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환경에서의 시각 이미지에 대한 청소년 비주얼 리터러시 수준 분석

        조성인,현은령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3

        우리나라 청소년 대부분은 많은 시간을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며 보낸다. 이에 따라 국가 교육정책도 디지털 환경에서의 리터러시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책은 디지털 매체 활용, 국어 교육 강조 등과 연관하여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환경에서의 소통은 시각 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비주얼리터러시 수준 점검 및 역량 제고 또한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디지털 환경에서의 시각 이미지에 대한 비주얼 리터러시 수준을집단별로 비교한 뒤, 집단별 수준의 차이가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위해 경기도 소재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디지털 환경에서의 시각 이미지에 대한 비주얼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했다. 측정된 비주얼 리터러시 수준은 성별, 거주지역, 학업성취도, 스마트폰 사용 기간, 스마트폰 활용능숙도 등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성별과 스마트폰 사용 기간이 디지털 환경에서의 비주얼 리터러시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청소년의 시각 이미지에 대한 비주얼 리터러시 수준 신장을 위해서는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이에 대한 교육이이루어져야 하며, 성별 간 리터러시 수준 불균형 완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제안하였다. Most adolescents in Korea use digital devices and spend significant time in digital environments. Consequently, national education policies have shifted towards emphasizing digital literacy. However, most of these policies emphasize the use of digital media and national language education and do not emphasize the use of visual images. Given that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often relies on visual images, there is a need to assess and improve visual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level of visual literacy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explore the significance of group differences in their level of visual literacy. The study surveyed 286 adolesc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d measured their level of visual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Visual literacy levels were compared across various groups based on gender, residential area, academic achievement, duration of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proficiency. The study found that gender and smartphone use duration affect visual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Based on the study’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 on visual literacy should begin in the early elementary school years to promote visual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Further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address the gender disparities in visual literacy. By prioritizing visual literacy education, Korean adolescents can improve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in digital environments effectively.

      • KCI등재

        시각적 문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시각적 문해력에 미치는 효과

        이창호 ( Lee Chang-ho ),정정희 ( Chung Chung-hee ),홍희주 ( Hong Heo-ju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1

        본 연구는 시각적 문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시각적 문해력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1학년, 남학생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 여학생 32명(실험집단 16명, 통제집단 16명), 총 72명이었으며, 실험집단 아동들은 시각적 문해 활동에 참여하였다. 시각적 문해 활동을 실시하기 전 수학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 아동들을 대상으로 8주, 16회기에 걸쳐 시각적 문해 활동을 적용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검사과정에서 발성사고법을 통해 아동들의 사고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시각적 문해 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시각적 문해력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 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시각적 문해 활동에 대한 경험이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시각적 문해력 활용에 대해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시각화하여 문제의 해결방법을 더 효과적으로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적 문제해결력 지도를 위해 시각적 문해력 활동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isual literacy activities on the ability of children`s visual literacy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2 first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was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volved in the visual literacy activities 16 times, during 8 weeks. To assess the visual literacy,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level of utilizing visual literacy, K-TVPS-R, An Assessment of Visual Learning, Test of Artistic Expression Development, and Test of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appli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MANCOVA and ANCOVA. Sequential QUAN-QUAL analysis was taken to find out the changes and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ased on the level of visual literacy. In conclusion, the visual literacy activities had a great effect on children`s visual literacy,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level of utilizing visual literacy. Also, it was proven that the higher visual literacy level was, the bette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was.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 재고-교양교육에의 적용과 확장 가능성을 중심으로

