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에서의 한국춤 사유구조 읽기

        김지원 ( Ji-won Kim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6 No.-

        춤사위의 연속된 동작은 동작소(動作素, kineme)1)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소가 춤예술이라는 생명적 기호를 생성한다. 춤이 예술이자 의미를 생산하는 기호라는 전제하에 한국춤 예술에 드러난 독창적인 미적현상을 기호학적 방법으로 분석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특히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은 구조주의 의미론을 펼치는데 유용한 방법론으로, 한국춤 동작과 호흡구조의 2항적 대립과 모순 속에 심층적인 의미를 찾아가는 분석법은 또 다른 한국춤의 독창적인 사유구조를 읽는데 도움이 된다. 우선 한국춤의 독창적 사유구조인 3원론적 인식의 구조, 즉 정중동(靜中動)과 정한론(情恨論), 삼재(三才)사상 등 핵심적인 미적현상을 결과론적으로 예측하면서도, 표층과 심층의 구조론적 의미의 분석은 예술기호로서 한국춤의 사유구조를 읽기에 그레마스 기호학은 유용하다. 즉 한국춤의 호흡과 동작을 이어나가는 2항 구조로서 의미소는 언어학적 분절과 같이 의미의 대립과 모순으로 지속적인 흐름을 이어나가면서 예술기호로서 의미작용 해석의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 여기에 또 다른 의미생산을 위한 의미의 공간을 지속적으로 놓아두고 있는데, 이는 한국춤의 3원구조가 차이와 구분이 없는 아우름을 지향하는 독창적인 사유구조에서 비롯됨을 의미의 분절과 구조적인 논의로 밝힐 수 있다. 따라서 한국춤에서는 천지인(天地人)의 조화와 일심(一心)의 미학,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계를 허물며 윤회적 삶을 실천하고 권고하는 한국문화예술의 특수성이 자리한다. Continuous movements in dances create life signs called artistic dances by an episememe that gives a meaning to a kineme. It would be meaningful to perform semiotic analysis of unique aesthetic features in Korean dance assuming that dances are artistic signs that create meanings. In particular, the semiotic square by Greimas is a useful methodology to develop structuralism based semantics and the analysis to find out in-depth meanings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between two elements of movements and constituents in Korean dance was useful as an alternative in interpreting unique thinking structure of Korean dance. First, the Greimas semiotics was useful in understanding the thinking structure of Korean dance by resultative prediction of essential aesthetic activities by the perceptional structure of 3 principles which is a unique thinking structure of Korean dance that covers rest in motion, resentment and three-function theories while analyzing structural meanings of surface and deep layers. It means that the episememe in Korean dance as a two-element structure in which constituents and movements continue has continued its stream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of meanings just like linguistic constituents while extending the scope of interpretation in signification as artistic signals. In addition to this, there was a space to create another meaning on a continued basis and it allowed me to reveal that the 3-element structure in Korean dance was derived from its unique thinking structure that aims at harmony without differences and divisions among elements by means of discussions on meaningful constituents and structures. Thus, Korean dance ha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and art that practices and recommends the life of an eternal cycle which breaks down the boundary among theocosmoanthric harmony, one mind aesthetics and union of self and things.

