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교육전담기관의 역사적 전개 과정-법제화 과정에서의 기관 구상과 설치를 중심으로-

        전광수 한국성인교육학회 2017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0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법제화 과정에서 기관의 구상과 설치를 중심으로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법은 국가의 평생교육 진흥을 명문화하고, 국민의 학습권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조건 정비의 법적 근거를 제공한다. 더불어 조건 정비는 시대 변화에 대응하여야 하며, 법이 지양하는 바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주체가 된다는 측면에서 평생교육기관이 어떻게 변화를 거듭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평생교육법의 위상과 체계, 효력에 대한 연구나 법 제․개정 시기에의 의의와 쟁점에 관한 연구 등이 대부분이다. 이외에는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기능, 평생교육기관의 사례와 운영 전략 등의 연구가 있다. 즉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법 제정을 통해 정비하려던 평생교육기관은 어떻게 역사적으로 구상되었고 설치되어 왔는지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자료는 수집한 법안 전문과 문헌, 신문 및 잡지, 국회 및 국무회의 회의록 등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선행연구에 인용된 이차적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법제화를 통해 정비하려던 평생교육기관의 구상과 설치는 시대적 요구와 현장의 변화, 정부와 학계의 입장 속에서 그 특성이 다양하게 변화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형도 다양하게 구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시대 흐름 속에서 법안의 제정 목적에 따라 문맹퇴치를 위한 성인교육기관에서 문화 시설 확충을 위한 사회교육기관, 향토관, 청소년 시설, 사회교육관, 평생교육 전담 기관 등으로 진화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는 법의 테두리 내에서 중앙과 지역으로 이어지는 전담 기관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 개념과 함께 유입된 평생교육 체제의 구축과도 연결되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는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역할을 더욱 강조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법의 위상과 실효성이 보장됨은 물론, 국민의 실질적인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rocess of developing institution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in history focusing on how to devise and install the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law of lifelong education. Most of the advanced research, however, has only dealt with the status, system, or effect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significance of the time for institutionalizing or revising the law, or issues related to it. Aside from that, the research has been only focused on the functions of institution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or the cases or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m. In fact, it is hard to find research that deals with how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have been devised and installed in history through legislation on their maintenance which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This study has mainly analyzed the full text of the bills collected, literatures,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minutes gained from the With the process, this author has drawn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regarding how to devise and instal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maintenance grounded on the law, they have been changed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time, changes in the field, or the positions of the government or academic circles. Also, the types have been conceived diversely. They have evolved in the forms of adults’ education institutions to eliminate illiteracy,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to expand culture facilities, county centers, adolescents’ facilities, social education centers,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so on. In the future, center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will have even more stressed roles. Wit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he status of the act effectively and also obtain the right of learning practically for the people.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활성화 방안 분석

        조창빈 ( Cho¸ Chang-been ),김두영 ( Kim¸ Doo-young ),신민선 ( Shin¸ Min-s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3

        이 연구는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현황과 기관 실무자들이 인식하는 장애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조사하여 장애인 문해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실무자들은 총 116명으로 일반·장애인평생교육시설 실무자 52명, 장애인복지시설 및 관련 협회 실무자들은 64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는 기관 이용자의 요구에 의해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 역시 이용자의 요구가 가장 많았고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방법 역시 이용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문해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가정영역에 한정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실무자들이 인식하는 극복해야 하는 어려움은 장애인 문해교육 전문 강사 부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장애인 문해교육 활성화를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로 장애인 문해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꼽았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문해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교육부의 장애인 문해교육 교육과정의 대대적인 수정·보완, 장애인 문해교육 전문 강사 양성 및 파견 사업 운영, 장애인 문해교육 교과용 도서 개발 및 보급 사업 운영 등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literacy education activation plan for the disabled by examining the literacy education program operation status of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disabled that provides literacy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by finding a way to activate th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recognized by institution staff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working-level staff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A total of 116 working-level staff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ing of 52 staffs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general public and disabled and 64 staff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related associa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urvey conducted on them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significant number of responses answered that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operates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needs of institution users, and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running literacy education programs was also the needs of users. In addition,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the literacy education program planning was also based on the needs of users. However, literacy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were mostly limited to the home sector. Second, for the difficulties to overcome which were recognized by staff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most respondents answered a shortage of professional instructor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For the most urgent task to activate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ey selected the development of a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Ministry of Education's extensive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disabled, training and dispatching specialized instructor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developing and distributing book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suggested.