        정옥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6

        인류 문명의 진화와 함께 개발된 문해력은 ‘리터러시(literacy)’라는 원어로 통용되며 과거로부터 미래로 이어지는 세상의 흐름을 읽어내고 비판하며 문제를 예측하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그 의미가지속적으로 진화되고 있다. 인공지능이 알고리즘을 통해 시각인식, 음성인식, 의사결정 등은 물론 이미지, 텍스트 등의 정보를 읽어내며 분석하고 이미지와 언어를 생성하는 시대에 인공지능의 기술적 활용을 넘어 비판적 사고와 윤리적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리터러시가 요구된다. 오늘날 시각적 문해력으로 알려진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의 의미는 디지털 기술의 습득과 활용에 필요한 시각적 인지력에 대한 새로운 방식은 물론 상상력과 비판적 사고가 결합된 방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간 삶의 방식이 시각적으로 큰 변혁을 가져오게 된 시대 ‘비주얼리터러시’의 의미를 재고하고, 대학 교양교육에의 적용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내용은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이미지와 텍스트의 정보처리 기술 향상과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와 활용을 위한권한 부여로서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한다.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능이 가진 잠재력과 기술적 확장 가능성을 가져오기 위한 능력을 넘어 유토피아적이고 디스토피아적인 안목에 대한 자율적 판단과 그에 따른 책임 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비주얼 리터러시’ 의 교양교육적 적용 근거를 제공한다. Literacy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when it comes to attaining a critical eye for the real world, as well as for analyzing problems in the past and making predictions for the future. Since literacy is evolving in a new paradigm for human lifestyles and abilities, in no small part thank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technology, this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literacy. Next, we consider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in an era when AI reads and analyzes information such as images and texts, as well as visual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and decision-making through algorithms, and creates art in a new way.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for the need to change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as a driving force for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imagination in terms of technological utilization, critical thinking, and ethical social problem solving. Therefore, the content of this study emphasizes both a utopian and dystopian aesthetic vision,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in terms of potential and expandability of AI, rethinking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at the ethical level with human autonomous judgment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need for us to apply ‘visual literacy’ in a way that combines imagination and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our need to develop a new way of visual cognition necessary for the acquisition and use of digital technology in terms of the rol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Through this study, I argue that the application of ‘visual literacy’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qualities can help us expand new possibilities for the rol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AI by giving us the author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digital media based on imagination for image and text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and visual commun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비주얼 리터러시로서의 미술 II: “과정 중심 시각교육”의 연결성

        신현경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과 교육 Vol.21 No.1

        People's vision has a self-centered visual limitation. In modern times, it builds on the Cartesian perspective, which believes in the rational logic of European Anglo-Saxon men, beginning with the Enlightenment. Vision is identity. In particular, Korean women's identity has been more severely distorted due to the modern perspective. Visual training to recognize and overcome this is the role of art as visual literacy. In other words, the goal of art is not to focus on the training of the result-oriented formal functions, but to focus on the process. Visual literacy distinguishes between left and right brain vision in this article. First of all, the problems of education and art education are examined. And as an alternative, the right mode vision has to play a role of penetrative seeing between body and mind/emotions through the “Art Journey Searching for the Self” as a “Process-Centered Visual Education” focused on drawing with the right brain and visual self-expression.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art and education as visual literacy.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the new function of art as visual literacy should act as a basic subject in the visual culture age. 계몽주의로 시작되는 근대는 유럽 앵글로색슨 남성들의 이성적 논리를 중심으로 데카르트의 관점(Cartesian perspective)이 구축되면서 이러한 시각에서 벗어난 관점들은 경시하였다. 시각은 궁극적으로 정체성의 형성에 기여한다. 근대적 시각에 기인하여 특히 한국 여성의 정체성은 이중, 삼중으로 왜곡된 것으로 확인된다. 본고에서는 이미지를 보고 활용할 줄 아는 비주얼 리터러시가 좌뇌적 시각과 우뇌적 시각으로 구별되었다. 먼저 교육과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좌뇌 중심의 언어와 이성적 논리만을 중시하는 환경 속에서 좌뇌 편측화된 좌뇌적 시각의 개념화와 몸과 마음의 분리로 간주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이 몸과 마음/감성이 통관하는 우뇌적 시각의 연결성이다. 이는 우뇌적 시각은 잘 보기 위하여 결과 위주의 형식적 기능의 훈련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뇌로 보고 느끼는 시각적 자기표현의 작업 과정 중심에 효과적으로 대응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를 목표로 개발한 “자아를 찾아가는 미술여행”을 통해 근대의 좌뇌적 시각을 인식하고 치유, 연결성을 체화하기 위한 “과정 중심 시각교육”의 여정을 펼친다. 이러한 미술의 새로운 기능은 영상문화시대에 기초교과로서 비주얼 리터러시로서의 교육의 역할을 부각시키고 있다.

