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테네시 윌리암즈의 초기 극작품에 나타난 주인공들의 갈등

        金正洙 釜山外國語大學校 語文學硏究所 2003 外大語文論集 Vol.18 No.-

        Tennessee Williams is an American playwright, who pursues the theme of human conflicts. The main characters in his earlier plays such as Amanda in The Glass Menagerie and Blanche in A Streetcar Named Desire are suffering from conflicts. They don't face the world of reality and want to live their own illusionary world. So they are misfits in the changing circumstances. They are isolated from reality and they have troubles with other people in their society. They can't help avoiding their frustration and despair from themselves as well as their families. They have the experiences of losing something important. In The Glass Menagerie, Amanda lives in the memory of Blue Mountain, her worthy land. Her husband left her far away. It means that she lost her comfortable family. Nevertheless, she doesn't want to acknowledge her reality. She rather wishes to compensate for the loss with her children. Amanda falls into expensive delusion and she feels frustrations because of conflicts between miserable reality and illusion. Amanda' illusion of the past makes her misfit to realit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solating her children, Laura and Tom. Handicapped in her legs, Laura is isolated from social life and her refuge is the illusionary little glass menagerie. In the end, Amanda makes their children more alienated from reality and frustrated. In A Streetcar Named Desire, Blanche, who has the memory of rich Old South, doesn't live in reality. She lost her rich land, Belle Reve. Moreover, she lost her loving families by the Civil War. She lost her husband, Allen but she tries to find an escape by retreating to her romantic time. Blanche plunges into the ruthless and instinctive world of Stanley, and her illusionary world clashes with the world of Stanley, Stella and Mitch. The conflict between Blanche and Stanley or Stella comes from the fact that they live in the different worlds. Stella, originally, comes from the same world of Blanche, but she is adapted to the instinctive world of Stanley and finds happiness in it. The conflicts between them come to an end with Blanche's destruction by Stanley's revealing Blanche's immoral past and raping her. Most of the main characters in Williams' plays are destroyed by their circumstances or reality. They have guilty consciousness, uneasiness, loneliness and fear in their inner lives all the time. But they want to restore their sense of los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endlessly. Their conflicts externally begins with the confrontation of the two opposing cultures-noble against savage-and mentalism against materialism and the soul against the body as well. These make them repeat the tragic lives. Williams believes that the tragedies come from the mixture of his character's desires to compensate for their inner troubles and to reconcile the external opposition strength. Therefore, the truth Williams is trying to suggest is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love among the people who fall in illusion, and courage to face reality.

      • KCI등재

        현실치료의 남성 성역할 갈등 완화

        박광석 ( Kwangseok Park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관계를 단절시키는 외부통제 대신 선택이론을 삶에 적용하도록 권장하는 현실치료가 힘을 추구하고 관계를 해쳐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남성들의 삶을 불행하게 만드는 남성 성역할 갈등을 완화하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현실치료 프로그램을 중년 남성 대상으로 주 1회 3시간씩 8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남성 성역할 갈등 척도 총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남성 성역할 갈등 척도의 하위요인 중 성공·힘·경쟁 문제 요인(SPC) 및 일과 가족 관계에서의 갈등 요인(CBWF)의 감소는 유의미하였으나, 억압된 정서성 요인(RE)의 감소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결과는 현실치료가 남성 성역할 갈등 완화에 효과적이어서, 남성이 남성 성역할 갈등이라는 부정적 심리상태에서 벗어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남성들이 정서적인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서 인식 및 표현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Reality Therapy, which encourages the application of Choice Theory instead of external control that disconnects relationships, alleviates male gender role conflict, which causes social problems and makes men’s lives unhappy because it seeks strength and harms relationships. Therefore the Reality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8 weeks, 3 hours once a week for middle-aged men. As a result, the total score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was significantly reduced. Among the sub-factors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the decrease in Success/Power/Competition factor (SPC) and in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factor (CBWF) was significant, but the decrease in Repressed Emotion fatcor (RE)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Reality Therapy is effective in alleviating male gender role conflicts, so that men can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way from the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However, it suggests that men need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training to improve their emotional quality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1960년대 전후소설의 대립 구조와 주제 의식 - 『광장』ㆍ『방앗골 革命』ㆍ『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이성우(Lee Seong-Woo) 한국문학회 2007 韓國文學論叢 Vol.45 No.-

