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미술 분포를 통해 본 신라문화권의 북방한계

        정성권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6

        Silla, a relatively weak countr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a small nation in Gyeongsang Province. Silla, allied with the Tang Dynasty, toppled Baekje in 660 and destroyed the city of Pyongyang in 668. After the fall of Goguryeo, Silla fought a war with the Tang Dynasty and finally won in 676. As a result of the victory of the War, Silla secured areas south of the Taedong River and Wonsan Bay as the territory of Silla. Unified Silla extended its territory to the Daedong River and areas south of Wonsan Bay, but Silla's control over the former Goguryeo region, including the former Baekje region and the Han River region, was very different. Silla's control of the former Baekje region has put great effort into assimilating the former people of Baekje and the people residing in the region of Baekje into Silla culture. In contrast, Silla's control over the former Goguryeo region paid more attention to the method of military maintenance. The difference in the way Silla ruled the occupied areas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Buddhist art and temples establish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emples have been a place where high-level culture has been concentrat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the former Baekje areas, there are large numbers of temples and their establishments built or re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However, the current distribution ratio of temples built by Silla is low in Gyeonggi and North Korea, and little is known about Buddhist art. In other words, the culture of unified Silla was not deeply integrated in the former Goguryeo region. Buddhist art has served to represe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is text, we conducted an analysis of Buddhist art and historical sites, which are the icons of the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and Unified Silla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one Stupa of Baekj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one Stupa of Mireuksa Temple Site of Maitreya a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Jeongrimsa Temple Site could be a symbol of Baekje culture. The double-based Three-story Stone Stupa and the Vairocana Buddha Statue, which did not exist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first built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were could be icons that show the scope of the Unified Silla culture. In the text, the Northern Limit Line of the Unified Silla cultural area was identifi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Buddhist art with cultural symbolism. As a result, the Northern Limit Line in the Unified Silla cultural area could be established as the line connecting Sokcho - Inje - Hongcheon - Hoengseong - Wonju - Anseong - Pyeongtaek. The territory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was in the southern region of Pyongyang - Wonsan Bay. However, the extent to which the culture of Unified Silla deeply permeated the daily lives an,d consciousness of residents can be seen as the region of Sokcho - Wonju - south of Pyeongtaek. In the closing words, we looked at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Unified Silla cultural area being set up across the central region. 삼국시대 상대적으로 약소국이었던 신라는 경상도 일원의 작은 나라였다. 이러한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하여 660년 백제를 무너뜨리고 668년 고구려의 평양성을 함락시켰다. 고구려 멸망이후 신라는 당나라와 전쟁을 치렀으며 676년 마침내 승리하였다. 나당전쟁의 승리 결과 신라는 대동강과 원산만 이남의 지역을 신라의 영역으로 확보하였다. 통일신라는 대동강과 원산만 이남의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했으나 구 백제 지역과 한강유역을 포함한 구 고구려 지역에 대한 신라의 지배 방식은 매우 달랐다. 구 백제 지역에 대한 신라의 지배는 백제 유민과 백제 지역 사람들을 신라 문화에 동화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반해 구 고구려 지역에 대한 신라의 지배는 군사적 관리 방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신라의 점령지역 지배방식에 대한 차이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된 사찰과 불교미술의 분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사찰은 삼국시대 이래 고급문화가 집결되는 장소이다. 구 백제지역인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되거나 중창된 많은 수의 사찰과 사찰터가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의 경기도와 북한지역 일대에서는 신라에 의해 창건된 사찰의 분포비율이 낮으며 불교미술 또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즉 구 고구려지역에는 통일신라 문화가 해당 지역에 깊이 습합되지 않았다. 불교미술은 삼국시대 이래 각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였다. 본문에서는 삼국과 통일신라시대 문화의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불교미술과 유적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백제 석탑의 분석을 통해 미륵사지 석탑,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백제문화의 표상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삼국시대 존재하지 않았으나 통일신라시대 들어와 처음 만들어진 이중기단의 삼층석탑과 비로자나불상 등은 통일신라문화권의 범위를 보여주는 아이콘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본문에서는 통일신라문화권의 북방한계선을 문화적 상징성을 갖고 있는 불교미술의 분포를 통해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통일신라문화권의 북방한계선은 속초-인제-홍천-횡성-원주-안성-평택을 잇는 선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통일신라의 영토는 평양-원산만 이남지역이었다. 그러나 통일신라의 문화가 거주민들의 일상생활과 의식 속에 깊숙이 스며들었던 범위는 속초-원주-평택 이남지역으로 볼 수 있다. 맺음말에서는 통일신라문화권이 중부지역을 사선으로 가로질러 설정되는 배경과 그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통일신라 평탈공예 연구

