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관련 다각화와 기업가치

        권택호 한국재무관리학회 2019 財務管理硏究 Vol.36 No.4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related diversification on the firm value of KOSPI non-financial companies. The period of analysis period was 1995 to 2010, which was before the Republic of Korea adopted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In an analysis of related diversification effects, the matching sampl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manage the problem of examining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related diversified firms and to mitigate the effect of endogeneity. Through the analysis, I found diversification discounts in both non-related and related diversification. In particular, diversification discounts were significant in the period after 2000. In an analysis of diversification by diversification type, related diversification companies showed larger diversification discounts than non-related diversification companie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fication discounts and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showed that the lower the shareholding ratio of the largest shareholder in the company, the larger the diversification discount in the related diversific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versification discount of the related diversification may be related to agency cost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rm's accounting performance and diversification index supported the inference that diversification discounts may be due to market concern about agency costs rather than decreases in accounting performances due to diversification. The results of the related diversification and firm value relationship analysis were robust, i.e., they were not influenced by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matching sample or the measurement of the related diversification index. The fact that firms reduced levels of related diversifica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an also be interpreted as supporti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nferring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diversification discounts and agency co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ompanies interested in diversification need to actively respond to market concerns about the possibility of agency costs. 이 연구에서는 유가증권시장 비금융업종 기업을 대상으로 관련 다각화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한국이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기 전인 2010년까지이다. 관련 다각화 효과 분석에서는 관련 다각화 기업의 표본 수가 많지 않은 점과 다각화와 기업가치 연구에서 대두 되는 내생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응 표본 분석 방법을 활용한다. 분석 결과 비관련 다각화와 관련 다각화 모두에서 다각화 할인이 있으며, 다각화 효과는 하위 기간별로 차이가 있다. 특히, 2000년 이후의 기간에 다각화 할인이 크게 나타난다. 다각화 유형별 차이 분석 결과 관련 다각화 기업이 비관련 다각화 기업에 비해 다각화 할인이 크게 나타난다. 다각화 할인과 최대주주지분율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업의 최대주주지분율이 낮을수록 관련 다각화에서의 다각화 할인이 크게 나타나 관련 다각화의 다각화 할인이 대리인비용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기업의 회계적 성과와 다각화지수 간의 관계 분석 결과는 다각화 할인이 다각화로 인한 회계적 성과 감소 때문이 아니라 대리인 비용 발생에 대한 시장의 우려 때문일 수 있다는 추론을 지지한다. 관련 다각화와 기업가치 관계 분석결과는 대응 표본의 구성 방법과 관련 다각화의 측정 방법에 영향을 받지 않는 강건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이 아시아 외환위기와 글로벌금융위기 기간에 관련 다각화 정도를 감소시킨 것 역시 관련 다각화 할인과 대리인 비용 간에 관련성이 있음을 추론한 실증분석의 결과를 지지하는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관련 다각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기업의 경우 대리인 비용 발생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에 대해 적극 대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대안 인덱스투자전략 연구

        윤보현 ( Bo Hyun Yoon ),최영민 ( Young Min Choi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4 선물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주식시장의 시가총액 비중 시장 인덱스의 위험 대비 수익률 관점의 비효율을 지적하며 등장한 다양한 대안적인 인덱스 투자전략을 한국 주식시장에 적용하여 실증 분석한다. 대안 인덱스 투자전략이란 인덱스를 구성하는 종목의 비중 계산을 시가총액 비중이 아닌 재무제표를 이용하거나, 평균-분산 최적화 결과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국 주식시장에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수익률을 측정한 결과, 시장 인덱스보다 위험 대비 수익률의 효율성이 증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안인덱스의 초과수익률은 Fama-French의 3요인 분석 결과 시장요인 및 기업규모요인 그리고 가치요인의 세 가지 요인으로 설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사실이 대안 인덱스의 유용성을 해친다고 할 수는 없다. Fama-French의 기업규모요인이나 가치요인은 매수/매도 포지션으로 이루어져있고, 포트폴리오 재구성 시 높은 수준의 시장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대안 인덱스가 100% 매수 포지션으로만 이루어져 있고 회전율도 높지 않기 때문에 기업규모요인이나 가치요인을 실질적으로 투자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순기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f alternative equity index strategies which suggest better investment opportunities with higher risk adjusted return pointing out empirical evidence of inefficient risk-return trade-off implied in the market-cap weighted index. Commercial products based on these strategies, regarded as passive equity strategies, become more popular in the U.S. and European stock markets. We investigates whether these strategies are also valid in Korean stock market and our empirical results add support to their efficacy. From Fama-French 3-factor analysis, we find that the excess return of alternative equity index is attributed to market, size and value factors and it does not show a significantly positive alpha. Even without positive alpha, however, these strategies are valuable to investors in the sense that they offer opportunities to fully exploit size and value premium with long-only portfolios. The advantage of these strategies is more straightforward recalling the fact that rebalancing of Fama-French factor portfolios involves short-sale and high turnover.

