은 인터넷 연결, 음향 및 화면 전송 등 H/W 및 S/W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원거리에서 함께 같은 수업을 가능하게 함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었을 뿐 아니라 공통 과제 수행과 결과를 공유하는 학습경험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향후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는 혁신적인 미래 대학 교육으로써 대학 연계 공유협력 교과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HyFlex-based learning as a university-affiliated collaborative shared course, conducted by three universities, J University in Jeonju, K University in Seoul, and S University in Cheongju, Korea. They jointly developed and operated a liberal arts elective course to improve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Hyflex classes and university-linked learning strategy classes, a mixed research method was used. First, a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pre- and post-tes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test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class, and the reflection log was analyzed as follows through a qualitative study.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motivation domain, but it is interpreted that looking at the attitudes of students from other universities had some positive impact on learning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notable improvements were seen in the cognitive area, with elaboration and organization of information, expansion of various perspectives and thinking, and interaction promoted by performing team activities in each university. In the behavioral area, meaningful change was revealed with many comments on willingness to practice and apply what students learned in learning activities or their future college care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arrying out authentic tasks, students reflected on how they learned and explored and practiced learning methods that suited them. For a collaborative shared course between universities, the need for an upgrading H/W and S/W such as better internet connection, clear audio, and ease in transmitting screens was raised. Nevertheless, this course derived not only learners’ interest by making it possible to take the same class simultaneously from a distance, but also overall positive learning effectiveness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 of performing common tasks and sharing outcomes with other stud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niversity-affiliated collaborative shared courses as an innovative future higher education that responds to raid conversion in the forthcoming time.

      • KCI등재후보

        대학 CTL 전문가들의 원격교육 질 관리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인식 분석

        김경이,남민우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1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 교수학습센터(CTL)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원격교육의 질 관리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였다. 대학 CTL 전문가들은 원격교육 질 관리를 위해 인프라, CTL 교육지원, 제도 순으로 중요도와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인프라 영역에서는 원격교육 담당업무 인력 확충, CTL 교육지원에서는 교수자 대상 온라인 강의 운영 교육 실시 확대, 제도에서는 원격교육을 위한 규정 개편이 질 관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원격교육 질 관리 항목 중 가장 낮은 실행도를 보인 항목은 인프라 영역에서 원격교육 담당업무 인력 확충, CTL 교육지원에서 디지털 접근성 취약계층 학생 대상 스마트 기기 지원, 제도에서 원격교육 인증제 도입으로 나타났다. 대학 원격교육 질 관리 항목별 중요도-실행도의 IPA 분석 결과에서는 우선 중점개선 영역 항목으로 원격교육 담당 업무 인력 확충, 학습 격차 해소를 위한 학습 지원이, 점진적 개선대상 영역 항목은 원격교육 인증제 도입, 디지털 접근성 취약계층 학생 대상 스마트 기기 지원, 원격교육 관리위원회 학생 참여, 비대면 수업을 위한 대학 간 협업・공유 모델, 학점 교류 필요성, 원격교육 참여 학습 공간 지원 등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인프라, 제도, CTL 교육지원 측면의 원격교육 질 관리 항목들에 대해 중요도 인식 만큼 실제 현장에서의 실행도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대학특성에 따른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수-학생 인식 차이

        김희란(Heera Kim),권다남(Danam Kwon)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 능동적·협력적 교수·학습경험과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차이를 대학특성에 따라 분석하고, 대학만족도와 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한 「2022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학생 설문조사(NASEL)」와 「2022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조사(NAFET)」의 92개 전국 일반대학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협력학습에서 비수도권 대학이 수도권 대학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는 비수도권 대학이 수도권 대학보다, 중소규모 대학이 대규모 대학보다 협력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에서 학생과 유의하게 더 높았다. 능동적 학습과 사고력 증진 학습에서는 학생과 교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협력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에서 교수와 학생 모두 인식이 높은 대학이 모두 낮은 대학에 비해서 학생의 대학만족도와 학업지속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 학생과의 인식 차이와 대학만족도간 유의한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와 학생간 교수·학습경험에 대한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regarding active and cooperativ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s according to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satisfaction and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their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ooperative learning in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Second, universities where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were highly awar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instructor-learners interactions and had small difference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 and a higher intention to continue their studies compared to universities where the differences were small. Based on these results,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to reduce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 KCI등재

        대학혁신지원사업 교육영역 프로그램 분석 틀 개발 및 유형화 : 수도권 대형사립대학을 중심으로

        김효정,진서연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교육영역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마련하고, 프로그램의 유형을 살펴 향후 재정지원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혁신지원사업 1주기 사업에 참여한 수도권 대형사립대학 중 2개년 이상 평가 A등급을 받은 7개교의 3차년도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사제도, 교육방법, 교육환경, 교육내용, 비교과, 성과관리의 6개 영역과 23개 유형으로 구성된 분석 틀을 개발하였다. 또한, 영역별 프로그램을 유형화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양상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정지원사업의 현황을 탐색하고, 일관성 있게 비교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기관연구 전담 조직의 역할 및 기능 탐색

        이은정,이은택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al status of outcome management in Korean 4-year universities and explore the key functions and roles of institutional research. To this end, a literature review,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4-year universities nationwide, and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s with the experts in the field of outcome managemen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ajority of outcome management organizations in Korean 4-year universities are located under the educational innovation division of the university headquarters. The most emphasized area of outcome management organizations in universities turned out to be the establishment of a feedback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Delphi survey identified the core role of institutional research as providing the basis to support policy formation and decision-making based on data. The key functions of institutional research were classified as institutional outcomes analysis, learning outcomes analysis, feedback system construction, learning outcomes analysis,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 KCI등재

        Rasch 측정모형을 이용한 대학 전공능력 진단도구의 타당화: 경제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A대학 경제학과 전공능력 진단도구의 타당성을 5가지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검증하고자 Rasch 측정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검사내용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에서 내외 적합도와 점이연 상관계수 모두 적절하였다. 둘째,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에서 전체피험자의 83.6%가 Rasch 모형에 적합한 문항 반응 형태를 나타냈다. 셋째, 내적 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에서 문항의 단일차원을 지지한 바 있다. 넷째, 반응과정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에서 평정 척도 분석 결과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화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에서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를 제외한 전체 문항에서 차별기능문항이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검사도구가 Rasch 모형에 적합한지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를 추정한 결과, 피험자와 문항에 대한 R신뢰도, 분리지수, 층화지수에서 내적 일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통합적 접근에 근거하여 다양한 타당도 근거를 확보하여 A대학 경제학과 전공능력 진단도구의 타당도를 통합적으로 평가하였다.

      • KCI등재

        공동체 기반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이 학생역량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명희,김경은,강미정,박현정,장윤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university life adaptation support program consisting of experience, counseling, and tutoring on students' competencies and ability to adapt to university life,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effective university life adaptation support. After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were selected as competencies related to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rogram to measure the change in competencies and how well the student had adapted to university life.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sample t-tests.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competencies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 total of 53 responses were used as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terms of sub-factors of the competencies and adaptation, the effects in the function and attitude aspects were more prominent than in the cognitive aspect. Second, it was found that both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the former was the higher of the two.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usefulness of a community-based integrated support program for university life adaptation was confirmed, and plans for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a program for effective university life adaptation support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