        신숙(Shin Suk)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2·243

        平脫技法으로 장식된 器物은 통일신라시대에 크게 선호되었던 공예품으로, 금이나 은판을 이용해 문양을 만들어 금속이나 목재 등의 素地에 부착하고, 칠과 건조과정을 여러 차례 거친 후, 문양의 표면을 다듬어서 검은 바탕 위에 금은편 무늬가 돋보이게 한 장식기법이다. 평탈기법은 섬세하고 정교한 세공기술을 바탕으로 고가의 재료인 金 또는 銀과 옻칠을 이용하기 때문에 당시의 공예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평탈의 유행과 선호는 중국의 唐에서 비롯되어 통일신라와 일본 奈良時代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어, 평탈유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공예기법의 발전과 전개 과정에서 통일신라가 차지했던 위치를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통일신라 평탈공예의 의미와 역할을 조명하는 시도는 한국공예사의 일변을 파악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平脫’ 이라는 용어는 중국의 고대 문헌기록에 나타나며, 우리나라에서는 『三國史記』에 보이는 ‘平文’이라는 기록이 평탈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현존하는 통일신라의 평탈공예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2점의 銅鏡과 안압지에서 출토된 장식부재가 있으며, 호암미술관과 東京國立博物館에 각 1점의 盒이 보관되어 있다. 통일신라 공예품의 현존 유물이 적은 것과 마찬가지로 평탈공예품도 남아 있는 수량은 많지 않다. 그러나 평탈기법의 유입이 이미 삼국시대에 시작되었고 상대적으로 많은 유물이 전하는 중국 당의 평탈기물과 비교하여 통일신라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일신라 평탈공예품의 종류는 동경과 합, 장식부재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종류는 현존하는 당의 평탈유물 가운데 거울과 합이 주류를 이루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佛龕과 악기의 일부로 추정되는 안압지 출토품과 육각의 형태를 가진 합, 그리고 자연 조개에 평탈을 응용한 貝盒 등은 唐代에 나타나지 않거나 매우 드문 경우로 통일신라의 독자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당과 구별되는 통일신라 평탈공예품의 특징은 문양의 구성과 표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먼저 거울의 경우, 당의 평탈경을 대략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지만 우리나라의 평탈경은 어느 유형에도 해당되지 않는 문양 구성임이 확인된다. 즉 2점의 거울은 모두 내구에 간략한 花文을 시문하고 그 사이에 작은 크기의 동물문양을 동반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같은 시대 나전경에도 나타나지만 당의 평탈경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꽃무늬와 간단한 동물장식의 조합은 통일신라의 거울에 유행한 문양 패턴의 하나였을 것이다. 그 밖에 2점의 합과 안압지 출토품에 장식된 각종 문양의 구성과 배치, 세부 표현 등을 통해서도 통일신라의 평탈기물이 당의 영향을 받았지만 다양하게 변형되어, 주체적인 수용과 발전을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통일신라 평탈기물의 특징을 바탕으로 正倉院에 소장된 평탈유물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평탈기물이 적기 때문에, 正倉院의 유물과 직접적인 관련을 찾기는 쉽지 않지만 문양과 기법의 세부의 표현에서 통일신라 평탈공예의 특징이 반영된 유물을 찾아볼 수 있다. 평탈 공예품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금은 사용의 국가적 규제와 선호도의 변화에 따라 점차 제작이 줄어들게 된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나전이 중요한 장식기법으로 자리잡고 크게 번성하게 되면서, 평탈의 유행을 대신하게 되었다. 통일신라의 평탈기법은 옻칠을 통해 문양을 부착하고 장식한다는 측면에서 나전과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나전의 선구적인 기법으로 볼 수 있으며, 평탈기물의 제작기술과 문양의 특징은 고려시대 나전기법이 고도로 발달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따라서 평탈을 통일신라시대 이후에 사라진 장식기법으로 인식하기보다는 고려시대 나전기법으로 계승되고 나아가 조선시대 화각기법으로 이어지면서 새롭게 발전한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Objects adorned with pyeongtal technique was one of the favored artefacts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Patterns are cut out from the gold or silver plates to be pasted on either metal or wooden surface, and after repeating the process of lacquer coating and drying a number of times the surface is finely finished up to reveal the gold and silver designs underneath. Pyeongtal technique serves as a Significant reference in understanding the level of craft ar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s it requires delicate craftsmanship and highly valued materials such as gold, silver and lacquer. The technique, which originated and flourished in Tang China, was transmitted to Korea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o Japan during the Nara period. Therefore, studies on pyeongtal works enable us to see where Unified Silla stoo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pyeongtal technique in East Asia. It is also provides a chance to understand better a phase in the history of Korean craft by shedding a new light 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pyeongtal craft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 term pyeongtal first appears in an ancient Chinese literature, and in Korea the word “pyeongmun”, recorded in Samguksagi (『三國史記』), has been understood to correspond to pyeongtal. The extant pyeongtal works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include two bronze mirror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ornamental parts excavated from Anap-ji (雁鴨池), and two boxes in the He-am Art Museum and the Tokyo National Museum. Only a small number of specimen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remain today. However. distinct characteristics of Unified Silla lacquer works are identifiable by comparing them with Chinese works, which are extant in large numbers. Pyeongtal artefacts from the Unified Sill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ronze mirrors, boxes and ornaments, and they coincide with the major types of Chinese pyeongtal objects, minors and boxes. Nevertheless, a portable Buddhist shrine excavated article from Anap-ji that is believed to be a musical instrument, a hexagonal box, and a clam box, which is a lidded case made of a natural clam decorated with pyeongtal technique, are this technique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distinct from Chinese examples, and this indicates in the Unified Silla.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yeongtal artefact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re apparent in the designs and composition. First for none of the pattern compositions of the Unified Silla mirrors, parallels are found in the three categories of Chinese Tang bronze mirrors. Two mirror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ve simple floral designs inside the inner circle with small animal figures placed between the flowers. While this type of composition is also seen in the contemporary najeon (螺鈿, lacquer with mother-of-pearl inlay) mirrors, it was not found amongst the pyeongtal mirrors of the High Tang. Therefore, it is speculat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floral and simple animal designs was particularly popular in Unified Silla mirrors. It is also affirm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omposition, arrangement, and detailed depiction of the ornamental patterns on other boxes and excavated articles from Anap-ji that although the lacquer objects were influenced by the Tang style, they were transformed into their own unique style evidencing their independent reception and development. An examination was also attempted on the relations with the pyeongtal objects in Sh?s?in (正倉院)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of Unified Silla lacquer objects. By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 production of pyeongtal artefacts gradually decreased due to the state regulation of the use of gold and silver and a decline in its preference. In the succeeding Goryeo dynasty, najeon flourished and found its place as an important method of lacquer decoration replacing the prevalence of pyeongtal. The production process of pyeongtal in Unified Si

