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기도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 분석

        이찬주,현수,소준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a system of career education which can offer necessary inform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select vocational high schools suiting to their talent and aptitude. For this, the study formulated research questions: how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could acquire information related with entering high school;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general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ir level of information requirement; real state and effect (level of helping them choose future school) of assistance activity for career education as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For the analysis, the study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survey for 4,459 3rd graders from 627 middle schools at Gyeonggi-do.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ethods of middle school students getting information related with entering high school turned out in the order of internet search (42.0%), consultation with family and friends (25.5%), consultation with teachers (24.0%). While, their methods of getting information related with entering vocational high school turned out in the order of briefing session by vocational high schools (39.4%), field trip to vocational high schools (24.9%), consultation with teacher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15.7%). Seco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five points full marks) of Gyeonggi-do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high school by the type they wished to enter, and the level of information requirement (five points full marks) turned out 3.65 and 3.67 respectively for students who wished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with the difference being 0.02.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that of information requirement turned out 2.92 and 3.25 respectively with the difference being 0.33, for students who wished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s. Third, looking at the real state of participation of Gyeonggi-do middle school students in assistance activities for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79.4% of all students were participating. Activity with high participation ratio out of these turned out to be in the order of PR and guide book (booklet, brochure, etc.) for vocational high schools at 90.3%, briefing session prepar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on visit at 87.8% and video of vocational high school PR and introduction at 85.9%. The level of how these activities helped middle school students choose their high school was 3.45, showing more effect by 0.13 on students wishing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s compared to those wishing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부합한 직업계고 진학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로교육 체계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관련 정보 획득 방법, 일반고 및 직업계고에 대한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진로 선택 도움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개발하여 경기도 소재 중학교 627개교, 3학년 4,45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인터넷 검색(42.0%), 2순위 가족 및 친구와 상담(25.5%), 3순위 선생님과 상담(24.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계고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직업계고 운영 학교(학과)설명회(39.4%), 2순위 직업계고 견학(24.9%), 3순위 직업계고 교사와의 상담(1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경기도 중학생의 진로 희망 유형별 고등학교 이해도(5점 만점)와 정보 필요도(5점 만점)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3.65, 정보 필요도 3.67,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02이고,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2.92, 정보 필요도 3.25,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33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중학생의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참여 실태는 전체 79.4%가 참여하고 있다. 이 중에서 참여 비율이 높은 활동은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서(책자, 브로셔 등) 90.3%, 중학교 교실로 찾아오는 직업계고 학교설명회 87.8%,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 동영상 시청 85.9% 등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활동이 중학생에게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는 정도는 3.45이고, 도움을 주는 정도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에 비해서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에게 0.13만큼 더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임효신,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relationships among creativity,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tatus and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tatus between creativity and ego-ident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125,235 third grad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limited to agricultural, industrial and commercial high school. With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600 third grade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were sampled for the study.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creativity scale, ego-identity scale,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scale and demographics. 570 out of 6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 response rate of 95%), of which 450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with and alpha level of 0.05 to establish a priori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7.0 statistics packag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the analysis: 1)The level of creativ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and 8 sub-scales were also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except for perseverance and independence scale. After conducting ANOVA or t-test, the level of creativ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uch as types of vocational high school, domestic economy level, types of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2)The level of ego-ident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and 6 sub-scales were also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After conducting ANOVA or t-test, the level of ego-ident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uch as types of vocational high school, gender, domestic economy level, types of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3)career decision statu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After conducting ANOVA or t-test,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tatu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uch as types of vocational high school, gender, domestic economy level, types of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4)ego-identity wa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creativ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5)career decision status wa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creativ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6)relationships between creativity and ego-identity was not moderated by career decision status except for imagination scale which is a character of creativity.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그리고 창의성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아정체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진로결정수준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125,235명으로 전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의 계열비율을 고려하여, 유층표집하여 총 600명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불성실 및 무응답 질문지를 제외한 450부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 통계 및 추리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유의미성을 판별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계열, 가정경제 수준, 졸업 후 진로계획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의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계열, 성별, 가정경제 수준, 졸업 후 진로계획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보통이며, 계열, 성별, 가정경제 수준, 졸업 후 진로계획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자아정체감은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아질수록 창의성의 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진로결정수준은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질수록 창의성의 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섯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정체감 하위요소들과 창의성의 하위요소 중 하나인 상상의 관계에 있어서는 진로결정수준의 조절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 직업계고 교사의 인식에 기반한 직업계고 문제점 분석

