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부모 위주의 진로기대,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이은설(Lee, Eun Sul),이지연(Lee, Jeeyo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4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literature on career indecision by examining the integrative path model that contains personal influence, contextual influence, and cognitive influence on career indecision. To do so, we included direct and indirect paths of ambiguity tolerance, parent-centered career expectations (maternal and paternal expectations, respectively),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on career indecision in the path model. Additionally, we hypothesized that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guity tolerance and career indecis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entered career expectations and career indeci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with a sample of 281 Korean college students. Overall,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zed path model. Ambiguity tolerance, maternal career expectations,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were each found to produce significant paths to career indecision. Also, the results revealed that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partially mediated ambiguity tolerance and career indecisio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areer expectations and career indecision. The significance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as also examined by the bootstrap metho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n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진로적응성에 따른 직업관, 진로선택, 전공미결정요인 비교

        천경희,박영순,이영환,Chun, Kyung Hee,Park, Young Soon,Lee, Young Hwan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2 의학교육논단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the factors that shape career choice and specialty indecision. One hundred and thirty-three students from a medic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completed a survey, which collected information on career choice, specialty indecision, and career adap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high and low career adaptability groups in factors that affected specialty choice and indecision. Students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ly more affected by 'intellectual content of specialty,' 'ages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patient contact experience during the early years of medical school,' and 'greater opportunity for research.' Among the specialty indecision factors, students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ere affected by 'several specialties equally appealing to me' and 'many interests,' while students with low career adaptability were affected by being 'unaware of my abilities,''unaware of my interests' and having 'learned my choice was not possible for me.' The factor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specialty indecision was 'need more information and suppor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signed for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career adaptability and specialty indecision.

      • KCI등재

        한국 고등학생의 진로 미결정 변화와 영향 요인: 성별, 직업 외적가치, 진로상담 효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아람,김보영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career indecision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ver time, while verifying the effects of variables affecting such change, namely gender, extrinsic job values, and satisfaction of career counseling effectiveness. Latent Growth Model was utilized and a three-year longitudinal panel data was gathered which consisted of responses from 2344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he results found that career indecision showed linear decrease over time. At the initial stat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indecision compared to female students, but gender did not affect the change amount of career indecision. Extrinsic work value wa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at the initial state and decreased the change amount of career indecision, whereas satisfaction of career counseling effective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and increased the change amount of career indecision.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2 패널 데이터 중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에 해당되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총 3개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일반계고 및 특목고 고등학생의 진로 미결정 변화를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성별, 직업 외적가치, 진로상담 효과 만족도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로 미결정이 선형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영향 요인의 효과를 살펴보면, 첫째, 진로 미결정의 초기치에서는 남자 고등학생이 여자 고등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고했지만, 진로 미결정의 변화량에서는 성별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직업 외적가치는 진로 미결정의 초기치를 증가시키고 변화량을 감소시켰다. 셋째, 진로상담에 대한 만족도는 진로 미결정의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 등 추후 개입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대학생들의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 어려움 관련 정서·성격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김민선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 어려움 관련 정서 및 성격 요인을 구성하는 비관적 관점(pessimistic view), 불안(anxiety), 자기개념 및 정체성(self-concept and identity)에 따라 대학생들이 몇 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인구통계(성별, 학년) 및 심리적 변인들(우유부단, 자아존중감, 정체성혼란)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잠재집단 분류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5개의 잠재계층 모형을 최적의 모형으로 선택하였으며 , 집단1(진로결정-적응 및 자기 확신 집단, n = 20, 8%), 집단2(진로미결정-발달적 갈등 집단, n = 54, 21%), 집단3(진로결정-확신 필요 집단, n = 113, 43%), 집단4(진로미결정-비관적 관념 및 불안 집단, n = 27, 11%), 집단5(진로결정어려움-자기개념 및 정체성 혼란 집단, n = 43, 17%)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 상담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in career indecision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mong college students.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the latent profiles to sex, grade, general indecision, identity status, and self-esteem on determining latent profi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ive types of latent profiles in career indecision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 career decision-adaptive and self-affirmation group, a career indecision-developmental indecision group, a career decision-need for self-affirmation group, a career indecision-pessimistic view and anxiety group, and a career indecision-self-concept and identity crisis group.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general indecision, identity diffusion, and self-esteem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career indecision-identity crisis group than other groups.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 on practice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a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관계성,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ich subordinate variables of career decision relatedness, competence, have effect on career indecision and which subordinate variables of career decision competence ha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variables of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the career indecision. For this study exercise collected relevant data by surveying 97 college students.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bout career decision competence, relatedness, and career indecision scale.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2.0 and this was follow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pport, modeling, and advice’ variable of career decision relatedness had a more negative effect on career indecision. Second, the ‘purpose and the future planning’ variable of career decision competence had a more negative effect on career indecision. Third, subordinate variables of career decision competence have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variables of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the ‘the external barrier’ variable of career indecision. Fourth, the ‘career information’ variables of career decision competence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variable of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the rest subordinate variables of career indecision. In conclusion, we suggest for the college students to give more support and career information to help the career decision. 본 연구는 진로결정관계성과 진로결정효능감의 어떤 하위변인들이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진로결정관계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중재효과를 각각의 하위변인들의 측면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로결정관계성 척도, 진로결정효능감 척도, 진로미결정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전문대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진로결정관계성, 진로결정효능감의 하위변인들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진로결정효능감의 중재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결정관계성 하위변인중에서는 지지와 모델링과 조언이, 진로결정효능감 하위변인중에서는 목표선택과 미래계획이 진로미결정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관계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미결정의 ‘외적장애’ 변인에서 어떤 중재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진로결정효능감의 ‘직업정보’ 변인은 진로결정관계성의 ‘지지’가 진로미결정의 네 개의 하위변인, 즉, 진로정보부족, 자기명확성 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필요성 인식 부족 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효능감의 ‘직업정보’ 변인이 중재효과를 나타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예측요인