      • KCI등재

        조선후기의 신라정통론(新羅正統論)과 발해사(渤海史)의 인식

        김종복 ( Jong Bok Kim ) 수선사학회 2011 史林 Vol.0 No.39

        There have been two different ideas to understand the time when Silla and Balhae coexisted. One way has comprehended it as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kingdom``, but the other has deemed it ``the period of unified Silla and Balhae``. The term of ``unified Silla`` means that Balhae is excluded from Korean history. However, the idea of ``unified Silla`` is being still supported to emphasize the opportunity to form Korean people. The concept of ``unified Silla`` has common ground with the theory of Silla`s legitimacy prevailing in Jpseon period an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in modern Manseonsahak(historical studies on Mancuria and Joseon) in the way that it discriminates itself from Silla kingdom during the Three-Kingdoms era. Also, it is the same that Balhae has been ruled out from the view of ``unified Silla`` which gave the meaning to Silla`s final victory as historical milestone. Therefore, this study exmaines the development in the theory of Silla`s legitimacy and recognition of Balhae`s history to understand the current problem of dual attitude toward Balhae`s history and search for alternative. Most representative history books in Joseon period from Dongguktonggam to Dongsagangmok, which were written in the historical view with the theory of legitimacy, treated Balhae`s hisotry as a maginal country. Goguryeo was rediscovered in the external crisis after the two struggles against Japanese and Manchus. Balhae succeeded to Goguryeo began to receive attention with it. Donsa written by Yi Jong-huee completely denied the theory of Silla`s legitimacy by means of the theory of Dangun and Gija`s legitimacy. Balhaego written by Yu Deuk-gong could raise the idea of North and South kingdom era where Silla and Bahae coexisted on the Donsa`s view. With Dongsa, Dongsaganmok, the history book wrtten in theory of legitimacy, was much helpful for Yu to write Balhaego.