      • KCI등재

        한국춤의 공간 기호적 해석 연구

        김지원 ( Ji Won Kim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2 No.-

        춤사위의 연속된 동작은 몸이 공간이자 공간은 또 하나의 몸이 되면서 동작소(動作素, kineme)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소가 춤예술이라는 생명적 기호를 생성한다. 무대라는 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에 흐르는 예술의 현상학적 차원은, 춤이 기호라는 명백한전제하에서 한국춤만의 독창적인 공간을 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유용하였다. 즉 이 문제는 춤과 동작이 생성하는 공간 기호가 의미생산을 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어떻게 의미를 전달하는가라는 상징적인 기호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시공간에서 춤동작이라는 역동적인 흐름이 어떻게 공간학적으로 인지되며, 공간의 배치에서 어떻게 또 하나의 예술적 공간을 형성하는지에 대해 바르뜨의 ``외연``과 ``함의``의 신화적 속성은 유용한 방법론이 되었다. 한국춤은 외적 공간상에서 의도된 형식의 차이를 두고, 삼태극(三太極)의 공간, 오행(五行)의 공간, 좌(左)지향의 공간, 원형(圓形)의 공간, 여백(餘白)의 공간이라는 문화적 특수성을 드러낸다. 이는 한국춤의 동작소 하나하나의 차이가 의미소와 같은 언어학적 분절과 같이 자의적인 약호로 작용되며, 공간기호로서 의미작용의 해석의 범위를 확대해 나아가는 의미생산의 연속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카오스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범주의 구분 또는 차이를 통한 기호학적 재단처럼, 춤 동작소의 시공간적 연속된 기호는 의도된 형태에서 의도되지 않는 수많은 공간기호로써 공간학적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국춤에서는 주로 어떠한 선을 공간에 그리는가,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행하는 주된 동작군은 무엇인가? 공간을 분할하는데 중점을 두는 요소는 무엇인가? 하는 의미전달적 기호작용이라기 보다는, 예술적 공간에서 해석되어지는 탈코드화(de-codification)의 공간기호론적 해석에서 한국춤만의 이미지를 생성한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춤이 공간상에 드러내는 신화적 속성이자 문화적 특수성임을 알 수 있다. Differences in the movements of the dancing exist depending on the culture. On the explicit premise that the dance is the symbol, the analysis of the spaces was done in that the dancing has an artistic significance in the Phenomenological dimension of the combination of the space of stage and flow of time. In other words, focus needs to be on the symbolic codes that conveys the meaning on the assumption that the dancing is the semiology. Therefore, as the result of reviewing the dancing movements expressed on the exterior spaces, the application of meaning analysis expands and systemized according to Sam Taeguk, the five-element theory, left-oriented, circular and blank spaces. The discussion has become the focuses on the steps of the de-codification in that the psychological codes of the korean dance does the aesthetic interpretation. There is meaning that after the stage, all boundaries are collapsed like the semiology through the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for analysing the world of chaos. Therefore, Korean dancing is worthy of notice in that there is only the image of Korean dance in terms of the space interpretation of de-codification interpreted in the artistic space, rather than semiotic process of the meaning conveyance like “what lines are drawn in certain spaces?”, “what is the main group of the movements in spaces?” and “what elements are focused on the space division?”

      • KCI등재

        ‘요리 및 식당’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구성과 재현의 의미와 문화 함축성 - tvN <윤식당1>과 <윤식당2>에 대한 기호학적 비교분석

        이지혜 ( Lee Ji Hye ),백선기 ( Baek Seon-gi ) 한국기호학회 2018 기호학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tvN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윤식당>의 시즌1과 시즌2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미디어를 통해 표현되는 음식과 요리 과정의 재현, 그리고 그것이 의미하는 문화적 함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요리행위 - 음식제공 - 식사행위’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의미를 내포하는지 살펴보았으며, 통합체 분석, 계열체 분석, 행위주 분석, 레비-스트로스의 요리 삼각형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리얼리티 프로그램 <윤식당>이 외국에 한식당을 운영함으로써 소박한 일상과 여행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여유와 느림의 가치에 주목했는데 반해, 실제로는 한국음식의 소비태도와 이를 반영하기 위한 요리 및 음식 제공 행위의 변형된 의미가 발견되었다. 나아가 한국음식의 변용이 현지화 또는 세계화라는 이름에 감춰진 ‘한국음식의 혼종성과 비정체성’을 뜻하며 한식의 세계화를 내세웠지만 그로인해 한국음식의 고유성 훼손이라는 부작용을 낳게 되었다. 이는 오락성을 위해 한국음식을 변형하여 제공했으며, 역설적으로 한국 음식문화의 문화적 혼종성 및 정체성 훼손을 생성한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를 낳게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resentation of food and cooking process shown through the media and its cultural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seasons 1 and 2 of < Yoon’s Kitchen >, tvN’s reality program which has gained high viewer ratings and sympathy from the viewers. In light of the existing documents, the research reviewed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impli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of “the act of cooking- the act of providing food - the act of having a meal.”The authors concerned narrative structure of the program, paradigmatic analysis, actantial analysis, and analysis by applying the culinary triangle of Levi-Strauss were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seasons 1 and 2 of the < Yoon’s Kitchen >. As a result of semiotic analysis on the programs, by focusing on the value of composure and slowness which may be felt through the simple everyday lives and travelling by running a Korean restaurant in a foreign country, the reality program < Yoon’s Kitchen > revealed the changed consumption behaviors for Korean food, and the evolutionary process of cooking and the act of providing food reflecting the above. Meanwhile,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food may mean the “statelessness of Korean food” hidden under the name of localization or globalization. Furthermore, although the program intended to put up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food wash armed, and this is the reason why it needs to be examined whether Korean food was used simply for entertainment in the program. Also, the program showed limitations such as drawing cultural inferiority as the motive for watching the program.