      • 비주얼 리터러시를 통한 어린이 디자인 교육 연구

        정진숙 디자인 여성학회 2008 디자인여성학연구 Vol.4 No.1

        어린이의 창의성 교육이 중요시 되고 있는 시점에 어린이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 지고 있으며 어린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비주얼 리터러시의 개념을 통한 어린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자 한다.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란 시각적인 이미지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시각적인 이미지를 일어내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올 말하는 비주열 리터러시는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의 교육목표와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하겠다 비주얼 리터러시에 의한 디자인 교육은 창의적인 디자인 과정으로 진행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특히 어린이의 디자인 교육 분야에서 시각적인 이미지를 해석하고 밝혀내며 표현할 수 있는 능력 의 함양은 궁극적인 어린이 디자인 교육의 목표가 된다. 비주얼 리터러시의 선행연구 조사와 문헌 조사를 통해 비주얼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의하고 디자인 여성학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어린이 디자인 학교의 어린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중 시각디자인 분야에서 본 연구자가 진행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여 비주얼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분석하고 새롭게 2008 DWCA 여름 어린이 디자인 학교에서 진행할 시각디자인 프로그램과 영상 디자인 프로그램에 대한 비주얼 리터러시를 통한 어린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At a time when education of children's creativity is stressed and emphasized,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is attracting much attention, which in turn has heightened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on children's design education programs. Against this backdrop and in consideration of the rising and pending need and importance of research on children's design educa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research and analyze developing desig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drawing on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Visual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visual images. While literacy was once understood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letters, as of recent such concept has been broaden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diversification of communication types. And now, the concept of literacy encompasses much more than before. Consequently, visual literacy may serve as a viable pedagogical objective and an effective pedagogical method. And garner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interpret, and express visual images, in particular, can be the ultimate goal of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Considering the above, the present research attempts to ⅰ) define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literature; ⅱ) research and analyze a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visual design) that the author conducted at the children's design school hosted by the design for Women's Concern' Association (DWCA); and ⅲ) suggest children's design education programs based on visual literacy' to be integrated into the visual design and video design programs held at the 2008 DWCA summer children's design school.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래픽디자인의 다의적 해석의 가능성- 비주얼 리터러시 역량요인을 중심으로 -