      • KCI등재

        한국 주식시장에서 리스크 기반 인덱스의 성과 및 다각화 효과 분석

        김창환 ( Changhwan Kim ),송준혁 ( Joonhyuk Song ) 한국금융공학회 2020 금융공학연구 Vol.19 No.1

        시가총액지수는 패시브 펀드는 물론 많은 액티브 펀드의 벤치마크로 사용되어 왔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시가총액지수가 시장 인덱스로 적합한가에 대한 회의가 부상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국내외 자산운용업계 및 학계에서 리스크 기반 인덱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부 종목의 시총 비중이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주식시장 특성을 감안하여 KOSPI200의 구성 종목을 대상으로 리스크 기반 인덱스를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대안으로 분석된 인덱스 방법 중 동일 비중(Equal Weighting), 리스크 패러티(Risk Parity) 및 일정한 비중 제약 하에서 최소 분산(Minimum Variance), 최대 다각화(Maximum Diversification)는 KOSPI200 지수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특정 종목의 비중을 평균 1% 이하로 유지하면서도 KOSPI200 지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한 샤프 비율을 보였다. 한편 다른 시장 인덱스인 MKF500 섹터지수를 대상으로 동일한 인덱스 전략을 적용했을 때에도 KOSPI200 지수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리스크 기반 인덱스에 의한 투자전략이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시가총액지수 내 단일 종목의 최대비중이 외국에 비해 현저하게 높기 때문에 특정 종목의 비중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지 않으면 시장의 성과를 따라갈 수 없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그러나 본고의 분석 결과는 이러한 인식과는 달리, 우리나라 시장에서도 특정 종목의 비중을 낮게 유지하며 다각화된 포트폴리오가 장기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낼 수 있음을 보여 준다. The cap-weighted indexes have been widely accepted as benchmarks for the both passive and active funds. However,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re was a growing concern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ap-weighted indexes as the benchmarks. As alternatives, the risk-based indexes have attracted interests from both the academy and the industry. Considering the high concentration on few stocks in Korean equity market, we apply alternative indexes as substitutes for KOSPI200 index. As a result, all the alternative indexes such as Equal Weighting, Minimum Variance, Risk Parity and Maximum Diversification have shown superior Sharpe ratios under certain constraints compared to KOSPI200 index. On average, the weight on the Samsung Electronics which has taken almost 30% in the KOSPI200 becomes less than 1% in the alternative indexes. Similar results are obtained when those methodologies are applied to MKF500 sector indexes. In contrast to the general perception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outperform the returns based on the cap-weighted benchmark, we show that the alternative indexes which are more diversified and less exposed to Samsung Electronics can be good substitutes to the conventional counterpart.

      • KCI등재

        기업의 성장과 다각화 효과

        권택호(Taek Ho Kwon) 한국증권학회 2016 한국증권학회지 Vol.45 No.4

        기업의 다각화는 기업의 성장전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기업다각화 정도를 측정하는 다각화지수의 계산결과는 기업의 매출성장 여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에서는 매출성장을 고려하면서 다각화와 기업가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각화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매출성장률이 낮은(매출액이 감소한) 기업에서 나타난 결과이며, 매출성장률이 높은 기업에서는 다각화와 기업가치 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다각화 지수의 계산 방법과 관련해 다각화 지수를 계산하는 품목의 분류 기준 선택에 따라 다각화 효과 분석결과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다각화 지수 측정 방법, 표본 분류 방법, 그리고 표본 기간 등을 달리하여 실시한 강건성 분석 결과에서도 매출과 다각화 효과 간의 관련성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A firm’s diversific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firm’s growth strategies. While the sales growth of a firm affects the computation result of diversification index which reveals the degree of the firm’s diversification. This paper tests the diversification and firm value relations considering a firm’s sales growth.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negative effect of diversification comes from the diversification conducted by firms that have been experienced low (negative) sales growth. On the contrary, the diversifications of the high sales growth firms had a ten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firm value.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sales growth could play a big role in the analyses of a firm’s diversification effect. The paper also tests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test results through measuring the diversification index. The test results confirm that the diversification effect could be different by digits adopted to classify a firm’s sales item. Empirical results of the paper remain robust to different model and sample specifications.

