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성한 단편소설에 나타난 비극성 연구

        박해랑(Park, Hae-rang) 한국언어문학회 2016 한국언어문학 Vol.97 No.-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the tragedy in Sung-Han Kim’s short stories. The major emotion in his 1950’s novel is tragedy. I explore the tragic reality suffered by main characters in the stories and the courses to overcome it, and then give great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true meaning which the writer tried to tell in his stories. The individual life was skew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was disharmonious in Korea in the 1950s. Sung-Han Kim was one among the writers who had a strong sense of social awareness. He wanted to make new ethical and social values which would be different from other writers. He tried to disclose and criticize the absurd reality and corrupted human beings at that time, and then correct and improve them. Despite the various descriptions and creative organization of content, Kim’s stories have been underestimated because they were thought not to propose a proper alternative to gloomy postwar period. I studied the main characters’ tragic situations and world view, and then analyzed the courses of their overcoming them. As a result, I look forward to contributing to promote the value of Kim’s stories. Sung-Han Kim expresses and criticizes the crisis of Korea’s postwar society as a tragic reality where god is incapable in “Oboongan” and “Gaeguri.” In “Geukhan” Dastuko, who has lived a life denying her existence, feels pity for herself and recognizes her existence. She distrusts human beings and curses the world by killing Chinese who tried to rape her, and then stands against the tragic reality. In “Guihwan” Gyeong-Seok Kim dies form a bullet wound, but Hye-Ran, his wife, never submits to the tragic reality, such as hunger and contempt, and goes to see her husband with a strong will to resolve her deep sorrow. Babido, sewing factory worker, is represented as conscientious man of the period who stands against the corrupted religious circles and carries through his convictions in “Babido.” He chooses death to win true freedom. His death is the beginning of a new life. The death which main characters in Kim’s stories meet is not the end but the new start as well as an another world, that is, the way to God’s realm. It is the willingness to overcome a tragic world what Kim tries to express. All five novels deny God’s realmbut tell the tragic world view of humans who would know that there is no other world to live a new life denying God. Humans do not yield to and hesitate over the realty, and live a life against a tragic reality. This is the tragic human who live in a tragic world and everyone’s life. Sung-Han Kim puts a catastrophe to tragic reality which main characters suffer from in his stories, but he does not wish them to stay in the world. He wants them to struggle against the tragic reality. The death that the characters choose is the expression of true will against the tragic world. I hope this study to pave the way for enhancing the value of his stories by exploring the tragic world view and will to overcome the tragic reality in Kim’s short stories.