          Choi In-Hoon’s Gwangjang, Oh Yoo-Gwon’s Bangatgol Hyeokmyeong and Park Gyeong-Ri’s Sijanggwa Jeonjang published in the early 1960s shows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as a literary response to the Korean War. The three novels did not concentrate on the misery of the war itself. Rather, they expanded the scope of consciousness to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onflict structure. We analyzed how the pattern of conflict structure are express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such as the situation demanding a choice between two(Gwangjang), the confrontational background of the upper village and the lower village(Bangatgol Hyeokmyeong) and the contrast between the market and the war and the theory that both are right and wrong(Sijanggwa Jeonjang). In addition, we examined thematic consciousness derived inevitably from the conflict structure.<BR>  The problem from which Lee Myeong-Joon’s choice of the neutralist nation could not escape was the objective situation of ‘death.’ This is an issue that must be discussed although it is meaningful in literature history as a rejection of dichotomously confronting ideology. That writer Choi In-Hoon tried to give new meanings to Lee Myeong-Joon’s death through repeated revisions is also considered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neutralist nation=death’ in some way.<BR>  The problem that Bangatgol Hyeokmyeong is faced with in giving shape to the Korean War by putting ‘the upper village’ and ‘the lower village’ antagonistic to each other is also an unrealistic element resulting from the self-sufficient space created in the story. This work also involves anachronistic idealism that tries to stitch up the wound of the division through polygamy. In Sijanggwa Jeonjang, cubicalness is achieved beyond simple contrast between ‘market’ and ‘war’ but it leaves the problematic attitude of deferring judgment of the real situation or viewing both as right and wrong.<BR>  A problem inherent in the three works is delicate discrepancy between the objective realities and the realities described in the stories. The discrepancy may be considered positively from the aspect of technique or can be pointed out as a mistake from the writers’ immaturity. That is, this is a matter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novels.<BR>  Lastly, what we need to think once more is that a discrepancy between the objective realities and fictional realities should be attributed to the writer but part of it can be attributed to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age. Considering this, in so-called meta-novels, namely, novels in which the writer is the main character, pursuit for writing itself can narrow the gap between the objective realities and fictional realities.