      • KCI등재

        統一新羅金銅菩薩立像의 類型과 特徵

        안현정 동악미술사학회 2012 東岳美術史學 Vol.0 No.13

        금동보살상은 여래상에 비하여 표현과 재질면에서 시대 양식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 통일신라시대의 보살상은 당시 유행하였던 특유의‘女性性’, 즉 신체의 굴곡을 강조한 콘트라포스토(Contrapposto)의 자세와 육감적이라 할 만큼 풍부한 양감 표현 등이 부각되어 있다. 그러므로 보살상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지금까지 꾸준히 논의되어 왔던‘통일신라시대 불교조각과 당대 불교조각의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를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는 방법이다. 연구 대상 시기는 통일신라가 외래의 문화를 가장 민감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던 7세기 후반~8세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분석 대상은 금동보살 중 立像에 한정하였다. 주지하다시피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은 자연스러운 자세와 풍만한 양감을 비롯한 장신구나 착의 형식까지 당대 보살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성립하였다. 그러나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은 단순히‘唐樣式’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기엔 매우 다채롭고 복잡한 樣相을 띠고 있다.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의 양식은 당대 보살상의 양식을 반영하는 정도의 차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외래의 양식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유형과 당시의 시대양식을 공유하고 있지만 삼국시대의 조상 경향을 遺存하고 있는, 보수적인 유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우리가 단순히‘당 양식’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당대 불교조각의 조형성은 인도와 서역의 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유형과 새로운 외래 양식을 수용하면서도 당대 이전의 전통을 계승하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당대 兩京인 西京長安(지금의 陝西省西安)과 東都洛陽으로 대별되는‘長安樣式’과‘洛陽樣式’이다. 통일신라와 당대 보살상의 두 유형을 비교한 결과,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의 인도지향성은 보수적인 조상 경향을 보이는 낙양양식 보다는 인도의 양식을 그대로 반영한 장안양식에 치중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당시의 신라인이 당을 통하여 새로운 문화를 수용하였으나 그 지향점은 인도에 있었다는 인식을 엿볼 수 있으며, 당이 신라에 새로운 문물을 전하는 중요한 관문이 되었음을 다시 한 번 입증한다. 또한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의 표현상 특징은 영락을 생략하는 형식이 크게 유행하여 신체를 강조하고 드러내고 있으며 나신으로 드러난 상체의 구체적인 묘사는 당대 보살상에 비하여 부드러운 모델링을 정돈되게 묘사하였다. 別鑄結合式의 제작기법은 금동보살상의 보관과 영락 등의 세밀한 묘사를 요구하는 부분과 양 팔과 옷자락의 자연스러운 동작을 요구하는 부분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절한 기법으로 8세기 이후 성행하여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Compared with those of Buddha images, the expressions and materials of gilt-bronze Bodhisattva images have distinctive features that vary in style from period to period. Indeed, highlighted in the bodhisattva imag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s that unique “femininity”in vogue at the time, e.g., the use of contrapposto emphasizing the curve of the body and the expression of volume that borders on being sensual. As such, a focused analysis of bodhisattva images will lend more clarity to the ongoing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sculptures of Unified Silla and those of Tang Dynasties. Surveyed in this study is the period between the late 7th and the 8th centuries, when the Unified Silla’s attentiveness to and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s were at its peak. Among gilt-bronze bodhisattva images, only the standing sculptures are analyzed for this study. As is widely known, the Unified Silla gilt-bronze images of standing Bodhisattva were established with the active acceptance of the styles of Tang-period bodhisattva images, examples of which include natural poses and voluptuous volume, expressions of ornaments and the rendering of robes. However, the Unified Silla gilt-bronze images of standing Bodhisattva are too heterogeneous and complicated in style to be simply lumped together into one category of those influenced by the“ Tang style.”Depending on the extent to which they were influenced by the styles of Tang-period bodhisattva images, the styles of the Unified Silla gilt-bronze standing Bodhisattva image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one that shows an active acceptance of foreign styles and the other, more conservative type that does share some of the contemporary styles of the period and yet retains the sculptural trend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The Tang-period Buddhist sculptural characteristics simply known as “Tang style”can be subdivided into two different types: the one that actively embraced the styles of the Indian and the Western regions and the other that did adopt the new foreign styles and yet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pre-Tang periods. These can be categorized into the “Chang’an style”and the “Luoyang style,” named after the two capital cities of the Tang Dynasty, i.e., the Western Capital (Xijing) of Chang’an (present day Xi’an of the Shaanxi province) and the Eastern Capital (Dongdou) of Luoyang. A comparison of the four types of Unified Silla and Tang bodhisattva sculptures indicates that the Unified Silla gilt-bronze images of standing Bodhisattva are oriented to the Chang’an style, which directly reflects the Indian style, rather than the luoyang style, which shows a more conservative sculptural tendency. This finding attests to the fact that, although Silla people adopted new culture from Tang, their point of reference lied in India, and that Tang served as an important gateway for passing the new culture on to Silla. In addition, reflecting the fashion of the time, i.e., the omission of beaded necklace, the Unified Silla gilt-bronze images of standing Bodhisattva stress and reveal the body, and the detailed rendering of the exposed upper part of the body makes the modeling sleeker and more organized than that of the Tang-period bodhisattva images. Piece-mold casting is the technique very suited to the intricate rendering of the jeweled crown and beaded necklace of gilt-bronze bodhisattva images as well as the natural rendering of their arms and robes, and the method has been increasingly popular from the 8th century onwards.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녹유도기의 생산과 조형적 특징