      • KCI등재

        최인훈 <廣場>의 환상성 연구

        박해랑(Park, Hae-Rang)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4 No.-

        최인훈은 여러 작품에서 유년기 체험이 반복되어 나타난다. 유년기의 체험은 작품에서 환상으로 나타나며, 환상과 현실의 반복으로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본고는 <廣場>을 자끄 라깡의 ‘욕망이론’과 에리히 프롬의 ‘도피의 메카니즘’을 적용하여 주인공 이명준의 심리적 세계를 분석한다. 사실주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廣場>을 환상성이라는 시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에 의한 대상의 환유과정은 이명준의 욕망심리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주인공 이명준은 어린 시절 어머니에게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성인이 되어 그 대상을 바꾸어가며 충족하려고 한다. 그가 어릴 때 어머니로부터 충족하지 못한 욕망은 남한 현실에서 윤애로 대체되며, 윤애에게 총족하지 못한 그의 욕망은 북한 사회로 대체된다. 그러나 북한 사회에서도 그의 욕망은 충족하지 못하고, 은혜에게 대체된다. 전쟁으로 인한 은혜의 죽음으로 다시 새로운 욕망 충족을 위해 중립국으로 향하지만 그것 또한 만족하지 못한다. 결국 푸른 바다를 유영하는 갈매기들은 그가 사랑하는 은혜와 딸이 환각되어 보인다. 그는 그녀들이 유영하는 푸른 바다로 뛰어든다. 푸른 바다는 이명준이 현실에서 욕망하는 것을 충족할 수 있는 자유로운 곳으로 여겨진다. 현실에 대한 심리적 불안이 욕망의 대상을 바꾸는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이명준은 본능적인 욕망 충족에 충실한 인물이다. 인간의 욕망은 죽음만이 충족시킨다는 프로이드의 말은 아무것도 욕망하지 않는 것은 죽음뿐이라는 말과 같다. 이명준의 본능에 대한 욕망은 환상 속의 자유로 끝났지만, 그의 환상과 죽음에 대한 심리적 고찰은 <廣場>을 욕망과 환상이라는 각도로 분석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The experiences in the youth are represented in the various works of Choi, In Hoon. The experiences appear as fantasy and cause confusion repeating the fantasy and reality. This paper is aimed to analyze the agony in the real world and the fantasy of Lee, Myung Joon in KWANG JANG and then study on the process to find the world he dreamt. Lee, Myung Joon, main character, tried to satisfy his desire that was not filled from his mother in his youth by changing an object of desire. His pursuing object of desire is replaced; from mother, South Korean society, Yoon Ae, North Korean society, Yoon Hye, neutral nation to sea. Psychological anxiety over reality is the reason why he changes the object of desire, but Lee, Myung Joon is the character who is faithful to his desire. Freud said that human desire can be satisfied by his/her death. This means that desiring nothing is death itself. Endless desire of human being is natural. Thus, humankind develops. The desire for instinct of Lee, Myung Joon is concluded with the freedom in a fantasy world, but psychological contemplation on his fantasy and death needs more research.