      • KCI등재후보

        한국 다각화기업(Conglomerates)에 대한 금융시장에서의 경제적 성과분석

        한동,임경원 예금보험공사 2009 金融安定硏究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ersification of conglomerates and economic performance in the Korean financial market. The Entropy index method developed by Jacquemin and Berry is employed to measure the degrees of corporate diversification for total, related and unrelated diversification. ROS and its growth rate are used for firms economic performance, using the data of 2 periods data from 1999 to 2001 and from 2004 to 2006. Also, the t-test and the Mann-Whitney U-test is employed to analyze the types of hypotheses about the relationship. The study finds that there are not any systematic relationships between total diversification and a firm’s profitability. But, firms with predominantly related diversification show significantly better economic performance (higher profit and growth rate) than firms with predominantly unrelated diversification. The results coincide with the portfolio theory that argues diversific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achieved by shareholders in the financial market than by firms themselves. 본 연구는 한국 대기업의 대부분이 시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화 전략이 실질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키는지를 검증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균형재무이론에 입각하여 기업의 다각화 전략과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분석대상과 다각화전략을 주관적으로 구분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선정 및 전략 분류에 객관성을 기하여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기업다각화 전략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9년부터 2001년과 2004년부터 2006년간의 2 기간 동안의 ROS 자료 및 1999년부터 2006년까지 생존기업에 대한 ROS 성장률 자료를 이용하여 다각화 전략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Jacquemin과 Berry에 의해 개발된 Entropy 지수를 이용하여 각 기업의 총다각화, 관련다각화, 비관련다각화정도를 측정한 후, 이를 토대로 기업의 다각화정도와 매출액순이익률 및 매출액순이익률의 성장성과의 관계를 t-test와 Mann-Whitney U-test를 수행하여 파악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기업의 총다각화 수준과 성과간의 관계는 무관하게 나타났으나, 관련다각화에 치중한 기업은 비관련다각화에 치중한 기업 보다 높은 수익성과 성장률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업은 자신의 사업영역에 집중 투자하여 경쟁력을 증대시키고, 주주가 금융시장에서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한 위험분산을 추진하는 것이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전통적 포트폴리오 이론에 부합하는 결론을 제시한다.

      • KCI등재

        도시의 입지와 규모에 따른 고용 불안정성에 대한 산업 다양성의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문동진(Moon Dong j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도시의 규모와 입지에 따라 산업 다양성이 고용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75개 도시 지역들의 2008년에서 2016년까지의 산업별 종사자 수를 바탕으로 산업 다양성 지수와 고용불안정 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시 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수도권의 권역, 그리고 인구규모별로 각각 분류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과 중도시 이상 규모의 도시 지역에서는 산업 다양성의 확보가 고용 불안정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수도권 지역과 소도시 지역에서는 산업 다양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 지역의 경우 권역에 따라 산업 다양성이 고용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안정적 지역성장을 위한 지역산업정책의 효과성과 능률성의 제고를 위해서는 각 도시의 특성과 입지를 고려한 복합적인 맞춤형 지역산업정책의 설계와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n employment instability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Using employment data by industrial sector for cities in Korea from 2008 to 2016, this study calculated the industrial diversification index and employment instability index. This study then developed panel regression model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population size of citi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dex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f the capital region and cities with populations over 300,000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ment instability index, However, the index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f the non-capital region and cities with populations under 300,000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ment instability index.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n employment instability different according to provincial lo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 i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ulate the tailored local industrial policies to promote stable growth of regions.