      • KCI등재

        공공기관 회계교육 활성화 방안:감사교육원 회계교육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황국재,박성환,정동진,이도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4

        [Purpose]The Audit and Inspection Training Institute(AITI) provides specific training programs, such as training courses for BAI staff, Education/training courses for international auditors, education/training courses for accounting related officials, Cyber-education, etc. AITI is the unique one to provide audit education courses for governmental officials. Therefore, the demand on audit education programs has been higher than expectation. However, the educational demand on accounting programs has been decreased continuously, because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provide similar accounting courses and it is quite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other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is the accounti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AITI and to suggest the way to vitalize those programs, based on the accounting education demand survey. [Methodology]In this study, we took a survey for accounting related education demand of officials in public institutes and interviewed with officials who had education experience from AITI. [Findings]First, most of respondents took accounting related courses from public procurement training institute,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velopment institute, central government educational institutes other than AITI. Second,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accounting education related to their jobs. Third, there are different demands for specific accounting subjects by institutes which they belong to. [Implications]There are several ways to improve accounti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AITI. First, AITI need to make segmentation by public institutes and to provide customized program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eaching methods including discussion and team teaching. Third, on-lin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more provided to solve the access limitation problem. Fourth, AITI need to promote more aggressively their accounting education programs. [연구목적]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감사교육원 회계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진단하고, 수요자중심의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감사교육원의 회계교육수요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요자 특성별로 회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분석한다. 또한 감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얻기 위해 공공기관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다. [연구결과]공공기관의 종사자들은 감사교육원 이외에 ‘소속기관의 자체공무원교육원’이나 ‘조달교육원’, ‘지방행정연수원’ 등에서 회계교육을 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기타 공공기관 종사자 모두 회계관련업무 수행과 관련하여 교육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다. 공무원과 기타 공공기관, 공무원의 소속에 따라 구체적으로 필요한 회계교육주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향후 감사교육원 회계교육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요자의 기관별 세분화와 사전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교육분야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토론, 팀강의 등 교수법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감사교육원의 지리적 여건에 따른 접근성의 한계를 고려하여 온라인 교육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감사교육원 회계교육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 KCI등재