      • KCI등재

        최인훈 소설 〈西遊記〉에 나타난 자기반영적 글쓰기 연구

        박해랑(Park Hae Rang)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본 연구는 최인훈 소설 전체가 상호텍스트적인 관계에 있다는 전제에서 그의 소설 〈西遊記〉에 드러난 다양한 실험 양상을 자기반영성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최인훈은 1960년대를 ‘변혁의 시대’로 바라보고, 변화와 혼돈된 상황에 대해 개인의식의 혼돈성이라는 주제로 〈西遊記〉를 서술하였고, 작품 속 주인공을 통해 자신의 역사의식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西遊記〉에 나타난 자기반영성을 다른 작품과의 상호텍스트 관계에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 번째, 〈西遊記〉에 나타나는 반복의 의미이다. 주인공 독고준은 어린 시절 수학여행을 갔던 정거장 석왕사(釋王寺)를 반복적으로 여행한다. 그는 반복되는 여행을 통해 기억을 회상하고, 기억을 억압하는 요인을 제거함으로 재기억과 자기의식이 이루어진다. 최인훈은 그의 여러 소설에서 전쟁에 대한 기억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반복적으로 드러낸다. 최인훈의 반복적인 글쓰기 방법은 자신의 억압된 기억에 대한 회상이고, 상흔을 치유하는 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西遊記〉에 드러나는 액자구조층이다. 〈西遊記〉는 자유로운 공간과 시간의 이동이 가능한 환상 여행이다. 이러한 환상 여행은 꿈속의 꿈이라는 중층 구조로 거울 속의 거울 반사가 끝없이 이어지는 액자구조화(mise-en-abyme)를 이룬다. 독고준이 이유정의 방에서 나오는 현실 세계가 1층 액자구조이고, 독고준이 자신의 방으로 들어가기 전 이층 복도에서 일어나는 환상 세계가 2층 액자구조이다. 또한 독고준이 환상 세계에서 이야기책 속의 이야기를 읽고, 다시 꿈속에서 자신이 구렁이로 변신한 이야기는 3층 액자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다층구조의 형식은 최인훈의 실험적이고, 미학적인 글쓰기의 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는 〈西遊記〉와 다른 작품의 교류성에 관한 것이다. 소설에서 표면적으로 드러난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은 최인훈 소설 〈西遊記〉와 〈小說家 丘甫氏의 一日〉과 수필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에 공통적으로 나오는 부분으로 텍스트간의 교류성이 나타나는 부분이다. 세 작품의 발표 연대를 고려해도 작가 최인훈이 느끼는 슬픔은 그의 역사의식과 사회 현실에 대해 비판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텍스트간의 공통되는 주제와 내용을 통해 텍스트간의 교류성을 드러내고 있다. 최인훈의 〈西遊記〉는 카프카의 〈변신〉과 고전 〈西遊記〉에서 내용과 기본 구조를 차용하였지만 앞선 두 작품보다 확장되고 발전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글쓰기 방법은 최인훈 소설의 미학적 가치를 높이는 부분이다. 최인훈이 〈西遊記〉에서 보여준 내용의 확장과 형식의 발전은 그의 실험적 글쓰기의 한 방법이고, 작가로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모험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출이다. 그는 당대 역사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을 그의 작품을 통해 꾸준히 표현함으로 소설이라는 장르에 정체되지 않고, 더 많은 장르의 확장과 소설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emise that the whole of Choi In-Hoon’s novels has intertextuality, focuses on various experimental aspects in Seo-Yu-Gy from a self-reflexive point of view. Choi In-Hoon considered 1960s as the age of drastic change, wrote Seo-Yu-Gi with the topic of confusion in the individual consciousness on the change and the chaotic situation, and tried to reflect his own historical consciousness through main character. I analyzed the self-reflectivity in Seo-Yu-Gi into three parts. The first is the meaning of repetition in Seo-Yu-Gi. The main character, Dokgo Jun travels repeatedly to Seokwangsa where he went on a school trip in his early days. Through the travel, he recalls memories of the past and removes suppressive elements on the memories, and then his re-memory and self-consciousness are established. Choi In-Hoon reveals his memories of war and longing for home in many novels. I think Choi’s repetitive writing method is to recollect his suppressive memories and to cure his scar. The second is the stratified structure of the frame narrative in Seo-Yu-Gi. Seo-Yu-Gi is the story about the illusive journey where the free travel of time and space is possible. This illusive journey is a dream in a dream, a kind of multi-stratified structure, and forms mise-en-abyme which leads to mirror reflection in mirror. In addition, the story that Dokgo Jun reads in the story book in fantasy world and transforms into a big snake forms the third frame. This form of the multi-stratified structure can be seen as a part of Choi’s experimental and aesthetic writing. The third is about the intertextuality between Seo-Yu-Gi and his other works. ‘Things that sadden us’ exposed on the surface in the novel is the common element in the Seo-Yu-Gi, One Day in the life of Novelist, Gu-bo and his essay, Things that Sadden Us. Considering the publishing date of these three works, sorrow which Choi feels reflects his historical and critical consciousness of social reality. It reveals the interchange among texts by theme and contents which are common in the texts. The expansion of contents and the development of forms in Choi In-Hoon’s Seo-Yu-Gi are one method of his experimental writing method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will to ceaselessly change and venture as a writer. He persistently expresses his criticism of the history and social reality of the day, so he is not tied up with the genre of novel and tries to present the expansion of more genres and the vision of novel.

      • KCI등재

        김승옥 소설 「무진 기행」에 드러나는 감정 연구 - 윤희중의 심리를 중심으로

        박해랑 ( Park Hae-rang )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40 No.-