      • KCI등재

        <시어머니 길들인 며느리> 설화에 반영된 현실과 극복의 문제 -실제 시집살이 체험담과 비교를 중심으로-

        박현숙 한국구비문학회 2010 口碑文學硏究 Vol.0 No.31

        This paper discussed what effects the realistic elements and fantastic elements implied in the story have on daughter-in-laws enjoying the story focusing on that Daughter-in-law Taming Mother-in-law Tale is a ‘realistic folktale’ containing both bare ‘reality’ and ‘unreality’ transcending the reality.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actual stories of Sijipsari told by different speakers, it was confirmed the reality of daughter-in-laws' hard Sijipsari are reflected in Daughter-in-law Taming Mother-in-law Tale intactly. The realistic background and situation suggested in the stories make daughter-in-laws who suffer from Sijipsari assimilate with the narrative easily. And it allows them to realize the problem of unfair reality and recognize it as their own issue. In Daughter-in-law Taming Mother-in-law Tale, a daughter-in-law appears who is subjective and active correcting bad habits of hard mother-in-law from her decision to get married. In the story, the appearance of the subjective heroine makes daughter-in-laws who cannot but live passively in housekeeping in the home of their husband's parents feel substitute satisfaction and catharsis. In the story, the appearance of the subjective character who overcomes crises herself actively grasping the lead of her own life stimulates daughter-in-laws potential desire who have fallen asleep in the unconscious. In Daughter-in-law Taming Mother-in-law Tale, although the direct/indirect violence of the daughter-in-law on the mother-in-law is unacceptable behavior based on the then values, all audience evaluate her positively for the details of the story and the narrator. This hopeful conclusion increases the power of restoration of sound self for daughter-in-laws who suffer from hard housekeeping in the home of their husband's parents and at the same time induce change of positive recognition of the world without pessimistic view of their reality. Forktales basically have significance as a gesture to make the life more meaningful. Telling and listening to forktales are the actions of recalling current ‘my’ or ‘our’ life and dreaming a better life. They contain the will to proceed to the good days together not losing hope in a hard life. Therefore, the stories like Daughter-in-law Taming Mother-in-law Tale that have a message of hope continue to communicate with the person who enjoy them and comfort them, forming hopeful and positive recognition, and become a nutritious element to grow internal power to overcome it wisely. 본고는 <시어머니 길들인 며느리>설화가 현실을 적나라하게 담고 있는 ‘사실성’과 현실을 초월한 ‘비현실성’을 동시에 담고 있는 ‘사실적 민담’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설화에 내재된 현실적 요소와 환상적 요소가 설화를 향유하는 며느리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펼쳤다. 여러 제보자의 실제 시집살이 체험담과의 비교를 통해 <시어머니 길들인 며느리>설화에는 며느리들의 고된 시집살이 현실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화에 제시된 현실적 배경과 상황은 시집살이에 힘겨운 며느리들이 서사에 쉽게 동화될 수 있게 만든다. 그리고 부당한 현실의 문제를 자각하고 자신의 문제로 인식하는 과정으로 나아가게 한다. <시어머니 길들인 며느리>설화에서는 결혼 선택에서부터 억센 시어머니의 나쁜 버릇을 고치는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며느리가 등장한다. 설화에서 주체적 주인공의 형상은 환상적 요소로 현실의 시집살이에서는 수동적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며느리들에게는 대리만족과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설화에서 자신이 삶의 주도권을 쥐고 스스로 위기를 적극적으로 극복해 나가는 주체적 인물의 형상은 며느리들의 무의식 속에 잠재된 욕망이 발현될 수 있게 자극한다. <시어머니 길들인 며느리>설화에서 시모에게 가하는 며느리의 직·간접적 폭력은 당대의 가치관으로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설화의 서사에서나 서사 외부의 설화 구연자나 청중 모두가 며느리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내린다. 이러한 희망적 결말은 고달픈 시집살이로 인해 힘겨워하는 며느리들에게 희망적이고 건강한 자아 회복뿐 아니라 현실을 비관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세계를 인식할 수 있는 힘을 준다. 민담은 기본적으로 삶을 더욱 의미있게 엮어나가기 위한 몸짓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민담을 이야기하고 듣는 것은 지금의 ‘나’ 또는 ‘우리’의 삶을 돌아보면서 더 나은 삶을 꿈꾸는 행위다. 힘든 삶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좋은 날을 향하여 함께 나아가고자 했던 의지가 그 속에 담겨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시어머니 길들인 며느리>설화와 같은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설화는 향유자와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그들에게 위안을 주며,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게 만들고, 현실의 문제를 현명하게 극복해 나갈 내면의 힘을 기를 수 있는 자양분이 된다.

      • KCI등재

        삼봉 정도전의 시선에서 본 유・불 갈등의 철학적 문제들

        이종성 한국동서철학회 2024 동서철학연구 Vol.0 No.111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s of Confucianism-Buddhist conflict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a Confucian scholar from a philosophical aspect, focusing on the contents of Bulsijabbyeon (佛氏雜辨) of Sambong Jeong Do-jeon (鄭道傳, 1342-1398). Here, four major topics are addressed: the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dualism and monism, the conflict between causal retribution and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 psychological conflic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nature, and the conflict over ethical positions and ways to respond to reality.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Sambong's view of Buddhism cannot be free from the limitations that inevitably lead to the conflict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This is because Sambong discussed various philosophical topics by contrasting them with each other from the apologetic standpoint of Elevating Confucianism and Suppressing Buddhism (崇儒抑佛). Moreover, since Sambong focused on criticizing the distorted phenomena and contradictory behavior of the Buddhist world at the time, rather than criticizing the fundamental ideas of Buddhism, counterarguments from a Buddhist perspective were fully expected. The core of this article is that if the significance of the Buddhist objection can be relatively acknowledged, the confrontational phase of the conflict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can be naturally resolved.