      • KCI등재

        실존기호학의 몇 가지 쟁점들 - 다자인, 초월, 저항

        최용호 한국기호학회 2019 기호학연구 Vol.60 No.-

        ‘Existential semiotics’ is the title of a book that Eero Tarasti had published in 2001, and this book was translated into French in 2009 with the title ‘Fondemants de la sémiotique existentielle.’ In this book the author attempted to reformulate semiotics as ‘the first philosophy’. After Saussure and Peirce, semiotics has renewed its theoretical renovation under the paradigm of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Now that the epoch of the ‘neo-’discourse has disappeared, is coming a time of new theoretical innovations. Existential semiotics is a new model of semiotics that Tarasti put forward to meet this historical demand. Interestingly Tarasti presents his ‘neo-’semiotics as a ‘counter-’semiotics. The ‘counter’ means here the resistance to the closed nature of the Dasein World. The resistance develops in the form of an act of negation, and the semiotic subject transcends his Dasein world into the space of nothingness through this act. Coming back from this space of nothingness to the Dasein world is accomplished through the act of affirmation. Tarasti proposes to define those acts of negation and affirmation as transcendental mouvemen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a new perspective of semiotics, discussing those fundamental concepts of existential semiotics such as ‘Dasein’, ‘transcendence’, ‘resistance.’ ‘실존기호학’은 에에로 타라스티가 2001년에 출간한 책의 제목이며 이 책은 2009년『실존기호학의 기초』라는 제하에 프랑스어로 번역 출간된다. 이 책에서 타라스티는제 1철학으로서 기호학을 재정립하려는 시도를 선보인다. 소쉬르와 퍼스 이후 기호학은 구조주의 패러다임과 후기구조주의 패러다임에서 이론적 혁신을 거듭해왔다. 이제‘포스트post-’담론의 시대가 저물고 새로운 이론적 모색이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 실존기호학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타라스티가 제안한 기호학의새로운 모델이다. 흥미롭게도 타라스티는 ‘네오neo-’기호학을 ‘반counter-’기호학으로소개한다. 여기서 ‘반(反)’은 기존의 삶의 공간, 다시 말해 ‘다자인Dasein’ 세계의 폐쇄성에 대한 저항을 가리킨다. 저항의 몸짓은 부정의 행위로 전개되며 기호학적 주체는다자인의 세계에서 벗어나 무(無)의 공간에 머물게 된다. 이 무의 공간에서 다시 다자인의 세계로 되돌아오는 움직임은 긍정의 행위를 통해 이루어진다. 타라스티는 이처럼 부정과 긍정 행위를 기호학적 주체가 실행하는 초월의 움직임으로 정의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이처럼 실존기호학의 근간을 형성하는 ‘다자인’, ‘초월’, ‘저항’ 등의 개념에 대한 논의를 통해 타라스티가 제시한 기호학의 새로운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에코의 기호 생산 이론의 도시 공간 적용 연구