        래저러스(Lazarus)는 분노, 불안, 죄책감, 수치심 등의 경험에 의해 일어나는 열다섯 개의 감정에 대해 각각의 감정마다 뚜렷한 드라마나 독특한 줄거리가 있다고 한다. 그것은 개인의 경험에 부여하는 개인적인 의미를 전달하고, 각 감정마다 하나의 플롯이 전개된다고 한다. 만일 그 플롯을 안다면, 우리는 그 사람이 경험할 감정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김승옥 소설 「무진 기행」에서 소설 속의 주인공의 감정을 연구하였다. 주인공 윤희중의 무진에 대한 기억과 감정, 주변인에 표출되는 분노, 타인에 대한 욕망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윤희중의 무진에 대한 기억은 그를 현재가 아닌 과거의 윤희중으로 시간을 되돌리는 구실을 한다. 윤희중은 현재에서 과거의 기억을 서술하고 있지만, 무진에서 경험하는 모든 일들은 과거의 그가 경험하고 겪은 일들을 기억하고 기억 속의 그를 직면하게 한다. 윤희중은 과거 전쟁으로 인한 사회 상황을 어머니에 대한 분노로 향하지만 결국 자신에게 표출하고, 현재 서울의 바쁜 삶에서 아내와 장인에게 대해 분노하지만 그 대상은 무진에서 만나는 다른 약한 대상에게 표출한다. 윤희중은 어릴 때부터 그의 욕망이 충분히 충족되지 못한다. 어머니에 의해 형성된 아니마의 이미지는 부정적인 것으로 아내와의 사랑도 대등한 관계에서 이루어지지 못한다. 아내는 어머니와 같은 존재로 인식하고, 그가 의존하는 대상이 된다. 그의 총족되지 못한 욕망은 그가 무진으로 왔을 때 그가 만나는 모든 여자를 자신의 일부로 혹은 예전에 알던 사람으로 착각하고 충동적인 욕망을 일으킨다. 결국 하인숙은 살아있는 존재로 그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존재가 된다. 그러나 그 또한 하룻밤의 무진에서의 추억으로 간주될 뿐이다. 윤희중의 감정은 불안하고, 분노하고, 충동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다. 그의 이러한 감정은 그가 과거에 받았던 수치심과 모욕감과 더불어 그의 무책임한 행동으로 부끄러움까지 느끼게 한다. 그의 이러한 감정은 외적으로 그가 성공한 삶을 사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적으로 그는 과거 어둡던 시절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미성숙한 삶을 살아가고 있음 보여준다. Lazarus says each emotion has a distinct drama or unique story about the 15 emotions caused by the experience of anger, anxiety, guilt, shame, etc. It conveys the personal meaning of the individual’s experience and says that a plot develops for each emotion. This plot is distinct from others, and in order to understand how one emotion occurs, a plot that distinguishes it from another must be studied. If we knew the plot, we could predict what the person would experience. In this regard, Kim Seung-ok’s feelings for the main character were studied in the novel, “Infinite Challenge.” It wa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in character’s memory and feelings about the movie’s Mujin, the anger shown to those around him, and compassion or desire for others. The memory of Yoon Hee-jung’s Mu-jin plays a role in turning him back to the past, not the present. Yoon Hee-joong describes past memories in the present, but everything he experiences in Mujin remembers his experiences and experiences in the past and faces him in the memory. Yoon Hee-joong heads to anger against his mother in the past war, but eventually expresses to him the anger of his wife and father-in-law in his busy life in Seoul, but the target is to other weak objects he meets in Mujin. Yoon Hee-joong’s desire is not fully met from an early age. Anima’s image formed by her mother is negative, and her love with her wife is not equal. The wife recognizes her as a mother, and she becomes the object of her dependence. His unfulfilled desire creates an impulsive desire by mistaking all the women he meets as part of his or her former acquaintance when he comes to Mujin. After all, Hein-suk is a living being that satisfies his desires. But he is also regarded as a memory of a night’s Mujin. Yoon Hee-jung’s feelings are volatile, angry, and impulsive. His feelings, along with the shame and insult he received in the past, also make him feel ashamed of his irresponsible behavior. His feelings seem to be living a successful life on the outside, but inside, he shows that he is living an immature life, as he did in his dark past.