        시설퇴소 청년들의 자립지원교육에 대한 요구

        안희란,이용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2

        Previous studies about the independence experience of the youth who aged out from institutional care show that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does not provide any practical help. Unlik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actual situation of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this study examined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in institutional care,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Youths who aged out from institutional care were interviewed so as to find out what can be improved in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Since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dependently living, it is assumed that they would be well aware of the lack of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conducted. Participants were 25 youths who aged out of institutional care. Participants hoped that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would be provided after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and those who had aged out from institutional care would be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support education to extend the boundary of the educators. Besides, they demanded that support education should not be simply carried out through the text but be actually performed in institution care. They also wanted support education to provide them with rehearsing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expend from their own income after aging out of the institutional care. As a result of this, they hoped to learn how to adapt to being independent. Lastly, because the existing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do not cover contents related to finance, law, and lifestyle, the youth in institutional care asked to receive practical financial education that provides basic knowledge about how to save money after they move out of the institution, legal knowledge to protect their property, and adult lifestyle which needs to be taught by adults in order to be effectively acquainted. In particular,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youth in or aged out of institutional care could lose a large fortune if they have insufficient 1egal knowledge as for legal representatives or lease deposits. Therefore, support education should include ‘education about legal representatives’ and ‘education about lease deposits.’ Also, the maximum age for the youth to be in institutional care should be raised from 18 to 19, so the youth ‘can master independent living skills.’ As for the ‘training of living alone for 3 months in the same circumstance as after aging out of the institutional care,’ the administrator should check the level of independence by conducting regular visits and counselling them. Hence, a local support facility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should be established. 퇴소 청소년의 자립경험을 다룬 기존의 연구결과들은 퇴소 전에 이루어진 자립지원교육이 퇴소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퇴소 전 아동의 자립준비 실태에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퇴소 후 자립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기에 자립지원교육의 부족한 점에 대한 식견이 생겼다고 볼 수 있는 ‘퇴소자’를 대상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자립지원교육이 어떠한 부분에서 보완되어야 하는지,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보았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총 25명의 시설퇴소자들이다. 연구참여자들은 현행의 자립지원교육이 퇴소한 선배를 강사로 섭외하여 교육자의 외연을 확대하고, 퇴소 후에도 받을 수 있도록 시기가 연장되기를 바랐다. 또한 교육방식이 텍스트적으로만 진행되지 아니하고 시설생활에서 실천으로 연결되기를 요구하였다. 그리고 퇴소 후 겪을 혼자 있으면서, 스스로 번 돈으로 지출해야 하는 상황을 설정, 이에 적응하는 방식을 습득하도록 진행되기를 바랐다. 마지막으로 기존 자립지원교육 내용에는 빠져 있지만 퇴소 후 돈을 모을 수 있는 기초지식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금융교육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법률 지식, 그리고 성인이 되면 하게 되는 생활양식이면서도 그 내용을 숙지하기 위해서는 어른들로부터의 가르침이 필요한 내용이 다루어지기를 요구하였다. 특히 법정대리인이나 임차보증금 관련 법률지식이 부족할 경우, 시설아동이나 퇴소청소년은 큰 액수의 재산을 잃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이 본 연구결과 드러났다. 이에 자립지원교육 내용에 ‘법정대리인 관련 교육’과 ‘임차보증금 관련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몸에 배도록 자립기술 습관들이기’ 를 위해서는 퇴소연령을 현행의 18세가 아닌 19세로 상향하여야 한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이 요구한 ‘퇴소 후와 같은 상황에서 3개월 정도 혼자 살아보는 훈련’을 위해서는 관리자가 정기적으로 방문하고 상담하면서 자립 정도를 확인하여야 하기에 지역 자립지원전담기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 KCI등재

        바람직한 교양교육 기관의 요건과 유형

        정인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3

        현재 우리 대학의 교양교육의 형태는 통일되어 있지 않고 다양하다. 우선 교양교육 담당 기구의 명칭이 교양교육원(혹은 기초교육원)으로서 대학 본부 조직의 하나로 기능하도록 조직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또 하나는 교양학부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많은 대학들이 학교의 설립 이념에 따라 독자적 이름이 붙여진 교양교육 형태를 갖고 있다. P대학의 사례에서 살펴보았지만 교양교육원은 전문적인 기구여야 하고 그것을 관리하는 원장(혹은 학부장)은 학교조직의 최고회의인 교무위원 급이 되어야 한다. 이것이 축소되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으로(이를테면 두루뭉술하게 다른 여타 기구와 구별되지 않거나, 특히 기획처, 교무처의 하부조직으로 들어간다든지)으로 나아가게 되면, 교양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는 현시점에 역행하게 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The current form of gener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is not unified but diverse. First, some general education institutes under the name of the Institut of General Education(or Institut of Basic Education) are organized to function as one of the university headquarters organization, whereas others consist of Faculty of General Education. In the latter case, many universities have their own form of general education with a unique name in accordance with the ide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As we saw in case of P university, the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professionally and the director(or dean) who is charge of the institute should be a member of academic board of the supreme council in the university organization. The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other organizations. If the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s are downsized or go undesirable direction(for instance, it is not distinguished from other organizations, particularly, it is got into the subsystem of planning division or educational service division), it will go against the present point when general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중앙부처간 관계의 정치학: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부를 중심으로