        김지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The post-modern graphic design has strong experimental trend to respect diversity, individuality and personality. With the trend of getting more and more ambiguous boundary of text and image, there is an emergence of a boundary-breaking method of mutual existence, disintegration and convergence. Therefore, contemporary readers are required to have more aggressive and participating attitude in graphic work interpretation that there is a need of ‘having the competency for correctly understanding visual information, interpretation of such information critically and reproduce in creative ways to communicate’, or namely, ‘visual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arch for possibilities on polyvalent interpretation of post-modern graphic design through 4 competency factors on visual literacy (superficial approach, context approach, creative approach, and communicative approach). For this purpose, the intent is to take a look at the territorial expansion and changes in the post-modern graphic design territory and formulate the contemporary implication of the visual literacy concept to study the relativity with the post-modern graphic design. Through this attempt, this thesis is ultimately purported to encourage the contemporary readers for the ‘new way of reading’, namely, the visual literacy, a new open structured reading method as breaking away from the one-dimensional way of thinking for superficial approach to read the formative language through the visual literacy, and it also purports to expand the potential graphic design territory of future by formulating the polyvalent interpretation and detailed design methodology of the post-modern graphic design through the visual literacy. In addition, a differentiated implication is on presenting another direction of experimental restructuring as well as unlimited expression possibilities in the post-modern graphic design that is to recreate the visual messages unyieldingly. 포스트모던 그래픽디자인은 다양성과 개별성, 개성을 존중하는 실험적 성향이 강하다. 텍스트와 이미지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 지며, 서로 공존, 해체, 융합하는 탈경계 방식을 보여준다. 이에 현대 독자들은 그래픽 작품해석에 있어 더욱 적극적이고 참여적인 자세가 필요해진 상황으로 ‘시각 정보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창조적으로 재생산하여 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 즉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가 필요한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비주얼 리터러시 역량요인 4가지-조형요소와 조형원리를 읽는 표면적 접근, 조형적 은유체계를 읽는 맥락적 접근, 해체와 재구성을 통한 창조적 접근, 독자의 다양한 해석을 만들에 내는 소통적 접근-를 통해서 본 포스트모던 그래픽디자인의 다의적 해석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며, 현대적 의미의 비주얼 리터러시 개념을 도출하고 포스트모던 그래픽디자인과의 관계성 연구이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이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바는 비주얼 리터러시를 통해 ‘조형언어를 읽어 내는 표면적 접근의 일차원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새로운 열린 구조의 독해방식인 ‘새로운 읽기 방식’ 즉 ‘비주얼 리터러시’를 현대 독자들에게 독려하는 것이며, 비주얼 리터러시를 통해서 본 포스트모던 그래픽디자인의 다의적 해석과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도출하여 미래의 잠재된 그래픽디자인 영역을 확장시키는 의도이다. 아울러 시각 메시지를 끊임없이 재창조해야 하는 포스트모던 그래픽디자인의 무한한 표현 가능성과 실험적 재구성의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차별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비주얼 리터러시의 미술교육적 접근 -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다큐멘터리 사진의 제작과 활용을 중심으로

        박상돈(Park Sang dorn),이성도(Yi Sung Do)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2

          오늘날 시각문화는 문화의 다양한 스팩트럼과 광범위한 범주를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시각적 인지를 통한 정보 전달과 수용이라는 단편성을 벗어나 복합 매체적 특징을 모두 아우르는 새로운 범주를 스스로 형성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저작 매체의 발달과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시각문화 생산과 공유의 대중화를 가져왔고 청소년들은 이러한 시각문화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수용자이자 다양한 시각문화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매체적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 시각문화가 곧 문화로 직결되는 이러한 상황에서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에 대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현재의 미술교육은 시각문화와 비주얼 리터러시를 교실수업의 상황에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의 당면 과제는 시각문화에 대한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고 비주얼 리터러시를 신장시킬 수 있는 실제적 교육과정을 확립하는데 있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시각문화 교육을 미술이라는 교과영역에서 수용해야 하는 당위성과 비주얼 리터러시의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법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청소년들의 삶 속에 일상화 되어있는 매체인 휴대폰 카메라를 활용하여 시각문화와 비주얼 리터러시를 논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 사진을 제작하고 활용하는 수업방안의 예시가 바로 그것이다.   Today, visual culture has developed systematically, embracing a vast and various cultural spectrum with extensive categories. It has developed new categories that covers all traits not only as a media for only delivering information or getting information through visual cognition but as multiple media.<BR>  The development of the image making mediums and the fast development of Internet use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and share visual culture easily. Youth culture has taken a major role as an active producer as well as active consumer of visual cultures easily. They have been shown the powerful use of this medium by producing and using various visual culture tools .<BR>  Visual culture in the digital age leads to a culture where students exist in a culture where they are exposed to and use visual images for communication.<BR>  This has created an educational necessity for instruction in visual literacy. but visual literacy and visual culture have not been used as a curriculum actively in today’s art classes. therefore the main work that art education has to accomplish is to establish real curriculum which can increase visual literacy and also to look for educational uses for visual culture.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a concrete educational method to increase visual literacy and the justifiability that visual culture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art classes. This is the lesson plan which consists of students using camera phones to take and use documentary photographs which we can utilize to discuss visual cultures and visual literacy. the medium to be used by the students is the camera phone due to its common usage and availability.