        이강은,안태현,조준형,양용진,이상현,정훈섭,조아영,이병욱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constructing measures for restructuring Jeju vocational high schools and improving constitution by investigating the central phenomenon and influencing conditions for the problems fac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targeting Jeju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9 Jeju vocational high schools and 4-5 teachers per school participated in the FGI interview. The transcribed interview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method of grounded theory in the stage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blems of vocational high schools recognized by Jeju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149 semantic units, 47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re derived. Second, teachers of Jeju vocational high schools are suffering from 'grade-oriented vocational high school career decision culture', 'intensification of preference for going to college rather than employment', 'weakening of students' willingness to work', and 'lack of ability to decide career after graduation'. It was seen that the central phenomenon of 'inconsistency between career decision and preparation direction' appeared. In addition,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parent's culture of emphasis on academic relations', 'negative percep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deficient network of high school graduate employment system between industry and local subjects', 'mismatch of employment available companies by affiliates', and 'different recruitment by region' were considered to affect the process of determining students' careers and setting directions. However,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efforts to innovate classes'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efforts to improve class expertise' mediate the central phenomenon, and efforts were made to solve the immediate problems of each school through 'approaching the curriculum to improve basic competency', 'operation of various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structuring by student level'. Furthermore, it was believed that the problem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ould be resolved if ‘support for cooperation with education offices related to school entrance and employment paths’ and ‘support for individual schools for smooth operation of curriculum’ were strengthened. Third, Vocational high school system restructuring based o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was derived into four types: ‘College entrance-linked type’, ‘Regional vitalization industry-linked type’, ‘Basic competency reinforcement type’, and ‘Career competency reinforcement type'.

      • KCI등재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 우선순위 비교 연구

        이병욱,이상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3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and compare difference of the priority for performance goal of two groups by IPA. Research problems for them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importance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Second,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performance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Third,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priority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teaching staffs recognize the most importantly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ssignment was 'improvement of students' adaptation to the filed' in area of 'employment competency strengthening'. Second,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teaching staffs recognize the degree of high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ssignment was 'expansion of SMB employment opportunity' in area of ‘employment connection'. Third,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areas of high priority in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mprovement of teaching staff's understanding for SMB' and 'improvement of SMB understanding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area of ‘improvement of SMB mind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이 연구는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IPA기법을 통해 두 집단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수행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수행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연계’영역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할 영역에 대해 교원의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중소기업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영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수학급 운영실태 비교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안지훈 ( Ji Hoon Ahn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정의 특수교육을 의무교육으로 명시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실시를 앞두고 예상되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양적인 발전을 고려하여 고등학교특수학급의 질적인 발전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수학급 운영실태를 비교하고자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설치되어 있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일반계 고등학교 12개교 12학급, 실업계 고등학교 16개교 22학급) 담당교사 34명 전체였다. 설문지는 기초사항 9문항과 특수학급 운영실태관련 32문항(편성 및 운영 9문항, 행정 및 재정 11문항, 진로교육 12문항)의 총 41문항으로 구성되었고 34부가 배부되었으며 그 가운데 30부가 회수되었다(회수율: 88.2%).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분명한 2부를 제외한 총 28부가 최종연구자료로 사용되었는데 연구자료는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순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편성 및 운영, 행정 및 재정, 진로교육별로 일반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 특수학급 운영실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특수학급의 편성 및 운영, 행정 및 재정, 진로교육의 순으로 논의하였고 이러한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To dothi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4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general high schools or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area of Gwangju and Jeonnam(12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12 general high schools; 22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16 vocational high schools). Thirty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①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urriculum and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②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dministration and finance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③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areer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order of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and some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중학생의 직업계고 진학 선택을 위한 경기도 직업계고 교원의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인식 조사