        신철균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 funded research institutes (KEDI) and the central ministries (Ministry of Education) and to show how the central ministries have pressure and influence on government - funded research institutes, The purpose is to clarify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ministries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s 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the Ministry of Finance in terms of financial administration. Second, in the early stag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has a status as a unique position of research, but as the research "excellence" is gradually lost,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s still acting as a business agent with "stability". Third, as a research institute,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has a passive sympathy with its dependence on the Ministry of Education but nevertheless adopts aggressive tactics accompanied by actively responding, sometimes fighting against autonomy. In the future,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ill need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the research institute by researchers who have secured expertise while developing their research capacity. The Ministry of Education will respect autonomous research through partnership with the research institute.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한국교육개발원)과 중앙 부처(교육부) 간 관계의 양상을 밝히고 중앙 부처가 어떻게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압력과 영향을 미치며, 정부출연연구기관은 그에 대응하는 지를 드러내어, 중앙 부처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관계의 정치성에 대해 시사점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분석 결과 교육개발원과 교육부 간 관계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교육개발원은 수탁 사업비가 연구 사업비에 비해 과도하게 많아져, 재정운영 상 교육부와의 관계에서 위계적 관계에 놓여 있다. 둘째, 교육개발원 설립 초기에는 교육개발원이 연구의 독보적인 위치로서 위상을 가졌지만, 점점 연구의 ‘탁월성’을 잃어가면서 교육개발원은 ‘안정성’을 갖춘 사업 대행자로서 역할에 그치고 있다. 셋째, 연구기관으로서 교육개발원은 교육부에 대한 의존성으로 수동적 동조를 하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자율성을 획득하기 위해 ‘적극적 대응’ 행위를 수반한 공격적 전술을 택하기도 하였다. 향후 교육개발원은 연구 역량을 키워나가면서 전문성을 확보한 연구진으로 연구 기관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육부는 연구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자율적 연구를 존중함과 동시에 교육부 특교 사업의 추진 방식을 변화시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현행 고등교육평가에관한법률안의 고등교육평가체제 분석

        주철안(Joo Chul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지식기반사회에서 고등교육기관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고등교육기관의 질 향상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평가체제가 강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80년대 이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을 중심으로 고등교육평가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행 고등교육평가제도는 고등교육여건 개선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 등의 일부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고등교육평가에관한법률안을 2005년에 국회에 제출하였고, 동 법률안이 통과될 경우 고등교육기관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동 법률안은 고등교육평가의 총괄기구로서 한국고등교육평가원을 설립하고, 동 기구에서 고등교육평가, 학문분야평가를 담당하는 평가인증기관의 지정 등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도입되는 고등교육평가체제하에서 제기되는 쟁점으로서 고등교육평가주체로서의 평가기구, 고등교육 평가유형, 고등교육 평가목적, 고등교육평가내용 및 기준, 고등교육 평가절차, 고등교육 평가결과의 공개 및 활용, 한국고등교육평가원의 평가운영조직 등을 지적하고 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Enhanc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crucial issue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ose institutions and there are move to reinforce the systems for evaluating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The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has a major role in the evaluation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ince 1980s. The current system of higher education evaluation has achieved certain results in terms of rais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ere are other problems such as a lack of adequate coordination among other accreditation agencies, the lack of general supervisory body for university evaluation etc. Consequ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ubmitted a Bill Concerning Higher Education Evaluation in October 2005. In the event that the bill is enacted as law, it will influence greatly the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The bill stipulates the founda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Evaluation Institute and the Institute to play the role such as evaluation of higher education, recognition of accreditation agency, constructing data base, etc. In this research it points out the issues resulting from the newly introduced system of higher education evaluation such as the institute, types, purpose, contents and criteria, procedure, disclose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and the operating structure of evaluation institute of higher education. It also discussed the policy directions relating to those issues.