      • KCI등재

        이청준 소설 「눈길」에 나타난 원형적 상징 연구

        박해랑(Park, Hae-Rang)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40

        본 연구는 이청준 소설 「눈길」에 나타나는 계절과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한 다양한 상징들을 원형적 의미로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원형과 상징은 어디에서나 보편적이고, 널리 퍼져 있는 일정한 형식들(form)이고, 정신의 삶에서 고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눈길」에 주로 나타나는 계절은 여름과 겨울이다. 하루의 주기는 새벽 및 이른 아침, 저녁 혹은 밤의 시간이다. 현재는 여름이고, 기억 속의 그날은 겨울이다. 「눈길」에서 ‘나’는 여름이라는 계절 속에 어머니와 갈등이 첨예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갈등은 어머니의 기억 속 그날의 이야기를 들으며, 해소되고, ‘사랑’이라는 감정으로 재생하게 된다. ‘나’와 어머니의 기억 속 그날은 겨울로서 긴 갈등과 시련의 시간이었다. ‘나’와 어머니는 마적의 타미노처럼 물과 불의 시련을 뚫고 17,8년이라는 세월을 살아왔으며, 그러한 갈등은 어머니의 깊고 넓은 사랑을 확인하고, 해소된다. ‘나’의 기억 속에 ‘눈길’은 ‘죄책감’과 ‘사랑’이라는 공통의 감정에 서로를 이해하게 된다. 「눈길」에서의 모자간의 ‘사랑’은 어머니의 아들에 사랑도 깊지만, 아들의 어머니에 대한 사랑도 깊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study the original form symbols in the novel “Snowy Road”. We divided the circular symbols that appear in “Snowy Road” into the original form symbols that appear in seasons and natural phenomena, and the original form symbols that appear in objects. Summer and winter are the main seasons in “Snowy Road”. A day"s cycle is the time of dawn and early morning, evening or night. It is summer now, and the day in memory is winter. In “Snowy Road”, “ I ” is in sharp conflict with my mother in the summer season. These conflicts are resolved and resurfaced with the feeling of “ love ” as the story of the day is told in the mother"s memory. It was a long time of conflict and trial for the winter in the memories of Me and Mom.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circular symbols in “Snowy Road” each symbol represents the feelings of “ I ” and the mother. Although “ I ” and “ my mother"s feelings conflict, ” they confirm each other"s true feelings and regrow the feelings of conflict with “ love ”. The “ love ” between mother and son in “Snowy Road” shows that the mother"s son is deeply in love, but also the son"s mother"s love is very deep.