      • KCI등재

        보상갈등의 유형화와 유형별 보상갈등 완화과제

        정희남(Hee-Nam Jung),김승종(Seung-Jong Kim),안영아(Young-A An)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0 부동산 도시연구 Vol.3 No.1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도시토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2020년까지 3,000㎢의 도시용지를 개발.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계획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보상비뿐 아니라 사업추진 과정에서 보상갈등 문제가 원만하게 해소되어야 할 것이다. 보상단계에서 갈등을 해소하지 않을 경우, 사업 추진과정에서 더 많은 갈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최근 10년간 공익사업의 보상현황에 대한 실태분석을 기초로 보상갈등의 유형을 도출하고, 각각의 유형에 대한 보상갈등의 구조와 원인을 파악한 후, 보상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방향을 제시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모두 5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은 보상현황을 토대로 보상갈등을 4개 부문으로 유형화하였다. 즉 공익사업시행자와 토지소유자 간의 갈등, 준법보상과 보상투기 간의 갈등, 공익사업지구 내소유자와 주변지역의 소유자 간 갈등, 그리고 공익사업 보상비와 전체 국민 간의 갈등 등이다. 제3장은 이러한 4개의 유형별로 보상갈등의 원인과 구조를 분석하였고, 제4장은 각 유형별 보상갈등의 완화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제5장은 결론으로서 이 연구의 기여도와 후속 연구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major causes of public conflicts over eminent domain and to present directions of future government strategies for mitigating public conflicts and for saving costs for land-acquisition by the government. It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one explains the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s in detail. Chapter two deals with the situations of the compensation market of Korea and categorizes the compensation conflicts into four types in terms of disputants in conflicts: a public developer vs. property owners, law-abiding vs. speculative or illegal compensation, property owners vs. those from the surrounding areas, and finally, property owners vs. the nation as a whole who has to pay for the project through taxes and fees. Chapter three investigates the situations and causes of each type of compensation conflicts. Chapter four draws policy implications to redress the conflicts and elaborates future policy agendas. The final chapter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long with possible avenue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정훈가사에 나타난 이념과 현실의 정서적 형상화 – 성주중흥가, 탄궁가, 우활가를 중심으로 –

        이승남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4 No.-

        An object of this thesis is to inquire the emotional configuration of three pieces of Junghun's Kasa(鄭勳歌辭) that were composed in transitional period toward late Joseon Dynasty period. The emotion of loyalty and patriotism in Seongjujungheungga(聖主中興歌) was formed after recognizing the difficult situation that he was far from going into the government service. This kind of emotional expression became a effective lyrical method to reveal the collapsed emotional conflict in the unfortunate reality. Also, through accompanying a more concrete statement about reality event, the writer avoided the ideological inflexibility. Tangungga(嘆窮歌) and Uhhwalga(迂闊歌) express the more concrete realistic emotion. They express those emotions through just speaking out, not limited and translated expression. We can find the feature of the emotional figuration in the point of avoiding conventional and abstract way of statement that conceals the desire to go into the government service and demonstrate Anbinnakdo(安貧樂道). Also, the grief of these two pieces expresses the emotional conflict from frustration of going into the government, however, the conflict cannot be ended easily even though they took the indicative mood. 이 글은 조선 후기로의 전환기에 지어진 鄭勳의 聖主中興歌, 嘆窮歌, 迂闊歌 등 세 편의 가사에 나타난 이념과 현실의 정서적 형상화 양상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성주중흥가는 仁祖反正으로 도래한 새 시대를 칭송하는 한편, 반정 전의 虐政을 비판하고 군주에게 바른 정치를 촉구하는 등 忠과 憂國의 이념적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 이 이념적 지향으로서의 충⋅우국의 정서 표출은 화자가 출사의 길에서 이미 멀어진 자신의 불우한 현실 상황을 깊이 인식하고 있는 가운데 이루어짐으로써, 궁핍한 현실 삶에 함몰된 화자의 불우한 심정에 대한 乏盡한 토로를 원활하게 해 주는 효과적인 서정의 방식이 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사에서 멀어진 향촌사족으로서의 이념적 갈등을 해소해내지는 못한다. 탄궁가와 우활가에는 성주중흥가보다 더욱 구체적인 방식으로 정서의 표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두 작품은 개인의 불우한 삶에 대한 정서를 제한되고 전환된 표현이 아닌 直敍의 방식으로 표출함으로써, 출사를 지향하면서도 안빈낙도를 표명하는 식의 관습적이고 관념적인 형상화 방식을 탈피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정서적 형상화의 특징이 발견된다. 삶의 구체성을 보다 짙게 반영하면서 진술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화자의 갈등을 표출하는 이 드러냄의 미학은 조선 후기로 옮아가는 시대적 현실 변화에 대응하는 문학적 형상화의 한 방식이다. 이 두 작품에서 이루어지는 극심한 궁핍과 우활한 처지에 대한 탄식의 정서 표출은 궁극적으로 출사에의 좌절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것이지만, 불우한 현실을 진솔하게 토로하는 이러한 직서의 방식에도 불구하고, 성주중흥가와 마찬가지로 출사에서 멀어진 화자의 절박한 인생살이에 대한 갈등을 용이하게 해소해 내지는 못하며, 간간히 표출되는 출사에의 미련은 표면의 진술 그대로 이 극심한 궁핍과 우활한 처지에 대한 탄식 속에 깊이 묻혀 있을 뿐이다.