      • KCI등재후보

        비제도권 인권교육 현황분석을 통한 학교인권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조태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3

        The necess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s increasingly stressed along with recent social phenomena. So far, a lot of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on this issue, and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provided as part of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to stay abreast with the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in a bi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Four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related organization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to serve the purpose from among lots of related institutions: SARANBANG Group for Human Rights, Dasan Human Rights Center and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The selected institutions respectively represented national agencies, nongovernment group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goals and ideology of each group were discussed, and literature review was done to compare their human rights education, objectives of that education and relevant activities by utilizing their websites and data published by them and by having an interview with people in charg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ome limits to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due to a lack of national guidelines about the directions of that, social perception of looking at the issue just from an ideological perspective, physical school environments, and awarenes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nd there were favorable prospects for this issue as well, which are expected to lead to the realization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For instance,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the way teachers and students look at the issue, and that education could be offered in social studies class. Besides, human rights-friendly school setting will possibly be create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e of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provided by human rights groups to discus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though it produced little immediate visible results. Lots of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 the future into this issue to determine how to actualize human rights education as part of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인권교육은 최근의 사회상과 맞물려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인권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당연히 귀결되어져야 할 것이 바로 ‘학교인권교육의 도입’이다. 본 연구는 비제도권 인권교육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인권교육 도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학교인권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여 그 방향성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비제도권 인권관련단체는 인권운동사랑방, 다산인권센터, 국제사면위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4곳이다. 먼저 각 단체들이 추구하는 인권교육의 개념, 목표 및 이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권교육의 세부목표, 인권교육 관련 활동내용, 인권교육의 내용 구성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홈페이지 및 발간자료 등을 통한 문헌연구와 더불어 인권교육 담당자와의 면담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교인권교육의 한계 요인으로 국가 수준의 인권교육의 방향 정립이 없다는 점, 인권교육은 이념적 접근이라는 사회적 인식, 학교의 비민주적인 환경 요인, 학교의 교사 및 관리자의 인식문제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학교인권교육이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 요인으로는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의식 변화, 사회과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인권교육의 가능성, 인권친화적인 학교환경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제도권 인권단체의 인권교육 현황분석을 통하여 추상적이나마 학교인권교육 도입에 있어서의 체계적인 방향정립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차후, 구체적인 학교인권교육의 도입방안, 목표, 교육내용, 교육과정 수립 등에 대한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중국 근대 사범교육제도의 형성

        정낙찬(Jung Nak Chan),김홍화(Jin Hong Hua)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2

          본 연구는 중국 근대 사범교육제도의 형성과 그 형성에 나타난 근대사범교육의 특징을 고찰하는데 있다. 그 결과 1890년대에 근대 사범교육이 맹아 하였고, 1904년 계묘학제의 반포와 실행에 따른 초급사범학당, 여자사범학당, 우급사범학당, 실업교원 양성소의 설치로 근대사범교육은 초등교원양성교육, 중등교원양성교육, 여자학교 교원양성, 실업기술교육교원양성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완전한 조직체계를 이루었다. 이 형성과정에 나타난 중국 근대사범교육의 특징은 첫째, 종적이고 횡적인 독립적인 사범교육체제를 이루었다. 둘째, 국가가 통일적인 사범교육을 운영하였다. 셋째, 교육이론과 더불어 교육실습을 중시하였다. 넷째, 도덕과 인격교육을 중시하였다. 다섯째, 시기적절하게 사범교육의 발전규모와 형식을 조절하여 보통교육의 수용에 적응하였다. 여섯째, 사범생들에게 복무의무기간을 정하여 복무하도록 하였다는 점 등이다. 그래서 중국의 경제, 사회와 교육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The research intends to review the formation of modern teacher education and its character shown in its formation. As a result, modern teacher education germinated in the 1890s, and through establishment of elementary teacher institute, women"s teacher institute, second level teacher institute, unemployed teacher training institute, modern teacher education has comparatively formed a perfect system ranging from elementary teacher training to middle level teacher training, girl"s school teacher training, and skill education for unemployed teacher.<BR>  The characters of modern Chinese teacher education are, first, it formed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independent teacher educating system. Second, the nation operated a unified teacher education. Third, importance was attached in education theory and education practice as well. Fifth, timely control of development size and form of teacher education enabled it to fit for common education. Sixth, public training period was established and held. Therefore, i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education, economy, and society.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언어 교사 교육 과정 비교 연구 : 한국 세종학당과 중국 공자아카데미를 중심으로