      • 초등학교 1학년 국어 읽기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Visual Literacy) 기능 평가

        이현영,최유미 디자인 여성학회 2006 디자인여성학연구 Vol.2 No.2

        오늘날 텔레비전 광고, 영화, 컴퓨터 등의 다양한 매스미디어들은 우리의 삶 속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의 변화에 의해 단순히 문자를 읽는 것에서부터 문자와 그림을 읽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해 왔고, 이러한 과정에서 그림이 하나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속에서 시각 언어(Visual literacy)라는 개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시각 언어가 이동의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뒷받침 되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아동이 보는 도서에 있어서 시각 언어적 기능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 아동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교재인 교과서에 실리는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적 기능에 관한 연구로서, 현재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이 시각 언어적 기능올 고려하여 제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 분석에 있어서 교사와 일러스트레이터 두 집단 간에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현 초등학교 1학년 국어 읽기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 기능과 관련하여 상상력 발달 부분을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으며, 교사와 일러스트레이터 두 집단간의 평가의 차이는 교과서 제작과 평가에 필요한 전문가 선정에서 여러 집단의 평가와 더불어 집단간의 평가의 차이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Nowadays, mass media, such as television, commercials, films, computers, and so on, have excessively occupied our life. Children in today have been far away from literature, which are needed thinking power to understand it, since they have been growing up under the influencing power of televisions and computers, In this reason, they tend to find pleasure in a short time. This trend has been progressed naturally from reading letters to reading letters and even pictures by the changes of media. From this progress, pictures have been used as a mean of communication, consequently, the concept 'Visual Literacy' was created. Then through many studies, the positive influence of Visual literacy on children's development was supported; and in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practice making use of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in children's book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whether illustration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m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presented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as it is about a study for Visual literacy of illustration in textbooks that children would usually rea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in the illustration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in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should be improved, especial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imaginative. Moreover as illustrators' scores were very disappointing, even teachers' were not, it is necessary for textbooks to be evaluate by specialists for in-depth concerns. Also this study implied the necessities of various evaluations by various groups, and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groups.

      • KCI등재

        낙서화 감상활동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 신장 방안

        박효진,류재만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9 No.-

        낙서화는 낙서가 가진 유희적이고 치유적 특성과 더불어 개방적인 장소에 사회 또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을 시각적 기호를 통해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관객과 소통하고자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낙서화 감상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 ○○초등학교의 6학년 B 학급 28명(남자 13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낙서화 감상수업을 통해 신장시키고자 하는 시각적 문해력은 시각문화가 확장되는 현대에서 미술 교육이 목표로 하는 주요 학습역량으로 이미지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이해 능력과 이미지를 활용 및 적용하여 시각물을 창작하는 표현 능력이 합쳐진 시각적 소통 능력이다. 감상 수업을 위해 주요 낙서화가의 표현적, 기호적, 내용적 특징과 각 작가의 작품의 특징을 근거하여 작가별로 적합한 감상 관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각적 문해력의 구성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결과 분석의 기준으로 삼아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습자의 시각적 인지, 비판적 읽기, 시각적 표현 역량과 더불어 시각적 문해력과 관련한 경향성과 태도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낙서화 감상활동이 시각적 문해력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다. Graffiti Art have the fun and healing qualities of graffiti, as well as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by implicitly expressing ideas about society or one's identity in an open place through visual symbols. In order to improve visual literacy through graffiti art appreci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8 sixth-grade B classes (13 males and 15 females) at ○○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visual literacy that is intended to be enhanced through graffiti appreciation classes is the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combined with the understanding ability to interpret and judge images as major learning competencies targeted by art education in the modern age, where visual culture is expanded, and the ability to use and apply images to create visual objects. For the appreciation class, the expressive, symbolic,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graffiti artis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tist’s works were given a suitable appreciation perspective by each artist. The components of visual literacy were also extracted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m as the basis for the analysis of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positive changes in the tendency and attitude associated with visual literacy, as well as the learner's visual perception, critical reading, and visual presentation capabilities. This shows that graffiti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visual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