        황영삼 한국기호학회 2022 기호학연구 Vol.71 No.-

        This research is to review Eco’s Code Theory and Sign Production Theory,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Hjelmslev’s Sign Function Theory in standpoint of structural semantics, to apply to urban space modeling. Another branch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Place Theory and Pattern Language in standpoint of Sign Function Theory. In this research Place Theory by John Punter and Pattern Language by C. Alexander have been re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Sign Function Theory, revealing their limitations of indexing systems rather than reasoning capabilities. Eco’s attempt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are combining the relation of type-token with that of sign-denotation, connotation, so that the realities of our life are inhaled into the space model tage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paper, Eco’s Code Theory and Sign Production Theory have been applied to Gwanghwamoon Square in Seoul, to reveal the values of the theories as well as the signs produced.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Eco’s Sign Production Theory corresponds to our way of apprehension and sign transformation works. 본 연구는 옐름슬레우의 기호 기능론이 에코에 의해 발전된 코드 이론과 기호 생산이론을 구조적 의미론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도시 공간에 적용하는 연구이다. 기호 기능론에서 제시하는 추상 세계에서의 형식적 관계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코드이론에서는 외시-내포 관계 체계에 유형-사례 관계 체계를 접목하였고, 이로써 기호 기능론에서의 추상 세계가 실세계와의 접촉면을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내용면의 자율적 의미 체계와 표현면의 자율적 통사 체계가 형식적 상관관계를 통해 상호 작용할때 양면에 포함된 추상세계와 실세계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기호생산 이론에서는 기호 생산이 그러한 상호 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보고, 기표 생산을 위한 물리적 작업의 유형에 대한 방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것은 향후 의미생산 유형에 대한 연구와 결합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디자인 분야의 장소 이론과 패턴 랭귀지 이론을 기호 기능론관점에서 검토하였고, 검토 결과 도출된 그들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호 생산 이론이 유효하다는 판단에 이르렀다. 그것은 그 작업의 기초로 요구되는 기호 생산모델의 지향점이 장소 이론과 패턴 랭귀지 이론의 의미론적 지향점과 동일 선상에 놓여 있긴 하지만 구조성, 확장성에 한계가 있고, 이것을 에코의 기호 생산 이론이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호 생산 이론이 기반한 코드 이론에서 이루어지는 표현면과 내용면 간 관계 형성 방식이 기표-외시-내포를 근간으로 하는 하위 코드들 간조합적 상호 작용, 그리고 코드와 맥락 및 상황과의 상호 작용으로 무한 세미오시스가일어나는 불확정적 구조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기호 기능론적 이론적 성과를 실세계에 적용해보는 연구로, 기호생산 모델을 광화문 광장에 적용해봄으로써 그 모델로부터 생산되는 표현체와 의미해석의 기호학적, 도시건축적 가치와 한계를 확인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호 생산 이론에서 제시한 네 가지 유형의 표현체 생산 작업들은 우리 실세계의도시 공간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는 기호 인식 방식과 의미의 해석 작업에 포괄적으로대응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연구 후반부에 기호 생산 모델이 공간 의미 해석 과정을구현하기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춤의 핵심 구조로 읽는 차이들 -궁체, 필체, 학체 사위를 중심으로