        이찬주(Chanjoo Lee),김대들(Daedeul K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직업계고 교원이 인식하는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수행 실태와 직업계고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 그리고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적절성과 어려움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설문지를 개발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경기도의 모든 직업계고(108교) 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집된 778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원 중 직업계고에서 제공하는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을 수행한 응답자는 706(90.8%)명이며, 이러한 지원 활동이 직업계고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응답한 평균은 3.62로 나타났다.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견학(실습실 투어 등)’ 3.99, ‘중학교 교실별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3.96, ‘우리 학교(직업계고)에 찾아오는 전공(학과) 체험 활동’ 3.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교원은 현재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수행 난이도는 3.36으로 응답하였다.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업무 수행 난이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졸업생이 근무하는 산업체 견학’ 3.92, ‘중학교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 3.74, ‘중학교 교실별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 3.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교원은 현재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적절성 정도는 3.09로 응답하였다.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업무 적절성 정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견학(실습실 투어 등)’ 3.53, ‘우리 학교로 찾아오는 직업계고 진로 상담’ 3.49, ‘우리 학교(직업계고)에 찾아오는 전공(학과) 체험 활동’ 3.46, ‘우리 학교(직업계고)로 찾아오는 학교(학과) 설명회’ 3.4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the degree of help to secure of vocational high school freshmen and task adequacy of assistance activity and level of difficulty perceived b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developed a survey questionnaire and distributed online to all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108 schools) in Gyeonggi-do, and analyzed 778 sheets collect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performance (frequency of response)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b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as 90.8% (706 respondents). as for the level of usefulness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for attracting freshme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plied as 3.62. ‘Visiting our school (Laboratory tour etc.)’ 3.99 placed first in the level of usefulness of assistance activities,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 classrooms’ 3.96, ‘Major (department) experience activity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94. etc. appear. Second,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the job performance difficulty for the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currently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was 3.36. The highest degree of task difficulty among assistance activities was ‘Visiting companies where graduates of our school work’ 3.92 topped the list of the level of task performance of assistance activities,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s’ 3.74,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 classrooms’ 3.73. etc. appear. Thir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swered 3.09 as to the level of task adequacy for the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currently provided. The highest level of task adequacy among assistance activities was ‘Visiting our school (Laboratory tour etc.)’ 3.53,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career counseling visiting our school’ 3.49, ‘Major (department) experience activity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46, ‘School (department) presentation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46. etc. appear.

      • KCI등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재 개발: 현장 시범 적용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박윤희,장명희,박동열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focused on the effects of field application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in nine areas based on the urgent needs among 5 field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nine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urriculum respectively.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ew of job analysi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department at vocational high schools, review of related materials in each area, job information, job specifications at the entry level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discussions with industry people. In addition, the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format.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taught with the textbooks for the filed application at the 11 vocational high schools for about one month.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The tests were focused on examining interests on General English, Vocational English, and self-efficacy on Vocational English. Finally, sever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use of the developed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들이 직업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영어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직업영어 교재를 현장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고, 현장 시범 적용의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직업영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 5개 계열에서 교재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한 총 9개 분야(원예조경, 기계, 전기, 전자, 건축, 금융, 유통․물류, 해양생산, 조리 서비스)를 선정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해당 분야의 영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직업영어 교재를 개발하였다. 각 분야별 직업영어 교육과정은 1) 기존의 직무 분석 자료 및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검토, 2) 특성화고 관련 학과 개설 현황 분석, 3) 국내외 관련 교재내용 검토, 4) 해당 분야 직업정보 조사, 5) 특성화고 졸업생의 직무 수행 내용 분석, 6) 분야별 산업체 인사와의 협의를 통해 개발되었다. 분야별 직업영어 교육과정은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분야별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재 구성 체제에 따라 교재가 개발되었다. 직업영어 교재는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으로 크게 구성되었으며, 소단원에서는 학습목표, 학습내용, pre-test, warming-up, 관계 지식, activity, 용어 정리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중단원에서는 학생들이 exercise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문 내용에 포함된 단어를 한글과 영어로 표기한 index도 제시하였다. 또한 직업영어 교재의 현장 적용을 위하여 특성화고 영어 수업모델 선진화 연구학교로 지정된 16개 학교 가운데 9개 분야의 직업영어 교재 적용이 가능한 11개 학교를 대상으로 약 1개월에 걸쳐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교재를 적용하였다. 직업영어 교재의 효과성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일반영어에 대한 흥미도, 직업영어에 대한 흥미도, 직업영어 활용의 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재 적용 전과 후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이 직업영어 교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파악하였다. 직업영어 교재의 현장 시범 적용 결과, 직업영어 교재를 적용하기 이전보다 학생들의 일반영어 흥미도, 직업영어 흥미도, 직업영어 활용 효능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의 직업영어 교재 내용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야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현장 적용 분석 결과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현장 활용도가 높은 직업영어 교재가 될 수 있도록 직업영어 교재 개발 과정에 반영되었다.