      • KCI등재

        松溪 權應仁의 生涯와 詩世界 및 그 特徵

        강구율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7

        Mainly active during the reign of Seonjo,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Songgae Kwon, Eung-In, could not seize the opportunity to fully achieve his aspirations and capabilities due to his inherent limitations in social standing, with his career finally ending in one of the lowest governmental positions as a Hanlihakkwan (Chinese Language Institute Official). The law of discrimination for the concubine’s children and the law of keeping the concubine’s children from entering government service, established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resulted in blocking any attempt by many capable individuals to advance in society and exercise their abilities for the nation. This limited the Joseon Dynasty’s development significantly, despite the fact that it had many positive conditions to make it flourish. However, Songgae did not succumb to the frustration with the limits imposed upon him by his inherent status. Overcoming it to some extent while experiencing emotional turmoil at the height of the absurdity, he sublimated and transformed it into literature. Some of the aspects that can be glimpsed from the content of Songgae’s poetry include, primarily, conflict and eccentricity caused by his positional limits. As his limitation in status was not his own choice but a given reality, he could not escape-no matter how hard he tried. He could not help experiencing serious internal turmoil. Even in his dreams, he shows a sort of eccentric behavior, trying to realize a world without such discrimination. Secondly, we can observe his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reality and social conditions he faced. Songgae strongly pointed out and criticized the fall of the friendship of his time, the politics for the sake of politics that lacked the ability to consider public opinions, the absence of the governors and rampancy of petty officials, a society riddled with fakes, the pathetic political reality and the behavior of the politicians with a complacent awareness of reality, and so on. Lastly, we can get a glimpse of his attitudes of peaceful contentment with his place in society and philosophically view the life of idleness. Through such behavior toward life, Songgae overcame or transcendentalized his own life, which suffered from some internal conflicts. Meanwhile, we might be able to contend that serial poetry is the formal characteristic of Songgae’s world of poetry. Songgae used 30 letters of an even tone rhyme, a combination of Sangpyeongseong (high even tone) and Hapyeongseong (low even tone), among 106 Pyeongsoowoon, as rhyming