        김지원 ( Ji Won Kim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한국춤의 핵심구조인 궁체(弓體), 학체(鶴體), 필체(筆體) 사위가 한국문화의 근간이 되는 철학적 사유임을 근거로 한국인이 지향하는 독특한 문화적 세계관을 엿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춤의 궁체와 필체 사위는 자연을 모방하고 그리는 작위(作爲)된 형태가 아닌 소박한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곡선의 여유로움과 필체에서의 ‘삭임’이라는 침묵의 기능은 춤의 여백을 통해 내면을 승화하게 만든다. 넘치지 않도록 절제하는 움직임과 생동감 넘치는 힘의 기교는 조화로운 융화로 내면을 풀어나가는 우리 민족의 원초적인 감성이 배어있다. 학체 또한 한국춤의 독창적인 상징의미를 드러냈다. 학을 숭상하는 민족정서가 모든 한국춤의 표상으로 자리한다. 이러한 근원은 한국인의 순수한 자연친화적인 지향성을 암시한다. 절대적인 진보의 나아감으로 끊임없는 도전을 행하지 않고, 머문 뒤에는 제자리에 다시 돌아오는 현세 지향적인 삶의 방식이 그것이다. 한국춤에서 드러난 핵심적 세 가지 구조는 한국예술의 정수이자 한국예술만의 내재적 구조로, 이는 정한론을 비롯해 신명, 아우름 등 한국인의 사유구조와 사상적 철학까지 한국예술의 근간임을 확인 할 수 있는 연구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unique cultural worldviews pursued by Koreans, based on the fact that Gungchae, Hakchae, and Pilchae dance moves, the core structures of Korean Dance, form the philosophical basis of Korean culture. In other words, Gungchae demonstrates that it is the common denominator of Korean arts, which is based on the gentle curves and soft and simple aesthetic sense of the world view of Koreans pursuing the circle. Pilchae expresses, through the structure of Korean Dance movements, the artistic spirit concentrating on the Eastern views emphasizing courtesy and cultivation of the mind and body. The forging, soothing, and relaxing breathing of Pilchae is an important core in the conclusion of the movements and artistic grace of Korean Dance and therefore, Pilchae confirms that the silent ambiguous and unraveling grace of Korean Dance places emphasis on the beauty of motion amidst rest. Hakchae, which can be observed in almost all Korean Dances, is a core dance structure that includes animalistic dance movements to imitate the crane or resemble the image of the crane to reflect the essence and artistic spirit of the Korean culture through the creative aesthetic sense of Korean Dance. This study identifies the three core structures of Korean Dance as the essences and the immanent structures of Korean arts and shows the Korean structure of thought of light-heartedness and harmony, including Seikanron, and Korean ideological philosophy to be the basis of Korean arts.

      • KCI등재

        로트만의 역사기호학 - 폭발의 시간성과 현재주의

        김수환 ( Kim Soo-hwan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8 No.-

        문화기호학 이론가 유리 로트만의 ‘마지막 시기’(1980년대 후반∼1993년)를 대표하는 핵심 토픽이었던 역사와 기호학의 접목 문제를 “역사기호학”이라는 표제 아래 재검토해보고자 하는 이 글에서는 다음 세 가지 작업을 시도한다. 첫째, 역사기호학과 관련된 기존 시도들과 최근의 증대된 관심을 훑어보는 가운데 로트만 문화기호학이 역사와 관련해 갖는 각별한 위상을 점검해본다. 둘째, “로트만의 폭발”로 일컬어지는 말년의 사유를 그것을 둘러싼 외적계기(소비에트 해체)뿐 아니라 이론 자체의 내적 논리(이론적 돌파의 시도)를 통해 정당화함으로써 1970년대 문화기호학과 차별화되는 역사기호학만의 독자적인 이론적 위상을 가늠해본다. 마지막으로, 30년 전 로트만이 제시했던 폭발의 시간성을, “현재주의(presentism)”라는 개념으로 집약될 수 있는 우리 시대의 지배적인 시간감각을 배경으로 되짚어봄으로써, 동시대의 문제들과 접촉할 수 있는 로트만 사유의 유효성의 지점을 부각시켜 본다. Juri Lotman who has been well known under the title of cultural semiotics did not cease to develop his theoretical idea until he died in early 1990, and the issue of convergence of history and semiotics was the core topic for the final stage of his research from late 1980 to 1993. In this article I will attempt to examine Lotman’s semiotics of history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sketching contour of major previous attempts to link history with semiotics and reviewing a representative case of recent increased interest in the semiotics of history (special issue of SSS Vol. 45), I will reveal particular stature of cultural semiotics of Lotman specifically regarding the history. Secondly, legitimating the shift in Lotman’s thought in his last period of life, allegedly “Lotmanian explosion” not only in terms of circumstantial background (the dissolution of Soviet) but in terms of the inner logic of theoretical system (theoretical breakthrough) as well, I will articulate the distinct and special status of the semiotics of history which is b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semiotics of culture in the 1970s. Finally, by (re)assessing the “temporality of explosion” that Lotman presented 30 years ago in comparison with the dominant temporality of our age which can be summarized as “presentism”, I will try to illuminate some valid and pertinent points in Lotman’s take on history which constitute the potential actuality of Lotman’s thought as a contemporary theory.