        여열(Li Yue),유기(Liu Qi),정익순(Chung Iks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연구는 한국 세종학당과 중국 공자아카데미의 언어 교사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자 하며, 양국의 언어 교사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yler의 교육과정 이론을 바탕으로 Bereday의 비교교육 4단계를 적용하여 세종학당과 공자아카데미의 언어 교사 교육과정을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내용, 교육평가 방식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세종학당과 공자아카데미 모두 외국어로서 언어교사의 전문성을 중요시했다. 공자아카데미는 국제 중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국가에서 지정한 교육법에 기초하여 교육목표에 명시했지만, 세종학당은구체적인 교육법에 따른 교육목표를 언급하지 않았다. 둘째, 언어 기초 지식과 언어 교육 지식의 비율은 세종학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자아카데미는 세종학당에 비해 교육실습을 더욱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자아카데미의 교육과정은 문화와 관련된 내용이 더욱중요시 되었으며, 특히 문화 간의 교류를 강조하고 있다. 공자아카데미는 교사의 이중언어 능력을 강조하는 반면에 세종학당은 교사의 이중언어 능력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다. 셋째, 세종학당과 공자아카데미의 교사 자격증 시험은 모두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필기시험에 합격해야만 면접시험에 참가할 수 있다. 필기시험 관련하여 세종학당은 이론적 지식을 더 강조하고 공자아카데미는 실기 능력을 더 강조하고 있다. 면접시험은 공자아카데미의 경우 이중언어 능력을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삼는 반면에, 세종학당은 교사의 한국어 능력만 중요시 했다. 본 연구는 세종학당과 공자아카데미의 언어 교사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서 양국의 언어 교사 전문성과 언어 교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languag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China. Based on Tyler’s (1949) curriculum theory, this paper analyzed the languag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Sejong Institute (Korea) and Confucius Institute (China) regarding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content, and educational evaluation method. Using Bereday’s (1964) four stages of comparative education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institutions emphasized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ir curriculum. In the Confucius Institute, the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listed as an educational goal in the curriculum. However, the Sejong Institute did not explicitly mention the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 abilities in the curriculum as an educational goal. Second, the ratio of linguistic knowledge was higher at Sejong Institute than at Confucius Institute, but the Confucius Institute emphasized language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 more than the Sejong Institute. The curriculum in the Confucius Institute focused more on cultural content and especially emphasized cultural exchanges among diverse countries. Also, the Confucius Institute emphasized the bilingual ability of language teachers, while the Sejong Institute did not. Third, both the Sejong Institute and Confucius Institute’s teacher certification exams were divided into written exam and interviews. The candidates were required to pass the written exam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In the written test, Sejong Institute emphasized theoretical knowledge; whereas, the Confucius Institute emphasized practical ability. During the interview, the teacher’s bilingual ability was an essential criterion in Confucius Institute. However, in the Sejong Institute, the teacher’s bilingual ability was not been questioned. After a comparison between the institute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in terms of how to effectively construct language teachers’curriculum in both in Sejong Institute and the Confucius Instit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