        이지희 한국중세고고학회 2022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cause of the different modeling characteristics from China, such as the colors, shapes, and patterns embodied in the green glaze pottery of the Unified Silla. The green glaze pottery of the Unified Silla has completed the unique style of Silla by selectively accepting the three elements of Chinese character such as green glaze, shape of pottery, and pattern decoration of the Stamping pattern. First, the Glaze of the Unified Silla embodied a green color with a high proportion of copper oxide. The glaze of the Unified Silla is in contrast to the green and brown tinged glazes of the Three Kingdoms, which have a high proportion of iron oxide, which is a colorant. Since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he Tang dynasty's Lead glaze has been produced on the roof of the Daming Palace(大明宮) and the tombs of the royal family with various colors of glaze and three colors. During the Unified Silla, it was understood that glaze was selectively accepted among various Chinese glaze manufacturing techniques. Second, the shape of the Green glazed pottery is similar in overall form to Tang's metal ware and ceramics, but different in detail. The bowl type Ⅱ with outward everted rim has been popular in China since the late 7th century, but was introduced to Silla and used as a lidded bowl(有蓋盌). The jar type I is similar in shape to the Chinese Pagoda’s Pot(塔式罐),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 of the rim, foot, and lid. Compared to the Tang dynasty inkstone(硯), the Silla inkstone ha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Zoomorphic pattern on the legs. Third, the pattern of Green glaze pottery is a Chinese ceramics decoration technique that combines the internationally popular Baoxiang Flower pattern(寶相華文), bird pattern(鳥文), cloud patterncloud pattern(雲文), four-petal flower pattern(四弁花文), multi-petal flower pattern(多弁花文), arc line pattern(弧線文), etc. It was manufactured by stamping a seal. Stamping techniques of Tang Dynasty have been developed variously, such as putting shape and pattern into a molds, or decorating design with large unit pattern at once. However, the stamped pattern of the Unified Silla is conspicuously different from China in that individual pattern with small pattern units are collected to form the composition of the pattern and utilize the decorations. In this study, the existence of the design was presented by focusing on the Elevation of the drawing on the factors of selective acceptance seen from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reen glazed pottery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Samguksaki(三國史記)』 records the situation in which various Tang Designs such as folding screens, books, rituals, and astronomical figures were accepted from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centering on the Silla royal family. It was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f such designs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royal ware(御器) and Royal Ceremony(儀禮器) through in the Painting bureau(典彩) of the royal family.