      • KCI등재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 기호학 연구

        김성도 한국기호학회 2019 기호학연구 Vol.61 No.-

        The Garden is a semiotic object par excell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rolegomena to the spatial semiotics of the East Asian Gardens. In contrast to the Western aesthetics, the art of garden was considered as a very high art in the artistic traditions of the East Asia. In this work, I attempted to seize the ecological and aesthetic features of the East Asian Garden from the point of the philosophy of nature. In particular, I focused on the two main elements such as water and stone to apprehend their poetic nature in the garden art.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landscape and the garden art might be pointed out. The spatial semiotics of the East Asian garden might be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spatial syntax, spatial semantics, spatial pragmatics. In this triple system, I apprehended the borrowed landscape as a key element of the spatial syntax of the East Asian gardening. Also, I underlined some salient features of the narrative trajectory in the movement of the appreciative subject who would move on to interpret and evaluate the changing landscapes of the garden. 동아시아 정원은 탁월한 기호학적 연구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기호학적 원근법을사용하여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적 의미를 보다 풍요롭게 창조할 수 있을 것이다. 서구의 미학 체계에서 주변부에 머물렀던 정원의 예술적 위상과 달리, 동아시아 미학에서정원예술은 최고의 반열에 놓여 있다. 초반부에서 논자는 동아시아 정원의 자연관에기초하여 그것의 생태학적 미학적 시적 성격을 파악하고, 소우주와 헤테로토피아로서의 특징을 강조하였다. 본고는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 통사론, 공간 의미론, 공간 화용론의 특징을 포착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공간 기호학의 관점에서, 특정 시공 속에규정된 순간, 인간 정신은 정원의 공간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정원의 세부 사항에 대한 구성과 주관적 선별을 통해 일정한 관념을 생성한다. 그 결과 상상력과 해석 능력을 겸비한 기호학적 정신은 동아시아 정원 공간에 대해 풍요로운 의미 체계구축의 창조적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논자는 무엇보다 차경의 원리를 동아시아 공간통사론의 중핵으로 파악하였으며 논자가 현장 답사한 정원들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또한 동아시아 정원 공간의 복잡한 상징성과 의미 체계를 설명하기 위해 강진 백운동별서 정원의 유상곡수와 일본 교토 용안사 정원의 돌의 숫자의 상징적 의미와 구성방식에 대해 간략하나마 기호학적 분석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공간 화용론의 시각에서는 정원 관람객의 운동에 따른 변화무쌍한 시점의 변화와 풍경의 펼침을 독특한 서사 행로의 구조로서 파악하였다. 본고는 한국 전통 정원의 본격적인 기호학적 탐구를위한 예비적 작업으로서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 기호학 연구의 서설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기호 언어와 증상의 문자