words, to write a serial poetry of unique form, which includes as many as 30 poems. This type of poetry suggests a characteristic rarely used by other poets. Especially regarded as a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his poetry is the fact that he rhymed with an even-tone rhyming word in his final work. Moreover, the various types of his poems-free from traditional rhymes-are worth mentioning. Songgae shows a poem-composing characteristic of using relatively diverse miscellaneous poetry styles such as the Jade Butterfly style, Round Direction style, Ring-like Round Direction style, Jangdu-che and Moosanildanwoon-che. Finally, the Soochang poem is a style of composing poetry in which a senior or a certain person first suggests a rhyming word during a get-together or meeting held in places of outstanding natural beauty or banquets, followed by everyone else immediately composing poetry on the spot using rhymes. Songgae wrote a great amount of Soochang poems, which suggests that it is indeed a formal characteristic of his poetic world. 조선 중기 宣祖年間에 주로 활동한 松溪 權應仁은 본래 타고난 신분적인 한계로 인하여 자신의 포부와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하고 漢吏學官이라는 微官末職으로 공직생활을 끝마쳤다. 조선 초기에 제정된 庶孽差待法禁과 庶孼錮法이란 惡法이 결국 이런 능력자들의 사회진출과 국가공동체를 위한 역량의 발휘를 원천적으로 봉쇄해버려서 조선은 더욱 크게 번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발전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하였다.그렇지만 송계는 자신에게 주어진 신분적 한계에 좌절하지 않고 나름대로 심적 갈등을 겪으면서도 그러한 한계를 일정하게 극복, 승화시켜서 문학이라는 결과물로 만들어내었다. 송계 詩世界의 내용적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몇몇 樣相으로 먼저 身分의 限界가 招來한 葛藤과 奇行을 들 수 있겠다. 신분적인 한계는 송계 자신의 선택이 아니라 주어진 것이므로 개인의 노력으로는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현실이기에 심각한 내적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다. 심지어는 꿈속에서조차 이를 벗어난 세계를 구현해보려는 일종의 기행적인 모습까지 보여준다. 두 번째로 當面現實과 世態에 대한 批判의 態度를 볼 수 있다. 송계는 당대의 友道의 墮落相, 民意의 收斂機能이 마비된 정치적 장치, 牧民官의 不在와 破廉恥한 衙前들의 跋扈, 가짜가 판을 치는 사회, 무기력한 정치 현실과 안이한 현실 인식을 소유한 위정자들의 태도 등을 강하게 지적하고 비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安分知足과 閒情達觀의 姿勢을 엿볼 수 있다. 송계는 이러한 삶을 통하여 내면적으로 일정 부분 갈등을 겪는 자기 삶을 超克 내지는 昇華시켰다 그리고 송계 詩世界의 형식적인 特徵으로 거론할 수 있는 것은 連作詩의 세계라고 하겠다. 송계는 平水韻 106개의 운자 가운데 上平聲과 下平聲을 합친 平聲韻 30개의 글자를 韻字로 사용하여 30首에 이르는 특이한 형태의 연작시를 지었다. 이런 형식의 시는 다른 사람에게서 찾아보기 어려운 특징이라고 하겠다.그 가운데 특히 평성 운자를 작품의 맨 마지막 운자로 押韻한 것이 하나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두 번째로 雜體詩의 세계를 언급할 수 있겠다. 송계는 玉蝴蝶體, 回文體, 玉連環體 혹은 藏頭體, 巫山一段雲體 등 비교적 다양한 잡체시의 시체를 사용하여 作詩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수 있는 것으로는 酬唱詩이다. 수창시는 여러 사람들이 景觀이 몹시 빼어난 장소나 宴會 등을 포함한 모임과 會合에서 年長者나 어떤 특정한 사람이 먼저 韻字를 내고 이어서 모든 사람이 그 운자를 가지고 즉석에서 시를 짓는 방식이다. 송계는 그의 문집에서 상당한 분량의 수창시를 남기고 있는데 이것은 그의 시세계의 형식적인 한 특징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