      • KCI등재

        최인훈 소설 연구 : 주인공 독고준의 욕망과 심리 세계를 중심으로

        박해랑(Park Hae Rang)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최인훈 소설 는 그의 여러 소설 중 가장 난해한 작품에 속한다. 비사실주의 소설로 기존의 소설과는 다른 중층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는 소설에서 인물에 대한 심리 세계를 매우 치밀하게 서술하고 있다. 특히 주인공의 심리는 그의 행동에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인훈 소설에서 인물들의 성향은 여러 작품에서 반복되거나 연속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작가는 인물들의 사유 세계를 섬세히 묘사하고 있다. 소설에서 주인공은 시대적 가치관과 개인적 가치관의 혼돈 속에서 이성에 대한 욕망을 다양하게 표출하고 있다. 그에 비해 지금까지 인물에 대한 심리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이에 최인훈 소설에서 인물의 심리 연구를 새로운 논의 방법으로 제시하고, 그 소설의 난해성 해소와 연구 범위 의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에서 주인공 독고준을 중심으로 그의 욕망과 심리 세계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문학에서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고, 문학연구에 있어 심리를 연구하는 것은 지금까지 중요한 과제가 되 어 왔다. 인물의 복잡한 심리를 연구하는 과정은 그 인물 행위의 동기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에서 독고준은 이유정의 방에서 나와 자신의 방으로 들어가는 복도의 끝에서 환상 여행을 떠난다. 환상적인 공간 이동을 통하여 독고준은 기억에 잠재된 무의식 세계를 여행한다. 독고준의 여행 목적은 과거'W시의 그 여름날을 기억하는 그녀'를 만나기 위한 욕망의 실현이다. 그녀를 만나기 위해 여행을 강행하면서 그가 깨달은 것은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며, 어머니에 대한 사랑이다. 또한 어린 시절 경험한 자아비판의 상흔은 그 시절의 교실로 돌아가 지도원 선생과 대면함으로써 치유한다. 독고준은 여행내내 자아와 세계의 대립으로 균열이 심화되어 간다. 이러한 균열은 그를 내면세계로 침잠하게 한다. 그러나 반복적인 여행을 통해 내면의 상흔을 치유하고, 현실을 인식하여 자아의 성장을 이룬다. 독고준은 여행하는 동안 부끄러움을 느끼고, 여행이 끝난 후에도 자신의 행동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해 반성하고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은 자아가 성장하고,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자아와 세계의 갈등을 빚는다. 자아와 세계가 투쟁과 충돌을 통해 화해의 결실을 이루기도 하지만 다수의 인간은 투쟁과 충 돌을 회피하고 내면으로 침잠하여 세계로부터 스스로를 소외시키는 경향을 가지기도 한다. 현실과 당면하지 않고 사회에 대해 스스로 소외시키는 것을 성장의 한 방편으로 보는 것이 불편한 사실이지만,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는 현실이 냉정하다. 독고준은 이러한 현실에 살고 있는 회색(灰色)인이다. 그러나 무의식의 환상 여행을 마친 후 자신의 방에서 비오는 창밖을 바라보는 그의 모습은 현실을 직시하고 받아들이려는 노력의 자세로 보인다. 에서 독고준의 욕망과 심리 묘사는 주인공을 매개로 한 행동의 의미와 심리 체계를 구조화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독고준이 혼돈된 세계에서 자아의 성장과 가치관을 정립해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최인훈 소설의 다양한 분석과 연속성 있는 연구의 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Choi In-Hoon's novel Seo-Yu-Gi belongs to one of the most abstruse novels. As an unrealistic novel, it consists of multi-layered structures. He narrates psychological realm of the characters very closely. Especially, the state of mind of the protagonist in his behavior works as an important element.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in various Choi's novels appear repeatedly and continuously, and he describes their psyche delicately. Reduced to a chaotic state, the protagonist in the novel expresses his desire for the other sex variously. However, until now, studies on the mentality and psychology of the character have been rare. Therefore, I will present the study on the character's mentality and psychology as a new argument method, and I'd like to contribute to reduction of abstruseness and expand the study range. This study aims at studying on the desire and psychological realm of the protagonist, Dok Go-Joon in Seo-Yu-Gi. It becomes important task to express metal state and to study the mentality in literary researches. A course of study on the complex mentality of the character is very useful to analyze the motivation of the behavior and to explain the meaning. Dok Go-Joon in Seo-Yu-Gi. takes a fantasy journey at the end of hall stepping out of the Lee You-Jung's room. Through moving space, Dok Go-Joon travels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embedded in his memory. The purpose of his travel is to fulfill his desire to meet her. She remembers the summer day of W city. What he realizes is longing for his family and loving for his mother. Also, the scar caused by self criticism in his childhood is healed up by facing instructor in the classroom of the time. The rupture between his ego and world becomes worse through the entire trip. This rupture begins to withdraw to his inner world. However, he heals the scar through the repetitive travel, recognize the reality, and accomplish selfdevelopment. Dok Go-Joon feel abashed during the trip and still he does after the trip. It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is own identity for him to reflect on his behavior and have shyness. Humans always come into conflict between ego and world. Ego and world can bear a fruit of reconciliation, but most humans tend to avoid the struggle, conflict withdraw into the inner world, and isolate themselves from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and maturity, it is uncomfortable fact that humans do not face the reality and isolate themselves from the society, but the reality is quite cold and different because people can not do any other things. Dok Go-Joon is “A Gray man” who lives in this reality. However, his image, which looks out the window for rainy days after unconscious fantasy journey, can be seen as an effort to face and embrace the reality. Description of Dok Go-Joon's desire and state of mind in Seo-Yu-Gi can be appraised as structurization of behavioral meaning and psychological system. By looking for the process for Dok Go-Joon to establish self-development and values, I can broaden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is work and provide a framework for various and continuous study on Choi's novels.