        김석 ( Seok Kim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9 No.-

        언어는 이중적 속성을 갖는다. 하나는 기호적 속성으로 의미화에 기초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는 언어작용에서 기인하는 주이상스다. 이것은 언어가 본질적으로 말하는 주체가 자신의 존재에 대해 가지는 관계로서 증상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언어의 본성을 기호로 보는 관점은 소쉬르 기호론이 전형이다. 소쉬르는 기호들이 맺는 변별적 관계가 의미화를 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라캉은 기표와 기의의 사이에 의미화에 저항하는 가로선을 도입하면서 의미가 상상적이고 우연적이라고 비판한다. 라캉은 기호론을 문자의 과학으로 대체하는데 문자는 상징계에 저항하는 실재계에 속한다. 기호가 의미의 논리를 대변한다면 문자는 텍스트 너머, 즉 존재의 중핵을 드러낸다. 문자는 반복을 되풀이 하면서 기표에 의해 상실된 존재를 드러내는 데 이것이 증상이다. 주체는 이 증상에 동일시하면서 새로운 주체화를 실현할 수 있는데 조이스의 글쓰기가 전형적 예다. 조이스는 글쓰기를 통해 증상을 표현하고 새로운 주체성모델을 창조하는데 이것은 존재를 향유하는 생톰이다. 조이스의 사례에서 보듯 정신분석의 최종 목표는 증상의 제거가 아니라 잃어버린 존재의 회복이다. 이것은 주체의 궁핍을 거치면서 증상과 동일시하는 것을 통해 가능하다. Langage a l`aspect double. L`un est l`attribut de singe, qui se fonde sur une signification. L`autre est la jouisance qui est causee par une verbalisation. Cela se produit pour autant que le langage est essentiellement une manifestation du symptome, parce que ce langage est le rapport que le sujet parlant maintient par rapport a son propre etre. La theorie du signe saussurienne est une perspective par excellence qui concoit la nature du langage comme singe. Saussure met l`accent sur le fait que le rapport differentiel entre les signes permet enfin une signification. Mais Lacan critique que le sens est imaginaire et accidentel, en introduisant la barre entre le signifiant et le signifie, qui resistera a la signfication. Lacan substitue la science de la lettre a la theorie du signe parce que elle releve de l`ordre du reel qui fait face a l`ordre symbolique. Si le signe represente la logique du sens, la lettre revele l`au-dela du text, c`est-a-dire le noyau de l`etre. La lettre met a jour, en faisant la repetition, l`etre qui est perdu par le signifiant. Elle est justement le symptome. Le sujet peut realiser une nouvelle subjectivation en s`identifiant a ce symptome. L`ecriture de Joyce en est un excellent exemple. Il manifeste son symptome par l`ecriture et cree un noveau modele de la subjcetivation. Cela est typiquement le sinthome qui jouit de l`etre. L`objectif final de la psychanalyse n`est donc pas la suppression de la symptome, mais un retablissement de l`etre perdu, comme on le voit dans le cas de Joyce. Cela est possible par l`identification a son symptome a travers la destitution subjective.

      • KCI등재

        공간과 기호의 관점에서 본 한국춤의 공간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김지원 한국기호학회 2022 기호학연구 Vol.71 No.-

        This study examines the aesthetic aspect of dance that uses movement as an art from the concept of space and sign. It is an analysis of the form that expands as a sign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dance and space, and the in-depth form and content that becomes another sign. The structural approach to the form in the actual dance space required an essential interpretation of the sign of the form, which breaks down the dance and becomes a form again. Through the study, the symbolic process of the form and abstract meanings of the spatial image of Korean dance became the key to structural elucid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eauty of dance. 본 연구는 움직임을 예술로 하는 춤의 미적 양상을 공간과 기호라는 개념에서 살펴보고 있다. 춤과 공간이라는 물음에 관해 기호로서 확장하는 형태 그리고 또 다른 기호가 되는 심층적 형식과 내용에 관한 분석이다. 연구를 통해 한국춤의 공간상이 주는형식(원형과 곡선 등)과 추상적 의미(여백과 풀음, 신명 등)들의 기호적 과정은 춤의미에 관한 해석에 구조적인 해명의 열쇠가 되었다. 즉 한국춤의 공간은 세계를 인식하고 행동하는 내적 발로의 현상이다. 표현이라는 춤의 내재적 미의식의 형상은 공간에형식과 내용을 얹혀서 의미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는 춤이 기호의 의미생산을 하는 것과 같은 동일한 구조이다. 그러므로 춤의 기호는 무한한 의미를 생산하는 창조적 공간을 형상화하며, 이 때 춤의 형식과 내용은 세계를 인식하는 방편으로서 표현에 관한 공간상의 차이를 표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