        최인훈 소설 연구 : 주인공 독고준의 욕망과 심리 세계를 중심으로

        박해랑(Park Hae Rang)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최인훈 소설 는 그의 여러 소설 중 가장 난해한 작품에 속한다. 비사실주의 소설로 기존의 소설과는 다른 중층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는 소설에서 인물에 대한 심리 세계를 매우 치밀하게 서술하고 있다. 특히 주인공의 심리는 그의 행동에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인훈 소설에서 인물들의 성향은 여러 작품에서 반복되거나 연속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작가는 인물들의 사유 세계를 섬세히 묘사하고 있다. 소설에서 주인공은 시대적 가치관과 개인적 가치관의 혼돈 속에서 이성에 대한 욕망을 다양하게 표출하고 있다. 그에 비해 지금까지 인물에 대한 심리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이에 최인훈 소설에서 인물의 심리 연구를 새로운 논의 방법으로 제시하고, 그 소설의 난해성 해소와 연구 범위 의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에서 주인공 독고준을 중심으로 그의 욕망과 심리 세계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문학에서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고, 문학연구에 있어 심리를 연구하는 것은 지금까지 중요한 과제가 되 어 왔다. 인물의 복잡한 심리를 연구하는 과정은 그 인물 행위의 동기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에서 독고준은 이유정의 방에서 나와 자신의 방으로 들어가는 복도의 끝에서 환상 여행을 떠난다. 환상적인 공간 이동을 통하여 독고준은 기억에 잠재된 무의식 세계를 여행한다. 독고준의 여행 목적은 과거'W시의 그 여름날을 기억하는 그녀'를 만나기 위한 욕망의 실현이다. 그녀를 만나기 위해 여행을 강행하면서 그가 깨달은 것은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며, 어머니에 대한 사랑이다. 또한 어린 시절 경험한 자아비판의 상흔은 그 시절의 교실로 돌아가 지도원 선생과 대면함으로써 치유한다. 독고준은 여행내내 자아와 세계의 대립으로 균열이 심화되어 간다. 이러한 균열은 그를 내면세계로 침잠하게 한다. 그러나 반복적인 여행을 통해 내면의 상흔을 치유하고, 현실을 인식하여 자아의 성장을 이룬다. 독고준은 여행하는 동안 부끄러움을 느끼고, 여행이 끝난 후에도 자신의 행동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해 반성하고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은 자아가 성장하고,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자아와 세계의 갈등을 빚는다. 자아와 세계가 투쟁과 충돌을 통해 화해의 결실을 이루기도 하지만 다수의 인간은 투쟁과 충 돌을 회피하고 내면으로 침잠하여 세계로부터 스스로를 소외시키는 경향을 가지기도 한다. 현실과 당면하지 않고 사회에 대해 스스로 소외시키는 것을 성장의 한 방편으로 보는 것이 불편한 사실이지만,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는 현실이 냉정하다. 독고준은 이러한 현실에 살고 있는 회색(灰色)인이다. 그러나 무의식의 환상 여행을 마친 후 자신의 방에서 비오는 창밖을 바라보는 그의 모습은 현실을 직시하고 받아들이려는 노력의 자세로 보인다. 에서 독고준의 욕망과 심리 묘사는 주인공을 매개로 한 행동의 의미와 심리 체계를 구조화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독고준이 혼돈된 세계에서 자아의 성장과 가치관을 정립해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최인훈 소설의 다양한 분석과 연속성 있는 연구의 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Choi In-Hoon's novel Seo-Yu-Gi belongs to one of the most abstruse novels. As an unrealistic novel, it consists of multi-layered structures. He narrates psychological realm of the characters very closely. Especially, the state of mind of the protagonist in his behavior works as an important element.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in various Choi's novels appear repeatedly and continuously, and he describes their psyche delicately. Reduced to a chaotic state, the protagonist in the novel expresses his desire for the other sex variously. However, until now, studies on the mentality and psychology of the character have been rare. Therefore, I will present the study on the character's mentality and psychology as a new argument method, and I'd like to contribute to reduction of abstruseness and expand the study range. This study aims at studying on the desire and psychological realm of the protagonist, Dok Go-Joon in Seo-Yu-Gi. It becomes important task to express metal state and to study the mentality in literary researches. A course of study on the complex mentality of the character is very useful to analyze the motivation of the behavior and to explain the meaning. Dok Go-Joon in Seo-Yu-Gi. takes a fantasy journey at the end of hall stepping out of the Lee You-Jung's room. Through moving space, Dok Go-Joon travels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embedded in his memory. The purpose of his travel is to fulfill his desire to meet her. She remembers the summer day of W city. What he realizes is longing for his family and loving for his mother. Also, the scar caused by self criticism in his childhood is healed up by facing instructor in the classroom of the time. The rupture between his ego and world becomes worse through the entire trip. This rupture begins to withdraw to his inner world. However, he heals the scar through the repetitive travel, recognize the reality, and accomplish selfdevelopment. Dok Go-Joon feel abashed during the trip and still he does after the trip. It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is own identity for him to reflect on his behavior and have shyness. Humans always come into conflict between ego and world. Ego and world can bear a fruit of reconciliation, but most humans tend to avoid the struggle, conflict withdraw into the inner world, and isolate themselves from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and maturity, it is uncomfortable fact that humans do not face the reality and isolate themselves from the society, but the reality is quite cold and different because people can not do any other things. Dok Go-Joon is “A Gray man” who lives in this reality. However, his image, which looks out the window for rainy days after unconscious fantasy journey, can be seen as an effort to face and embrace the reality. Description of Dok Go-Joon's desire and state of mind in Seo-Yu-Gi can be appraised as structurization of behavioral meaning and psychological system. By looking for the process for Dok Go-Joon to establish self-development and values, I can broaden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is work and provide a framework for various and continuous study on Choi's no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