      • KCI등재

        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글쓰기 교육 효과 연구

        박해랑(Park, Hae R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본 연구는 2017학년도 1학기 서원대학교 교양교과목 <사고와 표현>에서 실시한 수업을 토대로 학생들의 사례 글을 중심으로 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고, 구체화하는데 목적을 둔다. 성찰적 글쓰기는 4회로 구성하였다. 그 주제는 ‘패러다임의 전환’, ‘나를 소개합니다’, ‘내 인생의 주요 사건-인생 그래프 그리기’, ‘10년 후 나의 모습’이라는 주제로 진행하였다. 각 주제별 학생들의 글을 살펴 본 결과 성찰적 글쓰기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그 효과는 첫째, 학생들은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자기의 삶을 반성하고 자기를 이해하는 기회를 가지게 하였다. 둘째,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자신의 상처를 드러내고 치유의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었다. 셋째,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삶을 제시하였다. 넷째, 글쓰기의 질적 양적 확대와 사고 역량이 자연스럽게 늘어났다. 성찰적 글쓰기는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효과적인 글쓰기 실력의 향상과 더불어 자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writing example of students which is focused on the lecture conducted in Liberal arts subjects <Thinking & Expression> of Seowon University in 1st semester 2017. An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ursue the effects of writing through the introspective writing to clarify it. Introspective writing was composed of the fourth installment following. The writing was made up of the topics, ‘Paradigm Shift’, ‘Let me introduce myself’, ‘The main event of my life-Life curve graph to draw’, ‘Myself after ten years’. Introspective writing has been proved that it was an effective writing education method in writing education of the university. The effects, firstly, were that students had a chance to reflect on one’s life and understand oneself via introspective writing. Second, we had the expectation that students would have effects of healing and revealing one’s wound, looking back. Third, it showed a positive life for future. Fourth,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capabilities was spontaneously increased. Introspective writing decreases students’ burden about writing and can expect not only to improve effective writing skills but also to widen the breadth of the self-understanding.

      • KCI등재

        감정치유 연구동향 분석 -2005년~2020년 학술논문 중심으로-

        박해랑,Park, Hae Ra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3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 발생하는 많은 문제적 상황이 개인감정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고, 이러한 현상이 개인과 사회의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개인과 사회의 불안감을 해결하기 위해 감정치유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된 감정과 관련되는 치유 논문 270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감정치유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치유 논문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2010년부터 적극적인 치유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특정 학회를 통한 독서와 글쓰기 치유가 주를 이루었다. 이론적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정서적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양한 주제로 치유의 방법이 확대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방안으로 상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개인의 감정을 치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확대되어 안정된 미래사회를 구현하는 방안이 제시되길 바란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premise that many problematic situations in modern society can seriously damage personal feelings and that this phenomenon can create anxiety in individuals and society. In order to address such anxiety in individuals and society, we would like to propose measures to heal emotions. Accordingly, 270 research trends related to emotions studied from 2005 to 2020 will be analyz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emotion heal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healing papers, active heal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2010, but reading and writing healing through specific academic societies has been the main focus. Theoretical research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and emotional research was steadily conducted. Although healing methods are expanding to various topics, they have not been commercialized as specific methods. As a result, we hope that concrete research to heal individual emotions will be expanded and measures to implement a stable future society will b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