      • KCI등재

        국내 매스미디어 기업의 사업다각화와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장윤희(Yun-Hi Ch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3 No.3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국내 전통미디어 기업집단들의 사업다각화 현황에 따른 기업성과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기업집단 중, 신문사는 생존을 위해 다양한 영역으로부터 수의창출을 하려는 경함으로, 비관련 다각화의 비중이 높은 반면, 방송사는 고유의 사업영역인 콘텐츠의 제작과 공급을 중심으로 한 관련 다각화의 비중이 높다. 둘째, 국내 미디어 기업들의 주력업종 매출비중은 해가 갈수록 감소되고 있어 다각화에 자원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조사 대상미디어 기업집단의 사업다각화 수준을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해본 결과, 다각화 수준이 가장 높은 그룹에서 ROE가 가장 높았으며, ROE 변동성은 낮고, 위험대비 수익성 또한 높게 나타나 다각화를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안정적인 경영성과를 성취할 수 있었다. 넷째, 조사대상 미디어 기업들을 군집분석하고 몇 개의 조직속성 변수들과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매출액 규모, 부채비율, 조직년수, 대주주 지분율에서 중간수준을 유지하고 ROE가 높은 군집에서 다각화 수준이 높았다. 다각화 수준과 조직속성 변수들로 인과분석을 해본 결과, 미디어 기업집단의 다각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속성으로는 매출액 규모가 정의 방향으로, 대주주 지분율이 부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각화 수준은 경영성과에 대해 정의 방향으로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미디어 기업을 대상으로 때 탐색적으로 수행되었는데, 지금까지 국내 미디어 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주제는 활발히 다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이론적 바탕에 기초하여 연구모델 및 가설을 수립하고 실증분석하는 연구방법을 선택하기보다는 조사대상 기업 경영지원 담당자들과의 수차례 인터뷰와 패널토론을 통하여 실무적인 관점의 주요 관심대상이 되는 경영지표들을 선정하고, 사업다각화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각종 통계분석방법들을 이용하여 다각도로 조명하는 분석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수집된 자료가 최근 4개년에 한정되어 있고, 다각화와 경영성과 값 간의 시차를 두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미디어 기업의 특성을 보다 반영하여 미디어 기업 유형을 분류하거나, 다각화와 그에 따른 경영성과들 간의 시차도 반영한 연구들로 발전시켜야 한다. This study analyses the business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business diversification of Korean mass media enterprises from year 2003 to 2006. The conclusions drawn which could be divided into five main parts are the followings: First, newspaper companies pursue unrelated diversification in various industrial areas, in order to gain maximum profit while broadcasting companies exert themselves to provide better service by diversifying the major contents. Second, overall the interviewed companies display a constant decline in profit gained from their major business area thus establishing strategies to broaden their focus on diversification of any sort. Third, the researcher completed group analysis in regard of diversification measure resulting in division of three groups. The group which had the most immense diversification range gained the highest ROE, the lowest ROE volatility, and lesser probability of risk taking. The analysis adresses the companies broadening their business areas by researching and focusing on diversification are relatively stable in terms of the profit they gain. Fourth, the middle level group in terms of sales scale, debts, enterprise history, major share rate and high ROE group carry out diversification progressively. The sales scale affects positively to diversification, while the major share rate affects negatively to diversification. Fifth, in accordance to the research, diversification overall contributes to obtainance of successful outcome. Since there was not an immense amount of studies to be referred in the media area, the researcher interviewed and did panel discussion with numerous strategists and managers who are in charge of diversification of media companies. However, collection of only 4 years of data limits the research to be considered to be a generalized study, and does not reflect time gap between business diversific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Development is required in future studies to be established regarding the media companies' specificity different to other industries, classified che media companies into media types, and consider che time gap in the diversification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 KCI등재

        베리-허핀달 지수를 활용한 해외건설의 다각화 전략

        박환표 ( Park Hwan-pyo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베리-허핀달 지수를 활용한 글로벌 주요 국가의 해외건설 지역별 및 공종별 다각화 및 다변화 지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글로벌 설계 및 시공기업의 해외비중이 높고, 공종별 및 지역별 다각화 정도가 높은 국가들은 유럽 선진 국가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시공기업의 공종별 전문화를 통한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고, 설계기업은 공종별 및 지역별로 전문화 및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다. 향후에는 한국의 글로벌 건설기업은 선진국과 같이 해외사업 지역 다변화 및 공종 다각화로 해외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diversification and diversification indices by region and construction type of overseas construction in major global countries using the Berry-Herfindahl Index. The analysis found that advanced European countries account for most of the countries with a high overseas share of global design and construction companies, and a high degree of diversification by engineering and by region. Korea is pushing for diversification through the specialization of construction enterprises by type of construction, and design enterprises are concentrated in some areas and specializations by type of construction and region. In the future, Korea’s global construction companies need to strengthen their overseas competitiveness by diversifying their overseas business areas and their industrial sectors in the way that advanced countries have.

      • KCI등재

        Analysis of Priority Countries and Products for Indonesian Export Diversification in Latin America

        Febria Ramana,Lili Retnosari 한국유통과학회 2018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9 No.8

        Purpose - Indonesian economy often receives negative impact from external factors, particularly through trade linkage. To mitigate that impact, the export market and product diversif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Latin America is one of the potential regions to augment the Indonesian export marke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the potential market and product for Indonesian export, particularly in Latin America, by using panel regression, trade complementarity, and export similarity index over the period 2000-2015. Regression was also used to examine whether the presence of the Indonesian Trade Promotion Center (ITPC) can support diversification. Results - Based on regression results, those indexes established Chile, Uruguay, Suriname, and Ecuador as the priority countries with the products: animal and vegetable oils, fats and waxes; chemicals and related products; miscellaneous manufactured articles; commodities and transaction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concludes that the trade complementarity index g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boost Indonesian export, whereas, the export similarity index g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he regression also conclude that ITPC g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donesian export. For instance, the government should prioritize those countries and products and also develop ITPC there to optimize Indonesian ex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