        최현지(Choi, Hyun-Ji),이은희(Lee, E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영남지역 5개의 4년제 대학 재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진로미결정, 역기능적 진로사고, 애착회피, 애착불안, 특성 불안, 부적응적 완벽주의, 학년, 성별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응답자 201명 중 진로미결정 평균점수를 중심으로 1 표준표차 이상의 36명과 1 표준편차 이하의 35명을 선정하여 진로미결정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학년이 낮을수록, 회피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 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역기능적 진로사고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미결정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진로미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미결정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역기 능적 진로사고에 초점을 맞춘 상담 개입이 실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미결정 연구 및 상담 개입 전략에서의 의의와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The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indecision. Data on career indecisio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trait anxiety, maladaptive perfectionism, grade, and gender were collected from 201 students from five universities in Seoul and Yeongnam Province. We classified high and low group as the mean +1 standard deviation (SD) and -1 SD of the career indecision. This yielded 36 highs and 35 lows in career indecision.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high career indecision was associated with low grade, high avoidance attachment, high anxiety attachment, and high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It was found that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career indecis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career in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creas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career indecision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t suggests the need of development program about emotional status of career decision that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make preparations for their career stably.

      • KCI등재

        전문대 비서과 재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애착, 자기효능감의 관계 연구

        유지선(Yoo Jee-Sun) 한국비서학회 200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 비서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진로미결정(진로결정정도)를 조사하고, 진로미결정과 관계변인으로서의 애착(부모, 동료, 선배),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4개 전문대학 비서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1,2학년 동수로 표집된 153명을 연구의 표본으로 하여 신뢰도 분석, T 검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 그리고 동시적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통해 설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 비서과 재학생의 진로미결정 수준은 선행연구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학년간 차이도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학년이 올라감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진로를 보다 확고하게 결정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진로미결정과 애착의 관계에 관련된 것으로, 연구결과가 부분적으로는 동료애착과 진로미결정의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이고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애착은 진로미결정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는 애착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해 의미있는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영향력은 크지 않지만, 특히 부모애착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효능감 즉 자신감 영역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서과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가지는 자신감이 실질적으로 진로를 확고하게 결정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섯째, 매개변인으로서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조사한 결과, 동료와의 애착과 진로미결정 사이에서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동료 애착의 영향이 직접적으로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준다기보다는 심리적 변인인 자기효능감을 통해 더 많은 영향력을 준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career indecision facing students of secretarial department in junior college and its relationship with attachment and self-efficacy. In particular,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attachment.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using instruments to measure career indecision, attach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153 students of secretarial department in junior college. As for statistical methods,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alpha, t-test,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the stud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indecision level of the subjects came out higher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t remained unaffected by the grades and coeducation or not. Second, parental, peer, and senior attachment of the students proved to have a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areer indecision, but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Third, parental, peer, and senior attachment of the subjec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self efficacy. Attachment to parent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with career decision - making self-efficacy. For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indecision. Fif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layed the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attachment. It partially mediated attachment to peers with career indecision. In other words, the study showed that the indirect influence of peer attachment mediated b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far greater than its direct impact on career indecision.