      • KCI등재후보

        統一新羅 二重基壇石塔의 形式과 編年

        신용철 동악미술사학회 2008 東岳美術史學 Vol.0 No.9

        Silla Stone Stupa has gone through various changes and development for 200years from the end of the 7th century. The study of Silla Stone Stupa was conducted by Go Yu Seop(高裕燮) in 1940s. The chronicle of era of Silla Stone Stupa, by dividing into the 3 periodization, attempted by Go Yu Seop, has been generalized up to now, and the subdivision study, is being carried out now.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cedent study and attempted the chronicle analysis of Silla Stone Stupa on the basis of the recent investigation outcome. First of all, the particulars which can be the basis of division of era, attempted by an author of this thesis, I are as followings: First is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ylobate part, second is the aspect of proportion, third is the statue, carved on the surface of Stupa, and fourth is the regional distribution. As a result of objectively analyzing 4 chronicle factors, mentioned above, Silla Stone Stupa is divided into 4 periodization. The first periodization is until 686, the second periodization is 686~780, the third periodization is 780~830, and the 4th periodization is from 830 to the end of Silla. The history of the style of Silla Stone Stupa is grasped as a matter about how to simplify the number of stone material. The biggest change is to show the phase of change according to the era with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ylobate part. The Silla Stone Stupa of early United Silla, which is in the first periodization, shows the process of change, which is the method to construct the stone material but is out of the style of wooden Stupa.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several methods were attempted about how to simplify the stone material due to inefficiency. Especially, the second periodization and the third periodization are noticed as periods, when various forms of stone stupa coexist and are manufactured in the history of Silla Stupa.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2nd periodization, which largely appears as 3 kinds, was developed from the matter about how to complement the structural aspect of Stone Stupa. However, the Stone Stupa, which constructs only with the flagstone in the stylobate of the upper and bottom layer, became the mainstream in the time of the 3rd periodization. Eventually, the change in the Silla stone Stupa of the 4th periodization was made in 2ways, which was the Stone Stupa of slim and long type, with the flagstone construction of the upper and bottom layer, and the Stone Stupa of single story. Especially, the range of Silla Stone Stupa went through the expansion process nationwide in the 4th periodization, which is meaningful in the aspect of expansion of pagoda faith in Gyeongju(慶州) and its neighboring area. Meanwhile, there were many stupas, which were created by the local craftsmen in the end of the 9th century and strikingly behind backwards in the figurative feature. It shows the proliferation of the stupa construction technology of the end of Silla and the transmission process of it, and it is estimated that this phenomenon was working as a driving force of the construction of Stone Stupa, tinged with the unique locality by stimulating the natives of each region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 신라석탑은 7세기 말부터 약 200년 동안 다양한 변화와 발전으로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신라석탑 의 연구는 1940년대 고유섭 선생에 의하여 본격화 되었다. 고유섭 선생이 시도한 신라석탑의 시대편년은 3시기 구분법은 지금까지 일반화 되어 있으며 최근 이를 세분화 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 역시 이 같은 선학의 연구를 토대로 하고 있으며 최근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신라석탑의 편년분석을 시도 한 것이다. 먼저 필자가 시도한 시대구분의 근거가 되는 사항들로는 첫째, 기단부의 결구방식이다. 둘째, 비례의 측면이다. 셋째, 탑 표면에 새겨진 조각상이다. 넷째, 석탑의 지역적 분포를 언급할 수 있다. 위의 4가지 편년요소들을 객관화하여 분석한 결과 신라석탑은 4시기로 구분이 가능한데, 1기는 686년까지, 2기는 686∼780, 3기는 780∼830, 4기는 830부터 신라말까지이다. 신라석탑의 양식사는 석재의 숫자를 어떻게 간략화 하는가라는 문제로 파악된다. 그런데 가장 큰 변화 는 기단부의 결구법으로 시대에 따른 변화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1기인 통일초기 신라석탑은 많은 석재 를 결구하는 방법이면서도 목탑양식에서 벗어나 석탑양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곧 석재의 사용과 결구의 비효율성으로 많은 석재를 어떠한 방식으로 간략화 하는가 라는 점에서 여러 가지 결구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기와 3기까지는 신라탑파사에서 매우 다양한 형식의 석탑들이 서로 공존하며 제작된 시기로 주 목된다. 크게 3가지로 나타난 2기의 결구법은 석탑으로서 구조적인 면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하는 문 제에서 발전하였다. 그러나 3기에 이르러 상하층 기단을 판석으로만 결구하는 석탑이 주류를 이루게 된 다. 이는 점차 지방으로 확산되는 석탑건립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결국 4기 신라석탑은 2가지 방향에서 그 양식적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상하층 판석식 결구를 가진 세 장형의 석탑과 단층기단 석탑의 성립이다. 특히 4기에 이르러 신라석탑의 범위는 서울 경기 지역을 제외 한 전국적 확대 과정을 겪는데, 종전에 경주와 그 인근에 머물던 불탑신앙의 전국적 확대라는 측면에서 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편 9세기 말엽 지방 장인에 의해 만들어진 조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탑들 이 다수 있다. 이는 신라말기 건탑 기술의 확산과 전래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고려초기 각 지방의 토착 민을 자극하여 독특한 지역성을 띤 석탑 건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신라의 미의식 연구

        김소희 ( So Hee Kim ),채금석 ( Keum Seok Chae ) 한국의류학회 2013 한국의류학회지 Vol.37 No.4

        The Silla Dynasty was an open society and was an independent, creative, brilliant culture built on diverse cultures and values. Transforming from the Silla Dynasty to the Unified Silla, it unified the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into one. It also displayed unique clothes that adapted new foreign elements into rich clothes forms unlike previous styles. This study first classifie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Silla Dynasty by exploring the beauty of the Silla Dynasty realized through artifacts, books, and records in the Silla Dynasty and defines the each characteristic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Second, it highlights the independency of Korean beauty through an investigation of how the aesthetic consciousness form appeared through these new appearances i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illa Dynasty cloth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Silla Dynasty can be inferred through Silla Dynasty artifacts, literature, sensuous beauty, and records that were classified into random natural beauty, humorous beauty, and decorative technical beauty. The Silla Dynasty aesthetic consciousnes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appeared in Silla Dynasty clothes based on the aesthetics of authenticity that created the honest and simple aesthetic moving of the early natural aesthetic sense of the Silla Dynasty. Silla Dynasty clothes are found to have transformed into an ornamental aesthetic consciousness of a sensual and decorative aesthetic consciousness in a Unified Silla.