      • KCI등재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에 대한 특성화고 교원의 인식과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안재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problems of vocational high schools supported by government ministries (governmental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analysis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need analysis of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ose school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degree of recognition, degree of agreement, effectiveness, and necessity for the governmental vocational high school were generally high. The educational areas that the governmental vocational high school changed positively were job-related activities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Second, the major problems of governmental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nsufficient research in areas requiring high school graduates’, ‘lack of specialized manpower training by government departments’, ‘insufficient business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insufficient participation of ordinary subjects teachers’, ‘the lack of linkage between the project operation time and the school schedule.’Third, out of the operation factors of the governmental vocational high schools, teachers had relatively high needs for ‘finding partner companies’, ‘signing an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MOU’, ‘workplace learning’, ‘promoting a school’, ‘analysis of demand and prospect of labor market for industry.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에 대한 특성화고 교원의 인식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의 운영 요인에 대한 중요도·난이도와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을 운영하는 특성화고의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에 대한 인지 정도, 동의 정도, 효과성, 필요성은 대체로 높게 나타나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에 대한 교원의 인식과 평가가 긍정적이라고 평가된다.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이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교육영역으로 취업연계 활동(71.2%)과 진로탐색 활동(49.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 교원의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동의 정도는 ‘고졸 인력 요구 분야에 대한 파악 미흡’ 3.68, ‘부처별 특화 인력양성 미흡’ 3.54, ‘각 부처 간 업무 협의 및 협력 미흡’ 3.52, ‘보통교과 교사의 참여 미흡’ 3.51, ‘사업 운영시기와 학사 일정과의 연계성 부족’ 3.42, ‘부처 간 인력양성 분야 중복’ 3.41, ‘정부부처 특성화고 종합정보관리 미흡’ 3.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의 운영 요인 중에서 ‘협력기업 발굴’, ‘산학협력 MOU 체결’,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 ‘학교 홍보’, ‘해당 산업 분야의 요구분석 및 노동시장 전망’ 이 교육요구도가 높고 최우선순위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현수,유기웅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4

        This study seeks to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through analysis of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For this study, 57 papers related to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learning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among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cluding research for subjects, methods, and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search in the field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has been steadily published since 2017.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ere being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lifelong ability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conducted on learners, and among them,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opic, the research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complementar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far more frequent than qualitative research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ix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social suppor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were the most freque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 논문 분석을 통하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였다. 나아가 직업교육 분야 연구의 흐름을 이해하고 탐색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의 해석을 통해 우리나라 직업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논문 57편을 대상으로 연구연도, 게재학술지,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관련변인을 분석의 틀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분야의 연구는 2017년부터 꾸준히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능력개발과 직업교육 관련 학술지 등에서 선취업 후진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주로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고 그 가운데 선취업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선취업 후진학 정책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는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련 변인 분석 결과로 사회적지지, 개인특성, 기업특성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인식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이미지 분석

        김영훈,김태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right concept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o identify recogni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o analyze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 The population was all middle school third year students in Korea. Using random sampling technique, 50 classes of 61 schools were sampled for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used Semantic Differential(SD) suggested by Osgood(1957). SD consisted of a number of adjective pairs, finally, this study used 11 adjective pairs to have validity. 1,198 out of 1,441 questionnaire were returned (a return rate of 83.14%),among which 935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An alpha level of 0.05 was established a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20.0 Win.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igher average is female students’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an male students’ tha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It was only 20% that receive career educ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nd expand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proper career education from middle school, to realiz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 one's career path based on one's specialty. 3. They have positive images who hope for going on to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f education than the others. 4.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nd expand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proper career education from middle school, to realiz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 one's career path based on one's specialty, because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y have the more possitive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more know it, totally.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특성화고의 이미지를 조사하여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특성화고의 올바른 인식 확대 방안 및 발전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중학교 3학년 학생이며, 2012년 교육통계연보를 기준으로하였다. 협조를 허락해주신 학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통한 학급 선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0개의 학교에 3학년 한 학급씩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한 조사 도구로는 Osgood(1957)이 제안한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형용사 군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방문과 우편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총 1,441매의 설문지가 배포되어 그 중 1,198매가 회수되어 83.14%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935매의 설문지가 분석에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Statistic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의 평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11개 항목 중에서 5개 항목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을 받은 학생은 20%에 불과하였다. 보다빠른 진로에 대한 탐색과 적성에 맞는 진로 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중학교 단계에서부터 진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이미지가 다른 고교 진학을 희망한 학생보다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9개 항목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있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진로 교육 유무별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도 8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차이가 나타났는데,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음을나타내는 것이다. 다섯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지의 차이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는7개 항목에서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잘 알고 있을수록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이미지가 긍정적이었다. 이는 진로 교육이나 홍보 활동을 통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에대한 인식의 폭을 증대시켰을 때, 그에 따른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