      • 자아핸디캡전략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남녀 차이

        이현주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1 人文論叢 Vol.28 No.-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the relationship among self-handicapping strategy,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indecision but also the function of career motiv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the higher self-handicapping strategy the lower career motivation and the higher career indecision. And the higher career motivation the lower career indeci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ndecis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handicapping strategy(p<.001) in men. And the other par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ndecis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career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in women. Also, career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in men. The results supported that career motivation reacted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as a positive motivational strategy, but suggested that self-handicapping strategy endorsed negative career development.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otivation was confirmed.

      • KCI등재

        진로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한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4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indecision but also the function of career motiv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perfectionism and career indecision.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the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the higher career motivation and the lower career indecision. And the higher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he lower career motivation and the higher career indeci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p<.05) and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indecis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p<.001).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career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career indecision. Also, career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indecision. The results supported that career motivation reacted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as a positive motivational strategy. The results suggested tha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endorsed negative career development.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otivation was confirmed. 이 연구는 고교시기의 진로미결정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을 완화할 수 있는 인지적 요인으로서 진로동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자기지향적, 타인지향적, 사회부과적)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등학생 280명(남:166명, 여:11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분석, 다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에 따르면, 자기지향적, 타인지향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 모두 진로미결정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진로동기를 매개로 하였을 때 자기지향 및 타인지향 완벽주의의 직접효과는 사라지고 매개변인인 진로동기의 직접효과가 증대됨으로써 진로동기는 진로미결정에 대한 완전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다. 반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은 진로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하였을 때 여전히 진로미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진로동기를 매개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그 직접효과가 대폭 감소함으로써 진로동기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을 촉진하기 위하여 완벽주의 성향에 대한 차별적 접근과 진로동기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성 불안이 대학생의 진로 미결정 수준에 미치는 효과 : 진로 정체감의 매개효과

        어윤경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This study examines trait anxiety and career identity as the meaningful factors in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Whether trait anxiety has an effect on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an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would be affected in adults' career indecision are tested. 800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s according to trait anxiety. In particular, even when we consider career identity level, trait anxiety i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level.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career identity mediates between the two variables, trait anxiety and career indecision. The relation model between trait anxiety and career indecision can b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not only career variables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but also career variables from the behavioral perspective.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the career counselor is necessary to decrease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for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 미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개인의 성격적 특성인 특성 불안과 대학생 시기에 달성해야 할 중요한 발달과업인 진로 정체감을 설정하였다. 즉, 특성 불안이 진로 미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와 특성 불안, 진로 정체감, 진로 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 정체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전국적으로 균등 할당 표집하여 총 800명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특성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 미결정 상태에 머무르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연구분야에서 빠뜨릴 수 없는 진로 정체감 요인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였을 때, 특성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 정체감 형성을 방해하고 이것은 다시 진로 미결정에 이르게 하는데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 정체감은 진로 미결정에 대한 부분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진로 미결정은 향후 개인이 진로준비 행동을 실천하는데 사전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특성 불안, 진로 정체감, 진로 미결정 변인 간의 관계 모형에 대한 검증결과는 향후 행동측면의 변인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정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진로 미결정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특성 불안을 적절하게 잘 다루어 진로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적절한 개입활동을 통하여 진로결정 수준을 높인다면 향후 진로준비 행동을 실천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