      • KCI등재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통일신라’ 서술과 그 내용 분석

        채미하(Chai Mi-ha)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0

        본 연구는 중국의 대학 역사교재에 보이는 ‘통일신라’ 서술과 그 내용을 살펴본 것으로,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서술 내용을 통해 중국에서는 ‘통일신라’를 봉건사회로 인식하고 있으며 ‘한족[華夏] 중심의 문화사관’ 등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중국 대학 역사교재 중 세계사 교재의 내용은 ‘통일신라’를 봉건사회로 인식하면서 그것의 토대가 되는 토지 제도인 녹읍제와 정전제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국가로부터 토지를 받은 농민은 국가에 종속되어 조 · 용 · 조를 부담하였다고 한다. 또한 ‘통일신라’의 정치형태를 ‘중앙집권제적인 관료정치체제’라고 하면서, 이를 확립하기 위해 중앙과 지방의 행정기구가 정비되었으며, 국학과 과거제를 통해 등용된 관료들에 의해 중앙집권제는 더욱 강화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농업생산력과 수공업 및 상업 등이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중국사와 중국고대사 교재의 ‘통일신라’ 서술은 당과의 경제, 문화교류와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선 인적교류와 관련해서는 주로 도당유학생 및 최치원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이것은 이들에 의해 당 문화가 신라에 전래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경제교류의 경우는 조공 · 책봉이라는 국가 간의 교역보다는 민간교역, 그 중 신라방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이것은 신라방이 중국에 있었기 때문으로 자국사 중심의 현재주의 원칙이 적용된 역사서술이 아닐까 하였다. 그리고 문화교류와 관련해서는 당 문화가 신라에 일방적으로 전해진 것으로 서술되어 있는데, 이것은 ‘한족 중심의 문화사관’이 반영된 것이라고 하였다. This studying is about the description of 'the unified Silla dysnasty' in the textbooks of Chinese universities, and we could see 'the unified Shilla' was regarded not only as the feudal society given from the described contents in the textbook but as having reflected the 'Han race centered Cultural historical view' from the contents related to economical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the unified Silla'. First the world history textbook of Chinese university regarded 'the unified Silla' as feudal society and described about Nokup-jae, Jeongjeon-jae, from which the estate system had been based and the peasant had been subordinated by the nation from which the lands had been supplied and had to be imposed by Jo · Yong · Jo. Also they described the political type of 'the unified Silla' as 'centralized bureaucratic political system' and the official organization had been systemized to consolidate it, and the centralized system had gained more power by the bureaucrats adopted by Gwageo-jae and Kuk-hak.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handcrafts industry and commerces could have developed more on this basis. Next, the text of Chinese history and Chinese ancient history described 'the unified Silla' mostly on the details related to economic, cultural exchanges with Tang dynasty. First of all it stated about the students studying in Tang and Choi, Chiwon in the relation with people exchanges. It would be the reason they had introduced Tang culture into Silla. In fields of Economic exchanges, the trade between people, expecially Sillabang were mainly dealt than trades like Chogong, Chaekbong between nations. This history statement must have been affected by the present-time principle centered by their own history since Sillabang had been located in China. Further to this they described Tang's culture had been transmitted one sided to the unified Silla, which was also affected by their 'Han race centered cultural historical view'.

      • KCI등재

        통일신라 범종 명문의 서풍 변화

        정현숙(Jung, Hyun-sook)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3 No.-

        통일신라에서 명문이 있는 것 중 탁본으로 그 명문이 전해지는 범종은 6구다. 이 종명들은 모두 해서로 쓰였으며 한 점의 후면만 행서로 쓰였다. 그러나 그 서풍은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조금씩 다르게 변천한다. 본고는 8-10세기에 걸쳐 주조된 이 종명들의 글씨를 통해 서풍의 특징과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8세기에서 9세기 초인 제1기에는 주로 북위풍과 안진경풍으로 구분되는 중국풍해서가 사용되었다. 가장 이른 <상원사종명>(725)은 북위풍으로, <무진사종명>(745), <성덕대왕신종명>(771), <선림원종명>(804)은 안진경풍으로 쓰였다. 안진경풍은 통일신라 비문에서는 부분적으로만 사용되었는데, 범종에서는 전체적으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종의 곡선미와 어울리는 서풍을 선택한 서자의 미의식과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9세기대인 제2기에는 중국풍이 아닌 해서가 사용되어 신라풍으로의 변천 과정을 보여 준다. <연지사종명>(833)에는 1기의 종명 글씨와는 다른 자유로운 변화가 있어 신라 서자의 자가적 분위기가 있다. 10세기인 제3기에는 1, 2기와는 구별되는 완연한 자가풍으로 쓰였다. 반각이 특이한 <송산촌대사종명>(904)에서 행서의 필의까지 가미된 자유분방한 서풍은 2기의 <연지사종명>보다 더 창의적 자가풍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3기의 종명 글 씨는 신라식 서예문화의 정착에 일조한 것이다. 통일신라 종명 글씨의 3단계에 걸친 이런 서풍의 변화는 중대, 하대, 나말여초라는 역사적 시기 구분과 거의 일치한다. 그리고 그것을 따르는 비천상의 3단계 양식 변화, 단월의 3단계 위상 변화, 장인의 3단계 소속 변화, 명문의 3단계 위치 변 화와도 대략 일치한다. 통일신라 종명의 글씨는 목간과 불교 금석문의 글씨처럼 북위풍에서 당풍을 거쳐 마침내 자가풍을 창조함으로써 중대에서 하대를 거쳐 나말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신라의 독자적 서예문화를 형성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상응한다. There are six Buddhist bell inscriptions transmitted in ink rubbing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y were written in regular script and the back side of one in running script. Their calligraphic style became changed gradually with the periodical change.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change of calligraphic style of them made from the 8th to the 10th century. The Chinese styles of the Northern Wei and Yan Zhenqing (顔眞卿) of the middle Tang were used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the 8th to the early 9th century. The bell inscription of Sangwonsa in 725, the earliest one of all, was written in the style of the Northern Wei and those of Mujinsa in 745, Seongdeokdaewang in 771, and Seollimwon in 804 in the style of Yan Zhenqing. The bell inscription of Yeonjisa in 833 that belongs to the second period was written in the atmosphere of free change,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period. Its regular script shows the change process from the Chinese to the Silla style. The bell inscription of Songsanchondaesa in 904 that belongs to the third period was written in the own style of the Silla calligrapher, which differentiates from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It is more creative style than that of Yeonjisa of the second period.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bell inscription of the third period contributed to the settlement of calligraphy culture in Silla style. Thus, the three-stage change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bell inscriptions of the Unified Silla is in concordance with the period division, which are middle, late and end periods of Silla. It almost accords with the three-stage change of pattern of the image of a flying fairy, that of donator’s status, that of master artisan’s belonging, and that of inscription’s location following the three-stage periodical change. Like those of the wooden tablets and Buddhist stone inscriptions, the writings of the bell inscription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changed its style from that of the Northern Wei through that of the Tang to that of the Silla. It also corresponds the social atmosphere forming the calligraphy culture of Silla’s own, passing from the middle through the late to the end period.

      • KCI등재

        탐라국의 동아시아 교섭과 신라

        박남수 ( Park Nam-so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8

        탐라의 대외교섭을 문무왕 2년의 탐라국 내항 기사와 문무왕 19년의 신라의 탐라국 경략기사, 그리고 애장왕 2년(801)의 탐라국 조공 기사를 중심으로 살피고, 탐라의 특산물이 신라 대외 교역사상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문무왕 2년(622) 탐라국의 신라로의 내항은, 백제 의자왕의 항복에 따라 백제의 속국으로서 당나라와 신라에 대한 항복의 의사를 표한 것이었다. 또한 문무왕19년(679) 2월 신라가 사신을 보내어 탐라국을 경략하였던 것은, 탐라국이 백제부흥군과 웅진도독부-왜로 이어지는 동맹의 라인을 유지하던 가운데, 676년 기벌포 해전으로 나당전쟁이 종결되고 678년 4월 신라가 무진주 도독을 임명하여 전라도 일원까지 지배력을 확대하자, 동 시기에 8개월 여 동안 일본에 함께 체재한 신라 사신과 탐라국주 간의 협의가 있었던 데서 가능하였다. 신라는 탐라국에 대하여 안승의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그 독자성을 인정하여 종묘와 사직, 독자적인 내정과 외교권을 보장하였다. 그러나 탐라는 일본에 마지막으로 사신을 파견한 693년 11월 이후 외교권을 박탈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탐라의 특산물 가운데 珍珠와 玳瑁, 牛毛, 그리고 白芷ㆍ八角ㆍ零陵香등의 향료, 사향, 石決明 등은, 탐라가 백제ㆍ신라와 내왕하면서 고급 물품의 재료나 향료, 약재에 이르기까지 새로이 개발함으로써, 통일신라의 융성한 대외 교역품으로까지 자리매김하게 되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iplomacy of Tamra kingdom focusing on the records on the visit to Silla to surrender in the 2nd year of King Munmu’s reign(622), the diplomatic surrender to pressures and threats from Silla in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9) and tributes to Silla in the 2nd year(801) of King Aejang. Based on this examination, the author also tried to determine in which place special products by Tamra kingodm took in the trade history of Silla. The visit of Tamra kingdom to Silla, as a subject country of Baekje, appearing in the record in the 2nd year of King Munmu(622) means the expression of its surrender intention to Silla and Tang, according to the defeat of Baekje. However, while the alliance with Tamra kingdom, the revival army of Baekje and Japan was maintained,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ended up in Silla’s victory in 676. After that, Silla expanded its domination to the area of Jeolla, appointing the governor of Mujin. Under this situation, the envoy of Silla pressed and threatened king of Tamra to surrender while they stayed together in Japan for 8 months, which made the colonization of Tamra kingdom by Silla possible without wars in February of 679. At first, Silla gave Tamra kingdom a guarantee for independent domestic affairs and diplomatic rights as like the revived Goguryeo. Later, it appears that Tamra was deprived of its diplomatic rights after December of 693 when Tamra dispatched its envoys to Japan. However, Tamra kingdom identified and commercialized new herbs and spices, medicine herbs and high quality materials for trade with Silla. Among special products of Tamra kingdom, especially, pearls, shell of sea turtle, cow hair and herbs such as angelica dahurica(白芷) star anise(八角) Lysimachiae Foenum-graeci Herba(零陵香), musk, senna(石決明) took an important position in trade with unified S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